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290B1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290B1 KR101542290B1 KR1020120074017A KR20120074017A KR101542290B1 KR 101542290 B1 KR101542290 B1 KR 101542290B1 KR 1020120074017 A KR1020120074017 A KR 1020120074017A KR 20120074017 A KR20120074017 A KR 20120074017A KR 101542290 B1 KR101542290 B1 KR 101542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tive adhesive
- pressure
- adhesive composition
- weight
- composition accor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가교 반응에 따른 물성의 경시 변화가 신속하게 종결될 수 있으며, 점착 물성 등을 포함한 요구 물성이 우수하며, 또한 상기 물성이 안정적으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는, 상온에서 점성을 보유하고, 열, 물 또는 용제 등에 의한 활성화(activation)이 없이 가벼운 압력의 인가만으로도 접착이 가능하다. 또한, 점착제는, 제거 시에 잔사 없이 제거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응집력과 탄성을 보유하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져서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점착제로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복실기 등과 같은 가교점을 가지는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로 가교시켜 형성되는 점착제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가교점을 가지는 아크릴 중합체를 상기 가교제 등과 배합하고, 코팅한 후에 건조 및 숙성(aging) 등을 거치면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응집력을 가지는 점착제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점착제는 경시 변화를 종결시키기까지 매우 장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과 작업성이 크게 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유형의 점착제에서는 통상 열에 의해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일어나고, 가교 반응의 종결까지 수일에서 수주일의 장시간이 소요된다.
가교 반응이 종결될 수 있도록 점착제를 소정 온도에서 보관하는 공정을 숙성(aging) 공정이라고 하는데, 숙성 과정에서는, 점착제의 물성, 예를 들면, 점착력 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점착력은 도공 직후에 가장 높은 값을 가지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가교 반응의 종결 후에는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점착제의 숙성 과정에서 물성이 변화하는 것을 통상 경시 변화라고 호칭한다.
점착제의 경시 변화가 종결하는 것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면,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경시 변화가 미처 종결되기 전에 부착 공정 등을 수행하면, 경우에 따라서 점착력의 빌드업(build up)이 매우 크게 일어나서 재박리성이 떨어지고 작업성 등의 측면에서 불리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중합체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예를 들면, 30만 내지 300만, 50만 내지 300만, 70만 내지 300만, 100만 내지 250만 또는 100만 내지 200만의 중량평균분자량(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 30만 내지 300만의 범위에서, 점착제의 점착 물성, 내구성 및 응집성, 접착제 조성물의 코팅성 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또한 유리전이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15℃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0℃ 이하일 수 있다. 점착성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여 점착제의 점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점착제의 탄성률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100℃ 이상,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또는 -60℃ 이상 정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중합체에 중합 단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가 중합 단위로 중합체에 포함된다는 것은, 그 단량체가 중합 반응 등을 거쳐서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유리전이온도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이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같이 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고, 히드록시기를 가져서 중합체에 히드록시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단량체이다.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등의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는 부위를 가지고, 또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alkylidene group)이며, n은 0 내지 10이다.
화학식 1에서 알킬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n은, 예를 들면, 0 내지 8, 0 내지 6 또는 0 내지 4의 수일 수 있다.
화학식 1의 단량체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점착 물성, 유리전이온도 또는 응집력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0 중량부 내지 99.99 중량부 및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필요한 경우 다른 임의의 공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중합 단위로서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임의의 공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과 같은 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알콕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페녹시 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단량체들은 필요에 따라 적정한 종류가 일종 또는 이종 이상 선택되어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단량체는, 예를 들면, 다른 단량체의 중량 대비 20 중량부 이하, 또는 0.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아크릴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통상의 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한 단량체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 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과 같은 중합 방식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고, 상기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상기 중합체의 히드록시기와의 반응에 의해 가교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져서 상기 중합체와 가교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의 적절한 가교 구조의 구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2개 내지 10개, 2개 내지 8개, 2개 내지 6개 또는 2개 내지 4개의 에폭시기를 가지고, 분자량이 100 g/mol 내지 600 g/mol, 100 g/mol 내지 500 g/mol, 100 g/mol 내지 450 g/mol, 150 g/mol 내지 400 g/mol, 200 g/mol 내지 400 g/mol 정도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에테르(glycerol triglycidyl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롤 디글리시딜에테르(glycerol diglycidylether)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폭시 화합물은,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비율은 목적하는 응집력과 점착성 등을 고려한 가교 구조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히드록시기와 에폭시기와의 가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 양이온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개시제로는, 열의 인가 또는 전자기파, 예를 들면 자외선이나 전자선의 조사에 의하여 양이온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하여 양이온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광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양이온 광 개시제로는, 오늄 염(onium salt) 또는 유기금속염(organometallic salt) 계열의 이온화 양이온 개시제 또는 유기 실란 또는 잠재성 황산(latent sulfonic acid) 계열이나 그 외의 비이온화 화합물 등과 같은 비이온화 양이온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오늄염 계열의 개시제로는, 디아릴이오도늄 염(diaryliodonium salt), 트리아릴술포늄 염(triarylsulfonium salt) 또는 아릴디아조늄 염(aryldiazonium salt)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유기금속 염 계열의 개시제로는 철 아렌(iron arene)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유기 실란 계열의 개시제로는, o-니트릴벤질 트리아릴 실리 에테르(o-nitrobenzyl triaryl silyl ether), 트리아릴 실리 퍼옥시드(triaryl silyl peroxide) 또는 아실 실란(acyl silane)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잠재성 황산 계열의 개시제로는 알파-설포닐옥시 케톤 또는 알파-히드록시메틸벤조인 설포네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양이온 개시제로는, 이온화 양이온 광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오늄염 계열의 이온화 양이온 광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오늄염 계열의 이온화 양이온 광 개시제로는, 트리아릴설포늄 염 계열의 이온화 양이온 광개시제가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양이온 개시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또는 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비율은, 예를 들면, 상기 히드록시기와 에폭시기의 반응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비율로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면, 점착제가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되어도 안정적인 접착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감마-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실란 커플링제로는,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는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첨가의 목적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점착 성능의 조절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정도의 점착성 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로카본계 수지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로진 수지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로진 에스테르 수지 또는 그 수소 첨가물, 테르펜 수지 또는 그 수소 첨가물, 테르펜 페놀 수지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이 예시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와 같은 라디칼 개시제;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점착 필름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점착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의 히드록시기와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의 반응에 의해 가교 구조가 구현되어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 필름은, 다양한 용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적절한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2장의 이형층의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적절한 공정 기재상에 코팅하여 형성된 층을 상기 히드록시기와 에폭시기의 가교 반응이 유도될 수 있는 조건에서 유지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 반응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 등의 전자기파를 조사하여 유도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양이온 광 개시제가 존재할 경우에는, 적절한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의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 등의 공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 조건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파의 조사 시에 조도를 약 50 mW/cm2 내지 2,000 mW/cm2 정도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고, 적산 광량은 약 10 mJ/cm2 내지 1,000 mJ/cm2 정도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 반응에 따른 물성의 경시 변화가 신속하게 종결될 수 있으며, 점착 물성 등을 포함한 요구 물성이 우수하며, 또한 상기 물성이 안정적으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설명하지만,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범위가 하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각 물성은 하기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 밀린 거리(
creep
)의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점착제층을 가로의 길이가 1 cm이고, 세로의 길이가 1 cm이 되도록 재단하여 유리판에 부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유지한 후에 1000 g의 하중을 인가하면서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또는 14일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2.
박리력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점착제층을 가로의 길이가 2.5 mm이고, 세로의 길이가 12 mm가 되도록 후에 유리판에 2 Kg의 롤러를 2회 왕복시켜서 부착하였다. 부착 후에 1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온에서 인장 시험기로 180도의 박리 각도 및 3 mm/sec의 박리 속도로 점착 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박리하면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또는 14일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용액(A)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반응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 99 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120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투입하였다.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약 60분 정도 퍼징(purging)하고, 온도를 약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AIBN, azobisisobutyronitrile)를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3 중량부로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시켰다. 약 8 시간 동안 반응 진행한 후에 고형분 농도가 약 15.5 중량%가 되도록 에틸 아세테이트로 반응물을 희석시켜서 분자량(Mw)이 약 180만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A)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용액(B)의 제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한 반응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및 아크릴산 5 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120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투입하였다. 반응기를 질소 가스로 약 60분 정도 퍼징하고, 온도를 약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AIBN, azobisisobutyronitrile)를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3 중량부로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시켰다. 약 8 시간 동안 반응 진행한 후에 고형분 농도가 약 15.5 중량%가 되도록 에틸 아세테이트로 반응물을 희석시켜서 분자량(Mw)이 약 180만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B)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용액(A),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광 양이온 개시제(triar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을 배합하고,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합 시에는 중합체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의 상기 에폭시 화합물, 0.3 중량부의 상기 개시제 및 0.1 중량부의 상기 실란 화합물을 배합하였다. 코팅액을 일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도포 및 건조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교 구조를 구현시킴으로써 두께가 약 25 ㎛ 정도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자외선 조사 조건: 400 mJ/cm2, 1,000 mW/cm2).
비교예
1.
제조예 1의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용액(A), 이소시아네이트계 다관능성 가교제(트리메틸롤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을 배합하고,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합 시에는 중합체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0.3 중량부의 상기 가교제 및 0.1 중량부의 상기 실란 화합물을 배합하였다. 코팅액을 일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는 PET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도포하고, 약 120℃에서 3분 정도 건조한 후에 상온에서 다시 2일 내지 3일 동안 숙성(aging)시켜 두께가 약 25 ㎛ 정도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2의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용액(B), 가교제로서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을 배합하고,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합 시에는 중합체 용액(B)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의 상기 가교제 및 0.1 중량부의 상기 실란 화합물을 배합하였다. 코팅액을 일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는 PET 필름의 이형 처리된 면에 도포하고, 약 120℃에서 3분 정도 건조한 후에 상온에서 다시 2일 내지 3일 동안 숙성(aging)시켜 두께가 약 25 ㎛ 정도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
밀린거리(㎛) | 박리력 (gf/25mm) |
밀린거리(㎛) | 박리력 (gf/25mm) |
밀린거리(㎛) | 박리력 (gf/25mm) |
|
1일 후 | 320 | 583 | 탈락 | 1611 | 탈락 | 2011 |
2일 후 | 315 | 577 | 732 | 1081 | 680 | 1655 |
3일 후 | 331 | 531 | 436 | 986 | 259 | 1125 |
4일 후 | 326 | 603 | 366 | 711 | 242 | 1089 |
5일 후 | 315 | 549 | 354 | 689 | 231 | 1211 |
6일 후 | 330 | 522 | 352 | 702 | 247 | 1080 |
7일 후 | 329 | 566 | 360 | 652 | 269 | 1031 |
14일 후 | 311 | 576 | 341 | 631 | 233 | 983 |
탈락: 밀린 거리 측정을 위한 하중 인가 시에 점착제층이 유리판에서 박리되는 경우 |
Claims (17)
-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및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히드록시기 및 상기 에폭시기의 반응에 의해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0 중량부 내지 99.99 중량부 및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개 내지 10개의 에폭시기를 가지고, 분자량이 100 g/mol 내지 600 g/mol인 화합물인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만 내지 300만인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15℃ 이하인 점착제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가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롤 디글리시딜에테르인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은,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 11 항에 있어서, 양이온 개시제가 이온화 양이온 광 개시제인 점착제 조성물.
- 제 12 항에 있어서, 이온화 양이온 광 개시제가 트리아릴설포늄염인 점착제 조성물.
- 제 11 항에 있어서, 양이온 개시제는,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의 히드록시기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와의 반응에 의해 가교 구조가 구현되어 있는 제 1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017A KR101542290B1 (ko) | 2012-07-06 | 2012-07-06 | 점착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017A KR101542290B1 (ko) | 2012-07-06 | 2012-07-06 | 점착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612A KR20140006612A (ko) | 2014-01-16 |
KR101542290B1 true KR101542290B1 (ko) | 2015-08-06 |
Family
ID=5014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017A KR101542290B1 (ko) | 2012-07-06 | 2012-07-06 | 점착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22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96939B (zh) * | 2018-08-01 | 2021-04-06 | 深圳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 一种专门用于高速smt贴片机用接驳胶带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894B1 (ko) * | 1999-08-02 | 2006-06-23 | 주식회사 새 한 | 감압성 점착제 |
-
2012
- 2012-07-06 KR KR1020120074017A patent/KR1015422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894B1 (ko) * | 1999-08-02 | 2006-06-23 | 주식회사 새 한 | 감압성 점착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612A (ko) | 201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44675B1 (en) |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 |
EP2231807B1 (en)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 |
CN101535438B (zh) | 含有光敏引发剂基团的用于偏振片的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 | |
JP5801409B2 (ja) |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 |
US20130236674A1 (en) |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 |
JP6064937B2 (ja) | 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
WO2007029644A1 (ja)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 |
JP2005314579A (ja) |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 |
JP2006232882A (ja)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 | |
KR20020011341A (ko) | 감압성 접착 시이트 및 기능성 필름의 고정방법 | |
KR20200062255A (ko) | 점착 시트 | |
KR101647156B1 (ko) |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 |
KR20180031330A (ko) |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 |
KR101542290B1 (ko) | 점착제 조성물 | |
KR101541579B1 (ko) |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 |
KR20150025843A (ko) | 점착제 조성물 | |
JP4535410B2 (ja) | アクリル系熱硬化型接着剤組成物および接着シート類 | |
JP2000303045A (ja) | 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接着シ―ト類 | |
JP2002012629A (ja) | 重合性組成物、粘着剤、粘着テープ及び粘着シート | |
KR101750589B1 (ko) |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 |
JP2007197694A (ja) |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ならびに粘着シート | |
JP4518450B2 (ja) | 光重合性接着剤組成物とその接着シート | |
JP2001323235A (ja) |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ラベル又はテープ | |
JPH11335649A (ja) | 熱硬化型接着剤組成物とその接着シ―ト類 | |
KR101742846B1 (ko) | 중합 반응 안정성이 우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