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92B1 -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 Google Patents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92B1
KR101539092B1 KR1020140023453A KR20140023453A KR101539092B1 KR 101539092 B1 KR101539092 B1 KR 101539092B1 KR 1020140023453 A KR1020140023453 A KR 1020140023453A KR 20140023453 A KR20140023453 A KR 20140023453A KR 101539092 B1 KR101539092 B1 KR 10153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ayer
knitted fabric
fabric
fixed lay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재
Original Assignee
아성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성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성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6Devices for printing, coating, or napping knitt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모형성시 응력을 받는 침포의 지지력이 상실되지 않고 대응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층의 상부로 접착 고정되는 제2고정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층의 하부측에서 관통해 제2고정층의 상부로 단위침이 직립 노출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침포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층의 하부면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층을 접착하여 구성하여; 고무층으로 침포를 지지함으로써 기모 형성후 침포의 직립상태를 유지 복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Brush structurefor brushing machine}
본 발명은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모형성시 응력을 받는 침포의 지지력이 상실되지 않고 대응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중 기모를 형성하는 의류 원단은 원단포지와 상기 원단포지 상부에 식재된 원사로 구성되는데, 상기 원사는 최초 제작되면 고리 형태로 엮어 있으므로 고리사라고도 명명되기도 한다. 이렇게 엮여 있는 고리사는 기모기에 장착되는 침포 드럼를 이용하여 엮음부분을 절단하여 기모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고리사의 엮인 부분을 잘라내는 기모기 및 롤러는 종래에 이미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43886호 및 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1990-0004413호가 그 일예이다.
이러한, 종래의 침포 드럼는 롤러 표면에 거치름부가 형성되고, 이 표면을 따라 침포가 회권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모기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단포지는 텐션롤러와 안내 롤러에 의해 장력을 지니도록 지지되며, 침포 드럼와 압압구 사이에 위치됨과 동시에 구동롤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침포 드럼 상부에는 압압구가 구비되어져 원단포지를 침포 드럼에 근접시켜 놓고 있으며, 원단포지가 구동롤러의 작동으로 인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될 때 침포 드럼는 1000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동되면서 엮음사의 엮인 부분을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침포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원단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리사의 엮임 부분에 걸려 고리사가 절단되면서 기모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고리사의 엮임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침포로울러의 표면에 침포부재를 부착하여 이용하였으나 침포부재는 부직포에 침포가 촘촘히 결합된 형태로써 장시간 사용하였을 경우 침포가 결합된 부직포 결합 부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침포가 로울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눕혀져 고리사의 엮임 부분을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번호 제10-0842765호 (러빙포용 브러쉬 장치) 2. 등록번호 제10-0745556호 (기모기용 해모 롤러) 3. 공고번호 실1983-0002404호 (기모 침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모의 형성시 고리사의 절단 대응력에 대한 지지력이 일정하고 침포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무층으로 침포를 지지함으로써 기모 형성후 침포의 직립상태를 유지 복원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모장치의 침포드럼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니트환편원단에 기모를 형성하는 침포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층의 상부로 접착 고정되는 제2고정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층의 하부측에서 관통해 제2고정층의 상부로 단위침이 직립 노출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침포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층의 하부면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층을 접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모의 형성시 고리사의 절단 대응력에 대한 지지력이 일정하고 침포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무층으로 침포를 지지함으로써 기모 형성후 침포의 직립상태를 유지 복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에서 도면 a는 종래의 침포구조를 이용하여 환편원단에 기모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도, 도면 b는 장시간 기모 형성으로 인해 침포가 눕혀진 문제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의 사시도,
도 3에서 도면 a는 본 발명에 따른 침포구조를 이용하여 환편원단에 기모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도, 도면 b는 장시간 기모 형성으로 하더라도 고무층에 의해 침포가 지지되어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포부재의 단위침의 끝단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구조가 적용되는 일 예의 기모기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는 기모장치의 침포드럼(10)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니트환편원단에 기모를 형성하는 침포에 관한 것으로, 제1고정층(20)과 제2고정층(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고정되는 침포(40)와, 상기 침포(40)가 결합된 제2고정층(3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층(50)으로 침포부재(100)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침포부재(100)는 별도의 기모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간단히 기모장치를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설명하는 상기 기모 장치는 회전 실린더, 침포 드럼들, 탄성 롤러들 및 안내 롤러들을 포함하고, 환편원단을 이송시켜 그 표면에서 보풀을 일으키는 기모 처리를 구현한다. 여기서, 환편원단은 탄성 롤러와 안내 롤러에 감겨 이송되고, 회전 실린더와 침포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기모 처리된다.
이때, 상기 침포부재(100)의 구성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층(20)의 상부로 접착 고정되는 제2고정층(30)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고정층(30)은 고무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층(20)의 하부측에서 관통해 제2고정층(30)의 상부로 단위침(41)이 직립 노출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침포(40)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침포(40)는 전체적으로 디귿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제1,2고정층(20)(30)을 관통하는 한 쌍의 단위침(41)과 상기 단위침(41)과 단위침(41)이 연결되는 연결단(4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단위침(41)은 침포드럼(10)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끝단이 구부러지는 절곡단(4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단(42)은 일정한 경사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환편원단(200)에 직조된 고리사(201)의 엮임부분을 절단할 때 고리사(201)의 저항력에 최대한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고정층(20)의 하부면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층(50)을 접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3고정층(50)은 천의 형태로써 침포(40)의 연결단(43)을 제1고정층(20)에 밀착시키면서 견고하게 결합하는 기능의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포부재(100)의 제1,2,3고정층(20)(30)(50)은 길이가 긴 밴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침포드럼(10)의 외주면과 제3고정층(50)을 접착고정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감아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침포드럼(10)은 작업의 특성에 따라 개수를 조절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침포드럼(10)들은 회전 실린더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회전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공전하고, 개별적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자전한다.
또한, 상기 침포드럼(10)의 단위침(41)들이 침포드럼(10)의 자전 및 공전에 의해 사이클로이드(cycloid) 곡선 운동하여 환편원단의 표면에 삽입된다. 이때, 단위침(41)들은 빗과 같이 작용하여 환편원단(200)의 고리사(201)의 표면을 긁거나 절단, 뽑아내어 보풀을 일으키고 정돈하다.
아울러, 상기 단위침(41)의 끝단은 침포드럼(1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을 향해 구부러져 있어 단위침(41)의 끝단이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환편원단(200)의 표면에 더 깊게 삽입되며 고리사(201)를 긁거나 절단할 때 절단 저항력에 대한 반발력이 증대되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층(30)은 고무로 형성되어 있어 단위침(41)들이 환편원단(200)의 고리사(201)를 긁을 때 침포드럼(10)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으로 눕혀졌다 고리사(201)를 절단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다음 작업을 위한 작동 준비과정이 빠르며 절단 및 긁음 효율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침포드럼 20 : 제1고정층
30 : 제2고정층 40 : 침포
41 : 단위침 42 : 절곡단
43 : 연결단 50 : 제3고정층
100 : 침포부재

Claims (3)

  1. 기모장치의 침포드럼(10)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니트환편원단에 기모를 형성하는 침포(40)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층(20)의 상부로 접착 고정되는 제2고정층(30)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층(20)의 하부측에서 관통해 제2고정층(30)의 상부로 단위침(41)이 직립 노출되도록 침포(40)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층(20)의 하부면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층(50)을 접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고정층(30)은 고무재질로 구성하며, 상기 침포(40)는 디귿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제1,2고정층(20)(30)을 관통하는 한 쌍의 단위침(41)과 상기 단위침(41)과 단위침(41)이 연결되는 연결단(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고정층(50)은 천의 형태로써 침포(40)의 연결단(43)을 제1고정층(20)에 밀착시키면서 견고하게 결합하는 기능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침(41)은 침포드럼(10)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끝단이 구부러지는 절곡단(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3. 삭제
KR1020140023453A 2014-02-27 2014-02-27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KR10153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53A KR101539092B1 (ko) 2014-02-27 2014-02-27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53A KR101539092B1 (ko) 2014-02-27 2014-02-27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092B1 true KR101539092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453A KR101539092B1 (ko) 2014-02-27 2014-02-27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5678A (zh) * 2022-08-22 2022-11-08 绍兴达伽马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新型辊筒拉毛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82U (ja) * 1991-06-28 1993-01-26 金井 宏之 ハイパイル針布
JPH055881U (ja) * 1991-06-28 1993-01-26 金井 宏之 ハイパイル針布
JPH0740778U (ja) * 1993-12-28 1995-07-21 金井 宏之 起毛針布
JP2012117199A (ja) * 2006-04-07 2012-06-21 Truetzschler Gmbh & Co Kg カードフラット用被覆部のための針布用支持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82U (ja) * 1991-06-28 1993-01-26 金井 宏之 ハイパイル針布
JPH055881U (ja) * 1991-06-28 1993-01-26 金井 宏之 ハイパイル針布
JPH0740778U (ja) * 1993-12-28 1995-07-21 金井 宏之 起毛針布
JP2012117199A (ja) * 2006-04-07 2012-06-21 Truetzschler Gmbh & Co Kg カードフラット用被覆部のための針布用支持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5678A (zh) * 2022-08-22 2022-11-08 绍兴达伽马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新型辊筒拉毛机
CN115305678B (zh) * 2022-08-22 2023-09-19 绍兴达伽马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辊筒拉毛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1896C2 (ru) Велюровый ковер с поверхностью, подоб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тафтингового ковра
EP1496144A1 (en) Pile cloth for cleaning
JP2022034507A (ja) 吸湿ループパイルポリエステルカーペ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0455A (ko) 체결성 직물 구조
JP5995854B2 (ja) 人間または動物の身体に付けるための包帯
KR101539092B1 (ko) 니트환편원단의 기모형성용 침포 구조
WO2018096791A1 (ja) 針布の製造方法
US2854286A (en) A method of manufacture of buffing disks and bonnets
US2294245A (en) Polishing belt
US308150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US3981040A (en) Wet mop construction having pile fabric mopping element
CN105980107B (zh) 具有交织缝的双面抛光垫
US3255496A (en) Methods of producing perforated nonwoven fabric
PT1941092E (pt) Correia agulhada com elevada espessura e elasticidade
CN113226568B (zh) 用于涂料辊套的多孔织物或套筒覆盖物
US2831525A (en) Tufter
JPH08504002A (ja) 毛羽立て装置及び布地毛羽立て機
JP6282590B2 (ja) 編物又は織物材料に柔軟性を持たせる器具
US2160989A (en) Process of treating yarns and fabrics made therefrom
US332586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erforated nonwoven fabric
CN210871357U (zh) 家庭或工业清洁用品
CN108792807A (zh) 一种便于绕线的纺织物设备
JPS626155Y2 (ko)
JP3231249U (ja) 敷物用パイル材
KR100281719B1 (ko) 주방용 항균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