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423B1 - 조식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조식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423B1
KR101540423B1 KR1020140186857A KR20140186857A KR101540423B1 KR 101540423 B1 KR101540423 B1 KR 101540423B1 KR 1020140186857 A KR1020140186857 A KR 1020140186857A KR 20140186857 A KR20140186857 A KR 20140186857A KR 101540423 B1 KR101540423 B1 KR 10154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pturing
animal
breakfas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현
최기호
김종렬
박소영
장욱
김병찬
Original Assignee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filed Critical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4018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3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with sn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방해하는 조식동물을 유인 및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획부가 구비된 시트와, 상기 포획부에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진 포획부재를 구비하여 포획부로 유인된 조식동물이 포획부내에 포획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포획장치를 시트로 구비하여 해저면의 모양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저면에 넓게 펼쳐질 수 있으며, 포획을 위한 별도의 기구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해저면에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조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식동물 포획장치{APPARATUS FOR CATCHING THE SEA URCHIN}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을 방해하는 조식동물을 유인 및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획부가 구비된 시트와, 상기 포획부에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진 포획부재를 구비하여 포획부로 유인된 조식동물이 포획부내에 포획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포획장치를 시트로 구비하여 해저면의 모양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저면에 넓게 펼쳐질 수 있으며, 포획을 위한 별도의 기구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해저면에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조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숲 조성에 사용되는 해중림초는 어초틀 상에 설치된 플레이트나 로프 등에 각종 해조류의 종묘를 착생시켜 이를 성장시킴으로써 해중림 즉,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한 것인데,
이와 같은 해중림초의 가장 큰 문제점은 플레이트나 로프에 착생된 해조류의 종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하기도 전에 소라, 성게와 같은 조식(藻食) 동물에 의해 섭식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식동물에 의한 섭식 피해는 해중림 조성을 막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갯녹음 현상에 의해 황폐화된 해양 생태계를 복원함과 동시에 연안해역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식동물에 의한 섭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식동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조식동물에 의한 섭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72783호 『조식동물 및 부산물 수중 제거장치』 또는 등록특허 제10-1453990호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등록특허 제10-1029295호 『조식동물 기어오름 방지장치』등이 있다.
상기 제10-0972783호는 다이버가 직접 제거장치를 메고 바닷속을 돌아다니면서 조식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장치이고, 등록특허 제10-1029295호는 해조류가 이식되어 있는 해중림초 표면에 부착시켜 조식동물이 기어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10-1453990호는 조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고, 포획된 조식동물을 다이버가 수거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972783호는 의도적으로 다이버가 문제되는 조식동물을 포획하러 다녀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들은 별도의 장치를 해저에 투입하여 조식동물을 수거하는 것으로서, 해저면의 형상, 즉 해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해저면에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조식동물 포획장치에 있어서,
시트에 조식동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획부재를 구비하여 조식동물을 포획하되, 해저면의 다양한 형상에 설치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식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포획부에는 조식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해양식물이 구비되는 유인부가 형성됨으로서 조식동물들을 보다 손쉽게 포획부로 끌어들일 수 있으며,
시트와 포획부재를 감싸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마감부재에 복수개의 무게추를 구비함에 따라 해저면에 안착되는 경우, 물살에 의해 시트의 테두리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식동물이 포획부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에 설치 가능한 조식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는
해저면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의 시트;
상기 시트 상면에 구비되어 조식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진 포획부재;
상기 시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리프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에는 조식동물을 유인하도록 해양식물이 구비되는 유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는 시트에 유입된 조식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진 포획부재를 구비하여 조식동물을 시트내에 머물 수 있도록 하고,
시트에 조식동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시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리프팅부재를 들어올려 시트의 각 테두리가 오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조식동물을 감싸 들어올릴 수 있어 수거가 용이하고 조식동물이 시트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장치가 시트와 포획부재 및 리프팅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시트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해저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해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어 어느 장소에서나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나아가 시트 내에 조식동물이 좋아하는 해양식물이 구비될 수 있도록 유인부가 형성됨에 따라 조식동물들을 자연스럽게 시트 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주변의 조식동물을 보다 손쉽게 끌어들여 포획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시트와 포획부재를 모두 감쌀 수 있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되, 마감부재에 복수개의 무게추를 구비함에 따라 해저면에서 조류에 의해 마감부재(시트의 테두리)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해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설치 및 수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의 실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A)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에 구비되는 그물 형상의 포획부재(20) 및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리프팅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의 지형과 상관없이(특히 암반, 역질의 해저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자연스럽게 펼쳐져 해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시트(10)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0)에는 조식동물(A2)이 유입될 수 있는 포획부(15)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시트(10)의 형상은 도면에는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사각형 이외의 원형 및 또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시트(10)는 복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보자기 형태로 가공하여 물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10)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경우, 보자기 형태로 가공됨에 따라 다양한 지형의 해저면에 자연스럽게 그 지형을 따라 펼쳐질 수 있어 지형과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시 상기 시트(10)에는 조식동물(A2)이 유입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시트(10)는 조식동물(A2), 특히 성게의 특성(관족 끝의 흡반(빨판)으로 기질을 붙잡고 이동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시트(10) 내부로 성게가 유입이 가능하도록 성게가 이동할 수 있는 기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A)에는 시트(10) 내부로 이동된 조식동물(A2)이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포획부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포획부재(20)는 상기 포획부(15)에 구비되어 시트(10)에 들어온 조식동물(A2)이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10) 내부로 유인된 조식동물(A2)은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포획부재(20)에 의해 시트(1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일정량의 조식동물(A2)이 포획부(15)에 위치하면 리프팅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10)를 들어올림으로서 조식동물(A2)을 포획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트(10) 내부, 즉 포획부(15) 내부로 조식동물(A2)을 보다 용이하게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10)에는 유인부(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인부(151)는 조식동물(A2)이 선호하는 해조류(해양식물(A1))인 미역, 다시마, 감태 등이 구비되어 있어 보다 손쉽게 조식동물(A2)을 시트(10) 내부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시트(10)와 포획부재(20)가 중첩 구비됨에 따라 상기 시트(10)의 테두리에는 시트(10)와 포획부재(20)를 모두 감싸 서로 결합하는 마감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감부재(13)는 시트(10)의 각 테두리에 모두 구비되어 있으며 해저에서 시트(10)와 포획부재(20)가 해류에 의해 서로 분리되거나 ??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시트(10)가 해저면에 안착되는 경우 해조류에 의해 시트(10)가 이동하거나, 테두리, 즉 마감부재(13)가 들려 접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마감부재(13)에는 복수개의 무게추(131)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무게추(131)의 무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A)는 자연스럽게 해저면에 안착되게 되고, 해류에 의해 움직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조식동물(A2)을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획부(15)(시트(10) 상부면)에 위치한 조식동물(A2)을 포획하기 위하여 리프팅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10)를 들어올리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감부재(13)의 각 모서리에는 리프팅공(31)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공(31)에는 각각 로프로 이루어지는 리프팅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는 리프팅부재(30)를 들어올림으로서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모여지게 되며, 포획부(15)에 위치하는 조식동물(A2)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리프팅부재(30)는 서로 모여 하나의 로프와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로 연결된 로프를 들어올림으로서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리프팅부재(30)를 각각 동일하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여 내부의 조식동물(A2)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포획장치(A)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은 마감부재(13)의 면적을 더 넓게 구성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마감부재(13)의 면적이 넓어지면 조식동물(A2)이 시트(10)의 내측 깊은 곳까지 이동이 수월하게 되며, 이동한 조식동물(A2)이 포획부재(20)에 의해 포획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포획장치에 비해 조식동물(A2)이 포획된 위치가 더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식동물(A2)이 빠져나가야 하는 거리가 더 길어지게 됨에 따라 조식동물(A2)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포획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각 테두리에는 보강대(21)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시트(10)를 리프팅부재(30)에 의해 끌어올림에 있어, 우산대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시트(10)의 각 테두리가 리프팅부재(30)와 함께 끌어올라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내측에 위치하는 조식동물(A2)이 끌어올리는 동작 중 외부로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포획된 조식동물(A2)을 놓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조식동물(A2) 중 특히 성게의 경우 음성 주광성을 갖는 특성에 의해 상기 시트(10)의 포획부(15)에 음영을 만들어 성게가 선호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ㅎ??.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조식동물 포획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조식동물 포획장치 A1 : 해양식물
A2 : 조식동물 10 : 시트
13 : 마감부재 15 : 포획부
131 : 무게추 151 : 유인부
20 : 포획부재 21 : 보강대
30 : 리프팅부재 31 : 리프팅공

Claims (4)

  1. 해저면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의 시트(10);
    상기 시트(10) 상면에 구비되어 조식동물(A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진 포획부재(20);
    상기 시트(10)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리프팅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10)의 테두리에는 시트(10)와 포획부재(20)를 모두 감싸는 마감부재(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식동물 포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에는 조식동물을 유인하도록 해양식물이 구비되는 유인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식동물 포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에는 보강대(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식동물 포획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3)에는 복수개의 무게추(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식동물 포획장치.
KR1020140186857A 2014-12-23 2014-12-23 조식동물 포획장치 KR10154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857A KR101540423B1 (ko) 2014-12-23 2014-12-23 조식동물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857A KR101540423B1 (ko) 2014-12-23 2014-12-23 조식동물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423B1 true KR101540423B1 (ko) 2015-07-31

Family

ID=5387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857A KR101540423B1 (ko) 2014-12-23 2014-12-23 조식동물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772B1 (ko) * 2021-05-27 2022-02-14 대한민국 성게잡이 어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510A (en) * 1996-01-04 1997-10-07 Campbell; Iver Crabbing apparatus
KR19990026026A (ko) * 1997-09-19 1999-04-06 안영남 부력을 이용한 어망
KR200411476Y1 (ko) * 2005-12-23 2006-03-15 박연식 소라 포획구
KR20080006126U (ko) * 2007-06-07 2008-12-11 성신수산(주) 어류 보호방수천을 갖는 인양어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510A (en) * 1996-01-04 1997-10-07 Campbell; Iver Crabbing apparatus
KR19990026026A (ko) * 1997-09-19 1999-04-06 안영남 부력을 이용한 어망
KR200411476Y1 (ko) * 2005-12-23 2006-03-15 박연식 소라 포획구
KR20080006126U (ko) * 2007-06-07 2008-12-11 성신수산(주) 어류 보호방수천을 갖는 인양어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772B1 (ko) * 2021-05-27 2022-02-14 대한민국 성게잡이 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040B1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US9271477B2 (en) Device for fish farm cage
US8635973B1 (en) Artificial mangrove assembly
JP3194157U (ja) 稚魚保護育成礁
JP2015173627A (ja) 生け簀及び魚類の養殖方法
US11213019B2 (en) Aquaculture fish pen with mortality trap
JP4484212B2 (ja) 水位低下追い込み式定置網
KR101540423B1 (ko) 조식동물 포획장치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JP7142522B2 (ja) 生簀及び養殖方法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WO2019034694A1 (en) DEVICE FOR A FISH LIFTING CAGE
JP7058424B2 (ja) 水生動物脱出装置および定置網
JP2007105002A (ja) 外来魚採捕装置
KR101617427B1 (ko) 조식동물 기어오름 방지장치
KR101583151B1 (ko) 대형 물고기 수집 장치
KR101479264B1 (ko) 조식동물 제거장치
KR101015664B1 (ko) 적조 및 해양환경 오염방지를 위한 양식장
US4587758A (en) Crab trap
JP3335451B2 (ja) 底棲魚類幼稚魚用魚礁
KR101949292B1 (ko)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KR100424286B1 (ko)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KR102511153B1 (ko)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CN104969956A (zh) 捕黄鳝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