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081B1 - 잔압 배기 밸브 - Google Patents

잔압 배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081B1
KR101538081B1 KR1020147006345A KR20147006345A KR101538081B1 KR 101538081 B1 KR101538081 B1 KR 101538081B1 KR 1020147006345 A KR1020147006345 A KR 1020147006345A KR 20147006345 A KR20147006345 A KR 20147006345A KR 101538081 B1 KR101538081 B1 KR 10153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n
cam ring
operating portion
residu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588A (ko
Inventor
마사유키 오키쯔
가즈히로 마쯔시타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combined with manually-controlled valves, e.g. a valve combined with a safet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 F16K31/5286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comprising a sliding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794With relief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잔압 배기 밸브(10)의 몸체(12, 14) 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포트(20, 22, 24) 사이의 압력유체의 유통 상태는 밸브 기구(16)의 밸브 플러그(90)에 의해 전환된다. 몸체(12, 14)와 밸브 기구(16)를 구동하는 조작부(18) 사이에서, 전환 수단은 조작부(18)의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여 밸브 플러그(90)에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다. 전환 수단은 밸브 플러그(90) 내에 삽입되는 핀(92)을 포함하는 원통형 캠 링(68)과, 핀(92)을 안내하는 경사 홈(78a, 78b)으로 이루어진다. 캠 링(68)은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는 2개의 분할체(72a, 72b)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잔압 배기 밸브 {RESIDUAL PRESSURE RELEASE VALVE}
본 발명은, 압력유체 공급원과 유체압 기기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압 기기 측에 잔존하는 압력을 배기하는 것이 가능한 잔압 배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압력유체를 공급하는 압력유체 공급원과 압력유체의 공급 작용하에 구동하는 유체압 기기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유체 공급원과 상기 유체압 기기와의 사이에 잔존하는 압력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잔압 배기 밸브를 제안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45985호 참조).
본 발명은,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잔압 배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력유체가 공급 및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와 연통 챔버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포트에 연통하는 제3 포트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포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압력유체의 유통 상태(flow-through condition)를 전환하기 위한 밸브 플러그를 가지는 밸브 기구와, 상기 밸브 기구를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잔압 배기 밸브는, 상기 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서 조작부의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밸브 플러그에 전달하는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밸브 플러그에 삽입된 핀과, 상기 핀을 안내하는 경사 홈을 가지는 원통형의 캠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 링은 반경 방향으로 서로 분할될 수 있는 2개의 분할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기구를 구동시키는 조작부와 몸체와의 사이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의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밸브 기구의 밸브 플러그로 전달하는 변환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변환 수단은, 밸브 플러그에 삽입된 핀을 안내하는 경사 홈을 포함하고,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캠 링을 포함한다.
따라서, 캠 링을 몸체에 대해서 조립할 때, 둘로 분할된 분할체를 상기 몸체의 외주측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접근시켜 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캠 링을 상기 몸체에 대해서 간편하고 확실히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에 따라 잔압 배기 밸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캠 링에는,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조작부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후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몸체에는, 몸체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캠 링은 수지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된 그리고 또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예로서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잔압 배기 밸브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잔압 배기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잔압 배기 밸브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잔압 배기 밸브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잔압 배기 밸브에 대해 핸들을 90ㅀ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와 같이 핸들을 회전시켜, 제2 포트와 배기 포트를 연통시킨 배기 상태를 나타내는 잔압 배기 밸브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압 배기 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재번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잔압 배기 밸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압 배기 밸브(10)는,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상부에 연결되는 보닛(몸체)(14)과, 상기 몸체(12) 및 보닛(14)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 기구(16)와, 상기 보닛(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조작부)(18)을 포함한다.
몸체(12)에는, 일측부에 개구되어 도시하지 않은 유체압 기기가 접속되는 제1 포트(20)와, 타측부에 개구되어 도시하지 않은 다른 유체압 기기가 접속되는 제2 포트(22)와, 상기 제1 및 제2 포트(20, 22)에 직교하도록 하부(화살표 A 방향)로 개구된 배기 포트(제3 포트)(24)와, 상기 제1 및 제2 포트(20, 22), 배기 포트(24)에 각각 연통하는 연통 챔버(26)를 구비한다. 즉, 이 잔압 배기 밸브(10)는, 몸체(12)에 제1 및 제2 포트(20, 22), 배기 포트(24)를 가진 3-포트 밸브이다.
제1 및 제2 포트(20, 22)는, 몸체(12)의 축선과 직교하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각각 개구되고, 제1 및 제2 포트(20, 22)의 근방에는, 제1 및 제2 포트(20, 22)와 연통하는 개구부(3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착부(28a, 28b)(도 1 참조)가 각각 형성된다. 이 부착부(28a, 28b)는, 몸체(12)에 대해서 접속부재 등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유체압 기기가 연결될 때에 이용된다.
연통 챔버(26)는, 몸체(12)의 축선 방향(화살표 A 방향)을 따른 하부에 배기 포트(24)가 연통한다. 연통 챔버(26)와 배기 포트(24) 사이에는, 밸브 기구(16)를 구성하는 밸브(밸브 플러그)(90)가 삽입되는 수납구멍(30)이 형성된다. 이 수납구멍(30)은, 대략 일정한 직경으로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한편, 몸체(12)의 상부는, 위쪽으로 개구된 개구부(32)를 포함한다. 개구부(32)는 연통 챔버(26)와 연통하고, 상부로부터 보닛(14)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통 챔버(26) 내에 배치된다.
또, 배기 포트(24)의 측부에는, 배기 포트(2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착 플랜지(34)가 형성된다. 이 부착 플랜지(34)는, 배기 포트(24)의 외주면에 대해서 양측에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볼트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36)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멍(36)에 삽입된 볼트가, 예를 들면, 벽면이나 다른 부재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몸체(12)를 통하여 잔압 배기 밸브(10)가 상기 벽면 등에 고정된다.
보닛(14)은,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38)와, 이 베이스부(38)의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0)와, 베이스부(38)의 상부에 형성되는 원통부(4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8)는, 몸체(12)의 개구부(32)를 폐쇄하도록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2)의 표면에 형성된 밀봉 홈에 밀봉 링(44)이 장착된 후, 상기 베이스부(38)가 상기 개구부(32)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32)가 폐쇄되며, 밀봉 링(44)에 의해서 몸체(12)와 보닛(14) 사이를 통한 압력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또, 베이스부(38)에는, 삽입부(40) 및 원통부(42)의 외주면에 대해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삽입구멍(4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46)에 각각 삽입된 체결 볼트(48)가 몸체(12)의 개구부(32) 근방에 구비된 4개의 나사구멍(50)에 각각 나사결합됨으로써, 보닛(14)의 일부가 몸체(12)의 연통 챔버(26)에 삽입되고, 베이스부(38)가 개구부(32)를 폐쇄시킨 상태로 몸체(12)와 보닛(14)이 연결된다.
게다가 보닛(14)에는, 원통부(42)의 외주면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 돌기(52)가 형성된다. 제1 돌기(52)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원통부(42)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돌기(52)의 두께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제1 잠금 구멍(54)이 각각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 돌기(52)는, 보닛(14)을 몸체(12)에 장착했을 때에, 제1 및 제2 포트(20, 22)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이 되고, 원통부(42)의 축선을 중심으로 180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돌기(52)는, 보닛(14)을 구성하는 베이스부(38)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그리고 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대해서 각각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삽입부(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몸체(12)의 개구부(32)를 통해서 연통 챔버(26) 내에 삽입된다. 상기 연통 챔버(26)에 형성된 유지부(56)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몸체(12)에 대해서 보닛(14)이 적절하게 위치결정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또, 삽입부(40)에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한 연통 구멍(58)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통 구멍(58)을 통하여 제1 포트(20)가 삽입부(40)의 내부와 연통한다. 즉, 연통 구멍(58)을 통해서 제1 포트(20)와 연통 챔버(26)가 연통하고 있다.
원통부(42)는, 베이스부(38)에 대해서 소정 높이로 위쪽(화살표 B 방향)으로 돌출하며, 베이스부(38)의 표면에 접합된 대경부(60)와, 이 대경부(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직경이 축소된 소경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소경부(62)에는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한 쌍의 핀 홈(64)이 형성된다. 이 원통부(42)는 삽입부(40)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이 핀 홈(64)은, 소경부(62)의 상단부로부터 대경부(60)와의 접합부까지 일직선으로 연장하며, 상기 소경부(62)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 한 쪽의 핀 홈(64)과 다른 쪽의 핀 홈(64)이, 원통부(42)의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원통부(42)의 내부에는, 대략 일정한 직경으로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66)이 형성된다. 관통구멍(66)은, 원통부(42), 베이스부(38) 및 삽입부(40)을 관통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몸체(12)에 있어서의 수납구멍(3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원통부(42)를 구성하는 소경부(62)의 외주 측에는, 원통형의 캠 링(68)이 설치되며, 상기 캠 링(68)의 하단부뿐만 아니라 소경부(62)의 일부를 가리도록 링 몸체(70)가 설치된다.
캠 링(68)은, 예를 들면,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어, 둘로 분할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인 분할체(72a, 72b)로 이루어지고,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분할체(72a, 72b)를 함께 조합함으로써 단면이 환형상인 원통체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체(72a, 72b)의 접합면에는, 한 쪽의 접합면에 장방형으로 개구된 오목부(74)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접합면에 단면이 장방형으로 돌출하는 볼록부(76)가 형성된다. 캠 링(68)은,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금속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분할체(72a, 72b)를 조합할 때, 접합면끼리 맞닿도록 하는 동시에, 한 쪽의 분할체(72a)의 볼록부(76)를 한 쪽의 분할체(72b)에 있어서의 오목부(74)에 삽입하고, 다른 쪽의 분할체(72b)의 볼록부(76)을 다른 쪽의 분할체(72a)에 있어서의 오목부(74)에 삽입하여, 2개의 분할체(72a, 72b)를 서로 함께 연결한다.
분할체(72a, 72b)의 주위면을 따라서 캠 홈(78a, 78b)이 형성된다. 캠 홈(78a, 78b)은, 분할체(72a, 72b)의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 캠 홈(78a, 78b)은, 예를 들면, 대략 일정한 폭의 치수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분할체(72a, 72b)의 하부측(화살표 A 방향)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에 대해서 상승되어 있는 상부측(화살표 B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 분할체(72a, 72b)의 상부에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후크(80a, 80b)가 각각 설치되어, 캠 링(68)의 외주 측에 핸들(18)이 배치되었을 때, 핸들(1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22)에 후크(80a, 80b)의 발톱(82)이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캠 링(68)은, 한 쌍의 후크(80a, 80b)에 의해서 핸들(18)에 걸어맞춰져 핸들(18)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링 몸체(70)는, 보닛(14)에 있어서의 대경부(60)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대경부(60)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84)에 상기 링 몸체(70)의 내주면에 설치된 돌기부(86)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보닛(14)에 대한 링 몸체(70)의 회전 변위가 방지된다. 링 몸체(70)의 외주면에는, 핸들(18)의 회전 위치에 근거하여 잔압 배기 밸브(10)에 있어서의 압력유체의 유통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88)가 구비되어 있다.
밸브 기구(16)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기다란 밸브(90)와, 상기 밸브(90)의 상부에 설치되어 캠 링(68)에 걸어맞춰지는 핀(92)을 유지하는 연결 커버(94)를 포함한다.
밸브(90)는,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를 가진 샤프트(96)와, 상기 샤프트(96)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몸체(12)의 연통 챔버(26)에 수납되는 밸브 부재(98)와, 상기 밸브 부재(98)에 대해서 소정 거리 이격된 가이드 부재(100)와, 상기 가이드 부재(100)에 대해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샤프트(9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02)로 이루어진다.
밸브 부재(98)는, 샤프트(96)에 대해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유저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제1 O-링(104)이 구비된다. 밸브 부재(98)의 내부에는, 배기 포트(24)의 내벽면과 밸브 부재(98) 사이에는 스프링(106)이 개재된다. 스프링(106)은, 수납구멍(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90)는 스프링(106)의 탄성력에 의해서 밸브 부재(98)를 통하여 상기 배기 포트(2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된다.
가이드 부재(100)는, 샤프트(96)에 대해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고, 그 외주면이 보닛(14)의 관통구멍(66)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된다. 상기 외주면에 장착된 제2 O-링(108)이 상기 내주면에 맞닿음으로서, 상기 가이드 부재(100)와 보닛(14) 사이에서의 압력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즉, 가이드 부재(100)는, 보닛(14)의 관통구멍(66)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으로, 밸브(90)를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부재(102)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연결 커버(94)는, 단면이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위쪽으로부터 장착되며, 상기 밸브(90)의 축선과 직교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핀 구멍(110)을 포함한다. 더욱이, 연결부재(102)에 연결 커버(94)가 장착된 상태로, 연결 커버(94)의 제2 핀 구멍(112)과 제1 핀 구멍(110)이 동축으로 배열되어 각각 핀(92)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 커버(94)가 연결부재(102)에 대해서 유지된다. 이 핀(92)의 길이는, 그 양단부가 연결부재(102)의 측면에 대해서 돌출하도록 설정된다.
핀(92)이 연결부재(102) 및 연결 커버(94)에 삽입된 상태로, 핀(92)의 양단부는 보닛(14)의 핀 홈(64)에 각각 삽입되며, 보닛(14)의 외주 측에 있어서 핀(92)의 양단부는 캠 링(68)의 캠 홈(78a, 78b)에 각각 삽입된다. 즉, 밸브(90)의 연결부재(102)에 삽입된 핀(92)이 보닛(14)의 핀 홈(64)에 삽입됨으로써, 밸브(90)는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의 변위만이 허용되고 회전 변위가 규제된 상태가 된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92)은, 밸브(90)가 하부(화살표 A 방향)로 변위하여 밸브 부재(98)가 몸체(12)의 수납구멍(30)에 수납된 상태로, 캠 홈(78a, 78b)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90)는, 위쪽(화살표 B 방향)으로 변위하여 밸브 부재(98)가 보닛(14)의 관통구멍(66)에 수납된 상태로 캠 홈(78a, 78b)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18)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유저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부(114)와, 이 본체부(114)의 외주면에 대해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파지부(116)와, 상기 본체부(114)의 하단부에 있어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2 돌기(118)와, 상기 제2 돌기(118)와 교차하도록 설치된 제3 돌기(120)를 구비한다. 게다가 파지부(116)는, 본체부(114)의 중심에 대해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핸들(18)을 회전시킬 때에 작업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본체부(114)의 내부에는, 유저 형상의 상단부 근방에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걸어맞춤부(122)가 형성된다. 캠 링(68)의 후크(80a, 80b)가 걸어맞춤부(122)와 걸어맞춰짐으로써 핸들(18)에 대해서 캠 링(68)이 고정된다.
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4)의 외주벽에는,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내부까지 관통하는 윈도우(124)가 구비되어, 이 윈도우(124)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링 몸체(70)의 디스플레이(88)를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디스플레이(88)는, 잔압 배기 밸브(10)에 의한 압력유체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면, 급기, 배기 등)가 표기되고 있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88)을 확인함으로서 용이하고 확실히 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돌기(118)는, 파지부(116)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단면이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4)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두께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제2 잠금 구멍(126)은 제2 돌기(118)에 각각 형성된다. 즉, 제2 돌기(118)는, 본체부(114)의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180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3 돌기(120)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14)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돌기(118)에 대해서 90ㅀ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3 돌기(120)는, 본체부(114)의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180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더욱이, 핸들(18)은 몸체(12)에 장착된 보닛(14)의 원통부(42)를 가리도록 설치되어, 이 핸들(18)은 원통부(42)의 상부와 맞닿는 본체부(114)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잔압 배기 밸브(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다음에 잔압 배기 밸브(10)의 동작 및 장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20)와 제2 포트(22)가 연통한 급기 상태를 초기 상태로서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급기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90)는 스프링(10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핀(92)의 작용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고, 밸브 부재(98)가 수납구멍(30)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인하여 배기 포트(24)와 연통 챔버(26)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는 동시에, 연통 챔버(26)를 통하여 제1 포트(20)와 제2 포트(22)가 연통하고 있다. 또, 핸들(18)은, 제3 돌기(120)가 제1 돌기(52)에 임하도록 위치된다(도 1 참조).
게다가, 제1 포트(20)에 접속된 유체압 기기로부터 몸체(12)의 내부에 압력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포트(20) 및 연통 챔버(26)를 거쳐 제2 포트(22)에 접속된 다른 유체압 기기로 상기 압력유체가 유통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88)는 핸들(18)의 윈도우(124)에 "급기 상태"를 표시한다.
또, 제1 돌기(52)는, 핸들(18)의 제3 돌기(120)에 의해서 덮여 있어, 제1 잠금 구멍(54)을 위쪽으로부터 볼 수 없다.
다음에, 하류측이 되는 제2 포트(22)측의 압력유체를 배기 포트(24)를 통해서 배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도시생략)가 핸들(18)을 파지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압 배기 밸브(10)를 위쪽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 90ㅀ만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핸들(18)과 함께 캠 링(68)이 회전하기 때문에, 핀(92)이 상기 캠 링(68)의 회전에 수반하여 캠 홈(78a, 78b)의 타단부 측을 향하여 서서히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2)에 핀(92)이 삽입된 밸브(90)가 핀(92)의 이동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밸브 부재(98)가 수납구멍(30)으로부터 이탈하여 연통 챔버(26)를 거쳐 관통구멍(66)에 삽입된다. 이 때, 핀(92)이 보닛(14)의 핀 홈(64)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18) 및 캠 링(68)의 회전시 밸브(90)가 회전하지 않고, 축선 방향(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만 변위한다.
즉, 캠 링(68) 및 상기 캠 링(68)의 캠 홈(78a, 78b)에 삽입되는 핀(92)은, 핸들(18)의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밸브(90)에 전달하는 변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배기 포트(24)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어 제2 포트(22)와 배기 포트(24)가 연통 챔버(26)를 통하여 연통하고, 연통 구멍(58)과 연통 챔버(26) 사이의 연통이 관통구멍(66)에 삽입된 밸브 부재(98)에 의해서 차단된다. 즉, 제1 포트(20)와 제2 포트(22)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어 제2 포트(22)와 배기 포트(24)가 연통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포트(22) 쪽(하류측)에 잔존하고 있는 압력유체가 배기 포트(24)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압력유체가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지만, 제1 포트(20)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유통은 밸브 부재(98)에 의해서 차단되고 있기 때문에, 압력유체는 연통 챔버(26)로 유통하지 않는다. 또, 이 경우, 디스플레이(88)는 핸들(18)의 윈도우(124)에 "배기 상태"를 표시한다.
또, 전술한 급기 상태로부터 핸들(18)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돌기(118)와 보닛(14)의 제1 돌기(52)가 상하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제2 잠금 구멍(126)과 제1 잠금 구멍(54)이 동축으로 배치되어, 제2 잠금 구멍(126)과 제1 잠금 구멍(54)이 동축으로 관통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자물쇠 등과 같은 잠금 수단을 제1 및 제2 잠금 구멍(54, 126)에 삽입시킨 후에 잠금시킴으로써, 상기 핸들(18)의 회전 변위가 규제된 잠금 상태가 되어, 제2 포트(22)와 배기 포트(24)가 연통한 배기 상태로부터 실수로 핸들(18)이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배기 상태가 확실히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 홈(78a, 78b)을 포함하는 캠 링(68)을, 축선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서 둘로 분할한 2개의 분할체(72a, 72b)로 구성한다. 이 분할체(72a, 72b)를 함께 조립함으로써, 상기 캠 링(68)을 보닛(14)의 원통부(42)에 대해 조립할 때, 원통부(42)의 외주측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서로 접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캠 링(68)을 보닛(14)에 대해서 간편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잔압 배기 밸브(1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캠 링(68)을 수지제 재료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제 재료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캠 링(68)의 외주벽에 한 쌍의 후크(80a, 80b)를 제공함으로써, 캠 링(68)을 핸들(18)의 내부에 삽입하여 돌기부(86)에 걸어맞추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기 캠 링(68)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상기 핸들(18)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잔압 배기 밸브(1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캠 링(68)을 핸들(18)에 대해서 볼트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그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잔압 배기 밸브는, 전술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추가적인 또는 수정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10: 잔압 배기 밸브
12: 몸체
14: 보닛
16: 밸브 기구
18: 핸들
20: 제1 포트
22: 제2 포트
24: 배기 포트
26: 연통 챔버
38: 베이스부
40: 삽입부
42: 원통부
64: 핀 홈
66: 관통구멍
68: 캠 링
70: 링 몸체
72a, 72b: 분할체
78a, 78b: 캠 홈
80a, 80b: 후크
90: 밸브
92: 핀
96: 샤프트
98: 밸브 부재
100: 가이드 부재
102: 연결부재
114: 본체부
116: 파지부
122: 걸어맞춤부

Claims (6)

  1. 압력유체가 공급 및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20, 22)와 연통 챔버(26)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포트(20, 22)에 연통하는 제3 포트(24)를 가지는 몸체(12, 14)와, 상기 몸체(12, 14)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포트(20, 22, 24) 사이의 상기 압력유체의 유통 상태를 전환하는 밸브 플러그(90)를 가지는 밸브 기구(16)와, 상기 밸브 기구(16)를 구동시키는 조작부(18)를 포함하는 잔압 배기 밸브(10)로서,
    상기 조작부(18)의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밸브 플러그(9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18)와 상기 몸체(12, 14) 사이에서 상기 몸체(12, 1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변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밸브 플러그(90)에 삽입된 핀(92)과, 상기 핀(92)을 안내하는 경사 홈(78a, 78b)을 가지는 원통형 캠 링(68)으로 구성되며, 상기 캠 링(68)은 반경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2개의 분할체(72a, 72b)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4)는, 상기 몸체(14)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52)와, 상기 제1 돌기(52)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5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잠금 구멍(54)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8)는, 상기 조작부(18)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기(118)와, 상기 제2 돌기(118)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118)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잠금 구멍(126)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8)의 회전 이동이 상기 밸브 플러그(90)에 전달되어 압력유체의 유통 상태가 전환될 때, 상기 제1 잠금 구멍(54)과 상기 제2 잠금 구멍(126)의 위치는 비-동축으로부터 동축으로 전환되는, 잔압 배기 밸브(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링(68)에는,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18)의 내주면에 걸어맞춰질 수 있는 후크(80a, 80b)가 구비되는, 잔압 배기 밸브(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4)에는, 상기 몸체(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며, 상기 핀(92)이 삽입되는 핀 홈(64)이 형성되는, 잔압 배기 밸브(1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링(68)은,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는, 잔압 배기 밸브(10).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분할체(72a, 72b) 중 하나의 접합면에는 오목부(74)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분할체(72a, 72b) 중 다른 하나의 접합면에는 상기 오목부(74)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볼록부(76)가 형성되는, 잔압 배기 밸브(10).
KR1020147006345A 2011-09-08 2012-09-04 잔압 배기 밸브 KR10153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5535A JP5754567B2 (ja) 2011-09-08 2011-09-08 残圧排気弁
JPJP-P-2011-195535 2011-09-08
PCT/JP2012/073007 WO2013035877A1 (en) 2011-09-08 2012-09-04 Residual pressure release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588A KR20140045588A (ko) 2014-04-16
KR101538081B1 true KR101538081B1 (ko) 2015-07-20

Family

ID=4698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45A KR101538081B1 (ko) 2011-09-08 2012-09-04 잔압 배기 밸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334975B2 (ko)
JP (1) JP5754567B2 (ko)
KR (1) KR101538081B1 (ko)
CN (1) CN103782073B (ko)
BR (1) BR112014004406B8 (ko)
DE (1) DE112012003763B4 (ko)
IN (1) IN2014CN02138A (ko)
MX (1) MX341769B (ko)
RU (1) RU2565117C2 (ko)
TW (1) TWI475169B (ko)
WO (1) WO2013035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0947B2 (en) * 2014-10-02 2019-05-07 Robertshaw Controls Company Gas valve assembly with integrated pressure regulator
US9920846B2 (en) * 2015-11-10 2018-03-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w restriction variable flow valve with directional control
CN105864474B (zh) * 2016-05-26 2018-06-19 吴孟人 一种靠流体压力调节档位的节流阀
KR101685196B1 (ko) * 2016-06-03 2016-12-09 채희관 볼 밸브의 다단 정량 개폐 장치
KR101834878B1 (ko) * 2016-07-05 2018-03-08 비앤알(주)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US9958083B1 (en) * 2016-10-27 2018-05-01 National Enviornmental Products, Ltd. Force limited valve actuator and method therefor
JP6751911B2 (ja) * 2016-11-18 2020-09-09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のポートに直接取り付ける複合弁
LU100263B1 (en) * 2017-05-26 2019-01-04 Luxembourg Patent Co Compact gas cylinder valve with residual pressure function
CN114192303A (zh) * 2018-01-26 2022-03-18 固瑞克明尼苏达有限公司 喷涂器和用于喷涂器的减压阀
USD924361S1 (en) 2018-09-28 2021-07-06 Smc Corporation Residual pressure release valv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1263U (ko) * 1981-02-27 1982-09-04
JP3349669B2 (ja) * 1998-11-10 2002-11-25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残圧抜三方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5722A (en) * 1959-12-31 1962-07-24 Fisher Governor Co Liquid evacuating adapter
US3818926A (en) * 1973-04-11 1974-06-25 D Wohlwend Hydraulic valve and system
US4103704A (en) * 1977-02-16 1978-08-01 Eaton Corporation Safety relief valve
JPH0447495Y2 (ko) * 1985-11-28 1992-11-10
US4681141A (en) * 1986-02-03 1987-07-21 Wang Wen Ching Light-detector, hand-controlled faucet with water temperature regulator
US4784637A (en) 1987-03-23 1988-11-15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Aseptic irrigation syringe
US4995421A (en) * 1989-09-12 1991-02-26 Numatics, Incorporated Lock-out valve with controlled restart
GB9003673D0 (en) * 1990-02-17 1990-04-11 Norgren Martonair Ltd Valve bush
EP0666442B1 (en) 1992-12-25 2002-03-20 Toto Ltd. Hot and cold water mixing apparatus
JP4081861B2 (ja) * 1998-07-02 2008-04-30 Smc株式会社 流体圧機器用手動給排切換弁
AUPQ347699A0 (en) * 1999-10-15 1999-11-11 Biggers, John Caleb Wells Valve sealing means
JP3629189B2 (ja) * 2000-08-09 2005-03-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凸カムを有する成形カム環の成形方法、その成形型及び成形カム環
US6648009B1 (en) * 2002-06-10 2003-11-18 Jomar International Tamper-proof ball valve
JP4563846B2 (ja) * 2005-03-16 2010-10-13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残圧排出弁
JP4674130B2 (ja) * 2005-07-21 2011-04-20 日東光学株式会社 レンズ保持ユニット
RU2311579C1 (ru) * 2006-09-14 2007-1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ердский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Газ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NZ553895A (en) * 2007-03-15 2010-07-30 Rodney Warwick Sharp Improved flow divider for hydraulic circuits
RU2357141C1 (ru) * 2007-11-12 2009-05-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учрежде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ОУ ВПО КГАСУ Кран двухконтурный
TWM334900U (en) 2008-01-17 2008-06-21 Hain Yo Entpr Co Ltd Cold-hot water control valve structure of faucet
RU102086U1 (ru) * 2010-05-12 2011-0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ацио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Рубин" Двухпозицион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с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JP5464438B2 (ja) * 2010-06-24 2014-04-09 Smc株式会社 減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1263U (ko) * 1981-02-27 1982-09-04
JP3349669B2 (ja) * 1998-11-10 2002-11-25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残圧抜三方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02743A (es) 2014-04-16
KR20140045588A (ko) 2014-04-16
RU2014108316A (ru) 2015-09-20
US9334975B2 (en) 2016-05-10
IN2014CN02138A (ko) 2015-05-29
MX341769B (es) 2016-09-01
US20140224355A1 (en) 2014-08-14
BR112014004406B8 (pt) 2021-10-19
CN103782073A (zh) 2014-05-07
JP5754567B2 (ja) 2015-07-29
WO2013035877A1 (en) 2013-03-14
BR112014004406B1 (pt) 2021-01-19
CN103782073B (zh) 2016-01-13
RU2565117C2 (ru) 2015-10-20
TW201321641A (zh) 2013-06-01
JP2013057349A (ja) 2013-03-28
DE112012003763B4 (de) 2021-09-16
BR112014004406A2 (pt) 2017-03-21
TWI475169B (zh) 2015-03-01
DE112012003763T5 (de)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081B1 (ko) 잔압 배기 밸브
US10836050B2 (en) Quick disconnect apparatus for modular tooling
US9482389B2 (en) Fuel tank pipe structure
KR100905068B1 (ko) 수동전환밸브
JP2016014454A (ja) 流体継手
KR20170141338A (ko) 가스실린더 연결장치
KR101305466B1 (ko) 볼 밸브 및 이를 갖는 볼 밸브 조립체
JP5976346B2 (ja) 開閉弁操作機構及び開閉弁操作装置
JP2008032202A (ja) ガス供給用接続具
JP2010506152A (ja) 流体分析用のセンサーを当該流体を収容する本体部に対して分離可能に連結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装置
JP7283728B2 (ja) 開閉弁
FR2983275A1 (fr) Valve pour structure gonflable
JP2020173028A (ja) 流路切換弁
KR100944387B1 (ko) 원통형 밸브
KR101739561B1 (ko) 슬립밸브
US11572955B1 (en) Gas switching device
KR102347420B1 (ko) 잠금형 다이어프램 밸브
KR101200263B1 (ko) 록킹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KR101128233B1 (ko) 밸브의 잠금 상태 안전장치
KR20000061738A (ko) 유압발생장치가 부착된 밸브의 개폐 조작장치
KR101538438B1 (ko) 에어 임팩트 공구 및 에어 임팩트 공구용 렌치 소켓
KR100922520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19184061A (ja) 開閉弁
JP2021107723A (ja) 自動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