KR101529612B1 -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612B1
KR101529612B1 KR1020130043005A KR20130043005A KR101529612B1 KR 101529612 B1 KR101529612 B1 KR 101529612B1 KR 1020130043005 A KR1020130043005 A KR 1020130043005A KR 20130043005 A KR20130043005 A KR 20130043005A KR 101529612 B1 KR101529612 B1 KR 10152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server
web camera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917A (ko
Inventor
박근덕
김우성
채상훈
Original Assignee
박근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덕 filed Critical 박근덕
Priority to KR102013004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6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 보안 시스템은,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울기 센서;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와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송신부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웹 카메라; 센서부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센서부에 전송하며, 센서부의 송신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서버; 서버의 수신부(310)로부터 웹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에 전송되도록 수신부에 전송하는 경보음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서버의 수신부에서 전송되는 웹 카메라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서버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Wireless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본 발명은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울기 센서를 통해 침입자가 감지되면,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웹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여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입을 감시하는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서만 침입을 감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카메라의 영상으로만 침입을 감시할 경우, 관리자가 카메라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침입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침입감지센서와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하는 침입 감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침입감지센서를 통해 침입자가 감지될 경우, 단순히 센서의 경보음만 출력될뿐이기 때문에, 관리자나 사용자가 센서의 경보음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알고 즉각적인 조치나 카메라 영상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991-0025877호에는 침입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나, 카메라를 통한 침입자의 감시만 이루어질 뿐, 센서나 침입자 감지시 관리자나 사용자가 장소에 상관없이 원격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울기 센서를 통해 침입자가 감지되면,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웹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여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 보안 시스템은,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울기 센서;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와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송신부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웹 카메라; 센서부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센서부에 전송하며, 센서부의 송신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서버; 서버의 수신부로부터 웹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에 전송되도록 수신부에 전송하는 경보음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서버의 수신부에서 전송되는 웹 카메라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서버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는 수신부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웹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의 수신부는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는 웹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수신부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센서부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서버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영상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서버의 수신부는 클라이언트의 영상 요청부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의 수신부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의 송신부와 연결되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신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의 수신부는 웹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로 전송하되, 센서부에 미리 인증된 클라이언트에만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 보안 방법은, (a) 센서부의 기울기 센서가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키는 단계; (b) 센서부의 송신부가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가 송신부(12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 (d) 웹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센서부의 송신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에 전송하는 단계; (f)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가 서버의 수신부로부터 웹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g-1) 클라이언트의 경보음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센서부의 경보음 출력부에 전송되도록 수신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g-2) 클라이언트의 영상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서버의 수신부에서 전송되는 웹 카메라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서버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e-1) 서버의 제2 표시부가 수신부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웹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부(3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 단계는 센서부의 송신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2) 서버의 저장부가 웹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수신부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 클라이언트의 영상 요청부가 센서부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서버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i) 서버의 수신부가 클라이언트의 영상 요청부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 단계는 센서부의 송신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의 제1 표시부에 전송하되, 센서부에 미리 인증된 클라이언트에만 웹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울기 센서를 통해 침입자가 감지되면,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웹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여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시스템에서 제2 표시부가 더 포함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시스템에서 저장부가 더 포함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시스템에서 영상제어부 및 영상요청부가 더 포함된 블록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방법에서 촬영영상 서버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방법에서 촬영영상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방법에서 제2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 및 제2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보안 시스템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 웹 카메라(200), 서버(300) 및 클라이언트(4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기울기 센서(110), 송신부(120) 및 경보음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110)는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송신부(120)는 기울기 센서(1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130)와 서버(300)로 전송한다.
경보음 출력부(130)는 송신부(12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한다.
웹 카메라(200)는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센서부(100)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00)에 전송하고, 클라이언트(400)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센서부(100)에 전송하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400)에 전송하는 수신부(31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400)는 제1 표시부(410), 경보음 제어부(420) 및 영상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410)는 서버(300)의 수신부(310)로부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한다.
경보음 제어부(420)는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 전송되도록 수신부(310)에 전송한다.
영상 제어부(430)는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서버(300)의 수신부(310)에서 전송되는 웹 카메라(200)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무선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가 외부에 있어도 클라이언트(400)만 소지하고 있으면 통신환경이 구비되어 있는 장소에서 센서부(100)가 있는 장소에 침입자가 침입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센서부(100)가 있는 장소에 침입자가 침입했을 경우에는 웹 카메라(2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서버(300)를 통해 클라이언트(400)로 전송받아 침입자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입자가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인하여 센서부(100)가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서 경보가 울릴 경우, 사용자는 웹 카메라(2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서버(300)를 통해 클라이언트(400)로 전송받아 침입자가 없음을 확인 한 후, 클라이언트(400)에 구비된 경보음 제어부(420)를 통해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침입자가 없을 경우에 불필요하게 경보음이 출력되어 주변 이웃에게 소음공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잇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클라이언트(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 카메라(200)에서 전송받은 영상을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클라이언트(400)로 전송할 때 기 설정된 바이트로 나누어 전송할 때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눔으로써, 클라이언트(400)에 영상이 전송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바이트 단위로 나뉜 영상을 다수의 버퍼를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속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보는데 있어서 시간차가 없는 실시간 영상을 확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에서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100)의 송신부(120)와 연결되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 내부에서 3곳에 해당하는 장소에 센서부(100)를 위치시켜 침입자를 감지하고 싶을 경우에는, 세 개의 센서부(100)들이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하나의 서버(300)를 통해 클라이언트(400)에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보안 시스템은 여러개의 센서부(100)에서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하나의 서버(300)에서 전송받음으로써, 통신환경을 단일화 시켜 감지신호 전송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웹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로 전송하되, 센서부(100)에 미리 인증된 클라이언트(400)에만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해킹으로 인하여 웹 카메라(200)의 영상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침입자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해킹으로부터도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노출시키지 않는 보안 시스템이 구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의 수신부(3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서버(300)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은 경우, 서버(300)는 제2 표시부(320)를 더 포함한다.
서버(300)의 제2 표시부(320)는 수신부(3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수신부(3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서버(300)의 제2 표시부(320)는 서버(300)에 별도의 관리자가 상주할 경우, 센서부(100)에서 감지신호를 서버(300)에 전송하면 이를 클라이언트(400)에서 전송받아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함과 동시에 서버(300)에 상주하는 관리자도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통해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침입자에 대한 신고조치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400)의 사용자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서버(300)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400) 사용자가 침입자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못해도, 서버(300)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침입자에 대한 실시간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웹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330)는 웹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수신부(31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부(300)에 저장된 웹 카메라(200)의 영상은 웹 카메라(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거나 침입자의 얼굴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에 다시보기를 함으로써 영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400)는 센서부(1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요청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는 센서부(100)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는 센서부(1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아도 언제든지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센서부(100)가 위치한 장소의 상황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방법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무선 보안 방법에서 설명되는 센서부(100), 웹 카메라(200), 서버(300) 및 클라이언트(400)는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의 센서부(100), 웹 카메라(200), 서버(300) 및 클라이언트(400)와 동일하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보안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신호 발생 단계(S110), 감지신호 전송 단계(S120), 경보음 출력 단계(S130), 제1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S140),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150),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표시 단계(S160), 경보음 정지 단계(S170) 및 촬영영상 정지 단계(S180)를 포함한다.
감지신호 발생 단계(S110)에서는 센서부(100)의 기울기 센서(110)가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신호 전송 단계(S120)에서는 센서부(100)의 송신부(120)가 기울기 센서(1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130)와 서버(300)로 전송한다.
경보음 출력 단계(S130)에서는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가 송신부(12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한다.
제1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S140)에서는 웹 카메라(200)가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한다.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150)에서는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한다.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표시 단계(S160)에서는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가 서버(300)의 수신부(310)로부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한다.
경보음 정지 단계(S170)에서는 클라이언트(400)의 경보음 제어부(420)가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 전송되도록 수신부(310)에 전송한다.
촬영영상 정지 단계(S180)에서는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제어부(430)가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서버(300)의 수신부(310)에서 전송되는 웹 카메라(200)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클라이언트(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150)에서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웹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로 전송하되, 센서부(100)에 미리 인증된 클라이언트(400)에만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150)에서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하되, 센서부(100)에 미리 인증된 클라이언트(400)에만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의 수신부(3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서버(300)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150) 이후, 촬영영상 서버 표시 단계(S151)를 더 포함한다.
촬영영상 서버 표시 단계(S151)에서는 서버(300)의 제2 표시부(320)가 수신부(3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수신부(3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의 서버(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150) 이후, 촬영영상 저장 단계(S152)를 더 포함한다.
촬영영상 저장 단계(S152)에서는 서버(300)의 저장부(300)가 웹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수신부(31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무선 보안 시스템의 클라이언트(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웹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요청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S210) 및 제2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220)를 더 포함한다.
제2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S210)에서는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가 센서부(100)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한다.
제2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S220)에서는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전송받으면 웹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센서부 110 : 기울기 센서
120 : 송신부 130 : 경보음 출력부
200 : 웹 카메라
300 : 서버 310 : 수신부
320 : 제2 표시부 330 : 저장부
400 : 클라이언트 410 : 제1 표시부
420 : 경보음 제어부 430 : 영상 제어부
440 : 영상 요청부
S110 : 감지신호 발생 단계
S120 : 감지신호 전송 단계
S130 : 경보음 출력 단계
S140 : 제1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
S150 : 제1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
S151 : 촬영영상 서버 표시 단계
S152 : 촬영영상 저장 단계
S160 :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표시 단계
S170 : 경보음 정지 단계
S180 : 촬영영상 정지 단계
S210 : 제2 촬영영상 서버 전송 단계
S220 : 제2 촬영영상 클라이언트 전송 단계

Claims (13)

  1.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울기 센서(110); 상기 기울기 센서(1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130)와 서버(300)로 전송하는 송신부(120); 및 상기 송신부(12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130);를 포함하는 센서부(100);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는 웹 카메라(200);
    상기 센서부(100)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00)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400)에서 전송되는 각 데이터를 상기 센서부(100)에 전송하며, 상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400)에 전송하는 수신부(310);를 포함하는 서버(300);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로부터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410);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 전송되도록 상기 수신부(310)에 전송하는 경보음 제어부(420); 및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에서 전송되는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하는 영상 제어부(430);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4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상기 클라이언트(4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와 연결되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상기 웹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로 전송하되, 상기 센서부(100)에 미리 인증된 상기 클라이언트(400)에만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는,
    상기 수신부(3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상기 수신부(3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제2 표시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0)는,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상기 수신부(31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저장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400)는,
    상기 센서부(100)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하는 영상 요청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는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시스템.
  8. (a) 센서부(100)의 기울기 센서(110)가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울기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키는 단계(S110);
    (b) 상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가 상기 기울기 센서(1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 출력부(130)와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120);
    (c) 상기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가 상기 송신부(12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S130);
    (d) 웹 카메라(200)가 실시간으로 촬영범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140);
    (e) 상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하는 단계(S150);
    (f)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가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로부터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60);
    (g-1)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경보음 제어부(420)가 외부로부터 경보음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출력정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센서부(100)의 경보음 출력부(130)에 전송되도록 상기 수신부(310)에 전송하는 단계(S170); 및
    (g-2)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제어부(430)가 외부로부터 영상표시 정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에서 전송되는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의 전송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는 영상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S150)는,
    상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바이트 단위로 나누어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S150)는,
    상기 센서부(100)의 송신부(1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하되, 상기 센서부(100)에 미리 인증된 상기 클라이언트(400)에만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e-1) 상기 서버(300)의 제2 표시부(320)가 상기 수신부(310)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상기 수신부(3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계(S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e-2) 상기 서버(300)의 저장부(300)가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상기 수신부(31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S1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h)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가 상기 센서부(100)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웹 카메라(200)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에 전송하는 단계(S210); 및
    (i) 상기 서버(300)의 수신부(310)가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영상 요청부(440)로부터 영상요청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웹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클라이언트(400)의 제1 표시부(410)에 전송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방법.

KR1020130043005A 2013-04-18 2013-04-18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529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05A KR101529612B1 (ko) 2013-04-18 2013-04-18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05A KR101529612B1 (ko) 2013-04-18 2013-04-18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17A KR20140125917A (ko) 2014-10-30
KR101529612B1 true KR101529612B1 (ko) 2015-06-22

Family

ID=5199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005A KR101529612B1 (ko) 2013-04-18 2013-04-18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222B1 (ko) * 2016-06-24 2019-06-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탐지 및 IoT 기술을 적용한 유해 조수 퇴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77U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휴비시스 무선네트워크기반의 영상방범시스템
KR20120140518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30003886A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인터파크에이치엠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KR20130014954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모니터링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77U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휴비시스 무선네트워크기반의 영상방범시스템
KR20120140518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30003886A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인터파크에이치엠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KR20130014954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모니터링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17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CN104079881A (zh) 监控装置与其相关的监控方法
CN103548341A (zh) 分布图像处理系统
KR20120140518A (ko)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200433431Y1 (ko) 독립형 감시 시스템
US91670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JP2003240613A (ja) 遠隔監視装置
KR101543561B1 (ko) 복합형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TW201421427A (zh) 視頻監控裝置、報警終端及視頻監控方法
KR101692430B1 (ko) 경찰청 영상 관제 시스템
JP2000032437A (ja) 画像伝送システム
KR101529612B1 (ko)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75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live feed from surveillance system
KR101622610B1 (ko) Uwb 센서를 이용한 홈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US20140273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JP5993414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JP2018098688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不正検証方法
KR101716184B1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TW201729589A (zh) 條件式備份影像之監控系統及其影像監控裝置
JP2008009746A (ja) センサノードおよびセンサノードによる監視方法
KR100751030B1 (ko) 사생활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832363B1 (ko) 허용되지 않은 접속을 인지하는 지능형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관리 시스템
US9558650B2 (en) Surveillance method, surveillance apparatus, and mark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