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797B1 -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797B1
KR101541797B1 KR1020130103165A KR20130103165A KR101541797B1 KR 101541797 B1 KR101541797 B1 KR 101541797B1 KR 1020130103165 A KR1020130103165 A KR 1020130103165A KR 20130103165 A KR20130103165 A KR 20130103165A KR 101541797 B1 KR101541797 B1 KR 10154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romone
acetate
sustained
lur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564A (ko
Inventor
이동하
전제호
정완조
Original Assignee
이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하 filed Critical 이동하
Priority to KR102013010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7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서방형 루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페로몬(성페로몬, 집합페로몬, 길잡이페로몬, 분산페로몬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개체수를 예찰하거나 해충들을 유인하여 대량포획 시 사용하거나, 해충들 간의 상호 교미교란을 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페로몬을 담체 (carrier) 내부에 공극(pore)을 갖는 무기담체를 이용하여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 효과를 극대화 하고,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흘러서 유실되지 않게 하고, 빛과 공기 중에 산화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게 하며, 페로몬을 서서히 방출시켜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서방형 루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SUSTAINED-RELEASE LURE FOR COMBATING PESTS}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서방형 루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성페로몬, 집합페로몬, 길잡이페로몬, 분산페로몬 등)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지속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다공성 무기담체를 이용한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서방형 루어에 관한 것이다.
곤충들 사이에서 한 개체의 순환계를 통해서 개체의 생리 및 행동을 조절하는 물질을 호르몬이라 하고, 주로 개체간의 의사소통 또는 방어물질로서 분비되는 외분비물질 중 개체간 의사소통에 이용되는 물질을 페로몬(pheromone)이라 한다. 페로몬은 대부분 극미량이 분비되어 곤충들 간의 의사소통의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페로몬은 곤충의 더듬이 등의 감각 기관으로 탐지되어 정보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어 행동에 직접 영향을 준다. 이러한 페로몬은 주로 곤충의 외분비 샘에서 분비됨이 알려져 있다.
1959년경 Butenandt등에 의해(Butenandt et al 1995) 누에 50만 마리의 추출물에서에서 누에의 페로몬이 밝혀진 이후 오늘날까지 약 1,000여종의 곤충에 대해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하는 페로몬들이 알려져 있다. 페로몬 성분은 분산성이 강하므로 잔류 농약의 독성들이 거의 없으며 특정 해충들을 목표로 하므로 매우 선택적이다. 특히 농약의 다량 무분별한 살포로 인한 환경 오염의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해충들에게는 스마트한 폭탄인 샘이다. 이러한 페로몬의 종류에는 다른 이성을 부르는 성페로몬(sex pheromone), 다른 개체를 유인하는 집합페로몬(aggregation pheromone), 사회성 곤충의 길 표지로 사용되는 길잡이페로몬(trail pheromone), 같은 종 개체들의 과밀현상을 막기 위해 분비되는 분산페로몬(epideictic pheromone) 등이 있다.
한편 종래에 이용되던 방법은 주로 페로몬이 액체인 다종 물질로 되어 있으므로 (페로몬은 한 성분 혹은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되어 있음) 이것을 유기용매에 적정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을 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하는 것은 핵산 (n-hexane)으로 이것에 용해시켜서 적정농도로 만들어서 항산화제 등과 섞어 고분자 재질의 바이엘 (vial)에 담아 유통을 시켜왔으나 유통 과정에서 제품이 액체이므로 쉽게 새어나가 제품이 유실되는 문제가 있었고, 고농도의 페로몬이 공기 중에 한 번에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페로몬 화합물들은 빛에 굉장히 민감하고 특히 노린재류의 페로몬은 빛에 더욱 민감하여 광억제제를 함께 사용하여도 페로몬의 화학적 구조상 광 이성질체화 현상 때문에 다른 물질로 변성이 일어나서 페로몬 유인 효과가 겨우 일주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A. Khrimian et al, (2008)).
서방성 페로몬 제재에 대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4857호에는 500-700℃ 정도에서 소성하여 이루어지는 결정성 점토 광물에 페로몬을 함유시켜 일정한 비율로 성페로몬을 방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들은 결정성 광물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채에 필요에 따라 물과 바인더(수용성 고분자 물질 및 폴리 아크릴 아미드류 등)를 더해서 혼련하여 혼련물을 조제하여 각종 페로몬을 침지하여 페로몬을 함침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상, 입상, 봉상, 판상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하여 그대로 농지, 산지, 골프장 등 해충 방제라 요구되는 곳에 분상 또는 입상의 제제로 살포나 퇴적, 봉상의 경우 원하는 땅에 꽂아서 세워 설치하며 판상의 경우 원하는 땅에 부설하여 곤충 예찰 및 대량 유살의 목적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서방성 페로몬 제제는 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비율로 성페로몬을 방출하고 사용 후 풍화되어 유용한 토양으로 돌아가는 환경 친화적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이러한 서방성 페로몬 제제는 아무런 외부 보호 장치 없이 그대로 노출되어 비나 안개 및 이슬 등의 외부 습기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공기나 빛에 민감한 페로몬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시된 결정성 점토 광물은 특별한 것들로 가격이 고가여서 실용화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기 담체(inorganic carrier)에 관심을 두었다. 다공성 무기담체는 내부에 3차원적인 공극을 가지고 있어서 종류에 따라 유기물질들의 창고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분자들을 일시적으로 공극에 가두었다가 서서히 방출시켜서 일정량의 농도로 지속적으로 공기 중에 방출시킴으로서 해충의 유인 효과 등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상기 살핀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성페로몬 및 집합페로몬을 고분자 재질의 바이알 (vial)에 넣고 각 해충에 맞게 고안된 트랩 안에 넣어서 각종 곤충들을 유인해왔으나 주로 대부분의 천연/합성 페로몬들이 액체 물질이고, 또한 고분자 루어 재질에 넣어 판매하는 페로몬 제품들은 적정농도 유지와 배합이 잘 되게 하기 위해 유기용매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헥산 (n-hexane)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흘러서 유실되기도 쉽고, 대부분의 페로몬 화합물들은 빛(자외선)과 공기에 민감하여 빛(자외선)에서는 광 이성질체가 생기고, 공기에는 산화가 일어나는 현상이 일어나서 페로몬의 약효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 하였고, 또한 초기에 페로몬 양이 일시에 방출되는 경향이 나타나서, 시간이 지날수록 약효가 급격히 떨어져 비효율적 이었다. 이에 빛(자외선)과 공기에도 안정하고 약효도 오래 지속되는 서방형제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84857 (2006.07.25)
Karlson, P.; Butenandt, A., Nature, 1995, 373, 660 A. Khrimian et al, J. Agric. Food Chem., 2008, 56, 197.
본 발명의 목적은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페로몬 용액을 다공성 무기담체에 담지하여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페로몬 복합체를 자외선 차단 용기에 투입하여 서방형 루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은 나방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E)-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7-에이코센-11-온, (Z)-8-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E)-8-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Z)-8-도데센-12-올, (Z)-10-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E, Z)-4, 10-데트라데카디에닐-14-아세테이트, 10, 14-다이케틸옥타데크-1-엔,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7-도데세닐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16-알, (Z)-11-헥사데세닐-16-아세테이트,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14-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 E)-,9, 11-테트라데센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센올, (E)-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알, (Z)-9-헥사데센알, (Z)-9-헥사데센알, (Z)-11-헥사데센알, (Z, E)-9, 11-테트라데카디엔닐 아세테이트,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올, (Z)-11-헥사데센알, (E)-10-헥사데센알, (Z)-10-헥사데센알, (4E, 6Z)-4, 6-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알, (E)-11-헥사데센알,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 Z)-3, 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 E)-7, 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6-알, (Z)-11-헥사데세닐-16-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6-올,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10-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 Z)-4, 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옥타데센알, (Z)-13-옥타데센알, (Z)-11-옥타데센-1-올, (Z)-13-옥타데센-1-올, (E)-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 Z)-6, 9-시스-3, 4-에폭시 노나데카디엔, (Z, Z, Z)-3, 6, 9-노나데카트리엔, (Z)-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9-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11-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Z, Z, Z)-7, 11, 1-헥사데타트리엔알, (Z, Z)-헥사데카디엔알, (9Z, 12Z, 15Z)-옥타데카-9, 12, 15-트리엔알, (9Z, 12Z)-옥타데카-9, 12-디엔알, (3Z, 6Z)-9S, 10R-시스-에콕시 헤니코사-3, 6-디엔, (1, 3Z, 6Z)-9S, 10R-시스-9, 10-에폭시-헤니코사-1, 3, 6-트리엔, (Z, E)-9, 12-테트라데센-1-올, (Z, E)-9, 12-테트라데샌-1-올, 진딧물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Z)-베타-파네센, (+)-(4aS, 7S, 7aR) 네페탈 락톤, (-)-(1, 4aS, 7S, 7aR) 네페탈락톨, (E)-베타-파네센, 풍뎅이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4R, 5Z)-테트라데센-4-온, (Z)-7-테트라데센-2-온, (E)-7-테트라데센-2-온, 메틸 (Z)-5-테트라데센오에이트, 1, 3-다이메틸-2, 4-(1H, 3H)-퀸나졸리딘온, (L)-이소롱신 메틸에스테르, (R)-(-)-리나룰, (R, Z)-5-(데크-1-에닐) 옥사시클로펜탄-2-온, (R, Z)-5-(옥트-1-에닐) 옥사시클로펜탄-2-온, (E)-2-노넨올, 노린재 페로몬인 (E)-2-헥센닐-(E)-2-헥세노에이트, (E)-2-헥센닐-(Z)-3-헥세노에이트, 테트?실 이소부티레이트, 옥타데실 이소부티레이트, 메틸 (E, E, Z)-2, 4, 6- 도데카트리엔오에이트, 메틸 2, 4-데카디엔오에이트,뮤간티올, 베타-세스퀴 페랄드렌, (R)-15-헥사데칸올라이드, 메틸 (Z)-8-헥사데센오에이트, 1-헥센알, 1-데센알, 1-옥텐알, 진드기류 페로몬인 2,4-다이클로로페놀 및 2,6-다이클로로페놀, 바구미류 페로몬인 (1S, 3R, 5R, 7S)-(+)-소르디딘, (2S, 3R)-1-에틸프로필-3-하이드록시-2-메틸펜탄오에이트, 5-하이드록시-4-메틸-3-헵탄온, (+)-알파 피넨, 응애류 페로몬인 네릴 포메이트(3, 7-다이메틸 (Z)-2, 6-옥타디에닐), 총채벌레류 페로몬인 (R)-라반두릴 아세테이트, 네릴(S)-2-메틸 부탄오에이트, 파리류 페로몬인 펩타데칸, 솔비톨, (R, R)-2, 14-다이아세톡시 헵타데칸, 빈대 페로몬인 (E)-2-헥센알, (E)-2-옥텐알, 4-옥소-(E)-2-헥센알, 4-옥소-(E)-2-옥텐알, (2E, 4Z)-옥타디엔알, 데칸알, 노난알, (+)-리모넨, (-)-리모넨, 권련벌레 페로몬인 세리코닌((4S, 6S, 7S)-4, 6-다이메틸-7-히드록시-3-노난온),깍지벌레 포로몬인 (2E, 4E, 6R, 10R)-4,6,10,12-테트라메틸-2,4-트리데카디엔-7-온, (Z)-3,9-다이메틸-6-이소프로페닐-1,3,9 데카디엔-1-일 프로피온에이트, 2,6-다이메틸-1,5-헵타디엔-3-일 아세테이트, 긴머리좀류 페로몬인 사이트로넬롤, 네롤, 네랄, 제라니올, 제라니알 등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1) 단계에서 항산화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항산화제는 2,6-디-t-부틸-p-크레졸,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 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ec-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광안정제는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부틸페닐, 살리실산옥틸페닐,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부틸페닐)히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t-부틸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실리카겔, 알루미나, 고분자 수지, 탄소 나노 튜브 및 메조 세공 물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산성도(pH)가 6 내지 8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중성화 처리되어 6 내지 7의 산성도(pH)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1) 단계에서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에틸셀룰로오스, 암모니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아크릴산 에틸 에스터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및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1) 단계에서 방출 지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방출 지연제는 글리세롤, 폴리아민, 지방 알코올, 에폭시화 지방 알코올, C8-C20 지방산, 탄화수소, 지방, 오일, 실리콘 오일, 실리콘 왁스 및 수불용 에스테르로 이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의 예찰, 대량포획, 교미교란용 페로몬 (성페로몬, 집합페로몬, 길잡이페로몬, 분산페로몬 등) 루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루어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고온에서의 소성이 불필요하고 값이 매우 저렴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 다공성 무기담체를 이용하여 페로몬을 침착시켜 무기담체의 공극에 일시적으로 저장시킨 뒤 자외선 차폐 용기에 투입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종래 기술의 방법과 달리 자외선 차폐 용기 내에 페로몬 복합체를 투입하므로 외부의 비나 안개 등의 습도에 노출되지 않고, 공기나 빛(자외선)에 노출되지 않아 더 안정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품의 유통 편이성과 유통 기간을 늘려주고, 약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빛이나 공기 등의 영향을 적게 받는 페로몬 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페로몬 제품이 흘러서 손실을 보지 않게 하고, 동일 양으로도 적정 수준의 농도를 유지시키고, 약효가 지속되는 서방형 제재의 특성과 제품의 수명을 오래 지속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페로몬(성페로몬, 집합페로몬, 길잡이페로몬, 분산페로몬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개체수를 예찰하거나 해충들을 유인하여 대량포획 시 사용하거나, 해충들 간의 상호 교미교란을 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페로몬을 담체 (carrier) 내부에 공극(pore)을 갖는 다공성 무기담체를 이용하여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 효과를 극대화 하고,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흘러서 유실되지 않게 하고, 빛과 공기 중에 산화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게 하며, 페로몬을 서서히 방출시켜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서방형 루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페로몬 용액을 다공성 무기담체에 담지하여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페로몬 복합체를 자외선 차단 용기에 투입하여 서방형 루어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로몬은 곤충 유래의 페로몬 및 그 페로몬과 동일한 분자구조를 갖는 합성 페로몬으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천연 및 합성 페로몬이다. 천연 페로몬은 곤충의 체내에서 생산되고 체외로 분지되어 동종 타개체에 여러 가지 작용을 발휘하는 페로몬이고, 합성 페로몬은 천연 페로몬과 동일한 화학 구조 또는 이것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갖으며, 천연 페로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합성된 화학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천연 또는 합성 페로몬으로, 아세테이트계, 알데히드계, 알코올계, 그 외 화합물들로 , 구체적으로 나방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E)-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7-에이코센-11-온, (Z)-8-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E)-8-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Z)-8-도데센-12-올, (Z)-10-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E, Z)-4, 10-데트라데카디에닐-14-아세테이트, 10, 14-다이케틸옥타데크-1-엔,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7-도데세닐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16-알, (Z)-11-헥사데세닐-16-아세테이트,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14-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 E)-,9, 11-테트라데센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센올, (E)-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알, (Z)-9-헥사데센알, (Z)-9-헥사데센알, (Z)-11-헥사데센알, (Z, E)-9, 11-테트라데카디엔닐 아세테이트,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올, (Z)-11-헥사데센알, (E)-10-헥사데센알, (Z)-10-헥사데센알, (4E, 6Z)-4, 6-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알, (E)-11-헥사데센알,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 Z)-3, 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 E)-7, 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6-알, (Z)-11-헥사데세닐-16-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6-올,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10-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 Z)-4, 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옥타데센알, (Z)-13-옥타데센알, (Z)-11-옥타데센-1-올, (Z)-13-옥타데센-1-올, (E)-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 Z)-6, 9-시스-3, 4-에폭시 노나데카디엔, (Z, Z, Z)-3, 6, 9-노나데카트리엔, (Z)-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9-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11-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Z, Z, Z)-7, 11, 1-헥사데타트리엔알, (Z, Z)-헥사데카디엔알, (9Z, 12Z, 15Z)-옥타데카-9, 12, 15-트리엔알, (9Z, 12Z)-옥타데카-9, 12-디엔알, (3Z, 6Z)-9S, 10R-시스-에콕시 헤니코사-3, 6-디엔, (1, 3Z, 6Z)-9S, 10R-시스-9, 10-에폭시-헤니코사-1, 3, 6-트리엔, (Z, E)-9, 12-테트라데센-1-올, (Z, E)-9, 12-테트라데샌-1-올, 진딧물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Z)-베타-파네센, (+)-(4aS, 7S, 7aR) 네페탈 락톤, (-)-(1, 4aS, 7S, 7aR) 네페탈락톨, (E)-베타-파네센, 풍뎅이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4R, 5Z)-테트라데센-4-온, (Z)-7-테트라데센-2-온, (E)-7-테트라데센-2-온, 메틸 (Z)-5-테트라데센오에이트, 1, 3-다이메틸-2, 4-(1H, 3H)-퀸나졸리딘온, (L)-이소롱신 메틸에스테르, (R)-(-)-리나룰, (R, Z)-5-(데크-1-에닐) 옥사시클로펜탄-2-온, (R, Z)-5-(옥트-1-에닐) 옥사시클로펜탄-2-온, (E)-2-노넨올, 노린재 페로몬인 (E)-2-헥센닐-(E)-2-헥세노에이트, (E)-2-헥센닐-(Z)-3-헥세노에이트, 테트?실 이소부티레이트, 옥타데실 이소부티레이트, 메틸 (E, E, Z)-2, 4, 6- 도데카트리엔오에이트, 메틸 2, 4-데카디엔오에이트,뮤간티올, 베타-세스퀴 페랄드렌, (R)-15-헥사데칸올라이드, 메틸 (Z)-8-헥사데센오에이트, 1-헥센알, 1-데센알, 1-옥텐알, 진드기류 페로몬인 2,4-다이클로로페놀 및 2,6-다이클로로페놀, 바구미류 페로몬인 (1S, 3R, 5R, 7S)-(+)-소르디딘, (2S, 3R)-1-에틸프로필-3-하이드록시-2-메틸펜탄오에이트, 5-하이드록시-4-메틸-3-헵탄온, (+)-알파 피넨, 응애류 페로몬인 네릴 포메이트(3, 7-다이메틸 (Z)-2, 6-옥타디에닐), 총채벌레류 페로몬인 (R)-라반두릴 아세테이트, 네릴(S)-2-메틸 부탄오에이트, 파리류 페로몬인 펩타데칸, 솔비톨, (R, R)-2, 14-다이아세톡시 헵타데칸, 빈대 페로몬인 (E)-2-헥센알, (E)-2-옥텐알, 4-옥소-(E)-2-헥센알, 4-옥소-(E)-2-옥텐알, (2E, 4Z)-옥타디엔알, 데칸알, 노난알, (+)-리모넨, (-)-리모넨, 권련벌레 페로몬인 세리코닌((4S, 6S, 7S)-4, 6-다이메틸-7-히드록시-3-노난온),깍지벌레 포로몬인 (2E, 4E, 6R, 10R)-4,6,10,12-테트라메틸-2,4-트리데카디엔-7-온, (Z)-3,9-다이메틸-6-이소프로페닐-1,3,9 데카디엔-1-일 프로피온에이트, 2,6-다이메틸-1,5-헵타디엔-3-일 아세테이트, 긴머리좀류 페로몬인 사이트로넬롤, 네롤, 네랄, 제라니올, 제라니알 등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공성 무기 담체에 함유되는 페로몬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무기담체와 페로몬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20 내지 70중량%로 페로몬이 함유된다. 페로몬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이면 페로몬의 유효기간 중의 작용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70중량% 초과하면 함유량에 따른 효과의 증대를 가져오지 않는다. 다공성 무기 담체가 페로몬양에 비해 너무 적으면 담체로서의 효과가 미미하다. 반대로 무기 담체가 페로몬 양에 비해 너무 많으면 페로몬 분자가 너무 적게 공기중에 분산되므로 효율적인 벌레 포획이 미미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1) 단계에서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는 데 있어 페로몬과 유기용매 이외에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페로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2,6-디-t-부틸-p-크레졸,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 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ec-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예시된다.
상기 광안정제는 살리실산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부틸페닐, 살리실산옥틸페닐,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부틸페닐)히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t-부틸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예시된다.
상기 1) 단계에서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n-펜탄,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벤젠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자체 내에 다수개의 공극을 가지는 다공성 무기 물질로,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천연 및 비천연 다공성 무기담체인 실리카겔, 알루미나, 고분자 수지, 탄소 나노 튜브 및 메조 세공 물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구조 지지체(structural supporter)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제로 널리 사용되는 실리카겔 (silica gel)은 다공성의 고체 물질로서 (highly porous solid adsorbent material) 구조적으로 스폰지와 유사하며 매우 큰 내부 표면이 무수한 현미경적 공극(microscopic pore)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실리카겔의 이러한 무수히 많은 현미경적인 공극도 유기 분자를 흡착하여 다공성으로 알려진 제올라이트와 유사하게 무기 담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특히 실리카겔 등은 자체의 입자 크기가 약 5-500㎛이며 공극 직경이 40-150 Å(angstrom)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습기지시제가 넣어 진 형태로 현재 시판 중인 청색 및 오렌지색의 실리카겔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젤로 불리는 염화 코발트 함침 실리카겔이 혼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용도로 시판 중인 청색 및 오렌지색 실리카겔이 수분을 함유 시에 분홍색과 녹색으로 색깔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하여 실리카겔의 공극 안에 페로몬을 흡착시킨 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대기 중의 수분이 침착되어 색깔이 분홍색 및 녹색으로 바뀌어 페로몬 루어의 교체시기를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나도 nm에서 ㎛ 영역의 균일하게 정렬된 구조를 갖춘 물질로알려져 있고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채굴된 알루미나는 보오크사이트라고 하며 이것을 공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공을 한다. 인공 합성된 알루미나는 순도가 높고 조절된 합성 조건으로 특별한 형태의 물리적 성상을 가지므로 선호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산성도(pH) 6 내지 8로, 페로몬의 종류에 따라 중성화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6 내지 7의 산성도(pH)를 갖을 수 도 있다. 약산성 또는 약알카리의 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무기담체는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중결합이 있는 페로몬 화합물들은 산성도(pH)에 민감하므로 산성도(pH)가 중성인 실리카겔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산성도(pH)가 산성이거나 알카리인 실리카겔 등은 산이나 알카리 수용액 또는 버퍼 완충 용액을 사용하여 중성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성인 실리카겔을 사용하기 전에 중성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에 2~5시간 교반시킨 뒤 물기를 제거하고 다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말려서 사용하면 된다. 다공성 무기담체 자체가 중성 물질인 경우는 별도의 전 처리 과정을 밟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페로몬 복합체는 천연 또는 합성 페로몬이 다공성 무기담체의 수많은 공극에 침착되어 있어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액상의 페로몬이 흘러 유실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일정한 농도로 페로몬을 방출시켜 서방형 루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대부분의 페로몬은 빛(자외선)에 민감하므로, 상기 자외선 차단 용기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용량에 맞는 적정 크기의 바이알(vial)을 사용한다. 바이알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FA)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이알을 구성하는 고분자 자체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으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망간, 이산화지르코늄 및 이산화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바이알 외부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바이알 내부에 투입된 페로몬 복합체로부터 페로몬 분자들을 서서히 공기 중에 방출시켜 다양한 해충을 유인하는 등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페로몬 복합체가 자외선 차단 용기 내부에 투입되므로 외부의 비나 안개 등의 습도에 노출되지 않고, 공기나 빛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아 오히려 더 안정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1) 단계에서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는 데 있어 페로몬과 유기용매 이외에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 외에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페로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다. 상기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에틸셀룰로오스, 암모니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Eudragit RL™ 또는 Eudragit RS™, Degussa, 독일),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예를 들어, Eudragit L™ 또는 Eudragit S™, Degussa, 독일), 메타크릴산-아크릴산 에틸 에스터 공중합체(Eudragit L 100-55™, Degussa, 독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유드라짓(Eudragit) RS100, RL100, NE30D 및 NE40D) 및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콜리코트(Kollicoat) SR30D 및 콜리돈(Kollidon) S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예시된다.
상기 1) 단계의 페로몬 용액에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서 2) 단계에서의 페로몬 복합체 제조시 다공성 무기담체의 표면에 서방성 막을 형성시켜 배 이상의 서방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제품 수명을 장기간 유지한다.
상기 1) 단계에서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는 데 있어 페로몬과 유기용매 이외에 방출 지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출 지연제 외에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출 지연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페로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출 지연제는 무기담체 공극 내로 흡수되거나 페로몬이 침착된 무기담체를 코팅하는 것으로, 글리세롤, 폴리아민, 지방 알코올,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 C8-C20 지방산, 탄화수소, 지방, 오일, 실리콘 오일, 실리콘 왁스 및 수불용성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예시된다.
상기 1) 단계의 페로몬 용액에 방출 지연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서 2) 단계에서의 페로몬 복합체 제조시 다공성 무기담체 내 침착된 페로몬의 방출을 지연시켜 우수한 서방성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나타낸다. 또한, 상기 1) 단계의 페로몬 용액에 방출 지연제와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시키는 경우 다공성 무기담체의 표면에 서방성 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무기담체 내 침착된 페로몬의 방출을 지연시켜 장기간에 걸쳐 서방성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서방형 루어(lure)에 관한 것으로, 종래 페로몬 루어와는 달리 빛이나 공기 등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이 최소화되고, 원하는 해충류의 유인력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페로몬을 서서히 일정한 농도로 방출시켜 장기간의 약효 지속 시간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야외실험을 위한 다양한 페로몬들과 그 페로몬들의 농도와 무기담체를 조합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하기 표 1에 사용되는 무기담체의 종류, 공극 사이즈 및 산성도를 기재하였다.
담체명 평균공극 크기
(nm)
산성도 (pH)
청색 실리카겔 7.5 6.0
오렌지 실리카겔 6.7 6.1
중성 처리한 청색 실리카겔 5.6 7.1
중성 실리카겔
(Silicycle 사 제품)
19.7 7.0
천연 제올라이트
(비교예로 사용)
284.8 8.0-9.5
상기 분석자료를 얻는데 사용한 분석기기와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균 공극 크기를 측정하는 분석기는 Micrometrics Instrument Corporation사 제품 Auto Pore IV 9500 v1.05 Series 585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샘플을 패넌트로미터(샘플튜브) 안에 넣고 진공을 잡아 분석 전처리를 하고 진공이 잡히면 수은을 샘플 튜브에 가득 채우고, 압력을 서서히 올려 60 PSI에서 저압 분석을 한다. 저압 분석이 끝난 후 기기에서 패넌트로미터를 분리 후 무게를 재고 다시 60,000 PSI 까지 고압으로 올려 분석하였다. 시료의 산성도는 Bel Japan Inc. 사의 Belcat-B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샘플을 먼저 샘플튜브에 넣은 뒤 온도를 400℃까지 올려 샘플을 전처리하며 그 온도에서 1시간 유지한다. 그후 다시 100℃까지 온도를 내린 후 약 10분간 안정화 시킨 뒤 다시 암모니아/헬륨 가스(10%/90%)를 60분간 흘려 암모니아 가스를 샘플에 흡착시킨뒤 다시 30분간 헬륨 가스를 흘려 미 흡착된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 후 실질적인 분석을 한다. 30분간 다시 안정화를 시키며 700℃에서 30분간 유지하여 암모니아 가스의 탈착량을 측정하여 시료의 산성도를 측정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자외선 차단 용기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불투명 포장지로 외부가 포장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바이알(1.5ml, PE vial)을 사용하였다.
실리카겔의 제조는 이미 알려진 방법인 소디움 실리케이트 용액을 산(보통 황산)을 첨가하면 젤형태의 침전이 형성되며 이것을 탈수시키면 무색의 실리카겔이 형성된다. 이때 코발트 클로라이드(II) 를 첨가하면 청색 실리카겔이 형성되고, 메틸 바이올렛을 첨가하면 오렌지 실리카겔이 된다.
중성 실리카겔은 약산성 청색 실리카겔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에 담근 후 실온에서 2시간 천천히 교반 시킨 후 건져서 오븐에서 건조 시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 (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5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청색 실리카겔(pH 6.0)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청색 실리카겔 (블루겔) (pH 6.0)은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함유되어 있을 때는 청색이고, 담체에 있는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다 소진되었을 때는 즉, 페로몬 루어를 교체할 시기에는 분홍색을 띄어 적절한 루어 교체시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하였다.
[실시예 2]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과 섞어서 헥산 0.2 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오렌지 실리카겔(pH 6.1)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오렌지 실리카겔 (오렌지겔) (pH 6.1)은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함유되어 있을 때는 오렌지색이고, 담체에 있는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다 소진되었을 때는 즉, 페로몬 루어를 교체할 시기에는 녹색을 띄어 적절한 루어 교체시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하였다.
[실시예 3]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 (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 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상기에 기술한 방법대로 자체적으로 만든 중성 청색 실리카겔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 (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5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페로몬 서방형 물질 유드라짓 RS100 (1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블루 실리카겔(pH 6.0)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청색 실리카겔 (블루겔) (pH 6.0)은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함유되어 있을 때는 청색이고, 담체에 있는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다 소진되었을 때는 즉, 페로몬 루어를 교체할 시기에는 분홍색을 띄어 적절한 루어 교체시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하였다.
페로몬 서방형 물질 유드라짓 RS100의 첨가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서방성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5]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 (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5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 (1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블루 실리카겔(pH 6.0)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청색 실리카겔 (블루겔) (pH 6.0)은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함유되어 있을 때는 청색이고, 담체에 있는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다 소진되었을 때는 즉, 페로몬 루어를 교체할 시기에는 분홍색을 띄어 적절한 루어 교체시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하였다.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의 첨가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서방성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6]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 (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5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페로몬 서방형 물질 유드라짓 RS100 (1mg) 및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 (1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블루 실리카겔(pH 6.0)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청색 실리카겔 (블루겔) (pH 6.0)은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함유되어 있을 때는 청색이고, 담체에 있는 페로몬과 유기용매가 다 소진되었을 때는 즉, 페로몬 루어를 교체할 시기에는 분홍색을 띄어 적절한 루어 교체시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하였다.
페로몬 서방형 물질인 유드라짓 RS100 및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의 동시첨가로 인하여 실시예 4와 5에 비해 장기간에 걸친 서방성이 2배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7]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 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약산성 청색 실리카겔 (pH 6.0 )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약산성 오렌지 실리카겔(pH 6.1 ) (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상기에 기술한 방법대로 자체적으로 만든 중성 청색 실리카겔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 및 페로몬 서방형 물질 유드라짓 RS100 (0.5mg)과 섞어서 헥산 0.2 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약산성 청색 실리카겔 (pH 6.0)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페로몬 서방형 물질 유드라짓 RS100의 첨가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서방성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11]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 및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 (0.5mg)과 섞어서 헥산 0.2 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약산성 청색 실리카겔 (pH 6.0)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의 첨가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서방성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12]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 페로몬 서방형 물질 유드라짓 RS100 (0.5mg) 및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 (0.5mg)과 섞어서 헥산 0.2 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약산성 청색 실리카겔 (pH 6.0)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페로몬 서방형 물질인 유드라짓 RS100 및 방출 지연제인 글리세롤의 동시첨가로 인하여 실시예 10과 11에 비해 장기간에 걸친 서방성이 2배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교예 1]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본 발명의 방법과 비교하기 위해 무기담체를 사용하지 않는 예는 다음과 같다. 톱다리 개미허리노린재 페로몬에 적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E)-2-헥센닐(E)-2-헥센오에이트 2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0.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를 자외선 차단 용기 (1.5ml, PE vial)에 투입하여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E)-2-헥센닐 (E)-2-헥센오에이트 10mg, (E)-2-헥센닐 (Z)-3-헥센오에이트 10mg, 테트라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 및 옥타데센닐 이소 부티레이트 10mg을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천연 제올라이트 약염기성 (pH 8.0- 9.5) (natural zeolite, 화합물 명칭: 칼슘 포타슘 소디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품명: Clinoptilolite)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본 발명의 방법과 비교하기 위해 무기담체를 사용하지 않는 예는 다음과 같다. 썩덩나무 노린재 페로몬에 적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를 자외선 차단 용기 (1.5ml, PE vial)에 투입하여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서방형 페로몬 루어의 제조
메틸 E, E, Z-2, 4, 6-데카트리엔오에이트 (20mg), 항산화제 2,6-디-t-부틸-p-크레졸 (10mg) 및 광안정제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5mg)과 섞어서 헥산 0.2ml에 녹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페로몬 용액 (200μl)을 천연 제올라이트 약염기성 (pH 8.0-9.5) (natural zeolite, 화합물 명칭: 칼슘 포타슘 소디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품명: Clinoptilolite) 100mg에 침착시켜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자외선 차단 용기(1.5ml, PE vial)에 투입하여 서방형 페로몬 루어를 제조하였다.
[평가시험 1]
페로몬 야외 실험은 경북 안동시 일직면 구천리 야외시험장에서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의 야외 동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1650 x 1650 m2 당 페로몬 트렙을 하나씩 설치하여 동종 곤충간 간섭을 최소화 하였다. 실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각 세트당 동일한 세 개의 루어를 제조하였다. 트랩은 통발 형태의 트랩을 사용하였고, 야외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번호
시료명
포획 개체수 (3반복)
1회 2회 3회
1 비교예 1 4 14 7
2 비교예 2 10 13 9
3 실시예 1 36 32 49
4 실시예 2 37 35 40
5 실시예 3 38 37 42
6 실시예 4 35 38 42
7 실시예 5 37 35 41
8 실시예 6 33 39 44
상기 표 2에서, 번호 1인 비교예 1은 담체를 사용하지 않은 페로몬 루어의 야외 실험 결과이다. 번호 2인 비교예 2는 천연 제올라이트를 담체로 사용하였을 때의 페로몬 루어의 야외 실험 결과이다. 비교예 2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담체로 사용 시 비교예 1의 담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포획 수 보다 약간 높은 포획 수를 보여 주었으나 전반적으로 포획 수가 낮았다. 이는 천연 제올라이트의 큰 평균 공극 크기에 기인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6에서 보듯 약산성 및 중성 실리카겔을 담체로 사용하였을 때 담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더많은 수의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가 포획되었다. 이 실험 결과는 또한 앞서의 담체 평균 공극과 연관시켜서 생각할 수 있다. 즉 페로몬 같은 작은 분자에 대해서는 실시예 1-6에서 보듯 10nm 이하의 공극을 갖는 담체인 청색 실리카겔과 오렌지 실리카겔 및 자체적으로 제작한 중성 실리카겔에서 제올라이트 같은 평균 공극 크기가 큰 담체보다 더 좋은 실험 결과를 보여주었다. 유드라젯 및 글리세롤을 청색 실리카겔과 같이 사용한 실험에서는 (실시예 4-5 및 실시예 6) 실리카겔을 담체로 사용한 실시예 2-3 과 비슷한 포획 결과를 보였다.
[평가시험2]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한 야외 실험도 상기 경북 안동시 일직면 구천리 야외시험장에서 실시하였다. 1650 x 1650 m2 당 페로몬 트렙을 하나씩 설치하여 동종 곤충간 간섭을 최소화 하였다. 야외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번호
시료명
포획 개체수 (3반복)
1회 2회 3회
1 비교예 3 15 14 6
2 비교예 4 19 18 21
3 실시예 7 35 38 37
4 실시예 8 36 37 40
5 실시예 9 33 34 38
6 실시예 10 34 31 38
7 실시예 11 34 36 31
8 실시예 12 33 38 35
상기 표 3에서, 번호 1인 비교예 3은 담체를 사용하지 않은 페로몬 루어의 야외 실험 결과이다. 번호 2인 비교예 4는 천연제올라이트를 담체로 사용한 페로몬 루어의 야외 실험 결과이다. 썩덩나무 노린재 페로몬 야외 실험도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의 실험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즉 비교예 3의 담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포획 수 보다 담체를 사용했을 때의 포획 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이 경우에도 청색 실리카겔과 오렌지 실리카겔을 담체 및 자체적으로 만든 중성 실리카젤을 사용한 것이 가장 높은 포획 수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7-12). 비교예 4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담체로 사용시 비교예 3의 담체를 사용하지 않을때의 포획 수 보다 약간 높은 포획 수를 보여 주었으나 전반적으로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의 야외 실험 결과에서 처럼 포획 수가 낮았다. 이는 천연 제올라이트의 큰 평균 공극 크기에 기인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7-12에서 보는 것처럼 산성 청색 실리카겔 및 산성 오랜지색 실리카겔, 중성 실리카겔에서 가장 우수한 포획 수를 보였고 이는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와 같은 양상이다. 실시예 10의 약산성 청색 실리카겔을 담체로 유드라짓 RS100을 사용 시에도 담체를 사용한 실시에 8-9 와 유사한 포획 결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썩덩나무 노린재에 대해서도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서 천연 제올라이트같은 평균 공극 크기가 큰 담체는 이보다 평균 공극 크기가 작은 실리카겔보다 저조한 포획 결과를 보였다.

Claims (12)

1)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을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 방출 지연제 및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페로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페로몬 용액을 다공성 무기담체에 담지하여 페로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페로몬 복합체를 자외선 차단 용기에 투입하여 서방형 루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페로몬 서방성 화합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에틸셀룰로오스, 암모니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아크릴산 에틸 에스터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방출 지연제는 글리세롤, 폴리아민, 지방 알코올,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 C8-C20 지방산, 탄화수소, 지방, 오일, 실리콘 오일, 실리콘 왁스 및 수불용성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6 내지 8의 산성도(p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방류, 진딧물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진드기류, 바구미류, 응애류, 총채벌레류, 파리류, 빈대류, 궐련벌레류, 깍지벌레류 및 긴머리좀류에 대한 유인성 페로몬은 나방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E)-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7-에이코센-11-온, (Z)-8-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E)-8-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Z)-8-도데센-12-올, (Z)-10-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E, Z)-4, 10-데트라데카디에닐-14-아세테이트, 10, 14-다이케틸옥타데크-1-엔,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7-도데세닐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16-알, (Z)-11-헥사데세닐-16-아세테이트,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14-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 E)-,9, 11-테트라데센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센올, (E)-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알, (Z)-9-헥사데센알, (Z)-9-헥사데센알, (Z)-11-헥사데센알, (Z, E)-9, 11-테트라데카디엔닐 아세테이트,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올, (Z)-11-헥사데센알, (E)-10-헥사데센알, (Z)-10-헥사데센알, (4E, 6Z)-4, 6-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알, (E)-11-헥사데센알, (Z, E)-9, 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 Z)-3, 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 E)-7, 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6-알, (Z)-11-헥사데세닐-16-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센-16-올,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10-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 Z)-4, 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옥타데센알, (Z)-13-옥타데센알, (Z)-11-옥타데센-1-올, (Z)-13-옥타데센-1-올, (E)-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 Z)-6, 9-시스-3, 4-에폭시 노나데카디엔, (Z, Z, Z)-3, 6, 9-노나데카트리엔, (Z)-11-테트라데세닐-14-아세테이트, (Z)-9-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11-도데세닐-12-아세테이트, (Z, Z, Z)-7, 11, 1-헥사데타트리엔알, (Z, Z)-헥사데카디엔알, (9Z, 12Z, 15Z)-옥타데카-9, 12, 15-트리엔알, (9Z, 12Z)-옥타데카-9, 12-디엔알, (3Z, 6Z)-9S, 10R-시스-에콕시 헤니코사-3, 6-디엔, (1, 3Z, 6Z)-9S, 10R-시스-9, 10-에폭시-헤니코사-1, 3, 6-트리엔, (Z, E)-9, 12-테트라데센-1-올, (Z, E)-9, 12-테트라데샌-1-올, 진딧물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Z)-베타-파네센, (+)-(4aS, 7S, 7aR) 네페탈 락톤, (-)-(1, 4aS, 7S, 7aR) 네페탈락톨, (E)-베타-파네센, 풍뎅이류 페로몬으로 알려진 (4R, 5Z)-테트라데센-4-온, (Z)-7-테트라데센-2-온, (E)-7-테트라데센-2-온, 메틸 (Z)-5-테트라데센오에이트, 1, 3-다이메틸-2, 4-(1H, 3H)-퀸나졸리딘온, (L)-이소롱신 메틸에스테르, (R)-(-)-리나룰, (R, Z)-5-(데크-1-에닐) 옥사시클로펜탄-2-온, (R, Z)-5-(옥트-1-에닐) 옥사시클로펜탄-2-온, (E)-2-노넨올, 노린재 페로몬인 (E)-2-헥센닐-(E)-2-헥세노에이트, (E)-2-헥센닐-(Z)-3-헥세노에이트, 테트?실 이소부티레이트, 옥타데실 이소부티레이트, 메틸 (E, E, Z)-2, 4, 6- 도데카트리엔오에이트, 메틸 2, 4-데카디엔오에이트,뮤간티올, 베타-세스퀴 페랄드렌, (R)-15-헥사데칸올라이드, 메틸 (Z)-8-헥사데센오에이트, 1-헥센알, 1-데센알, 1-옥텐알, 진드기류 페로몬인 2,4-다이클로로페놀 및 2,6-다이클로로페놀, 바구미류 페로몬인 (1S, 3R, 5R, 7S)-(+)-소르디딘, (2S, 3R)-1-에틸프로필-3-하이드록시-2-메틸펜탄오에이트, 5-하이드록시-4-메틸-3-헵탄온, (+)-알파 피넨, 응애류 페로몬인 네릴 포메이트(3, 7-다이메틸 (Z)-2, 6-옥타디에닐), 총채벌레류 페로몬인 (R)-라반두릴 아세테이트, 네릴(S)-2-메틸 부탄오에이트, 파리류 페로몬인 펩타데칸, 솔비톨, (R, R)-2, 14-다이아세톡시 헵타데칸, 빈대 페로몬인 (E)-2-헥센알, (E)-2-옥텐알, 4-옥소-(E)-2-헥센알, 4-옥소-(E)-2-옥텐알, (2E, 4Z)-옥타디엔알, 데칸알, 노난알, (+)-리모넨, (-)-리모넨, 권련벌레 페로몬인 세리코닌((4S, 6S, 7S)-4, 6-다이메틸-7-히드록시-3-노난온),깍지벌레 포로몬인 (2E, 4E, 6R, 10R)-4,6,10,12-테트라메틸-2,4-트리데카디엔-7-온, (Z)-3,9-다이메틸-6-이소프로페닐-1,3,9 데카디엔-1-일 프로피온에이트, 2,6-다이메틸-1,5-헵타디엔-3-일 아세테이트, 긴머리좀류 페로몬인 사이트로넬롤, 네롤, 네랄, 제라니올, 제라니알 등을 포함하는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2,6-디-t-부틸-p-크레졸,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 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ec-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광안정제는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부틸페닐, 살리실산옥틸페닐,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부틸페닐)히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t-부틸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실리카겔, 알루미나, 고분자 수지, 탄소 나노 튜브 및 메조 세공 물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lure).
KR1020130103165A 2013-08-29 2013-08-29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KR10154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65A KR101541797B1 (ko) 2013-08-29 2013-08-29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65A KR101541797B1 (ko) 2013-08-29 2013-08-29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64A KR20150025564A (ko) 2015-03-11
KR101541797B1 true KR101541797B1 (ko) 2015-08-04

Family

ID=5302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65A KR101541797B1 (ko) 2013-08-29 2013-08-29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2406A4 (en) * 2017-08-27 2021-06-09 Agrorim, Ltd. PHEROMONCLATHRATES
CN108524950B (zh) * 2018-04-25 2021-04-06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三唑酮缓释体系及其制备方法
KR102580718B1 (ko) * 2020-03-06 2023-09-21 이동하 볼록총채벌레 유인제 조성물
KR102417195B1 (ko) * 2020-06-02 2022-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유인 또는 방제용 조성물 및 트랩, 및 해충을 유인 또는 방제하는 방법
KR102366483B1 (ko) * 2020-12-16 2022-02-25 대한민국 알락하늘소 유인용 루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8328A (ja) * 2001-04-20 2004-09-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徐放性粒子
JP2006083088A (ja) * 2004-09-15 2006-03-30 Shin Etsu Chem Co Ltd 複数の性フェロモン物質を含む徐放性製剤及び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8328A (ja) * 2001-04-20 2004-09-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徐放性粒子
JP2006083088A (ja) * 2004-09-15 2006-03-30 Shin Etsu Chem Co Ltd 複数の性フェロモン物質を含む徐放性製剤及び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64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797B1 (ko) 해충 방제용 서방형 루어의 제조방법
US4325941A (en) Solid formulations containing pheromone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23556A (en) Solid formulations containing pheromones and method of using same
EP2034840B1 (en)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tetrafluorobenzyl cyclopropane carboxylates
CA2942428A1 (en) Methods,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repelling insects and/or arachnids
KR101811418B1 (ko) 북방수염하늘소 유인용 페로몬 조성물 및 서방형 루어의 제조 방법
Yasuda et al. Sex attractant pheromone of the sorghum plant bug Stenotus rubrovittatus (Matsumura)(Heteroptera: Miridae)
JP2020120672A (ja) 水性処方薬液加熱蒸散用吸液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当該水性処方薬液加熱蒸散用吸液芯を用いた水性処方薬液加熱蒸散方法
JP2004525947A (ja) 安定化された活性物質
JP2008247863A (ja) アカヒゲホソミドリカスミカメの性フェロモン徐放性誘引製剤
CN115426882A (zh) 用于秋粘虫、草地贪夜蛾的新性信息素组分
CN102657156A (zh) 林业害虫驱避剂(E)-2-己烯醛的β-环糊精缓释微胶囊的制备及测定方法
CN110250196B (zh) 杀虫剂组合物及其控释系统与应用
GB2141932A (en) Pest control
JP5638930B2 (ja) アカスジカスミカメの誘引組成物、徐放性誘引剤及び捕獲装置
CH633412A5 (it)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 composto da cui ricavare agenti sintetici di richiamo sessuale per l'attrazione di insetti nocivi e loro impiego.
CN114794097B (zh) 一种含昆虫信息素或诱集剂的爆珠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278950B (zh) 马铃薯块茎蛾食诱剂及其应用
Prevett et al. Suppression of mating in Ephestia cautella (Walker)(Lepidoptera: Phycitidae) using microencapsulated formulations of synthetic sex pheromone
RU2741841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приманивания постельных клопов
JP2017124990A (ja) ネーブルオレンジワームの誘引組成物及び誘引剤
CN104814009A (zh) 落叶松八齿小蠹虫驱避剂和诱芯及其制备方法
AU2006200805A1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attracting mosquitoes employing (R)-(+)-isomers of 1-alkyn-3-ols
JPH0148242B2 (ko)
CN114128709B (zh) 一种顺-9-十四碳烯醇类似物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