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476Y1 - 소라 포획구 - Google Patents

소라 포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476Y1
KR200411476Y1 KR2020050036222U KR20050036222U KR200411476Y1 KR 200411476 Y1 KR200411476 Y1 KR 200411476Y1 KR 2020050036222 U KR2020050036222 U KR 2020050036222U KR 20050036222 U KR20050036222 U KR 20050036222U KR 200411476 Y1 KR200411476 Y1 KR 200411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ch
plate
bottom plat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식
Original Assignee
박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식 filed Critical 박연식
Priority to KR2020050036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4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라 포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에 넓게 펼쳐진 전개 상태로 소라를 유인하여 소라의 포획시 측판을 동시에 기립하여 전후 좌우를 완전히 막음으로써, 완벽한 포획이 이루어지게 하여 대량의 소라를 한번에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소라 포획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중앙이 빈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저면프레임과 상기 저면프레임의 중앙을 막는 저면그물로 구성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의 전후 좌우의 일단과 기립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면판의 저면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중앙이 빈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중앙을 막는 측면그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단이 저면판의 저면프레임 일단과 연결되어, 소라의 유인시 누운 전개 상태로 있다가 소라의 포획시 상기 저면판과 직각을 이루면서 사각 박스 형태의 측면과 같이 기립되어 소라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기립이 이루어지도록 측판의 기립시 측면프레임의 상측 부위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소라, 통발, 패류, 프레임, 그물, 포획구

Description

소라 포획구 {Spiny turban shell captured tool}
도 1은 종래의 통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저면판 11:저면프레임 12:저면그물
20:측판 21:측면프레임 22:측면그물
30:로프 40:연결링 50:소라
60:미끼 70:보조그물 80:지지대
90:스프링
본 고안은 소라 포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에 넓게 펼쳐진 전개 상태로 소라를 유인하여 소라의 포획시 측판을 동시에 기립하여 전후 좌우를 완전히 막음으로써, 완벽한 포획이 이루어지게 하여 대량의 소라를 한번에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소라 포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라는, 원시 복족목에 속하며 다른 family 와 구분되는 특징은 신장이 오른쪽에 있으며, 호흡공으로 열구를 1개와, 양설형의 치설 및 석회질의 뚜껑(operculum)을 갖고 있으며 Turbo cornutus 란 이명을 갖는 것으로서, 패각 표면에 뿔모양의 돌기가 발달 되어 있다.
그리고 서식처의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파도의 정도에 따라 돌기가 발달되거나 퇴화되고 내만의 파도가 약한 곳에 서식하는 경우 돌기가 없거나 끝에 약간 있는 정도이다.
일반생태학적 특성은 초식성 grazer로서, 머리 중앙 부분에 치설 (radula)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하여 해조류를 갉아먹고 자연상태에서 군집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간대 ~ 조하대 20m 까지 분포하며 바위에 붙거나 골 틈에서 서식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 부산, 남해도, 울릉도, 거문도, 소흑산도까지 분포하며, 일본, 대만, 중국, 홍콩에도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섭식 활동은 일몰 약 2시간 정도 후에 가장 활발하며, 먹이생물로 미역, 감태, 모자반등의 갈조류가 주이고, 그 외 홍조, 석회조류, 저서성 규조류(benthic diatom) 등을 섭취한다.
성장속도는 1년 성장시 각고 16 ~ 24mm, 2년 후 42 ~ 60mm 정도로 성장하고 성장 적수온은 16 ~ 30℃ 정도이다.
한편, 이러한 소라는 육질이 쫄깃쫄깃하여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 면에서도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한다.
그리고 양식 소라 보다는 자연산 소라의 맛과 영양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연산의 소라는 해녀들에 의해 포획이 이루어지므로 가격이 비싸고 많은 량의 소라를 포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량의 소라(130)를 포획할 수 있는 통발(100)이 2004년 5월 10일자로 출원되어 2004년 7월 23일자 실용신안등록 제357910호로 등록된 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 하측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처지도록 형성되는 그물(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측으로 연결되어 지지프레임(11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들어올려 지도록 하는 로프(16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중심부(110)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미끼(170)가 수납되는 미끼수납망(1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발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소라를 포획하기 위해 통발을 들어올릴 경우 흔들림이나 부딪침에 의해 포획된 소라가 통발 밖으로 떨어지는 등 소라의 완벽한 포획이 힘들고 대량의 소라를 포획하기에는 여전히 문제점 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해저에 넓게 펼쳐진 전개 상태로 소라를 유인하여 포획시 측판을 동시에 기립하여 전후 좌우를 완전히 막아 소라가 빠져나갈 공간이 없는 완벽한 포획이 이루어지게 하여 대량의 소라를 한번에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소라 포획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이 빈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저면프레임과 상기 저면프레임의 중앙을 막는 저면그물로 구성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의 전후 좌우의 일단과 기립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면판의 저면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중앙이 빈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중앙을 막는 측면그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단이 저면판의 저면프레임 일단과 연결되어, 소라의 유인시 누운 전개 상태로 있다가 소라의 포획시 상기 저면판과 직각을 이루면서 사각 박스 형태의 측면과 같이 기립되어 소라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기립이 이루어지도록 측판의 기립시 측면프레임의 상측 부위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면판의 일단과 측판의 일단의 연결시 측판의 기립이 용이하도 록 연결링에 의해 저면판과 측판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면판과 연결되는 측판의 폭을 저면판과 동일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측판의 기립시 소라가 빠져나갈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완벽한 소라 포획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면그물 및 측면그물에는 껍질을 깨어 육질이 일부 드러난 채로 철사에 일렬로 꿰어진 조개류 등의 미끼를 부착하여, 소라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에 보조그물을 설치함으로써 소라의 포획을 위해 측판을 기립시 상기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의 틈을 통해 소라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 더욱 많은 소라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면프레임의 중앙에는 지지대를 십자형태로 설치고 측면프레임의 중앙에는 일자 형태의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저면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대 및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대의 연결부위를 스프링으로 각각 연결함으로써, 로프를 당겼을 때 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측판이 기립되고 로프를 놓으면 신장되었던 스프링의 수축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기립된 상태의 측판이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라 포획구는 사각 형태의 저면판(10)과, 상기 저면판(10)의 전후 좌우 일단과 기립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측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면판(10)은 소라 포획구의 저면을 구성하는 구성부재로서, 중앙이 빈 사각형태의 저면프레임(11)과, 상기 저면 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는 저면그물(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면프레임(11)은 사각 또는 원형 봉을 사각 형태로 용접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면그물(12)은 일반적인 어패류의 포획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망목 형태가 다이아몬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PE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면그물(12)의 그물눈의 크기는 완전히 성장한 소라(50)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미성숙된 소라(50)는 자유로이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무분별한 미성숙 소라(50)의 남획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판(20)은, 저면판(10)과 동일한 사각형태로 형성되면서 저면판(10)의 전후 좌우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이 빈 사각형태의 측면프레임(21)과 상기 측면프레임(21)의 중앙의 공간에 설치되는 측면그물(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21)은 상기 저면판(10)의 저면프레임(11)과 폭을 동일하게 한 다음 저면판(10)의 일단과 연결 설치함으로써, 측판(20)의 기립시 포획된 소라(50)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을 완벽히 차단하여 완벽한 소라(50)의 포획이 이루어지게 한다.
물론, 상기 측면그물(22)은 저면판(10)의 저면그물(12)과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망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면판(10)과 측판(20)의 연결시 측판(20)의 기립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연결링(40)을 사용하여 저면판(10)과 측판(2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링(40)은 링 형태로 저면프레임(11)과 및 측면프레임(21)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20)의 일단 즉, 측판(20)의 기립시 상측이 되는 부위에 로프(30)를 연결하여 소라(50)의 유인시에는 측판(20)이 누운 전개 상태로 대기하다가 소라(50)의 포획시에는 로프(30)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저면판(10)과 직각을 이루는 기립 상태가 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저면그물(12) 및 측면그물(22)에는 껍질을 깨어 일부 육질이 드러난 채로 철사에 일렬로 끼워진 조개류 등의 미끼(60)를 부착하여 소라(50)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21)과 측면프레임(21) 사이에는 보조그물(70)을 설치하여 소라(50)의 포획을 위해 측판(20)을 기립시 측면프레임(21)과 측면프레임(21) 사이의 틈을 통해 소라(5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면프레임(11)의 중앙에는 지지대(80)를 십자 형태로 부착하고 측면프레임(21)의 중앙에는 지지대(80)를 일자 형태로 부착하여 저면프레임(11)과 측면프레임(2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면프레임(11)의 지지대(80)와 측면프레임(21)의 지지대(8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스프링(90)을 각각 연결 설치함으로써, 로프(30)를 당기면 스프링(90)이 신장되면서 측판(20)이 기립되고 로프(30)를 놓으면 신축되었던 스프링(90)의 수축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측판(20)이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라 포획구는, 저면판(10)의 전후 좌우로 연결된 측판(20)의 기립 작동에 의해 소라(50)를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소라(50)의 포획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의 소라 포획구를 해저에 투입한다.
이때, 측판(20)은 누운 상태이며, 저면그물(12) 및 측면그물(22)에는 껍질을 파손하여 육질이 일부 드러난 상태로 철사에 끼워진 조개류 등의 미끼(60)가 부착되어 소라(50)를 유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라(50)가 저면그물(12) 및 측면그물(22)에 설치된 미끼(60)에 유인되어 저면그물(12) 및 측면그물(22)의 포획공간 내에 들어오는 순간 로프(30)를 상측으로 당기면 저면판(10) 전후 좌우로 연결된 측판(20)이 동시에 기립되면서 소라(50)의 포획이 순식간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판(20)이 저면판(10)을 중심으로 전후 좌우에서 동시에 기립되고, 포획구 내의 소라(50)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측판(20)과 측판(20) 사이에는 보조그물(70)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소라(50)의 완벽한 포획과 더불어 대량의 소라(50)를 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저면그물(12) 및 측면그물(22)의 망목이 성숙 된 소라(50)만을 포획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미성숙된 소라(50)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소라(50)의 씨를 말리는 등의 해양자원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프(30)를 당기면 스프링(90)이 신장 된 상태로 측판(20)이 기립되고 반대로 로프(30)를 놓으면 소라(50)의 포획을 위해 기립 되었던 측판(20)들이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위해 순식간에 펼쳐지게 되므로 측판(20)의 작동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소라 포획구는 소라(50)의 포획은 물론 각종 조개류의 포획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라 포획구는 측판의 기립 작동에 의해 대량의 소라를 한번에 완벽하게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판이 사각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소라를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중앙이 빈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저면프레임과 상기 저면프레임의 중앙을 막는 저면그물로 구성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의 전후 좌우의 일단과 기립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면판의 저면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로 중앙이 빈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중앙을 막는 측면그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단이 저면판의 저면프레임 일단과 연결되어, 소라의 유인시 누운 전개 상태로 있다가 소라의 포획시 상기 저면판과 직각을 이루면서 사각 박스 형태의 측면과 같이 기립되어 소라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기립이 이루어지도록 측판의 기립시 측면프레임의 상측 부위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 포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의 일단과 측판의 일단의 연결시 측판의 기립이 용이하도록 연결링에 의해 저면판과 측판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 포획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과 연결되는 측판의 폭을 저면판과 동일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측판의 기립시 소라가 빠져나갈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완벽한 소라 포획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소라 포획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그물 및 측면그물에는 껍질을 깨어 육질이 일부 드러난 채로 철사에 일렬로 꿰어진 조개류 등의 미끼를 부착하여, 소라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 포획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에 보조그물을 설치함으로써 소라의 포획을 위해 측판을 기립시 상기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의 틈을 통해 소라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 더욱 많은 소라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소라 포획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프레임의 중앙에는 지지대를 십자형태로 설치고 측면프레임의 중앙 에는 일자 형태의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저면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대 및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대의 연결부위를 스프링으로 각각 연결함으로써, 로프를 당겼을 때 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측판이 기립되고 로프를 놓으면 신장되었던 스프링의 수축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기립된 상태의 측판이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 포획구.
KR2020050036222U 2005-12-23 2005-12-23 소라 포획구 KR200411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222U KR200411476Y1 (ko) 2005-12-23 2005-12-23 소라 포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222U KR200411476Y1 (ko) 2005-12-23 2005-12-23 소라 포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476Y1 true KR200411476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222U KR200411476Y1 (ko) 2005-12-23 2005-12-23 소라 포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4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423B1 (ko) * 2014-12-23 2015-07-31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조식동물 포획장치
KR20160108642A (ko) 2015-03-04 2016-09-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423B1 (ko) * 2014-12-23 2015-07-31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조식동물 포획장치
KR20160108642A (ko) 2015-03-04 2016-09-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rner Food and feeding mechanisms: Ophiuroidea
Morton Partnerships in the sea: Hong Kong's marine symbioses
Lee et al. Effects of biogenic structure on prey consumption by the xanthid crabs Eurytium limosum and Panopeus herbstii in a salt marsh
Proctor et al. Subphylum Chelicerata, Class Arachnida
MacGinitie Movements and mating habits of the sand crab, Emerita analoga
Priyambodo et al. The effect of trap type and water depth on puerulus settlement in the spiny lobster aquaculture industry in Indonesia
KR101196469B1 (ko) 두족류 양식장치
Hair et al. The use of wild-caught juveniles in coastal aquaculture and its application to coral reef fishes
Hill et al. Freshwater ornamental fish commonly cultured in Florida
KR200411476Y1 (ko) 소라 포획구
UCHIDA SOME ECOLOGICAL OBSERVATIONS ON WATER MITES Fourteen Figures
High The giant Pacific octopus
CN205596935U (zh) 工厂化养殖银鲳捕获网具
JP4734990B2 (ja) 二枚貝成熟卵磨砕物の添加による二枚貝浮遊幼生飼育法
CN106614424A (zh) 松江鲈鱼高效无损伤捕捉装置
KR101634351B1 (ko) 탈착식 패류 채묘장치
KR101193601B1 (ko) 버타입 두족류 양식장치
Calado et al. Marine ornamental decapods—Collection, culture, and conservation
KR100466014B1 (ko) 패류를 어초로 유인하여 양식 채취하는 장치
CN205596899U (zh) 银鲳仔稚鱼培育用投饵筐
CN103583489A (zh) 一种新型有效的醉鱼丸
Alderton Cichlids: Understanding Angelfish, Oscars, Discus, and Others
CN104041432B (zh) 海珍品底播方法及其专用底播装置
Walters et al. The world of animals
Teitelbaum et al. Seahorses: Trade, aquaculture and their long-term outlook in New Caledo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