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26A - 부력을 이용한 어망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어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6026A KR19990026026A KR1019970048239A KR19970048239A KR19990026026A KR 19990026026 A KR19990026026 A KR 19990026026A KR 1019970048239 A KR1019970048239 A KR 1019970048239A KR 19970048239 A KR19970048239 A KR 19970048239A KR 19990026026 A KR19990026026 A KR 199900260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net
- floating unit
- buoyancy
- fish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망(漁網)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부력에 의하여 부침(浮沈)하는 어망을 구성하여 간편한 작업성과 최소의 인력 등으로 효율적인 어획효과를 득할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한 어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연결관(3, 3')과 부구(2, 2')가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에어를 공급, 배출시키는 에어주입관(4)이 결합된 부상유니트(1)로 구성되며, 상기 부상유니트(1)에는 무게추(10)와 그물(9)이 결합되고 부구(2, 2')는 고정수단(8)과 연결되어 부상유니트(1)의 유동 및 유실이 방지되며, 상기 에어주입관(4)으로서 부상유니트(1)의 에어를 공급, 배출시켜 그물(9)을 수중과 수면으로 부침(浮沈)되게 하므로서 어류가 포획되도록 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망(漁網)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편한 구조로서 효율적인 어획효과를 득할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한 어망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 등을 이용하는 어망과 강, 호수 또는 바다 등에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어망은 투망(投網)식 그물을 사용하여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종래 어망은 어획량이 저조하고, 특히 투망작업과 투척된 어망을 다시 수중에서 끌어올리는 작업 등에 많은 인력과 동력을 필요로 하여 어획량에 비하여 인력 등의 소요가 많을 뿐만 아니라 어망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투망 후 이를 다시 끌어올리는 작업 등에 과다한 노력이 요구되며 어망의 수명이 단기적인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는 수질 부영양화의 발생시에 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부영양화 발생에 따른 피해를 그대로 감수할 밖에 없게 되므로서 이의 해결수단 역시 시급히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강, 호수 등은 물론 바다(주로 근해) 등지에 간편히 설치하여 어망 투척, 유인 등에 필요한 인력과 동력 등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어획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하고,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는 가두리 어망 용도로서 사용가능하게 하며 녹조현상, 즉 부영양화 발생시에는 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서 활용하여 여러 잇점과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어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5 는 도 4 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 : 부상(浮上)유니트, 2, 2' : 부구, 3, 3' : 에어연결관, 4 : 주입관, 5 : 지지비아, 6 : 부력체, 7 : 보호줄, 8 : 고정수단, 9 : 그물, 10 : 무게추, 11 : 덮개, 12 : 원형튜브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대략 시각상으로 부상(浮上)유니트(1)를 구성하고, 상기 부상유니트(1)하측에는 그물(9)을 설치하여 부상유니트(1)의 부력에 의하여 그물(9)이 수중과 수면으로 부침(浮沈)되게 하므로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상유니트(1)는 대략 4각 형상의 에어연결관(3, 3') 각 모서리 하측에 부구(2, 2')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에어연결관(3, 3')과 부구(2, 2')간은 상호 연통되게 구성하여 에어연결관(3, 3')일측의 에어주입관(4)으로부터 에어를 주입,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부상 유니트(1)는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 3')이 일체로 형성된 부력수단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각 부구(2, 2')는 보호줄(7)을 수중 또는 지상 등에 고정시킨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8)과 연결시켜 조류 등에 의하여 부상유니트(1)가 유실,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부구(2, 2')나 에어연결관(3, 3')에는 무게추(10)를 설치하는 바, 상기 무게추(10)는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3')에 에어가 주입되어 부력이 작용되면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3')이 수면으로 충분히 부상(浮上)가능하게 되고,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 3')의 에어가 배출되어 부력이 상실되면 무게추(10)의 중량에 의하여 수중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에 따라 부상유니트(1)가 원만히 부침(浮沈) 승강될 수 있는 적정 중량의 것으로 선택되는 바,
상기 무게추(10)는 전술한 부구(2, 2')나 그물(9) 또는 에어연결관(3, 3')에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작용상태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 3')으로 구성된 부상유니트(1) 하측에 결합된 그물(9)을 수중에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구성하고, 상기 그물(9) 저면에는 그물(9)의 형태로 잡아줄 수 있는 지지바아(6)를 결합하므로서 상기 그물(9) 내에 양식어를 가두어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양식용 어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상기 부상유니트(1)의 에어연결관(3, 3')과 부구(2, 2')상에는 부력체(6)를 연결구성하므로서 평상시에는 통상과 같이 그물(9) 내로 양식어를 가두어 양식하게 되고, 부영양화가 발생할 시는 상기 부상유니트(1) 상부를 그물(9) 등의 덮개(11)로 폐쇄하고 에어주입관(4)으로부터 에어연결관(3, 3')과 부구(2, 2')의 에어를 배출하여 부상유니트(1)를 부영양화를 피할 수 있는 수중의 소정 깊이까지 가라앉혀서 부영양화를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물(9)은 저면의 지지비아(6)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내부로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밀폐되어 양식어가 빠져나가지 않게 되며, 또한 상부부력체(6)는 수면과의 연결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소망하는 깊이까지 그물(9)을 가라앉혀 부영양화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부영양화는 주로 수면을 중심으로 하여 발생되는 것으로서, 부영양화의 영향이 적은 수중에 그물(9)을 가라앉혀 양식하게 되므로서 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에어튜브12) 하측에 그물(9)을 결합하여 어망을 구성하므로서 원형에어튜브(12)의 에어를 배출하여 소부피로 접어서 간편히 휴대,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주로 레저용 등의 어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는 13은 떡밥 등의 미끼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상유니트(1)상에 형성된 어망이 부침(浮沈)하여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어연결관(3, 3') 사방에 부구(2, 2')가 결합된 부상유니트(1)에 우선 에어주입관(4)으로부터 에어를 배출하여 부력을 상실시키면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 3')측에 결합된 무게추(10)의 중량에 의하여 그물(9)이 부상유니트(1)과 함꼐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되며, 이때는 당연히 상기 에어주입관(4)측에 수중에서도 에어주입이 가능하게 에어 콤프레셔등의 에어주입수단과 연결시켜 둔다.
한편, 수중의 바닥면 등에 타설된 고정수단(8)은 보호줄(7)로서 부상유니트(1)의 부구(2, 2')와 연결되어 부구(2, 2') 및 에어연결관(3, 3')으로 구성된 부상유니트(1)가 조류 등에 의하여 유실,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같이 부상유니트(1)를 침강시킨 다음 그물(9) 위로 어류가 모여지게 되면 사용자가 에어주입수단을 사용, 에어주입관(4)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부구(2, 2')와 에어연결관(3, 3')측에 에어를 주입하므로서 이의 부력으로 부구(2, 2') 및 에어연결관(3, 3')으로 이루어진 부상유니트(1)의 그물(9)이 함께 부상하여 그물(9) 내로 어류가 포획되는 것이다.
상기 부상유니트(1)의 부상속도는 에어의 주입속도에 따라 가감되므로 사용자는 어류가 모여있는 형태 등에 따라서 부상유니트(1)를 적정 속도로 부상시켜 어류를 가장 효율적으로 포획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5와 같이 부상유니트(1)의 그물(9) 하측으로 지지비아(5)를 결합하여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어망으로 사용케 되면 간편한 구성으로 가두리 어망이 설치됨은 물론 부영양화발생시에는 그물(9) 상부를 그물(9) 등의 덮개(11)로 폐쇄하고 부상유니트(1)의 에어연결관(3, 3')과 부구(2, 2')측 에어를 배출하여 그물(9)을 부영양화가 발생된 수면으로부터 가라앉혀주면 그물(9)은 부력체(6)에 의하여 상부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적정 깊이까지 가라앉지 않고 머무르게 되어 부영양화를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부상유니트(1)는 선박을 이용하여 선박 측면 등에 설치하여 주면 바다 한가운데에 간이 풀장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부상유니트(1)를 선박 측면에 설치하여 주면 깊은 바다의 수면상에 그물(9)로 보호된 일정 공간이 마련되므로서 마치 풀장과 같은 형태가 되어 누구라도 안전하게 바다 한가운데에 수영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를 해협(바다) 횡단 등의 수영시에 사용하면 상어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어 안전하게 수영을 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각종 해협(바다) 수영대회 등에 안전장비로도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소정 직경으로 원형에어튜브(12)를 형성하여 그물(9)을 결합, 구성하면 원형에어튜브(12)의 에어를 배출하여 소부피로 접어서 용이하게 휴대,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이를 야외레져활동시 등에 간편한 어망 등으로 사용하여 수렵 등의 레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부력을 이용한 어망을 구성하여 그물(9)을 부침시켜 어류를 포획토록 하므로서 설치작업의 간편성과 편이한 방법으로 최소의 인력과 장비로서 효율적인 어획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며.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는 가두리 양식어망으로 간편히 사용할 수 있는 잇점과 부영양화(또는 적조, 녹조, 기름유출, 태풍 등)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먼 바다 등에서는 선박을 이용한 간이 수영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간편한 휴대용으로 제작, 사용이 가능한 등,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바 외에도 어획량 증대 등의 효과와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득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
- 에어연결관(3, 3')과 부구(2, 2')가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에어를 공급, 배출시키는 에어주입관(4)이 결합된 부상유니트(1)로 구성되며,상기 부상유니트(1)에는 무게추(10)와 그물(9)이 결합되고 부구(2, 2')는 고정수단(8)과 연결되어 부상유니트(1)의 유동 및 유실이 방지되며,상기 에어주입관(4)으로서 부상유니트(1)의 에어를 공급, 배출시켜 그물(9)을 수중과 수면으로 부침(浮沈)되게 하므로서 어류가 포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어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8239A KR19990026026A (ko) | 1997-09-19 | 1997-09-19 | 부력을 이용한 어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8239A KR19990026026A (ko) | 1997-09-19 | 1997-09-19 | 부력을 이용한 어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6026A true KR19990026026A (ko) | 1999-04-06 |
Family
ID=6604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8239A KR19990026026A (ko) | 1997-09-19 | 1997-09-19 | 부력을 이용한 어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60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423B1 (ko) * | 2014-12-23 | 2015-07-31 |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조식동물 포획장치 |
-
1997
- 1997-09-19 KR KR1019970048239A patent/KR199900260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423B1 (ko) * | 2014-12-23 | 2015-07-31 |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조식동물 포획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99530A (en) | Submergible fish cage | |
KR100876227B1 (ko) |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 |
US4092797A (en) | Fish trapping device | |
EP0746196A1 (en) | Sea cage fish farming system | |
US9464413B2 (en) | Mooring structure with habitat features for marine animals | |
NO341817B1 (en) | Semi-submersible fish farming system | |
RU2765309C2 (ru) | Рыбная ферма, выполненная из жесткого материала | |
KR101845500B1 (ko) | 잠수형 가두리장치 | |
KR20200092089A (ko) | 먹이 급이가 용이한 외해 중층 가두리 양식장 | |
KR100423152B1 (ko) |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 |
KR19990026026A (ko) | 부력을 이용한 어망 | |
WO2007125363A1 (en) | Fish enclosure | |
US10638729B2 (en) | Fishermen's island for growing 10,000 tons of fish and seafood in water-filled ring-tube fishery | |
KR100521900B1 (ko) | 조위차를 이용한 해안가의 수영장 급배수 시설 | |
RU2063132C1 (ru) | Сад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ракообразных или моллюсков | |
KR100475500B1 (ko) | 가두리 양식장 | |
KR200266759Y1 (ko) | 수심별 변경 설치가 용이한 내파성 가두리 시설 | |
KR101767465B1 (ko) | 부력식 인공어초 | |
KR20160108863A (ko) | 잠수하는 가두리양식장 | |
JPH01228419A (ja) | 浮沈式養魚装置 | |
CN108651397A (zh) | 河口潮间带生物监测网及其构建方法 | |
KR200252320Y1 (ko) | 부력식 어망 | |
KR200197668Y1 (ko) | 해저토질개선기 | |
KR200286213Y1 (ko) | 원통관로가 결합된 상승,하강이조종되는 어구망 | |
KR20240113118A (ko) |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