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821B1 -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821B1
KR101537821B1 KR1020090026168A KR20090026168A KR101537821B1 KR 101537821 B1 KR101537821 B1 KR 101537821B1 KR 1020090026168 A KR1020090026168 A KR 1020090026168A KR 20090026168 A KR20090026168 A KR 20090026168A KR 101537821 B1 KR101537821 B1 KR 10153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or
socket connector
fulcrum
sock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685A (ko
Inventor
요시또모 마스따니
도시히로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는 소켓 하우징(12)과, 베이스 커넥터(30)의 래치부(36)와 결합함으로써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15)을 구비한다. 로크 아암(15)은 조합 상태로 소켓 커넥터(10)로부터 베이스 커넥터(30)를 향하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훅부(15a)와,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역점부(15b)와, 소켓 하우징(12)에 연접되는 지지점부(15c)를 구비하는 동시에,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훅부(15a) 및 역점부(15b)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점부(15c)는 조합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와 연접하는 연접부(18)에 위치하는 접촉면(21)보다도 제1 방향(D1)측에 위치하고 있다.
소켓 커넥터, 소켓 하우징, 로크 아암, 훅부, 스토퍼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회로 기판에 고정된 베이스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쌍(이하,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이라고도 함)이 알려져 있다. 또한,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에 있어서는,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에 로크 아암을 설치하는 동시에,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에 래치부를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00653호 공보 참조).
도 23은 종래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를 지나가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 커넥터(110)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115)은 훅부(115a)와, 역점부(115b)와, 훅부(115a)와 역점부(point of pressure)(115b)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소켓 하우징(112)의 외면에 연접되는 힌지 형상의 지지점부(115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115)은 지지점부(115c)를 중심으로 훅부(115a) 및 역점부(115b)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치부(도시하지 않음)는 베이스 하우징의 외면에 연접되는 갈고리부를 갖는다.
로크 아암(115) 및 래치부에 따르면, 소켓 커넥터(110)와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 상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115)의 훅부(115a)와 래치부가 결합됨으로써, 소켓 커넥터(110)와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112)에는 지지점부(115c)와 연접하는 연접부(118)에 있어서의 제1 방향[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10)로부터 베이스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D1)측에,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개방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개방 공간(120)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하우징에 있어서의 래치부가 연결되는 주위벽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개방 공간(120)에 상기 주위벽부가 수용된 경우에는, 연접부(118)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의 면은 베이스 커넥터와의 접촉면(121)이 된다. 여기서, 접촉면(121)이라 함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 방향[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의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연접부(118)에 위치하는 면이다.
그런데 최근,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이 내장되는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등에 수반하여, 가일층의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을 단순히 박형화한 경우에는, 소켓 커넥터(110)에 있어서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커넥터(110)에 있어서 로크 아암(115)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역점부(115b)의 선단부 근방을 압박할 필요가 있으나, 소켓 커넥터(110)를 단순히 박형화한 경우에는, 지지점부(115c)로부터 역점부(115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가 매우 짧아진다. 그로 인해, 역점부(115b)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115)을 회전시킬 수 없거나, 혹은 매우 곤란해져 실용상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그 박형화와 로크 아암의 회전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는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는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이며, 상기 소켓 커넥터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훅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으로 연장되는 역점부와, 상기 훅부와 상기 역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접되는 지지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점부를 중심으로 상기 훅부 및 상기 역점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점부와 연접하는 연접부에 위치하는 접촉면보다도 상기 제1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연접부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에는 상기 제2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3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그 박형화와 로크 아암의 회전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조합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조합된 상태의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커넥터를,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15c)를 지나가고 또한 제3 방향(D3)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10에 도시하는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3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가 조합된 상태를 「조합 상태」라고 한다. 또한,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로부터 베이스 커넥터(30)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한다.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의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한다.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15)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고 한다.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에 직교하는 동시에 로크 아암(15) 또는 래치부(36)를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D4)」이라고 한다. 제4 방향(D4)과 반대 방향의 방향을 「제5 방향(D5)」이라고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30)는 회로 기판(40)의 표면에 고정되는 커넥터이다. 베이스 커넥터(3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하우징(31)과, 복수의 단자(3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하우징(31)은 평면에서 볼 때[제1 방향(D1)에서 본 경우에]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판부(38)와,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판부(38)의 3변에서 세워 설치하는 주위벽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주위벽부(32)는 평면에서 볼 때, 그리스 문자의 대문자 「Π」자 형상이다. 주위벽부(32)는 반드시 연속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Π」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Π」자 형상의 주위벽부(32)는 전방벽부(32a)와, 한 쌍의 측벽부(32b, 32b)를 구비한다. 전방벽부(32a)는 제4 방향(D4)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32b)는 전방벽부(32a)의 양단부로부터 제5 방향(D5)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벽부(32a)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측의 외면에 래치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30)의 바닥판부(38)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전방벽부(32a)]측의 영역은 제2 방향(D2)측으로 융기하여, 받침대부(34)를 형성하고 있다. 받침대부(34)는 전방벽부(32a)에 인접되어 있다. 받침대부(34)는 제3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받침대부(34)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는 제1 방향(D1)으로 오목한 동시에 제 4 방향(D4)을 따라서 연장되는 릴리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33)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스토퍼(23)(상세한 것은 후술)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부(32a)에 있어서의 래치부(36)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의 위치에는 제2 릴리프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릴리프부(32d)는 제1 방향(D1)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제2 릴리프부(32d)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 및 연접부(1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된다.
단자(35)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부(34)로부터 제2 방향(D2)측으로 돌출되는 소켓측 접속부(35a)와, 기판측 접속부(35b)를 구비한다. 소켓측 접속부(35a)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케이블(11)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기판측 접속부(35b)는 바닥판부(38)를 통해 전방벽부(32a)로부터 제4 방향(D4)측으로 돌출된다. 기판측 접속부(35b)는 회로 기판(40)에 있어서의 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40)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한 쌍의 측벽부(32b, 32b)는 그 제4 방향(D4)의 중앙부가, 제3 방향(D3)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측벽부 볼록부(32c)로 되어 있다.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는, 바닥판부(38)[받침대부(34)를 포함함] 및 「Π」자 형상의 주위벽부(32)에 의해 수용 공간(39)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39)은 그 제2 방향(D2)측 및 제5 방향(D5)측이 개방되어 있다. 조합 상태에 있어서, 수 용 공간(39)에는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의 대부분이 수용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31)의 전방벽부(32a)의 외면[제4 방향(D4)측의 면]에는 래치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래치부(36)는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15)의 훅부(15a)(상세한 것은 후술)와 결합한다. 래치부(36)의 외면측에는, 경사면부(37b)와, 결합 돌기(37a)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부(37b)는 래치부(36)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향하는 동시에 제4 방향(D4)을 향해 경사진다. 결합 돌기(37a)는 경사면부(37b)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에 위치한다.
다음에, 전술한 베이스 커넥터(30)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는 소켓 하우징(12)과, 로크 아암(15)과, 케이블(11)을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12)은 전체적으로 볼 때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로크 아암(15)은 소켓 하우징(12)의 제4 방향(D4)측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11)의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소켓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11)의 단자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30)의 단자(35)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케이블(11)의 타단부측은 소켓 하우징(12)으로부터 제5 방향(D5)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5)은 제1 방향(D1)으로 연 장되는 훅부(15a)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역점부(15b)와, 지지점부(15c)를 구비한다. 지지점부(15c)는 훅부(15a)와 역점부(15b) 사이에 위치하고, 소켓 하우징(12)의 외면에 연접된다. 로크 아암(15)은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훅부(15a) 및 역점부(15b)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훅부(15a)는 전체적으로 볼 때 판 형상이다. 훅부(15a)의 선단부[제1 방향(D1)측의 단부]는 제5 방향(D5)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로 되어 있다. 훅부(15a)는 지지점부(15c)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3 방향(D3)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훅부(15a)는 제5 방향(D5)측을 향해, 또는 제4 방향(D4)측을 향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역점부(15b)가 제5 방향(D5)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어서, 훅부(15a)에는 제5 방향(D5)을 향해 회전하도록 압박력이 발생한다.
역점부(15b)는 전체적으로 볼 때 판 형상이다. 역점부(15b)의 선단부[제2 방향(D2)측의 단부]는 제4 방향(D4)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로 되어 있다. 이 팽출부는 역점부(15b)를 손가락 등으로 압박할 때의 압박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역점부(15b)는 지지점부(15c)를 사이에 두고, 훅부(15a)와 제2 방향(D2)측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역점부(15b)는 지지점부(15c)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3 방향(D3)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역점부(15b)는 제4 방향(D4)측을 향해 또는 제5 방향(D5)측을 향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12)은 접촉면(21)을 갖는다. 접촉면(21)은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와 연접하는 연접부(18)에 위치한다. 접촉면(21)은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면(21)은 베이스 커넥터(30)의 주위벽부(32)의 전방벽부(32a)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한다.
도 5, 도 9,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부(15c)는 제3 방향(D3)으로 이격하여 2개(1쌍) 설치된다. 즉, 지지점부(15c)는 제3 방향(D3)으로는 비연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5,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부(15c)는 접촉면(21)보다도 제1 방향(D1)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도 6, 도 7,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의 연접부(18)는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19)를 구비한다.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 연접부(18)는 제1 절결부(19)보다도 제4 방향(D4)측 및 제5 방향(D5)측에 존재하고 있다.
도 1, 도 6,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은 개방 공간(20)을 구비한다. 개방 공간(20)은 연접부(18)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공간이다.
개방 공간(20)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주위벽부(32)[즉, 전방벽부(32a)]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주위벽부(32)에는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의 래치부(36)가 연결된다.
도 1, 도 5, 도 6,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은 스토 퍼(23)를 구비한다. 스토퍼(23)는 훅부(15a)가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회전했을 때에, 개방 공간(20)으로의 훅부(15a)의 과잉 진입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개방 공간(20)으로의 훅부(15a)의 과잉 진입을 저지한다」에는, 개방 공간(20)으로 훅부(15a)를 전혀 진입시키지 않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 외에, 개방 공간(20)에 훅부(15a)가 진입했다고 해도 지지점부(15c)의 기능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개방 공간(20)으로의 훅부(15a)의 진입을 저지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지지점부(15c)의 기능을 잃게 되는 예로서는, 지지점부(15c)의 파단, 파괴, 소성 변형 등을 들 수 있다.
스토퍼(23)는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15)의 회전축 방향[제3 방향(D3)]의 중심부에 마주보는 위치에 1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23)는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조합할 때에, 릴리프부(33)(도 8 참조)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23)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릴리프부(33)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스토퍼(23)는 릴리프부(33)보다도 약간 작은 형상을 갖고 있다.
도 4, 도 9,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을 따르는 한 쌍의 외면에는 제3 방향(D3)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외면 오목부(24, 24)가 형성되어 있다. 외면 오목부(24)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30)의 측벽부 볼록부(32c)(도 8 참조)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외면 오목부(24)는 측벽부 볼록부(32c)보다도 약간 큰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조합할 때에, 측벽부 볼록부(32c)는 제1 방 향(D1)으로 외면 오목부(24)에 삽입되어, 삽입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는, 제2 방향(D2)측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을 따르는 모서리부는 제3 방향(D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플렌지부(12a)를 형성하고 있다. 플렌지부(12a)는 소켓 커넥터(10)의 착탈 시에 소켓 하우징(12)의 파지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도 1, 도 2, 도 3,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는 다음과 같이 조합되어,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이 형성된다. 측벽부 볼록부(32c)와 외면 오목부(24)를 마주보게 하고, 개방 공간(20)과 주위벽부(32)의 전방벽부(32a)를 마주보게 하고, 스토퍼(23)와 릴리프부(33)를 마주보게 하는 동시에, 지지점부(15c)와 제2 릴리프부(32d)를 마주보게 한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상대적으로 접근시킨다. 그 결과, 측벽부 볼록부(32c)가 외면 오목부(24)에 삽입되고, 주위벽부(32)의 전방벽부(32a)가 개방 공간(20)에 삽입되고, 스토퍼(23)가 릴리프부(33)에 삽입되는 동시에, 지지점부(15c)가 제2 릴리프부(32d)에 삽입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5)의 훅부(15a)는 래치부(36)의 경사면부(37b)를 미끄럼 이동하여,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제4 방향(D4)으로 회전하면서, 결합 돌기(37a)를 타고 넘어 래치부(36)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훅부(15a)와 래치부(36)가 결합됨으로써,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역점부(15b)를 압박함으로써, 훅부(15a)가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제4 방향(D4)으로 회전한다. 그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상대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는 접촉면(21)보다도 제1 방향(D1)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소켓 커넥터(10)의 박형화를 도모한 경우에 있어서도, 지지점부(15c)로부터 역점부(15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역점부(15b)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15)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소켓 커넥터(10)의 박형화와 로크 아암(15)의 회전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연접부(18)에는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착탈을 반복함으로써,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하는 훅부(15a) 및 역점부(15b)의 회전이 반복되었다고 해도, 로크 아암(15)의 지지점부(15c)로의 응력의 부담이 적다. 그 결과, 로크 아암(15)이 줄거나, 로크 기능이 충분히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C-C선 단면도(도 7 대응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에 비해, 제1 절결부(19)의 위치 및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절결부(19)는 소켓 하우징(12)의 연접부(18)에 형성되어,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제5 방향(D5)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 절결부(19)는 제2 방향(D2)을 향해, 또한 제5 방향(D5)을 향해 경사져 있다.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1 대응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D-D선 단면도(도 11 대응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에 비해, 제1 절결부(19)의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지 않고, 연접부(18)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연접부(18)는 제1 절결부(19)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E-E선 단면도(도 7 대응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 커넥터(10)에 비해, 연접부(18)에 제1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지지점부(15c)에 제2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2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절결부(16)는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에 형성되어,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2 절결부(16)는 제3 방향(D3)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2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점부(15c) 자체의 강성이 낮아지고, 특히 제5 방향(D5)으로의 훅 부(15a)의 회전성이 향상된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5 대응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F-F선 단면도(도 16 대응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에 비해, 제2 절결부(16)의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절결부(16)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지 않고,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지지점부(15)는 제2 절결부(16)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도 9 대응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C-G선 단면도(도 7 대응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비해, 제1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제3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3 절결부(17) 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절결부(17)는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에 형성되어, 제2 방향(D2)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3 절결부(17)는 제3 방향(D3)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3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점부(15c) 자체의 강성이 낮아지고, 특히 제4 방향(D4)으로의 역점부(15b)의 회전성이 향상된다.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9 대응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H-H선 단면도(도 20 대응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에 비해, 제3 절결부(17)의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3 절결부(17)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지 않고,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지지점부(15c)는 제3 절결부(17)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점부(15c)의 개수, 위치, 크기, 형상, 간격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스토퍼(23)의 개수, 위치, 크기, 형상, 간격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제1 절결부(19), 제2 절결부(16) 및 제3 절결부(17)의 위치, 크기, 형상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조합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조합된 상태의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커넥터를,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15c)를 지나가고 또한 제3 방향(D3)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10에 도시하는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평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저면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C-C선 단면도(도 7 대응도).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1 대응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D-D선 단면도(도 11 대응도).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E-E선 단면도(도 7 대응도).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5 대응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F-F선 단면도(도 16 대응도).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도 9 대응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G-G선 단면도(도 7 대응도).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9 대응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H-H선 단면도(도 20 대응도).
도 23은 종래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를 지나가도록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커넥터
11 : 케이블
12 : 소켓 하우징
15 : 로크 아암
30 : 베이스 커넥터
31 : 베이스 하우징
32 : 주위벽부
38 : 저판부
40 : 회로 기판

Claims (4)

  1. 래치부를 갖고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이며,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훅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역점부와, 상기 훅부와 상기 역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접되는 지지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점부를 중심으로 상기 훅부 및 상기 역점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축을 따르는 제3 방향에 직교하는 제4 방향이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로크 아암을 향하는 제4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있고,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며,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점부와 연접하는 연접부에 위치하는 접촉면보다도, 상기 제1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는, 상기 연접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에, 당해 제1 방향측에 개방되는 개방 공간이며,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래치부가 연결되는 주위벽부가 수용되는 개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에는 상기 제2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3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090026168A 2008-03-31 2009-03-27 소켓 커넥터 KR101537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2006 2008-03-31
JP2008092006A JP5134416B2 (ja) 2008-03-31 2008-03-31 ソケット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85A KR20090104685A (ko) 2009-10-06
KR101537821B1 true KR101537821B1 (ko) 2015-07-17

Family

ID=4115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68A KR101537821B1 (ko) 2008-03-31 2009-03-27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34416B2 (ko)
KR (1) KR101537821B1 (ko)
CN (1) CN101552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684A1 (fr) 1998-07-03 2000-01-13 Nec Corporation Derives de (meth)acrylate porteurs d'une structure lactone, compositions polymeres et photoresists et procede de formation de modeles a l'aide de ceux-ci
CN108140988B (zh) * 2015-10-29 2020-06-05 莫列斯有限公司 电源连接器
TW202248271A (zh) 2021-01-27 2022-12-16 日商日產化學股份有限公司 具有多重鍵之膜形成組成物
CN113540883B (zh) * 2021-06-08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器、适配器、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491A (ja) * 2001-04-16 2002-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8010330A (ja) * 2006-06-30 2008-01-17 Jst Mfg Co Ltd 一対の平形柔軟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平形柔軟ケーブルの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410B2 (ja) * 1993-12-13 1999-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252063A (ja) * 2001-02-26 2002-09-06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JP2002313419A (ja) * 2001-04-10 2002-10-25 Asahi Kasei Corp 非水二次電池
JP4430275B2 (ja) * 2001-09-27 2010-03-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ディスクリート線用コネクタおよび電気的接続構造
JP2005209406A (ja) * 2004-01-20 2005-08-04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491A (ja) * 2001-04-16 2002-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8010330A (ja) * 2006-06-30 2008-01-17 Jst Mfg Co Ltd 一対の平形柔軟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平形柔軟ケーブルの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85A (ko) 2009-10-06
CN101552388A (zh) 2009-10-07
JP2009245799A (ja) 2009-10-22
CN101552388B (zh) 2013-08-21
JP5134416B2 (ja)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907B1 (ko) 소켓 커넥터
US7637787B2 (en) Audio jack connector
JP2011146249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0223215A (ja) 小型コネクタ
JP5460037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KR101537821B1 (ko) 소켓 커넥터
US20080311783A1 (en) Connector plug
KR101586088B1 (ko) 소켓 커넥터
US9065211B2 (en) Lever-type connector
US7883345B2 (en) Socket assembly with pick up cap
JP5209027B2 (ja) 同軸コネクタ
KR20150110418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537417B1 (ko) 소켓 커넥터
US20100105218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cpu
US11322885B2 (en) Lever-type connector
US9153908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1818603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0080110A (ja) 嵌合型コネクタ
US11211733B1 (en) Reinforced electrical terminal
US7476107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taining device
JP3108135U (ja) イヤホーン用ソケットの構造
JP2005158728A (ja)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CN115708272A (zh) 具有线材引导件的连接器杠杆
CN101893915A (zh) 电子设备
JP2000164286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