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856B1 -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856B1
KR101542856B1 KR1020130119330A KR20130119330A KR101542856B1 KR 101542856 B1 KR101542856 B1 KR 101542856B1 KR 1020130119330 A KR1020130119330 A KR 1020130119330A KR 20130119330 A KR20130119330 A KR 20130119330A KR 101542856 B1 KR101542856 B1 KR 10154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operation knob
steering handle
remote contro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602A (ko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3011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8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핸들 중 내측에서 상하로 개구된 공간 일부를 점하도록 돌출 연장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에서 고정된 서포트 바디와, 상기 서포트 바디의 상측에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조작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의 고정 부분이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바디에 의하여 조작 노브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조작자의 과도한 조작력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Remote control switch of steering hand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핸들에 보다 안정적으로 조작 노브가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스티어링 핸들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링 형상의 부품으로써,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은 원형의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가운데의 회전 중심에 스티어링 컬럼이 연결됨과 아울러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같은 안전 장치 및 경적 소리를 울리기 위하여 마련된 혼 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되도록 설치 패널이 구비되고, 설치 패널은 스티어링 핸들과 복수개의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다.
스티어링 핸들은 설치 패널 및 연결부를 제외하고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운전자가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최근에는 대부분의 차량이 운전자가 주행 중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운전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스티어링 핸들에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일예는, 설치 패널(도면부호 미표기)과 연결부(5) 및 스티어링 핸들(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하는 상하 개구부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 연장되도록 조작 노브(15)가 설치된다.
조작 노브(15)는, 대략 운전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하방 누름시키면 일측 힌지 결합 부분(1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컨택트 스위치(도면부호 미표기)를 누름시키는 작동 로드(17)가 연동되어 움직이면서 컨택트 스위치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푸쉬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일예는, 조작 노브(15)의 과도한 누름을 방지함과 아울러, 인쇄회로기판(20)의 설치를 위한 서포트(20)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0)는 연결부 및 설치 패널의 한 군데씩(21,23)만 고정되어 고정력이 매우 약해 운전자의 과도한 누름 동작에 의해 파손 및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자가 전달하는 조작력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티어링 핸들 중 내측에서 상하로 개구된 공간 일부를 점하도록 돌출 연장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에서 고정된 서포트 바디와, 상기 서포트 바디의 상측에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조작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의 고정 부분이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개구된 공간에는 혼 스위치의 설치를 위한 설치 패널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상기 설치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3군데의 고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설치 패널에 나사 고정되며, 상기 3군데의 고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패널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 부분을 제1고정부라 할 때,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서포트 바디의 선단 사이에 상기 힌지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적어도 제1두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강성을 위한 복수개의 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리브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제1두께의 3/4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서포트 바디의 상단부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 리브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서포트 바디에 의하여 조작 노브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조작자의 과도한 조작력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미도시)에 구비되어 차량에 배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스위칭시키는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100)와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은, 미도시의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고, 스티어링 컬럼의 상단부는 스티어링 핸들의 상하 개구부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스티어링 핸들의 개구부 일부를 덮는 가운데의 설치 패널(미도시) 및 설치 패널을 가로지르면서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하여 스티어링 컬럼과 연결된다.
설치 패널은 대략 스티어링 핸들의 개구부 가운데에 위치되고, 경적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구비된 혼 스위치 및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는, 설치 패널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 "??"자 형으로 형성되거나 "T"자 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기능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티어링 핸들 중 내측에서 상하로 개구된 공간인 개구부 일부를 점하도록 돌출 연장되고,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에서 고정된 서포트 바디(300)를 포함한다.
서포트 바디(300)는, 후술하는 조작 노브(200)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는 설치 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조작 노브(200)를 통하여 소정의 조작력을 가하면 조작 노브(20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포트 바디(300)의 상측에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조작 노브(200)가 힌지(341) 연결된다.
조작 노브(200)는 대략 설치 패널과 연결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개구부를 점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서포트 바디(300) 중 조작 노브(200)가 점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설치 패널 및 연결부에 해당하는 측면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바디(300)는 적어도 3군데에서 고정된다. 또한, 서포트 바디(300)를 고정하는 3군데의 고정 부분은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는 조작자의 조작 노브(200)에 전달하는 조작력이 최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위 3군데의 고정 부분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경우 조작력의 분산 설계에 어려움이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포트 바디(300)의 3군데 고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설치 패널에 나사 고정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3군데의 고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조작 노브(200)의 형상 및 조작력의 전달 방향에 따라 서포트 바디(300)의 3군데 고정 부분 중 2개를 설치 패널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부에 고정할 수 있다.
설치 패널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을 제1고정부(310)라 할 때, 조작 노브(200)는 제1고정부(310)와 서포트 바디(300)의 선단(도 3의 도면상 좌측 끝 부분) 사이에 힌지(341)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단(21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포트 바디(300)의 하단부에는 설치 패널 및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310), 제2고정부(320) 및 제3고정부(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고정부(310)는 설치 패널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으로써,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제1체결홀(311)이 형성되고, 제2고정부(320) 및 제3고정부(330)는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으로써, 나사 체결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나사 체결되도록 체결보스 형태로 형성된다.
제1고정부(310)의 제1체결홀(311)은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를 삽입 고정하는데 유리하고, 제2고정부(320) 및 제3고정부(330)의 체결보스는 하부에서 상부로 나사를 삽입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서포트 바디(3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의 힌지 연결부와 매칭되도록 한 쌍의 힌지 체결단(340)이 구비되고, 힌지 체결단(340)에는 각각 힌지 돌출부(341)가 형성되어 조작 노브(200)의 힌지 연결부(210)에 형성된 힌지 홀(211)에 삽입 체결된다.
조작 노브(200)의 힌지 연결부(210) 또한 한 쌍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각각의 힌지 연결부(21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역회전 방지단(21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서포트 바디(300)의 힌지 체결단(340)의 하부에는 역회전 방지단(212)이 접촉되는 접촉단(34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노브(200)는 운전자가 운전 중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눌림시키면 힌지 연결부(210)가 형성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하방으로 회전된다. 조작 노브(20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컨택트 스위치(510)를 스위칭시키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작동 로드(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서포트 바디(300)의 상부에는 실질적으로 전기적인 스위칭을 구현하는 컨택트 스위치(510) 및 시인성 확보를 위한 소정 빛을 조사하는 인디게이팅 램프(52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500)이 배치된다.
한편, 서포트 바디(300)의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500)을 덮도록 바디 커버(400)가 구비되고, 바디 커버(400)는 서포트 바디(300)에 나사 체결되도록 관통된 관통홀(430)을 통해 나사 고정된다.
또한, 바디 커버(400)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구비된 푸셔 홀(420)과, 램프 가이드 홀(410)이 형성된다. 푸셔 홀(420)에는 푸셔가 구비되어 작동 로드의 하단이 눌림시키면 푸셔 홀(4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컨택트 스위치(510)를 스위칭시키고, 램프 가이드 홀(410)은 직하방에 구비된 인디게이팅 램프(520)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부의 조작 노브(200) 측으로 안내한다.
조작 노브(200)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타단부에 의하여 컨택트 스위치(510)를 스위칭 시켰다가 컨택트 스위치(51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여기서, 별도의 조작 노브(200)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와 같은 구조물은 필요치 않고, 조작 노브(200) 자체가 탄성 변형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컨택트 스위치(510)의 복원력만으로 충분히 작동 가능하다.
조작 노브(20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그 타단부의 하단이 서포트 바디(300)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되, 조작 노브(200)의 타단부에 해당하는 직하방에는 과도한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작 노브(200)의 타단부의 회전 경로 상에 단차지게 형성된 스토퍼 단차(350)가 구비된다.
또한, 조작 노브(200)는 서포트 바디(300)의 상단부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200)는 바디 커버(400)를 덮음과 아울러 서포트 바디(300)의 상단부 일부를 덮는다.
서포트 바디(300)에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리브(360)가 형성되고, 조작 노브(200)의 내측면에는 돌출 리브(360)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240)에 돌출 리브(360)가 끼워지면, 조작자의 조작 노브(200)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 노브(200)의 타단부가 회전될 때 그 회전이 안내됨으로써 눌림되는 방향 이외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임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 노브(200)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이탈방지 돌기부가 구비되고, 서포트 바디(300)에는 이탈방지 돌기부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조작 노브(200)가 조작자에 의한 임의의 당김력에 의하여 컨택트 스위치(510)를 스위칭시키는 방향의 역방향에 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서포트 바디(300)가 설치 패널 및 연결부에 조작력이 적정히 분산되는 적어도 3군데(310,320,330)에 고정됨으로써 조작자의 지속적인 조작력의 제공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됨은 물론, 역회전 방지단(212) 및 이탈방지 돌기부에 의한 과도한 조작력의 제공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포트 바디(300)를 상술한 제1고정부 내지 제3고정부(310,320,330)를 관통하는 미도시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 패널 및 연결부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서포트 바디(300)에 컨택트 스위치(51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500)을 고정시키고, 인쇄회로기판(500)의 상부를 덮도록 바디 커버(400)를 씌워 결합시킨다.
이때, 푸셔 홀(420)에 푸셔를 삽입한 후 서포트 바디(300)의 힌지 체결단(340)에 조작 노브(200)의 힌지 연결부(210)를 이용하여 힌지 연결시킨다.
마지막으로, 바디 커버(400)에 형성된 관통홀(430)을 통해 체결되는 나사(440)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서포트 바디(300)에 결합시킨다.
미설명 도면부호 600은 인쇄회로기판(500)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부와 연결되는 소켓부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음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200: 조작 노브
210: 힌지 연결부 211: 힌지 홀
212: 역회전 방지단 300: 서포트 바디
310: 제1고정부 311: 제1체결홀
320: 제2고정부 330: 제3고정부
340: 힌지 체결단 341: 힌지 돌출부
342: 접촉단 400: 바디 커버
410: 램프 가이드 홀 420: 푸셔 홀
500: 인쇄회로기판 700: 소켓부

Claims (5)

  1. 스티어링 핸들 중 내측에서 상하로 개구된 공간 일부를 점하도록 돌출 연장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에서 고정된 서포트 바디와;
    상기 서포트 바디의 상측에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 조작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적어도 3군데의 고정 부분이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개구된 공간에는 혼 스위치의 설치를 위한 설치 패널과,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상기 설치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3군데의 고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설치 패널에 나사 고정되며, 상기 3군데의 고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에 나사 고정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패널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 부분을 제1고정부라 할 때,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서포트 바디의 선단 사이에 상기 힌지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단이 구비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적어도 제1두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강성을 위한 복수개의 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리브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제1두께의 3/4 이상의 두께를 가진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서포트 바디의 상단부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 리브가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KR1020130119330A 2013-10-07 2013-10-07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KR10154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330A KR101542856B1 (ko) 2013-10-07 2013-10-07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330A KR101542856B1 (ko) 2013-10-07 2013-10-07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602A KR20150040602A (ko) 2015-04-15
KR101542856B1 true KR101542856B1 (ko) 2015-08-07

Family

ID=5303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330A KR101542856B1 (ko) 2013-10-07 2013-10-07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071B2 (en) 2000-04-20 2004-08-24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witch actuating element
JP2005138787A (ja) * 2003-11-10 2005-06-02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071B2 (en) 2000-04-20 2004-08-24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witch actuating element
JP2005138787A (ja) * 2003-11-10 2005-06-02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602A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736B1 (en)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thereof
KR101244012B1 (ko)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101542856B1 (ko)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EP3196073B1 (en) Combination switch lever
US6437265B1 (en) Arrangement with device for aligning two adjacent parts
KR20160087661A (ko)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KR101125410B1 (ko) 푸쉬 스위치 어셈블리
KR101211311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555136B1 (ko) 노브 조작이 용이한 차량용 다단 제어 스위치
KR20190018277A (ko)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KR101779339B1 (ko) 스위치 장치
JPH1139989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装置
KR100896416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KR101602142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CN104554077B (zh) 汽车方向盘遥控式开关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200460896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4707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2279701B1 (ko)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KR200460897Y1 (ko) 스위치 유니트
JP7489204B2 (ja) スイッチ装置
JP5209448B2 (ja) 車両用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1566122B1 (ko) 자동차용 스위치의 데코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