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3118A -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13118A KR20240113118A KR1020230005284A KR20230005284A KR20240113118A KR 20240113118 A KR20240113118 A KR 20240113118A KR 1020230005284 A KR1020230005284 A KR 1020230005284A KR 20230005284 A KR20230005284 A KR 20230005284A KR 20240113118 A KR20240113118 A KR 202401131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quaculture
- buoyancy
- buoyancy tube
- c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3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9 Patinopecten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473391 Archosargus rhomboid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52 Mollus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3 Pect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908 Platichthys fle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9596 Pontinus kuhl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92 fl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883 loss of bal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력관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위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의 상부에는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단위구조체의 결합을 보다 향상시키고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는 고하중 장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지고 상호 브라켓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해류에 의한 문제점(피칭)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식장과 어장 관리 등의 여러 분야에 설치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류에 의한 파손 문제점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되며 균형을 이루고 부침이 가능한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각종 수산자원을 양식하기 위한 가두리 양식장은 육지와 인접하고 있는 바다의 연안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연안을 벗어난 근해지역은 파도가 심하고 수심이 깊기 때문에, 파도가 심하지 않고 수심이 깊지 않은 연안지역에서 가두리 양식장은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가두리란, 그 내부에 어류와 같은 각종 수산생물을 가두어 일정기간 동안 생육시키거나, 출하 조절을 위하여 단기간 보관 및 소비자들을 통한 직접적인 판매를 위한 일시 저장하는 시설을 지칭한다. 가두리의 종류로는, 널리 알려진 그물형 가두리인 표층 가두리를 포함하여 좁은 칸이 일렬로 배열된 기찻길 가두리 또는 내파성 가두리, 중층 가두리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어류뿐 만 아니라 연체동물이나 조개와 같은 패류, 갑각류 등의 양식이나 치패, 치하 및 치어의 육성에도 사용된다.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바다 표면 상부에 가두리틀이 부유하도록 설치하고, 그 틀 내부의 바다 속으로 어망이 위치한다. 어망은 그 상부에서 끈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가두리틀에 고정된다. 어망의 하부에는 로프를 연장하여 고정추를 고정시킨다. 어망의 내부는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의 활동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서 어류가 성장하게 된다. 가두리틀은 그 저면에 복수개의 부력물질을 필요한 만큼 고정시켜 부력에 의해 바다위로 뜰 수 있도록 한다. 가두리틀은 바다 표면에 부유한 4각형 형태로서 그 폭이 약 60cm~1m 정도이며 그 위로 사람이 걸어 다니면서 어망 속으로 사료를 공급하거나 기타 필요한 작업을 한다.
가두리틀은 목재(각목)와 쇠파이프를 못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4각형과 같은 일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되고, 이 가두리 틀이 수면 위에 부유하도록 스티로폴로 제작된 부자를 가두리틀 하부에 고정시킨다. 가두리틀의 상부에는 그 틀의 주변을 따라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는 구조로서, 그 틀 위를 걸어다니면서 사료 등을 공급하거나 어장 내부에서 양식되고 있는 어패류를 관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가두리틀은 목재 및 쇠파이프로 제작되기 때문에 파도가 심한 경우에 목재가 부러지며 부러진 목재들은 부패하여 연안을 오염시키고 있다.
또한, 해안에 인구가 증가하고, 양식장도 연근해에 집중되면서, 가정하수, 산업폐수, 양식사료 등으로 인하여 바다에 과도한 영양염류가 유입되어 연안 수질오염, 유해성 적조발생 및 패독 등을 발생시켜 양식장 자체만이 아니라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청정 지역인 외해(offshore)에서의 양식법이 제안된다.
외해에서의 양식은 육지의 지형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보호받는 연근해 양식과는 달리, 예를 들어 조류 또는 극심한 풍랑 등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외해 양식법 중 하나는 양식중에는 지형과 어종 등을 고려하여 가두리를 일정한 운용 수심까지 위치되도록 하고, 성어의 수확 또는 치어를 공급하거나, 가두리의 유지 보수 등과 같이 특정한 때만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하는 방법인 부침식 또는 침하식 방법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나타낸다.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는 상부(1) 및 하부(2)프레임(상, 하부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에는 양식생물의 사육이 가능하도록 가두리망(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부침 뜸(4) 및 예비부력 뜸(5)이 설치된다.
상기 부침 뜸 및 예비부력 뜸은 통상 고강도 PVC재질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 각 변에 1개씩 서로 대칭되게 시설하여 가두리 시설이 보다 균형있게 부침할 수 있도록 한다. 부침 뜸에는 상부에는 주배기 호스가 하부에는 주배수관이 부착되어 공기 압축기(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장치)에 의해 뜸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충입되면 부력을 갖게 되고 압축 공기를 배수하면 주배수관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어 가두리 시설에 중력(침강력)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부침식 가두리의 경우, 가두리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과정이나, 가두리가 수면에 떠 있을 때나 수중에 있을 때 등의 모든 조건에서 가두리의 형태 및 위치가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부상된 위치보다 침하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외력이 적게 걸리는지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부침을 조절하는 가두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947320호에 게재된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는 원형의 가두리틀과 상기 가두리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부력관으로 이루어져 부상과 침하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는 부력관이 둘레길이와 대응하는 것으로 가두리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해류에 의한 너울이 심하고 통상적인 부력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펠렌과 같은 유연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어 너울과 함께 휨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어장에 설치되는 가두리 장치는 어장의 거친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안정성 향상과 균형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력관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단위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의 상부에는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단위구조체의 결합을 보다 향상시키고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는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굴곡형 및 직선형 부력관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 틀구조 또는 림구조의 단위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에 관통 연결되는 ㄴ자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이 단위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데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력관은 직선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직선형 구조와 일정 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길이가 형성되는 굴곡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부력관의 일단과 결합 또는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및 크기로 형성되는 부력관 고정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은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고정공과 연결프레임 수용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력관 고정프레임은 부력관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관 구조의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 중심에는 만곡부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며, 격벽을 중심으로 양 단부에 돌출된 안착홈이 마련되고, 만곡부를 갖는 격벽에는 볼트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두 개의 가로부재가 일정거리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로부재를 세로부재가 연결하여 수평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수평프레임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재 최상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손잡이 프레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위구조체는 복수개의 부력관 및 브라켓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거나, 부력관 및 브라켓이 연결되어 일정길이로 결합된 단위 구조체가 하나 이상 이격 설치되어 전체 다각형 틀구조 또는 림구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하중 장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지고 상호 브라켓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류에 의한 롤링과 피칭에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된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가두리 부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단위구조체 및 연결프레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부력관 및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 측면 및 투시도와 브라켓과 부력관 결합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위구조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현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정치망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단위구조체 및 연결프레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부력관 및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 측면 및 투시도와 브라켓과 부력관 결합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위구조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현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정치망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와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사시도 및 저면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는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굴곡형부력관(310) 및 직선형 부력관(300)이 브라켓(200)을 매개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 또는 원형의 틀구조의 단위 구조체(100)를 형성한다.
연결프레임(400)은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가 연결되어 ㄴ자의 단면구조를 이룬다. 연결프레임은 상기 단위구조체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단위구조체를 고정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손잡이 또는 난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 수평부재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이 연결되어 데크부(500)가 형성되어 양식 및 어장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단위구조체 및 연결프레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의 부력관 및 브라켓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부력관(3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구조를 갖고 일정길이의 중공체로 부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poly etylen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력관은 직선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직선형과 일정 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길이가 형성되는 굴곡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굴곡형 부력관(310)은 단위 구조체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직선형 부력관(320)은 단위구조체의 변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위구조체는 90°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굴곡형 부력관이 4부분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4부분의 변을 하나 이상의 직선형 부력관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사각 틀구조의 단위구조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다각형 틀구조의 모서리에 굴곡형 부력관이 배치되고 상기 굴곡형 부력관들의 사이 공간에 직선형 부력관이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림(rim) 또는 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력관의 어느 한 측면에는 입수관(미도시)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출수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입수관에는 해수 밸브와 수중펌프 및 공기밸브가 설치되어 공기 또는 해수가 부력관 내부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출수관에는 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해수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부력관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브라켓(200)은 부력관의 일단과 결합 또는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및 크기로 형성되는 부력관 고정프레임(210)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20)은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고정공(221)과 연결프레임 수용공(222)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부력관 고정프레임(210)은 일정 길이의 파이프관 형상의 부력관 일단이 부력관 고정 프레임 내측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홈(211)이 격벽을 기준으로 양 단부에 마련되고, 부력관 고정 프레임 내측 중심에는 만곡 형태의 격벽(2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격벽에는 입수공(미도시) 또는 출수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 측면 및 투시도와 브라켓과 부력관 결합 모식도를 나타낸다. 상기 격벽과 고정프레임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인 융착식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틸렌의 특성상 동일 조건 및 환경이 형성되어 융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부력관 고정프레임은 부력관을 양 단부에 고정하여 일정 길이의 단위구조체를 형성한다. 부력관 고정프레임은 일단에는 부력관의 일단이 안착고정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격벽은 부력관 설치방향과 타향되도록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한다. 상기 만곡부는 수온 변화에 따라 부력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력관과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연결은 단일의 부력관이 안착홈의 내부로 원주 크기에 맞게 대응하여 삽입 고정(삽입 융착)되고 타향되는 안착홈에도 타 부력관이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은 삽입 융착 방법은 부력관과 부력관 고정프레임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기존 융착방법에 의한 연결에 비해 해류의 흐름에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단위 구조체는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안착홈에 부력관 일단이 안착홈 내부로 대응하여 고정되고, 타향하는 부력관 고정프레임에는 다른 하나의 부력관이 안착홈에 고정됨으로써 일정 방향으로 단위 구조체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부력관이 일체형이 아닌 브라켓을 매개로 하나 이상 연결됨으로써, 기존의 휨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됨은 물론, 일체형이 아닌 단위체의 연결로 해류에 따른 너울과 함께 움직임으로써 파급력을 소산시켜 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상부에 설치된 패널과 함께 설치된 구조물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지지프레임(220)은 부력관 고정프레임 양측에서 상부에 걸쳐 설치되고 부력관 고정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되어 살구조인 고정공(221)과 지지프레임 양단 측면에는 연결프레임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는 연결프레임 수용공(222)이 형성된다. 고정공은 조류가 유통됨으로 조류에 의한 수압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400)은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가 연결되어 ㄴ자의 단면구조를 이루고, 상기 수직부재 최상단에는 연결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평프레임은 두 개의 가로부재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로부재를 세로부재가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부재의 평행거리는 전술한 지지프레임의 연결프레임 수용공의 형성거리와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가로부재는 브라켓의 연결프레임 수용공 각각에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수직부재는 내측에 설치되는 가로부재 상측면에 하나 이상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직부재 최상부에는 연결프레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수직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프레임은 사각의 단위구조체 변 각각과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의 말단이 연결되어 단위구조체와 동일한 사각틀을 형성하며 이루어지나, 단위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연결프레임의 가로부재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고, 손잡이부는 장치에 작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고정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결프레임은 도금철 또는 알루미늄 도금된 철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재질은 해수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이다. 연결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단위구조체를 결속시키는 한편, 과도한 하중에도 브라켓의 휨현상을 방지하고, 데크부의 과도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보다 넓은 면적으로 작업대가 형성되는 경우 해수의 흐름에도 단위구조체 간의 연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는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굴곡형 및 직선형 부력관(300)과 상기 부력관 양단에는 브라켓(200)이 설치되어 단위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는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틀구조를 형성한다.
연결프레임은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가 연결되어 ㄴ자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연결프레임(400)이 틀구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수평부재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이 연결되어 데크부(500)가 형성되어 양식 및 어장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위구조체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력관 고정프레임에는 안착홈을 폐쇄할 수 있는 폐쇄프레임을 설치하여 해류 수압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폐쇄프레임은 부력관이 설치되는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수밀구조를 형성함으로서 부력관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폐쇄프레임이 형성되는 부력관 고정프레임은 만곡부를 갖는 격벽 방향의 외측 돌출 파이프가 제거되고 격벽 만곡부만 남긴 형태를 의미한다. 폐쇄프레임이 형성되는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만곡부에는 하나 이상의 높낮이 통공(115)을 형성하고 볼트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부력관은 입수관 및 출수관을 제외한 통공의 개폐로도 부력관 내부의 부력 조절이 가능하다. 부침조절시 공기 또는 해수를 입출하는 경우, 부력관 내부에 해수 또는 공기 위치가 달라져 침강과 부상 시에 균형을 잃을 수 있다. 통상 부침식 가두리의 경우 직경 50m의 크기 기준 가두리 본체의 침강 시 1°만 기울어지더라도 가두리 본체 자체가 기울어지는 높이는 양단이 약 1m정도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가두리 내부의 양식생물이 침강 시 장치와 부딪히면서 손상되거나 이탈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높낮이 통공은 부력관 양단 동시에 부력조절을 실시함으로써 수중에서 부력관이 수평으로 균형을 유지하면서 부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부침장치는 설치 위치에 따라서 수면 높낮이 조절이 필요하며 이때 양끝단의 통공을 통해 폐쇄프레임에 해수를 주, 배수하도록 하여 부침장치의 양끝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는 해수면에 부유 또는 부침이 필요한 양식장치 또는 어장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부침장치를 포함한다. 하기의 구현예에 따라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현예 1>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은 해중에서 양식생물이 입식되어 침식 또는 부상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부침장치와 하부프레임(미도시)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부침장치와 하부프레임을 가두리망(미도시)둘러싸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 및 가두리망은 통상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은 부침조절장치의 구조에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상, 하부프레임이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가두리망이 수중에서 전개되고 양식장치가 설치지역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 계류시설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 자체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식성 금속프레임 재질로 형성되어 가두리 양식장의 주요 무게를 담당할 수 있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서 하부 프레임에는 무게추를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침강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무게추의 추가는 가두리 본체가 수면에 부상하였을 때 가두리 전체의 부력이 중성부력+α가 되는 것이 적절하고, 상기 α의 부력은 가두리 본체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양성부력이 되며, 이는 후술 할 부침조절장치 내부에 해수가 충진될 시 무게추와 하부프레임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침강력보다 작은 부력값이 적절하다. 이에 침하 및 부상시에 가두리망은 전개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상 침하시 부력과 침강력의 편차 없이 매우 안정적인 침하 및 부상 작동이 가능하여 가두리망의 중첩이나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침하 또는 부상 작업시 양식어류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물론이고, 양식생물이 가두리 그물의 한 쪽으로 몰리면서 발생하는 어체의 손상 또한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양식 어류의 폐사와 상품가치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구현예 2>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정치망
도 9는 본 발명의 구현예 2에 따른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정치망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정치망은 발명에서 지칭하는 정치망은 함정 어법의 유도 어구로 자루 모양의 그물에 테와 깔때기 장치를 한 어구를 어도에 부설하여 대상 생물이 들어가기는 쉬우나 되돌아 나오기 어렵도록 한 어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가 설치된 정치망은 어군의 회유로를 차단하여 통그물로 유도하는 길그물과, 상기 통그물은 유도된 어군이 수용되는 헛통과, 상기 헛통에 유입된 어군이 비탈그물을 매개로 이동하여 어획된 생물이 최종 수집되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정치망부와;상기 원통에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장치(D)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정치망부 내부로 어획된 생물의 수확작업을 실시하는 공간부 제공 및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치망부는 정치망부는 어군의 회유를 차단하여 어군을 통그물로 유도하는 길그물(10)과 유도된 어군이 수용되는 헛통(21)과 상기 헛통에 유입된 어군이 비탈그물(23)을 매개로 이동하여 유도된 생물이 최종적으로 모이는 원통(22)으로 이루어지나, 통상적인 유도 어구류(정치망)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치망부의 원통은 어획된 생물들이 최종적으로 모이는 곳으로, 어류와 포유류는 길그물에 유도되어 정치망의 입구를 통해 입망한다. 어구와 연결된 헛통에서 배회하던 어류, 포유류 등은 비탈그물을 따라 원통으로 이동되며 비탈그물과 원통은 비탈경사의 낙차를 갖고 연결되어 원통으로 이동된 경우 다시 헛통으로 빠져나오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망은 정치망 어장 관리선에서 실시되고 어장관리선에 설치된 캡스턴에 배잡이줄을 감아올리면 원통이 수면상으로 드러나게 되며, 원통 측면에 배가 이동하여 어류의 도피를 차단하며 양망이 실시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탈그물의 입구를 배가 막아 어류의 도피를 차단하며 양망이 실시된다.
양망은 정치망 어장 관리선으로 실시한다. 정치망 어장 관리선에는 줄을 권사 및 권출하는 캡스턴 또는 사이드 드럼이 설치되고, 줄을 감은 후 어획물을 퍼 올리는 크레인 등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가두리 부침장치는 비탈그물과 대향하도록 원통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다목적 부침장치에는 조명과 CCTV가 설치되어 양망시 작업자의 시야확보와 어획된 생물의 수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정치망 원통은 수면과 바닥 및 양측면이 그물로 이루어지고 그물에는 파래 이끼 등이 부착되어 번식하는 경우 원통에 입망된 어류의 확인이 어장 관리선에서 양망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불가하였다.
본 발명의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가두리 부침장치는 정치망 원통과 연결하여 원통의 어획물을 관리함으로서 원통으로 입망된 어류가 자유롭게 가두리 장치에서 유영하는 어군 양을 CCTV로 확인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어장으로 작업선을 보내는 양망 작업회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원통을 양망하기 위한 작업공간의 한계가 있던 문제점을 가두리 장치를 부가함으로서 보다 다면적의 작업공간을 마련과 수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내구성이 우수하고 해류에 의한 문제점(피칭)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된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어업인의 작업 능률 향상에 보탬이 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 상부 프레임
2: 하부 프레임
3: 가두리망 4: 부침 뜸 5: 예비부력 뜸
100: 단위구조체 115: 높낮이 통공
200: 브라켓 210: 부력관 고정프레임
211: 안착홈 212: 격벽
220: 지지프레임 221: 고정공
222:연결프레임 수용공 300: 부력관
310: 굴곡형 부력관 320: 직선형 부력관
400: 연결프레임 500:데크부
D: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10: 길그물 21: 헛통
22: 원통 23:비탈그물
3: 가두리망 4: 부침 뜸 5: 예비부력 뜸
100: 단위구조체 115: 높낮이 통공
200: 브라켓 210: 부력관 고정프레임
211: 안착홈 212: 격벽
220: 지지프레임 221: 고정공
222:연결프레임 수용공 300: 부력관
310: 굴곡형 부력관 320: 직선형 부력관
400: 연결프레임 500:데크부
D: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 장치
10: 길그물 21: 헛통
22: 원통 23:비탈그물
Claims (5)
-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일정길이를 갖는 굴곡형 또는 직선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직선형 부력관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 틀구조 또는 림구조의 단위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에 연결되는 ㄴ자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이 단위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데크부(500)가 형성되어 작업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부침식 가두리장치
- 공기 및 해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굴곡형 또는 직선형 부력관(300)과 상기 부력관 양단에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단위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구조체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각형 또는 원형의 틀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에 연결되는 ㄴ자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이 단위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데크부(500)가 형성되어 작업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부침식 가두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부력관의 일단과 결합 또는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및 크기로 형성되는 부력관 고정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은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고정공과 연결프레임 수용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부침식 가두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두 개의 가로부재가 일정거리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로부재를 세로부재가 연결하여 수평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수평프레임 측면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재 최상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손잡이 프레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부침식 가두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관 고정프레임은 부력관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관 구조의 부력관 고정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 중심에는 만곡부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며, 격벽을 중심으로 양 단부에 돌출된 안착홈이 마련되고, 만곡부를 갖는 격벽에는 볼트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및 어장 관리용 부침식 가두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5284A KR20240113118A (ko) | 2023-01-13 | 2023-01-13 |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5284A KR20240113118A (ko) | 2023-01-13 | 2023-01-13 |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3118A true KR20240113118A (ko) | 2024-07-22 |
Family
ID=9217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5284A KR20240113118A (ko) | 2023-01-13 | 2023-01-13 |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13118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6663B1 (ko) | 2014-08-19 | 2016-06-13 | 임정석 | 부침식 양식장치 |
KR101639477B1 (ko) | 2014-07-14 | 2016-07-13 |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 부침식(浮沈式) 가두리 양식장 |
KR200491801Y1 (ko) | 2018-07-05 | 2020-06-08 | 최석진 | 먹이투입구가 형성된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
-
2023
- 2023-01-13 KR KR1020230005284A patent/KR2024011311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9477B1 (ko) | 2014-07-14 | 2016-07-13 |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 부침식(浮沈式) 가두리 양식장 |
KR101626663B1 (ko) | 2014-08-19 | 2016-06-13 | 임정석 | 부침식 양식장치 |
KR200491801Y1 (ko) | 2018-07-05 | 2020-06-08 | 최석진 | 먹이투입구가 형성된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23547B2 (ja) |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 |
JP7313436B2 (ja) | 海洋生物を養殖する船 | |
RU2738412C1 (ru) | Плавуч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азведения рыбы и водных экзоскелетных животных | |
US20190335720A1 (en) | Cage farming apparatus | |
KR101174864B1 (ko) | 어촌관광형 다영양입체양식장치 | |
KR102146159B1 (ko) |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 |
KR101845500B1 (ko) | 잠수형 가두리장치 | |
KR100831748B1 (ko) | 나팔관 고기굴층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강제어초 | |
JP2017176082A (ja) |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 |
CN111802292B (zh) | 一种深远海大型坐底式一体化养殖渔场 | |
KR101947319B1 (ko) |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 |
RU2765309C2 (ru) | Рыбная ферма, выполненная из жесткого материала | |
AU2017233540B2 (en) | Abalone farming apparatus and methods | |
CN109984070A (zh) | 一种玄武岩纤维制可分流升降内置仿礁石深海养殖网箱 | |
KR100308581B1 (ko) |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 |
WO2007125363A1 (en) | Fish enclosure | |
KR20240113118A (ko) |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 |
KR101947320B1 (ko) |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 |
KR100475500B1 (ko) | 가두리 양식장 | |
KR101767465B1 (ko) | 부력식 인공어초 | |
KR101316511B1 (ko) | 유속 저감형 배수로 양식장치 | |
RU2063132C1 (ru) | Сад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ракообразных или моллюсков | |
JP2004305042A (ja) | ヒラメ・カレイ等の底層魚類の海底養殖方法とその給餌方法 | |
CN210226562U (zh) | 一种玄武岩纤维制可分流升降内置仿礁石深海养殖网箱 | |
KR20130108494A (ko) | 어류 포획을 위한 그물 승강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