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701B1 -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701B1
KR102279701B1 KR1020200023242A KR20200023242A KR102279701B1 KR 102279701 B1 KR102279701 B1 KR 102279701B1 KR 1020200023242 A KR1020200023242 A KR 1020200023242A KR 20200023242 A KR20200023242 A KR 20200023242A KR 102279701 B1 KR102279701 B1 KR 10227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screw
under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20002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베젤부가 어퍼베젤과 언더베젤로 분리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 및 칼라를 적용가능하고, 어퍼베젤과 언더베젤의 조립부를 후크결합, 가이드, 스크류결합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베젤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조립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는, 복수개의 푸쉬방식 또는 터치방식의 스위치;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를 양측단에 수용하고, 중앙에 스티어링 칼럼이 관통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스위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의 어퍼베젤과, 하측의 언더베젤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베젤과 상기 언더베젤은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조립부로 결합되고, 상기 조립부는 후크부와, 가이드부와, 스크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switch}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분리가능한 베젤을 사용한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라디오의 수신이나 카세트 테이프 및 CD 등을 위한 오디오 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오디오 설비를 작동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조립체들은 운전석 전방의 클러스터 부근에 설치된다. 차량이 정차 중일 때에는 스위치 조립체의 조작에 문제가 없으나, 차량을 운행 중일 때에는 운전자가 전방을 집중해서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오디오 설비 등의 조작에 위험부담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일례로, 오디오 등의 스위치 조립체 조작이 안전 운행을 위협하지 않도록 오디오 기기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오디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 조립체를 스티어링 휠에 마련하여 스위치 조립체를 전방 시선 범위내에 위치시키고 스티어링 휠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하여 조작이 가능토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는, 스티어링 휠의 내구성으로 인하여 스위치의 베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디자인 및 칼라의 적용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번째 과제는, 스위치의 베젤이 분리가능한 조립 구조를 갖는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번째 과제는, 다양한 디자인 및 칼라를 적용가능한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는, 복수개의 푸쉬방식 또는 터치방식의 스위치;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를 양측단에 수용하고, 중앙에 스티어링 칼럼이 관통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스위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의 어퍼베젤과, 하측의 언더베젤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베젤과 상기 언더베젤은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조립부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는 후크결합하는 후크부,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 스크류결합하는 스크류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어퍼베젤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어퍼스크류돌기; 상기 어퍼스크류돌기의 중심에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어퍼스크류홈; 상기 언더베젤에서 상기 어퍼베젤과 대향되는 내측면이 절곡되어 상기 어퍼스크류돌기를 씌워주는 언더스크류홈; 상기 언더스크류홈의 중심에 상기 어퍼스크류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언더스크류홀; 및 상기 언더스크류홀을 관통하여 어퍼스크류홈과 스크류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스크류돌기의 주변이 어퍼베젤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언더스크류홈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어퍼스크류돌기를 따라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면에 돌출되어있는 부분이 형성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언더베젤의 내측면과 절곡되어 상기 언더스크류홈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어퍼베젤과 상기 언더베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일측면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돌기; 및 상기 언더베젤에 상기 후크돌기와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어 상기 후크돌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고 절곡되고, 상기 후크돌기와 가이드돌기의 일측면이 언더베젤의 일부분을 감싸 후크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는, 첫째로 다양한 디자인 및 칼라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로, 조립부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베젤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조립강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로, 차량에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의 장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조립부의 결합구조가 표현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조립부의 결합구조가 표현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는, 베젤부(1100)와, 스위치부(1200)를 포함한다. 베젤부(1100)는 중심부에 스티어링 칼럼(미도시)이 관통되게 내측에 수용되며, 고정되게 장착된다. 베젤부(1100)는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을 포함한다. 스위치부(1200)는 베젤부(1100)의 양측단에 적어도 하나 수용되고,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젤부(1100)는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이 접촉되는 부위에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을 결합시키는 조립부가 형성된다. 조립부는 스위치부(1200) 수용공간의 양측에 형성되어 스위치부(1200)가 베젤부(1100)에 견실하게 수용되도록 한다. 조립부는 스크류부(1110), 가이드부(1120), 후크부(1130)를 포함한다.
스크류부(1110)는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의 수직방향의 이탈을 강하게 방지한다. 가이드부(1120)와 후크부(1130)는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의 수평방향의 이탈을 강하게 방지한다.
스크류부(1110)는 어퍼스크류돌기(1111), 언더스크류홈(1112), 어퍼스크류홈(1113), 언더스크류홀(1114), 스크류(1115), 삽입홈(1116)을 포함한다. 스크류부(1110)의 어퍼베젤(1100a) 부위에 어퍼스크류돌기(1111), 어퍼스크류홈(1113), 삽입홈(1116)이 형성된다. 스크류부(1110)의 언더베젤(1100b) 부위에 언더스크류홈(1112), 언더스크류홀(1114)이 형성된다.
어퍼베젤(1100a)의 일면에서 어퍼스크류돌기(1111)이 돌출 형성된다. 어퍼스크류돌기(1111)의 중심에는 스크류(1115)가 삽입되어 스크류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어퍼스크류홈(1113)이 형성된다.
언더베젤(1100b)에서 어퍼베젤(1100a)과 대향되는 면이 절곡되어 어퍼스크류돌기(1111)를 씌워주는 언더스크류홈(1112)을 형성한다. 언더스크류홈(1112)의 중심에는 어퍼스크류돌기(1111)의 스크류홈(1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크류(1115)가 통과하는 언더스크류홀(1114)이 형성된다.
어퍼스크류돌기(1111)는 언더스크류홈(1112)에 삽입된다. 어퍼스크류돌기(1111)의 주변이 어퍼베젤(1100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삽입홈(1116)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16)에는 어퍼스크류돌기(1111)을 감싸는 언더스크류홈(1112)이 어퍼스크류돌기(1111)를 따라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스크류(1115)는 언더스크류홀(1114)을 통과하고, 어퍼스크류홈(1113)에 수용되어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 사이에 스크류 결합을 형성한다.
가이드부(1120)는 가이드돌기(1121), 가이드홈(1122)을 포함한다. 가이드부(1120)의 어퍼베젤(1100a) 부위에 삽입홈(1116)의 주변 일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112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120)의 언더베젤(1100b) 부위에 언더베젤(1100b)의 일부와 언더스크류홈(1112)의 일측면이 가이드홈(1122)을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121)는 가이드홈(1122)에 삽입되어 어퍼베젤(1100a)와 언더베젤(1100b)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후크부(1130)는 후크돌기(1131), 개구부(1132)를 포함한다. 후크부(1130)의 어퍼베젤(1100a) 부위에 가이드돌기(1121)의 측면으로 후크돌기(1131)가 형성된다. 후크부(1130)의 언더베젤(1100b) 부위에 후크돌기(1131)과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어 개구부(1132)를 형성된다.
후크돌기(1131)는 개구부(1132)를 통과하고 절곡되어 언더베젤(1100b)을 감싸고, 개구부의 일부분을 후크돌기(1131)와 가이드돌기(1121)의 일측면이 둘러싸 후크결합을 형성한다.
조립부의 상기 세개의 체결구조가 유기적으로 적용된 구조는 어퍼베젤(1100a)과 언더베젤(1100b) 사이의 유동을 저감하고, 조립강도를 극대화한다.
또한, 베젤부(1100)는 분리가능하여, 차량에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가 조립하기 용이하고, 어퍼베젤(1100a)와 언더젤(1100b)의 디자인과 칼라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1100 : 베젤부
1100a : 어퍼베젤 1100b : 언더베젤
1110 : 스크류부 1111 : 어퍼스크류돌기
1112 : 언더스크류홈 1113 : 어퍼스크류홈
1114 : 언더스크류홀 1115 : 스크류
1116 : 삽입홈 1120 : 가이드부
1121 : 가이드돌기 1122 : 가이드홈
1130 : 후크부 1131 : 후크돌기
1132 : 개구부 1200 : 스위치부

Claims (7)

  1. 복수개의 푸쉬방식 또는 터치방식의 스위치;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를 양측단에 수용하고, 중앙에 스티어링 칼럼이 관통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스위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의 어퍼베젤과, 하측의 언더베젤로 구분되고,
    상기 어퍼베젤과 상기 언더베젤은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조립부로 결합되고,
    상기 조립부는,
    후크결합하는 후크부,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 및 스크류결합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어퍼베젤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어퍼스크류돌기;
    상기 어퍼스크류돌기의 중심에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어퍼스크류홈;
    상기 언더베젤에서 상기 어퍼베젤과 대향되는 내측면이 절곡되어 상기 어퍼스크류돌기를 씌워주는 언더스크류홈;
    상기 언더스크류홈의 중심에 상기 어퍼스크류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크류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언더스크류홀; 및
    상기 언더스크류홀을 관통하여 어퍼스크류홈과 스크류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스크류돌기의 주변이 어퍼베젤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언더스크류홈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어퍼스크류돌기를 따라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면에 돌출되어있는 부분이 형성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언더베젤의 내측면과 절곡되어 상기 언더스크류홈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어퍼베젤과 상기 언더베젤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일측면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돌기; 및
    상기 언더베젤에 상기 후크돌기와 대응되는 위치가 개구되어 상기 후크돌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고 절곡되고,
    상기 후크돌기와 가이드돌기의 일측면이 언더베젤의 일부분을 감싸 후크결합을 형성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3242A 2020-02-25 2020-02-25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KR10227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42A KR102279701B1 (ko) 2020-02-25 2020-02-25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42A KR102279701B1 (ko) 2020-02-25 2020-02-25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701B1 true KR102279701B1 (ko) 2021-07-20

Family

ID=7712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242A KR102279701B1 (ko) 2020-02-25 2020-02-25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70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50U (ja) * 1992-07-28 1994-02-22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のラップ構造
JP2007204040A (ja) * 2006-01-31 2007-08-16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トリムプレート
KR20080042215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KR20090027064A (ko) * 2007-09-11 2009-03-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조립체의 장착구조
KR20100006788U (ko) * 2008-12-24 2010-07-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US20110109112A1 (en) * 2009-09-16 2011-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assembly for a vehicle
JP2011218968A (ja) * 2010-04-09 2011-11-04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015067101A (ja) * 2013-09-30 2015-04-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エアバッグカバー
US20160221499A1 (en) * 2015-02-03 2016-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wheel bezel with integrated horn switch function
JP2019031184A (ja) * 2017-08-08 2019-02-2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50U (ja) * 1992-07-28 1994-02-22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のラップ構造
JP2007204040A (ja) * 2006-01-31 2007-08-16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トリムプレート
KR20080042215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KR20090027064A (ko) * 2007-09-11 2009-03-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조립체의 장착구조
KR20100006788U (ko) * 2008-12-24 2010-07-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US20110109112A1 (en) * 2009-09-16 2011-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assembly for a vehicle
JP2011218968A (ja) * 2010-04-09 2011-11-04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015067101A (ja) * 2013-09-30 2015-04-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エアバッグカバー
US20160221499A1 (en) * 2015-02-03 2016-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wheel bezel with integrated horn switch function
JP2019031184A (ja) * 2017-08-08 2019-02-2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615B2 (en) Protector
US20140203574A1 (en) External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20190013654A1 (en) Wire housing protector
WO2003005095A3 (en) Cable management panel with sliding drawer and methods
KR102279701B1 (ko)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US11279298B2 (en) Camera mounting structure
US9793069B2 (en) Operating device with optical finger navigation module for a steering wheel
KR20050034425A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버튼
WO2015019896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20200031209A1 (en) Back door hand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406611B1 (ko) 모터 차량용 스티어링 휠
JP2014049247A (ja)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467435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KR101211311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JP454077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20080271560A1 (en) Shifting Device for Transmitting Shift Commands to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TW201514421A (zh) 用以連結相鄰之電氣機器的連結構造及信號顯示燈
US20190327844A1 (en) Converter
JP2018107093A (ja) グロメット
KR20110098723A (ko) 전기 스위치
JP2007043870A (ja) アンダーケースおよびプロテクタ
KR101542856B1 (ko)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리모트 콘트롤 타입 스위치
CN107564408A (zh) 显示装置
KR101564515B1 (ko) 창호 잠금장치용 좌우 겸용 레버핸들
KR100922335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