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292B1 -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292B1
KR101949292B1 KR1020170043021A KR20170043021A KR101949292B1 KR 101949292 B1 KR101949292 B1 KR 101949292B1 KR 1020170043021 A KR1020170043021 A KR 1020170043021A KR 20170043021 A KR20170043021 A KR 20170043021A KR 101949292 B1 KR101949292 B1 KR 10194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pool
present
pools
breakf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304A (ko
Inventor
김민석
황선완
유옥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4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6Artificial reefs or seaweed; Restoration or protection of cor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 및 인조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는 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부(몸통)를 포함하는 해중림 구조물; 및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도록 결착되는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에 결합되어 수중에서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하는 다수의 인조풀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MARINE AFFORESTATION SYSTEM AND ARTIFICIAL GRASS STRUCTURE FOR PREVENTING HERBIVORE INTERFERENCE IN SEAGRASS REEF}
본 발명은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 및 인조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갯녹음 해역은 연간 해조류 생산량이 4.4 ㎏/㎡/년, 대표적인 조식동물인 둥근성게의 평균 밀도가 30 개체/㎡로, 둥근성게의 연간 해조류 섭식량(72 ㎏/㎡/년 = 30 개체/㎡ × 6.6 g/개체/일 × 365일)의 6.1% 수준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며, 무절산호조류의 Epithallial sloughing Antifouling과 이들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Dibromomethane (CH2Br2)은 성게를 위집시킴으로써 해조류의 자연적 발생 및 번식에 어려움이 가중 되는 특성을 보인다.
갯녹음 해역에 해조숲을 조성하기 위하여 해중림초(seaweed reef)에 해조류를 이식하여 투하하는 방법과 자연적인 포자 가입(spore recruitment)을 유도하기 위하여 해중림초와 포자백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대표적인 해조류 섭식자인 성게의 접근을 억제하기 위한 수중저연승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조성된 해조숲은 성게류와 같은 초식자의 왕성한 섭식활동으로 수일 내에 황폐화 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므로 갯녹음 해역에 이식된 해조류가 바다숲을 형성하여 자연적인 가입을 위한 종자은행(seed bank)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여 건강한 연안생태계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성게류와 같은 조식동물의 섭식활동으로부터 해조류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해중림의 지속 성장을 위한 조식동물 진입방지장치의 다양한 구조를 통해 조식동물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인조풀이 결착부에 의해 결합되는 인조풀 구조물의 구조를 통해,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조식동물이 인조풀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풀을 다중 인조풀 구조로 구성하여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도록 하여 조식동물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탈락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풀의 표면에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을 형성하여, 보다 효과적인 성게 등의 조식동물의 회피 또는 퇴치 효과를 얻고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풀 구조물이 해중림 구조물의 기둥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조를 통해, 상기 인조풀 구조물이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상기 조식동물이 상기 인조풀 구조물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고,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하여, 해중림 구조물의 상부에 조성되는 해조류 등의 생태계를 성게 등의 조식동물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중림 구조물의 상부, 하단부 또는 가로 대상에 장애물을 부착하여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 하거나, 장애물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은 내부의 구조물에 결착되는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에 결합되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하는 다수의 인조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인조풀을 상기 구조물로부터 이격시키는 원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인조풀은 내측의 제1 겹 인조풀; 및 상기 제1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3 겹 인조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조풀에 형성되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는 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부를 포함하는 해중림 구조물; 및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도록 결착되는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에 결합되어 수중에서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하는 다수의 인조풀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인조풀을 상기 기둥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원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인조풀은 내측의 제1 겹 인조풀; 및 상기 제1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3 겹 인조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조풀에 형성되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조풀 구조물은,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1 인조풀 구조물과, 상기 제1 인조풀 구조물 아래에서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2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는 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부를 포함하는 해중림 구조물; 및 상기 기둥부의 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결착부와, 각 상기 결착부에 결합되어 수중에서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하는 다수의 인조풀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인조풀을 상호간에 이격시키는 원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인조풀은 내측의 제1 겹 인조풀; 및 상기 제1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3 겹 인조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조풀에 형성되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조풀 구조물은,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1 인조풀 구조물과, 상기 제1 인조풀 구조물 아래에서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2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중림의 지속 성장을 위한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의 다양한 구조를 통해 조식동물의 접근은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인조풀이 결착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조식동물이 인조풀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고,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조풀을 다중 인조풀 구조로 구성하여,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여 조식동물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조풀의 표면에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이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성게 등의 조식동물의 회피 또는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조풀 구조물이 해중림 구조물의 기둥부(몸체)를 감싸는 형태의 구조를 통해, 상기 인조풀 구조물이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상기 조식동물이 상기 인조풀 구조물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고,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하여, 해중림 구조물의 상부에 조성되는 해조류 등의 생태계를 성게 등의 조식동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중림 구조물의 상부 또는 가로대 상에 장애물을 부착하여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장애물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링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3겹 인조풀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착부가 구조물을 둘러싸는 형태의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결착부가 구조물에 부착되는 형태의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에서 인조풀 구조물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에서 인조풀 구조물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원형링을 포함하지 않는 인조풀 구조물과 원형링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대상으로, 조식동물(성게) 행동을 테스트한 실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120)은 결착부(121) 및 다수의 인조풀(122, 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착부(121)는 다수의 인조풀(122, 123)을 결합시키면서, 결착부(121)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물 상에 결착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착부(121)는 인조풀(122, 123)의 일단이 모아져서 결합되는 일 표면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인조풀(122, 123)의 타단은 방사형으로 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착부(121)의 다른 표면은 후술하는 구조물이나 그것의 기둥부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그것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인조풀(122, 123)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된다. 상기 인조풀(122, 123)은 조식 동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상기 조식동물이 상기 인조풀(122, 123)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기 인조풀(122, 123)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되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120)은 상기 인조풀(122, 123)이 내측의 제1 겹 인조풀(122)과 상기 제1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1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조풀(122, 123)이 제1 겹 인조풀(122)과 제2 겹 인조풀(123)의 다중 인조풀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조식동물의 경로를 상기 인조풀(122, 123)이 다중으로 방해하여 상기 조식동물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탈락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조풀(122, 123)의 표면에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은 천연소제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으로서, 상기 디테르펜(deterpene)은 해조류인 개그물바탕말 또는 참그물바탕말 등에서 발견된 화학물질이다.
상기 디테르펜(deterpene)은 성게에게는 섭식저해를 일으키는 물질로서, 상기 인조풀(122, 123) 상에 상기 디테르펜(deterpene)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생성함으로써, 성게 등의 조식동물의 회피 또는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120)은 결착부(121), 다수의 인조풀(122) 및 원형링(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의 실시예에서도 결착부(121)가 내부의 구조물에 결착되고, 상기 다수의 인조풀(122)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기 인조풀(122)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되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하며, 이때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원형링(125)이 상기 다수의 인조풀(122)을 가이드(guide) 한다. 상기 원형링(125)은 다수의 인조풀(122)이 더욱 방사형으로 뻗어지게 해서, 상기 인조풀(122)의 기울어짐 각도를 더욱 크게 함으로서, 조식동물이 올라오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원형링(125)은 하나 이상, 또는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형링(125)이 상기 인조풀(122)을 구조물로부터 이격시켜, 조식동물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120)은 결착부(121) 및 다수의 인조풀(122, 123, 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실시예에서도 결착부(121)가 내부의 구조물에 결착되고, 상기 다수의 인조풀(122, 123, 124)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된다.
상기 인조풀(122, 123, 124)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되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풀 구조물(120)은 상기 인조풀(122, 123, 124)이 내측의 제1 겹 인조풀(122), 상기 제1 겹 인조풀(12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123) 및 상기 제2 겹 인조풀(123)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3 겹 인조풀(1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조풀(122, 123, 124)이 제1 겹 인조풀(122), 제2 겹 인조풀(123) 및 제3 겹 인조풀(124)의 다중 인조풀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조식동물의 경로를 상기 인조풀(122, 123, 124)이 촘촘하게 다중으로 방해하여 상기 조식동물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탈락시킬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실시예에서도 인조풀(122, 123, 124)의 표면에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이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성게 등의 조식동물의 회피 또는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는 해중림 구조물(110) 및 인조풀 구조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해중림 구조물(110)은 바다 생태계의 보호 또는 복원을 위하여 해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해조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어류 등의 바다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중림 구조물(110)은 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부(111)를 포함하여, 상기 기둥부(111)에는 인조풀 구조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111)는 상기 해중림 구조물(110)을 지지하여 내부에 어류 등의 해양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중림 구조물(110)은 상기 다수의 기둥부(111) 간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대(112)를 포함하여, 상기 기둥부(111) 간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조풀 구조물(120)은 상기 기둥부(111)를 감싸도록 형태로 형성되어, 해중림 구조물(110)의 상부에 조성되는 해조류 등의 생태계를 성게 등의 조식동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풀 구조물(120)은 결착부(121)와 다수의 인조풀(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착부(121)는 기둥부(111)를 둘러싸도록 결착되며, 다수의 상기 인조풀(122)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되어 수중에서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할 수 있다.
상기 인조풀(122)은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상기 조식동물이 상기 인조풀(122)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조풀(122)은 내측의 제1 겹 인조풀, 상기 제1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 및 상기 제2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3 겹 인조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조풀(122)이 제1 겹 인조풀, 제2 겹 인조풀 및 제3 겹 인조풀의 다중 인조풀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조식동물의 경로를 상기 인조풀(122)이 촘촘하게 다중으로 방해하여 상기 조식동물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탈락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원형링이 상기 다수의 인조풀(122)을 가이드(guide)하여 인조풀(122)을 기둥부(111)로부터 이격시켜, 조식동물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조풀(122)의 표면에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이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성게 등의 조식동물의 회피 또는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중림 구조물(110) 상에는 장애물(141, 142)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141, 142)은 해중림 구조물(110) 상으로의 조식 동물의 유입을 차단 또는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솔 형태의 브러쉬 형태 또는 바닥 솔 형태로 구성되거나, 로프 형태의 어소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인조 해조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는 해중림 구조물(110) 및 인조풀 구조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도 인조풀 구조물(120)은 상기 기둥부(111)를 감싸도록 형태로 형성되나, 이때 다수의 상기 인조풀 구조물(120)이 해중림 구조물(110)의 기둥부(111)의 표면에 각각 다수가 부착되어, 해중림 구조물(110)의 상부에 조성되는 해조류 등의 생태계를 성게 등의 조식동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상기 인조풀(122)은 상기 결착부(121)에 결합되어 수중에서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할 수 있다.
상기 인조풀(122)은 조식동물의 경로를 방해하거나 상기 조식동물이 상기 인조풀(122) 상에 올라오는 경우, 조식동물의 무게에 의해 구부러져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부착되는 조식동물을 해류의 흐름에 의해 탈락시키는 등의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실시예에서도 상기 인조풀(122)이 제1 겹 인조풀, 제2 겹 인조풀 및 제3 겹 인조풀의 다중 인조풀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조식동물의 경로를 상기 인조풀(122)이 촘촘하게 다중으로 방해하여, 조식동물의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탈락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의 실시예에서도 원형링이 상기 다수의 인조풀(122)을 가이드(guide)하여 인조풀(122)을 기둥부(111)로 부터 이격시켜, 조식동물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인조풀(122)의 표면에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이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성게 등의 조식동물의 회피(도피) 또는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에서 인조풀 구조물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에서 인조풀 구조물이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조풀 구조물은,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1 인조풀 구조물과, 상기 제1 인조풀 구조물 아래에서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2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해중림 구조물의 기둥부에 2개 이상의 인조풀 구조물을 다단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배치하면 1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보다 조식동물의 진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원형링을 포함하지 않는 인조풀 구조물과 원형링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을 대상으로, 조식동물(성게) 행동을 테스트한 실험 사진이다.
먼저, 조식동물로는 성게를 이용하였고, 성게 행동 실험을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도 8 참조). 그리고, 원형링을 포함하지 않는 인조풀 구조물(도 9의 가운데 사진)과 원형링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도 9의 오른쪽 사진)을 대상으로, 조식동물(성게) 행동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링을 포함하지 않는 인조풀 구조물에서는 성게가 일부 부착되었지만, 원형링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에는 성게가 부착되지 않았다. 도 10은 실내 수조에서 성게가 올라가다가 바닥에 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10: 해중림 구조물
111: 기둥부
112: 가로대
120: 인조풀 구조물
121: 결착부
122, 123, 124: 인조풀
125: 원형링
141, 142: 장애물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부를 포함하는 해중림 구조물;
    상기 기둥부의 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결착부와, 각 상기 결착부에 결합되어 수중에서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유하는 다수의 인조풀을 포함하는 인조풀 구조물;
    상기 다수의 인조풀을 상호 간에 이격시키는 원형링; 및
    상기 다수의 인조풀에 형성되는 디테르펜(deterpene)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인조풀은 적어도 내측의 제1 겹 인조풀, 상기 제1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겹 인조풀, 및 상기 제2 겹 인조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3 겹 인조풀을 포함하고,
    상기 인조풀 구조물은, 적어도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1 인조풀 구조물과, 상기 제1 인조풀 구조물 아래에서 상기 기둥부에 부착되는 제2 인조풀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식동물 진입방지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43021A 2017-04-03 2017-04-03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KR10194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21A KR101949292B1 (ko) 2017-04-03 2017-04-03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21A KR101949292B1 (ko) 2017-04-03 2017-04-03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04A KR20180112304A (ko) 2018-10-12
KR101949292B1 true KR101949292B1 (ko) 2019-02-19

Family

ID=6387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21A KR101949292B1 (ko) 2017-04-03 2017-04-03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086B1 (ko) 2022-05-16 2022-09-22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바다숲 조성용 저연승 장치 시설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319A (ja) * 2001-10-01 2003-04-08 Shinki Kk 人工魚礁
JP4362583B2 (ja) * 2003-09-25 2009-11-11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ウニの這い上がりを防止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器具
KR101029295B1 (ko) * 2010-03-23 2011-04-20 이순이 조식동물 기어오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720A (ja) * 1997-11-01 1999-05-18 Okabe Co Ltd 海中林造成用構造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319A (ja) * 2001-10-01 2003-04-08 Shinki Kk 人工魚礁
JP4362583B2 (ja) * 2003-09-25 2009-11-11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ウニの這い上がりを防止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器具
KR101029295B1 (ko) * 2010-03-23 2011-04-20 이순이 조식동물 기어오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086B1 (ko) 2022-05-16 2022-09-22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바다숲 조성용 저연승 장치 시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04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9417B1 (en) Aquaculture fish pen with mortality trap
KR101737361B1 (ko) 해중림의 지속 성장을 위한 조식동물 침입방지 장치
US8635973B1 (en) Artificial mangrove assembly
JP5746545B2 (ja) 稚魚保護育成礁
JP3194157U (ja) 稚魚保護育成礁
KR101784306B1 (ko)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US20160100559A1 (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Casazza et al. A funnel trap modification for surface collection of aquatic amphibians and reptiles
KR101949292B1 (ko) 조식동물 진입방지용 인조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 시스템
JP4481251B2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CN100361902C (zh) 水质污浊防止方法及水流隔断墙
JP2007014305A (ja) 防護フェンス及びそれを用いた海底生物の防護方法
Shanij et al. Tree climbing and temporal niche shifting: an anti-predatory strategy in the mangrove crab Parasesarma plicatum (Latreille, 1803)
KR100724281B1 (ko) 하천의 친환경적인 어류보호 구조물
JP2005040121A (ja) 海底設置型網構造物を使用したオニヒトデからのサンゴの食害防止法
Fusi et al. How Seagrasses Secure Our Coastlines
KR100607883B1 (ko) 탄소수초블록을 이용한 습지 연못 복원 구조
Jewell Exploring Wild South Florida: A Guide to Finding the Natural Areas and Wildlife of the Southern Peninsula and the Florida Keys
EP3912463A1 (en) Underwater device for submersible artificial fish habitat and use thereof
JP5238151B2 (ja) 藻場造成用構造物
Falls The survival benefit of benthic macroalgae Gracilaria vermiculophylla as an alternative nursery habitat for juvenile blue crabs
Strong Beavers: Nature’s Wetland Ecosystem Engine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