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418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418A
KR20150110418A KR1020150040120A KR20150040120A KR20150110418A KR 20150110418 A KR20150110418 A KR 20150110418A KR 1020150040120 A KR1020150040120 A KR 1020150040120A KR 20150040120 A KR20150040120 A KR 20150040120A KR 20150110418 A KR20150110418 A KR 2015011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gaging
fitting
plug connector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코다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11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서로 조합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어느 방향에서나 충격을 받더라도 강고하게 견딜 수 있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갖는다. 그리고 그 플러그 커넥터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리셉터클 커넥터에 걸리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플러그 커넥터의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의 걸림부와 감합하는 감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들 감합부의 각각은 플러그 커넥터의 걸림부가 설치된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두 변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 즉, 평면에서 보아 대각선 방향으로 걸림부와 감합하는 감합부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서로 조합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등에는 회로 기판 상에 플렉시블 기판(이하 「FPC」라 칭한다.)을 접속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에는 더욱 소형화, 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의 커넥터 조립체에는 소형화, 저배화에 더하여 낙하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해당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커넥터가 확실하게 계속 록킹되는 강고한 록킹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에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가지며 그 두 개의 긴 변의 양 단부에 가까운 곳의 합계 4개소에 록킹 쇠고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 쇠고리는 대략 직사각형의 긴 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를 일방의 긴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의 충격에는 강하다는 것이 추찰된다. 한편 상기 대략 직사각형의 짧은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의 강한 충격에는 견디지 못할 염려가 있다.
특개 2011-22826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어느 방향에서 충격을 받더라도 강고하게 견딜 수 있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조합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처 조립체에 있어서, 제1커넥터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갖고, 제2커넥터에 걸리는 걸림부가 대략 직사각형인 4개의 코너부 각각에 설치된 커넥터이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와 조합한 때의 제1커넥터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4개의 코너부 각각에 설치된 걸림부와 감합하여 걸림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감합부가 각각 설치된 커넥터이며, 제2커넥터의 감합부 각각이 제1커넥터의 걸림부가 설치된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두 변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림부와 감합하는 감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가 4개의 코너부에 걸림부를 구비하고,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의 걸림부와 이른바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감합하는 감합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어느 방향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고한 록킹 기구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 쇠고리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고, 4개의 코너부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커넥터는 감합부를 형성하는 감합 쇠고리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고,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상기 감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제1커넥터가 4개의 코너부에 걸림부를 구비하고, 제2커넥터가 해당 걸림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감합하는 감합부를 구비한 것으로, 어느 방향에나 강한 록킹 기구가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방향에서 충격을 받더라도 강고하게 견딜 수 있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 1에 나타낸 방향과는 반대로 뒤집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근접한 감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8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 20에 나타낸 방향과는 반대로 뒤집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9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감합 직전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 1에 나타낸 방향과는 반대로 뒤집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각각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각 일례에 상당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하우징(11)을 갖고,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로서도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11)의 중앙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요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15)의 저면은 비교적 넓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흡착면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는 하우징(11)의 대략 직사각형의 두 개의 긴 변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12)를 갖는다.
이들 콘택트(12)는 미도시의 FPC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의 대략 직사각형의 양단에는 걸림 쇠고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14)가 대략 직사각형인 4개의 코너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의 대략 직사각형 양단에 구비된 2개의 걸림 쇠고리(13)는 그 하나씩 2개의 코너부의 걸림부(14)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에는 두 개의 걸림 쇠고리(13)가 구비되어 있으나, 그들 두 개의 걸림 쇠고리(13)는 방향이 다를 뿐이며 동일한 형상의 쇠고리이다.
도 3(A), (B)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두 개의 걸림 쇠고리(13) 각각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A), (B)는 플러그 커넥터(10)에서 하우징(11) 및 콘택트(12)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걸림 쇠고리(13)는 하나의 걸림 쇠고리(13)에 대해 두 개의 걸림부(14)를 형성하고 있다. 각 걸림부(14)는 하나의 걸림부(14)에 대해 두 개의 걸림편(141)을 갖는다. 이들 두 개의 걸림편(141)은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1)의 코너를 사이에 두는 두 변 각각을 따라 그 코너를 향해 연장되고, 서로의 선단을 근접시킨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각 걸림부(14)에는 두 개의 걸림편(141)에 인접하여 걸림 요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두 개의 걸림편(141)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착탈시키는 때에 탄성 변형한다. 걸림 쇠고리(13)의 저면(145)은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되는 FPC에 납땜된다. 또한 저면(145)의 일단으로부터는 하우징(11)에 압입되는 두 개의 압입편(144)이 연장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에는 플러그 커넥터(10)를 수용하는 수용 요부(211)가 형성된 하우징(2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수용 요부(211)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수용된 때의 플러그 커넥터(10)의 복수의 콘택트(12)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콘택트(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콘택트(22)는 그들의 일부가 하우징(21)의 스탠드부(25) 내의 캐버티에 수용됨과 함께, 미도시의 회로 기판 상의 도체 패턴에 납땜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조합되면 플러그 커넥터(10)가 접속된 FPC 상의 배선과 리셉터클 커넥터(20)가 탑재된 회로 기판 상의 도체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스탠드부(25)의 상면은 비교적 넓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수용 요부(211)의 양단부에는 감합 쇠고리(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수용 요부(211)의 4개의 코너부, 즉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10)가 조합된 때의 플러그 커넥터(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감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수용 요부(211)의 양단에 구비된 두 개의 감합 쇠고리(23)는 그 하나씩이 두 개의 감합부(24)를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에는 두 개의 감합 쇠고리(23)가 구비되어 있으나, 그들 두 개의 감합 쇠고리(23)는 방향이 다를 뿐으로, 동일한 형상의 쇠고리이다. 도 4(A), (B)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두 개의 감합 쇠고리(23)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4(A), (B)는 리셉터클 커넥터(20)에서 하우징(21) 및 콘택트(22)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감합 쇠고리(23)는 하나의 감합 쇠고리(23)에 대해 두 개의 감합부(24)를 형성하고 있다. 각 감합부(24)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걸림부(13)가 설치되어 있는 코너에 면하여 그 코너를 사이에 두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두 변의 쌍방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입설된 감합벽(241)을 갖고, 상기 감합벽(241)의 하부에 플러그 커넥터(10)의 걸림부(13)가 감입하는 감입 요부(242)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 쇠고리(23)의 단부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접속부(245, 2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감합 쇠고리(23)에는 하우징(21)에 압입되는 압입편(244)이 두 개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근접한 감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감합 시에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걸림부(14)를 구성하는 두 개의 걸림편(141)이 일단 탄성적으로 휜다. 그리고 그들 두 개의 걸림편(141)이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감합부(24)의 감입 요부(242)에 파고 들면, 그들 두 개의 걸림편(141)은 그 휨으로부터 복귀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걸림부(1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코너를 끼우는 두 개의 변 각각을 따라 그 코너를 향해 연장되어 서로의 선단을 근접시킨 형상의 두 개의 걸림편(141)을 갖는다. 즉 이들 두 개의 변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걸림부(13)가 감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감합부(24)는 그들 두 변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입설된 감합벽(241) 및 감입 요부(242)를 갖는다. 이 때문에 걸림부(14)는 감합부(24)에 그들 두 변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입된다. 이와 같이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에도 강고하게 견딜 수 있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로 이루어진 커넥터 조립체가 구성된다.
이로써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의 설명을 종료하고, 이하에서는 제2실시형태 이후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실시형태 이후의 각종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 등, 선행하여 설명하는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나타내는 도면만을 나타내어 상이점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종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도면에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요소에 대응되는 요소에는 그 제1 실시형태에서의 각 요소에 붙인 부호에 더욱 A, B 등의 알파벳을 부가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B)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도 3(A), (B) 각각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의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와의 차이점은 도 7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뿐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걸림 쇠고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의 설명을 대신한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걸림 쇠고리(13)는 하나의 걸림부(14)에 대해 두 개의 걸림편(141)을 갖는다. 이에 대해 상기 도 7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걸림 쇠고리(13A)는 코너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하나의 걸림편(141A)으로 하나의 걸림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141A)은 이른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두 개의 걸림편(141)이 서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며, 주위가 하나로 연결된 걸림 요부(142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1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감합시키는 때에 탄력성은 기대할 수 없지만, 착탈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본 제2실시형태의 형태로 충분하다.
도 8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B)는 각각 감합 직전의 상태(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B)에 대응하는 상태) 및 감합 후의 상태(상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6(B)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8(A), (B)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는 도 4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걸림 쇠고리(13A)를 감합 쇠고리(23)에 감합시키면 걸림 쇠고리(13A)의 걸림편(141A)이 감합 쇠고리(23)의 감입 요부(242)에 감입되어 감합벽(241)에 걸려 고정된다. 감입 요부(242)에 감입하는 방향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2실시형태의 경우, 걸림 쇠고리(13A:플러그 커넥터)를 감합 쇠고리(23: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시키는 때에 걸림 쇠고리(13A) 혹은 감합 쇠고리(23)의 탄력성은 기대할 수 없으며, 감합벽(241) 등을 무리하게 변형시키면서 감합하게 된다. 다만, 착탈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는 상기 제2실시형태의 형태여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걸림 쇠고리로서 도 7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13A)와 동일한 걸림 쇠고리가 채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B)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에 있어서의 감합벽(241)이 둘로 분단된 형상의 감합벽(241B)으로 되어 있다. 감입 요부(242B)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입 요부(242)와 동일하다.
도 10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B)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8(A), (B)와 동일하고, 각각 감합 직전의 상태 및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0(A), (B)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A)는 도 7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13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걸림 쇠고리(13A)를 감합 쇠고리(23B)에 감합시키면 걸림 쇠고리(13A)의 걸림편(141A)이 감합 쇠고리(23B)의 감입 요부(242B)에 감입되어 감합벽(241B)에 걸린다. 감입 요부(242B)에 감입되는 방향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2실시형태의 경우 걸림 쇠고리(13A;플러그 커넥터)를 감합 쇠고리(23B; 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시키는 때에, 감합 쇠고리(23B)의 감합벽(241B)이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상기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반복하여 착탈되는 용도에도 적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4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감합 쇠고리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도 4참조)와 동일한 것이 채용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13C)는 두 개의 걸림부(14C) 각각에 한 가닥씩의 걸림 입편(141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141C)은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일어서고, 상단 근방에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절곡 철부(143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A), (B)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8(A), (B) 및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0(A), (B)와 마찬가지로 각각 감합 직전의 상태 및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2에 나타내는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는 도 4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걸림 쇠고리(13C)를 감합 쇠고리(23)에 감합시키면 걸림 쇠고리(13C)의 걸림 입편(141C)이 탄성 변형하면서 절곡 철부(143C)가 감입 요부(242)에 감입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 철부(143C)가 감합벽(241)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절곡 철부(143C)가 감입 요부(242)에 감입하는 방향은 지금까지의 제1~제3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4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걸림 입편(141C)이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제1실시형태 및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착탈을 반복하는 용도에도 적합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감합 쇠고리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도 4참조)와 동일한 것이 채용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13D)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입편(141C)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걸림부(14D) 각각에 한 가닥씩 걸림 입편(141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 입편(141D)은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일어서고, 상단 근방에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한 반구상의 철부(143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철부(143D)는 직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도 14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A), (B)는 제2~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8(A), (B), 도 10(A), (B) 및 도 12(A), (B)와 마찬가지로 각각 감합 직전의 상태 및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4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는 도 4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걸림 쇠고리(13D)를 감합 쇠고리(23)에 감합시키면 걸림 쇠고리(13D)의 걸림 입편(141D)이 탄성 변형하면서 철부(143D)가 감입 요부(242)에 감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철부(143D)가 감합벽(241)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철부(143D)가 감입 요부(242)에 감입하는 방향은 지금까지의 제1~제4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5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도 상술한 제4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걸림 입편(141D)이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착탈의 반복에도 강한 커넥터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6실시형태의 걸림 쇠고리(13E)는 두 개의 걸림부(14E) 각각에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해 대각선을 향한 걸림벽(141E)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벽(141E)에 의해 걸림 요부(14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6실시형태의 감합 쇠고리(23E)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도 4참조)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아 플러그 커넥터의 대략 직사각형에 대해 비스듬한 감합벽(241E)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합벽(241E)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감합 철부(243E)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은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A), (B)는 제2~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8(A), (B) 등과 마찬가지로 각각 감합 전의 상태 및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7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E)와 도16에 나타내는 감합 쇠고리(23E)에 감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 쇠고리(13E)를 감합 쇠고리(23E)에 감합시키면, 걸림 쇠고리(13E)의 걸림벽(141E)이 감합 쇠고리(23E)의 감입 요부(242E)에 감입되고, 상기 걸림벽(141)이 감합 철부(243E)에 걸려 고정된다. 걸림벽(141E)이 감입 요부(242E)에 감입되는 방향은 지금까지의 각종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6실시형태의 경우의 전술한 제2실시형태(도 7, 도 8참조)와 마찬가지로 걸림 쇠고리(13E:플러그 커넥터)를 감합 쇠고리(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시키는 때에, 걸림 쇠고리(13E) 혹은 감합 쇠고리(23E)의 탄력성은 기대할 수 없다. 즉 상기 제6실시형태의 경우, 감합벽(241E) 등에 변형시키면서 감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탈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는 상기 제6실시형태의 형태도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걸림 쇠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7실시형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감합 쇠고리는 상술한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쇠고리(23E:도 16참조)와 동일한 것이 채용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F)는 도 15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E)와 비교한 때, 도 15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E)의 걸림벽(141E)이 중앙에서 두 개로 나뉘어진 두 개의 걸림벽(141F)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 다르다. 상기 걸림 쇠고리(13F)의 그외의 점에 대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E)와 동일하다.
도 19는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 쇠고리와 감합 쇠고리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A), (B)는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7(A), (B)와 마찬가지로 각각 감합 직전의 상태 및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9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F)와 도 16에 나타내는 감합 쇠고리(23E)와의 감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 쇠고리(13F)를 감합 쇠고리(23E)에 감합시키면 걸림 쇠고리(13F)의 두 개로 나뉘어져 있는 걸림벽(141F)이 탄성 변형하면서 감합 쇠고리(23E)의 감합 요부(241E)에 감입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벽(141F)이 감합 요부(243E)에 걸려 고정된다. 걸림벽(141F)이 감입 요부(242E)에 감입되는 방향은 지금까지의 각종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6실시형태의 경우의 걸림 쇠고리(13F:플러그 커넥터)를 감합 쇠고리(23E: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시키는 때에, 걸림 쇠고리(13F)의 걸림벽(141F)이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상기 제7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착탈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도 적합하다.
여기서 지금까지 설명해 온 제1실시형태에서 제7실시형태까지의 각종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에 걸림 쇠고리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 쇠고리를 구비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혹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을 걸림부 혹은 감합부로서 이용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은 제8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 20에 나타낸 방향과는 반대로 뒤집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지금까지의 제1~제7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에는 걸림 쇠고리(13~13F)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걸림 쇠고리(13~13F)에 걸림부(14~14F)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8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G)에는 하우징(11G) 자체에 걸림부(14G)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14G)는 하우징(11G)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인 4개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림부(14G)에는 대각선 방향의 입벽부(145G)와, 상기 입벽부(145G)에서 대각선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걸림 철부(146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벽부(145G)와 걸림 철부(146G)와의 사이에는 단부(段部;147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8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G)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제6실시형태의 감합 쇠고리(23E)와 동일한 감합 쇠고리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합 쇠고리(23E)에 의해 하우징(21G)의 수용 요부(211G)에 감합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8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G)를 리셉터클 커넥터(20G)에 감합시키면, 도 6에 나타내는 감합 쇠고리(23E)의 감합부(24E)에 설치되어 있는 감입 요부(242E)에 플러그 커넥터(10G)의 하우징(11G)의 걸림부(14G)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 철부(146G)가 감입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철부(146G)가 감합 철부(243E)에 걸려 고정된다. 걸림 철부(146G)가 감합 요부(242E)에 감입하는 방향은 지금까지의 각종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10G)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이다.
상기 제8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6실시형태(도 15~도 17참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10G)를 리셉터클 커넥터(20G)에 감합시키는 때에 감합 쇠고리(23E)의 탄력성은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G)에 있어서는 하우징(11G) 자체에 걸림부(14G)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8실시형태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반복 착탈하는 용도에는 부적합하다. 다만, 원칙적으로 한 번 감합시키면 되는 정도의 용도인 경우는 상기 제8실시형태의 형태도 좋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제9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감합 직전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9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10)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0;도 1, 도 2참조)와 동일한 커넥터이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걸림 쇠고리(13)가 사용되고, 상기 걸림 쇠고리(13)에 의해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9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20H)는 지금까지의 제1~제8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는 달리 감합 쇠고리는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제9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20H)의 하우징(21H)의 수용 요부(211H) 4개 코너에는 하우징(21H) 자체의 형상으로서, 수용 요부(211H)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에 대해 대각선 외측 방향으로 사이에 둔 형상의 감입 요부(248H)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9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20H)에는 하우징(21H) 자체에 감합부(24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H)의 하우징(21H)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감합부(24H)의 감입 요부(248H)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사용되고 있는 감합 쇠고리(23:도 4참조)의 감입 요부(242)에 대신하는 것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A)는 도 23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4(B)는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9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걸림 쇠고리(13:도 3참조)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141)이 리셉터클 커넥터(20H)의 하우징(21H)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감합부(24H)의 감입 요부(248H)에 감입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41)이 리셉터클 커넥터(20H)의 하우징(21H)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9실시형태의 경우, 감합 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에 사용되고 있는 걸림 쇠고리(13)의 걸림편(141)이 탄성 변형한다. 이 때문에 상기 의미에 있어서는 반복 착탈은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9실시형태의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20H)의 하우징(21H) 자체에 감합부(24H)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을 반복하면 감합부(24H)가 깍여 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9실시형태는 착탈의 빈도가 적은 커넥터 조립체에 적합한 구조이다.
이상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어느 실시형태나 플러그 커넥터의 4코너를 대각선 방향으로 감합시키는 커넥터 조립체이며, 어느 방향에서 충격을 받더라도 강고하게 견딜 수 있는 록킹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 쇠고리 및 감합 쇠고리는 중앙에서 분리시켜 각 한 개의 걸림부 및 감합부를 가져도 좋다.
10, 10G 플러그 커넥터
11, 21H 하우징
12 콘택트
13, 13A, 13C, 13E, 13F 걸림 쇠고리
14, 14A, 14C, 14D, 14E 걸림부
20, 20G, 20H, 리셉터클 커넥터
23, 23B, 23E 감합 쇠고리
24, 24H 감합부
141, 141A 걸림편
141C, 141D 걸림입편
141E, 141F 걸림벽
142A, 142E 걸림요부
143C 절곡 철부
143D 철부
145G 입벽부
146G 걸림 철부
211, 211H 수용 요부
241, 241B, 241E 감합벽
242, 242B, 242E 감입 요부
243E 감합 철부
248H 감입 요부

Claims (5)

  1. 서로 조합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갖고, 상기 제2커넥터에 걸리는 걸림부가 상기 대략 직사각형인 4개의 코너부 각각에 설치된 커넥터이며,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와 조합한 때의 상기 제1커넥터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상기 4개의 코너부 각각에 설치된 상기 걸림부와 감합하여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감합부가 각각 설치된 커넥터이며,
    상기 감합부 각각이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걸림부가 설치된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두 변의 어느 것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와 감합하는 감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 쇠고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4개의 코너부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감합부를 형성하는 감합 쇠고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상기 감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50040120A 2014-03-24 2015-03-23 커넥터 조립체 KR20150110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9750 2014-03-24
JP2014059750A JP2015185310A (ja) 2014-03-24 2014-03-24 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418A true KR20150110418A (ko) 2015-10-02

Family

ID=5414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120A KR20150110418A (ko) 2014-03-24 2015-03-23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70633A1 (ko)
JP (1) JP2015185310A (ko)
KR (1) KR20150110418A (ko)
CN (1) CN104953389A (ko)
TW (1) TW201541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2A (ko) * 2018-09-17 202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7064825A1 (ja) * 2015-10-14 2017-04-2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10396479B2 (en) * 2017-01-19 2019-08-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polar connector set
JP7341651B2 (ja) * 2018-10-24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1855B2 (en) * 2004-07-23 2010-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Locomotive dynamic braking grid package configuration
TWM359084U (en) * 2008-09-30 2009-06-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784673B2 (ja) *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2A (ko) * 2018-09-17 202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3389A (zh) 2015-09-30
JP2015185310A (ja) 2015-10-22
TW201541745A (zh) 2015-11-01
US20150270633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0418A (ko) 커넥터 조립체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61397B2 (ja) 組合せコネクタ
JP5807181B2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3232372A5 (ko)
TWI650908B (zh) 連接器
JP2016072222A (ja) コネクタ
JP2017162774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725800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725799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61430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44428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2472680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TWI481122B (zh) Keep fasteners, connector connectors and connectors
JP201913993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4516938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KR20190044922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JP2007115538A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取付装置
JP6167437B2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5805288B2 (ja) プラグコネクタ
US1054149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7050269A (ja) コネクタ
JP5037401B2 (ja) コネクタカバー
JP6188188B2 (ja) パネルマウント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