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84B1 -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84B1
KR101534084B1 KR1020130137756A KR20130137756A KR101534084B1 KR 101534084 B1 KR101534084 B1 KR 101534084B1 KR 1020130137756 A KR1020130137756 A KR 1020130137756A KR 20130137756 A KR20130137756 A KR 20130137756A KR 101534084 B1 KR101534084 B1 KR 10153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ircular
chopstick
chopsticks
metal plate
s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420A (ko
Inventor
박경조
Original Assignee
박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조 filed Critical 박경조
Priority to KR102013013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1/00Making cutlery wares; Making garden tools or the like
    • B21K11/04Making cutlery wares; Making garden tools or the like spoons; table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의 사용에 부드러움을 주고자 젓가락의 양단에 반원형 단부(端部)를 갖게 하는 젓가락을 프레스기의 금형작업을 통한 제작에 의해, 기존의 젓가락 제조에서 발생 되었던 불필요한 작업 공정 수 및 작업인원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고, 젓가락의 치수 또한 상시 정밀하게 유지하여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하여 기존의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 제조에서 젓가락 길이에 대한 치수 조절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을 없게 한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Continuous Apparatus of Chopsticks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일반 가정 및/혹은 영업장에서 사용하는 젓가락의 제조 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의 사용에 부드러움을 주고자 젓가락의 양단에 반원형 단부(端部)를 갖게 하는 젓가락을 프레스기의 금형작업을 통한 제작으로 칫수 정밀화를 달성하고, 또한 칫수 정밀화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 공정수 및 작업 인원수 감소를 도모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젓가락은 양단에 직각 단부(直角端部)를 갖게 한 것과, 그리고 반원형 단부(半圓形 端部)를 갖게 한 것들이 있다.
양단에 직각 단부를 갖는 젓가락의 경우 사용자들에게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부에 의해 사용상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있다(하기 특허문헌 참조).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해 개발된 것이 젓가락의 양단부가 반원형을 이루게 하는 부드러운 곡면처리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은 직각단부를 갖는 젓가락에 비하여 작업 공정 수를 증가시켜 생산성의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 즉, 양단에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의 제조 공정을 보면, 하기 특허문헌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①소정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판재(이하 "금속판재"라 한다.)로부터 서로 폭이 다른 한쌍의 젓가락 소재를 절단하고, ②절단 된 젓가락 소재의 양단을 반원형을 이루게 가공하고, ③이후에 단조작업, ④연마 및 ⑤폴리싱(Polishing)작업을 경유하여, 양단에 부드러운 곡면을 제공하는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후자의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의 경우, 양단에 반원형 단부를 형성하려고 하면, 젓가락은 2개가 한조(組)를 이루기 때문에 하나에 두번씩 총 4번의 반원형 가공(절단) 작업을 해야만 하므로, 이러한 작업은 1명이 하더라도 4번의 작업은 반드시 거쳐야만 하고, 만약 작업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1번 작업에 한사람씩을 배치한다고 하더라고 4번의 작업 공정 수는 그대로이면서 작업 인원만 4명으로 증가 되는 경우가 되어, 작업 공정 수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작업 인원만 더 소요되는 결과로 되어 전체적으로 생산성 저하의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특히, 4번의 걸친 젓가락 단부의 반원형 작업은, 젓가락 단부의 반원형 작업을 할 때마다 젓가락의 전체 길이에 대한 변화를 일일이 맞추면서 해야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다. 즉, 젓가락은 두 개가 한조를 이루는 특성상, 한개의 젓가락 단부에 대한 반원형 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이와 한조를 이루는 다른 한개의 젓가락 단부에 대하여 반원형을 이루는 절단 작업을 할 때에는 이미 반원형 가공 작업이 완료된 한개의 젓가락 길이와 동일 길이를 이루게 하고자 일일이 치수를 재면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젓가락들의 치수의 불량으로 인한 제품의 로스(Loss)율을 많게 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부드러운 곡면을 제공하는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을 제조함에 있어 작업 공정 수를 적게 하면서도 길이에 대한 치수 또한 항상 정밀성을 유지하여 제작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1.특허공개번호 1994-0011094 2.특허공개번호 1993-700312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양단에 반원형 단부(端部)를 갖는 젓가락을 프레스기의 금형작업을 통한 제작에 의해, 작업 공정수 및 작업 인원수의 감소와 아울러 젓가락의 치수 정밀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한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젓가락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젓가락의 제조방법은, 폭이 서로 다른 반원형 단부를 형성하는 한조의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剪斷部)와 젓가락 형태로 전단하는 젓가락 가공용 전단부를 일정 거리를 두고 구비하고 있는 프레스기의 상.하부금형들의 사이로 젓가락 제조를 위한 일정 두께의 금속 판재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상.하부금형들의 사이로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상기 프레스기의 상.하부금형들의 작동에 의한 반원형 가공 전단부의 전단 작업에 의해, 상기 반원형 가공 전단부들이 직접적으로 닿는 상기 금속판재의 양단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는 한조의 반원형 단부들을 형성하는 제1 전단 작업(剪斷 作業) 단계; 상기 제1 전단 작업(剪斷 作業) 단계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재의 반원형 단부들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상.하부금형들의 젓가락 가공용 전단부에 위치할 시, 상기 제1전단작업과 같이 실행되는 상기 젓가락 가공용 전단부에 의한 전단 작업에 의해 서로 직경이 다른 반원형 단부들을 기준으로 하여 금속판재의 전폭(全幅)을 전단하는 제2전단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금속 판재로부터는 폭이 다르게 형성되면서 양단에는 부드러운 곡면을 제공하는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들을 연속적으로 제조하여 후처리 가공이 필요 없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젓가락의 제조장치는, 프레스기에서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한 상부금형 및 이에 대응하여 하부에 대향 설치한 하부금형; 상기 상.하부금형의 대향 면에 각각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하부 금형면의 사이에 위치되는 젓가락 제조용 금속판재의 양단에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의 반원형단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반원형 전단날부를 갖는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 상기 상.하부금형의 반원형 전단부들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에 설치되어 반원형 전단부에 의해 1차 작업된 상기 금속판재의 반원형 단부들이 형성된 부위를 젓가락 형태로 전단하는 젓가락 전단날부를 갖는 젓가락 가공용 전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젓가락의 사용에 부드러움을 주고자 젓가락의 양단에 반원형 단부(端部)를 갖게 하는 젓가락을 프레스기의 금형작업을 통하여 제작함에 의해, 기존의 젓가락 제조에서 발생 되었던 불필요한 작업 공정 수 및 작업인원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고, 젓가락의 치수 또한 상시 정밀하게 유지하여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하여 기존의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 제조에서 젓가락 길이에 대한 치수 조절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함을 없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장치의 요부(要部)인 상.하부 금형부분 만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4a는 도 1 표시의 젓가락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젓가락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 내지 도 4e는 도 1 표시의 젓가락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젓가락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젓가락을 제조하는 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장치(100)은, 도 4a의 표시와 같이, 사용자들에게 부드러움을 제공하고자 젓가락(10)의 양쪽 단(端)에 반원형 단부들(12a,12b)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기존의 양단에 반원형부를 갖는 젓가락을 제작하는 장치에 비하여 작업 공정수의 감소는 물론 젓가락의 길이에 대한 치수를 일일이 맞추어야 하는 불편을 없게 하는 것이 핵심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장치(100)은, 프레스기(102)에서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한 상부금형(110) 및 이에 대응하여 하부에 고정 설치한 하부금형(1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기(102)에서 상부금형(110) 및 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하부금형(120)만을 분리하여 표시하고 있다. 상기 상.하부 금형들(110,120)의 상.하부 대향면의 양쪽에는 상.하부금형들 (110,1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젓가락 제조용 금속판재(1)의 양단에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도 4a참조)를 형성하는 암.수형의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 (111a,111b,121a,12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 들(111a,111b,121a,121b)에 의하여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을 이루게 된다. 상기 수(雄)형의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111a,111b)가 암(雌)형의 반원형 전단날부(121a,121b)에 결합 됨에 의해, 상기 상.하부금형들(110,120)의 사이에 위치된 젓가락 제조용 금속판재(1)의 양단에는 상기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 들(111a,111b,121a,121b)와 대응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를 형성하게 된다(도4a 참조).
상기 상.하부금형들(110,120)의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거리를 둔 이격(離隔) 위치에는 암.수형의 젓가락 전단날부들(112,1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암.수형의 젓가락 전단날부들(112,122)에 의하여 젓가락 전단부(140)를 구성한다. 이 젓가락 전단부(140)이 상기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에 의하여 1차 작업된 상기 금속판재(1)의 반원형 단부들(2a,2b)(도 4a참조)이 형성된 부위를 최종적으로 젓가락(10) 형태로 전단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암.수형의 젓가락 전단날부들(112,122) 또한 상기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 들(111a,111b,121a,121b)와 같은 상.하부금형들(110,1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부금형들(110,120)에 의한 작동시 수형의 젓가락 전단날부(112)가 암형의 젓가락 전단날부(122)쪽으로 결합 됨에 의해,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에 의하여 1차 작업된 상기 금속판재(1)의 반원형 단부들(2a,2b)(도 4a참조)이 형성된 부위를 젓가락 형태로 전단하게 된다.
도 4a는 도 1 표시의 젓가락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젓가락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도면과 앞에서 설명한 도 1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젓가락을 제조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금속판재(1)은, 도 1의 표시와 같이, 하부 금형(120)의 상면으로 위치되게 되는데, 하부금형(120)의 상면으로 위치되는 금속판재(1)의 앞 부분은 하부금형(120)의 양측부위에 설치된 스토퍼(125a,125b)에 의하여 저지되면서 금속판재(1)의 양단부분이 상.하부금형(110,120)의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 들(111a,111b,121a,121b)과 대면하는 위치로 있게 한다. 금속판재의 두께(T)는 대략 2~5mm이다.
이 상태에서 하부금형(120)으로부터 상승 되어 있던 상부금형(110)을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하강 작동시킬 수 있다. 상부금형(110)은 하부금형(120)으로부터 자유롭게 승강 혹은 하강 구동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 및 작동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실시 예에서는 생략한다.
하부금형(120)에 대하여 상부금형(110)이 상호 만나게 작동하면, 상부금형(110)쪽에 설치된 수(雄)형의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111a,111b)가 하부금형(120)의 암(雌)형의 반원형 전단날부(121a,121b)에 결합 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수(雄)형의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111a,111b)와 암(雌)형의 반원형 전단날부(121a,121b)이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판재(1)의 양단부는 상하부금형(110,120)의 강한 압력에 의하여 전단되어 외부로 탈락되는 반면, 하부금형(120)위에 올려져 있던 젓가락 제조용 금속판재(1)의 양단으로는 상기 반원형 전단 날부(剪斷 刃部)들(111a,111b,121a,121b)와 대응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만이 남게 된다. 금속판재(1)에 대한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의 형성은, 금속판재(1)가 도 4a의 화살표a 방향으로 진입되는 동안에는 금속판재(1)의 절단부위가 스토퍼(125a,125b)에 의하여 저지되게 하면서 양단부위를 계속하여 전단할 수 있게 한다.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된 금속판재(1)는, 상.하부금형들(110,12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될 때마다, 도 4a의 표시와 같이 하부금형(120)의 스토퍼들(125a,125b)의 사이를 통과하여 젓가락 전단부(140)의 작업부위로 순차적으로 진입된다. 스토퍼들(125a,125b)의 간격은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된 금속판재(1)이 폭(W)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된 금속판재(1)가 스토퍼들(125a,125b)의 사이를 통과함에는 전연 지장을 주는 일 없이 자유롭게 통과하여 이동되게 한다.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된 부위가 상.하부금형들(110,120)의 젓가락 전단부(140)의 작업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면, 같은 금형에서 같이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과 같이 승.하강 작동되는 젓가락 전단부(140)에 의하여 도 4a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젓가락(10)으로 전단된다.
즉,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를 이루게 형성된 금속판재(1)는,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되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를 갖는 부분에서 C2의 부분이 암.수형의 젓가락 전단날부들(112,122)와 대면하는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에 의하여 1차 작업된 상기 금속판재(1)의 반원형 단부들(2a,2b)(도 4a참조)이 형성된 C2부위가 최종적으로 젓가락 형태로 전단된다.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組)의 반원형 단부(2a,2b)가 형성된 C1,C2부분에서 C2부분이 암.수형의 젓가락 전단날부들(112,122)의 사이에 위치하게 하는 것은, 젓가락이 한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인데, 한조를 이루는 C1,C2부분에서 C2부분을 전단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한쌍(두개의 젓가락)의 젓가락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전단된 젓가락은 후속되는 마무리 작업 즉, 연마 작업과 폴리싱 작업만을 거침에 의하여 젓가락 이완성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젓가락의 양단에 형성하는 반원형 작업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젓가락 제조용 금속판재가 공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실행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도 4b 내지 도 4e는 도 1 표시의 젓가락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젓가락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이 실시예는 상.하부금형들(110,120)에 설치된 젓가락 전단부(140)을,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설치하여,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130)에 의한 금속판재(1)의 단부들(2a,2b)이 핏치들(P1~P4)만을 달리하여 성형하는 것만이 도 4a의 실시 예와는 와는 달리할 뿐, 그 밖의 작용 및 구성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삭제
1 : 금속판재 10 : 젓가락
12a,12b : 젓가락의 반원형 단부
100 : 젓가락 제조장치
110 ,120 : 상.하부금형
130 : 젓가락의 반원형 가공용 전단(剪斷)부
140 : 젓가락 전단(剪斷)부

Claims (2)

  1. 폭이 서로 다른 반원형 단부를 형성하는 한조의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剪斷部)와 젓가락 형태로 전단하는 젓가락 가공 전단부를 일정 거리를 두고 구비하고 있는 프레스기의 상.하부금형들의 사이로 젓가락 제조를 위한 일정 두께의 금속 판재를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상.하부금형들의 사이로 공급되는 판재에 대한 상기 프레스기의 상.하부금형들의 작동에 의한 반원형 가공 전단부의 전단 작업에 의해, 상기 반원형 가공 전단부들이 직접적으로 닿는 상기 금속판재의 양단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는 한조의 반원형 단부들을 형성하는 제1 전단 작업(剪斷 作業) 단계; 및
    상기 제1 전단 작업(剪斷 作業) 단계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재의 반원형 단부들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상.하부금형들의 젓가락 가공용 전단부에 위치할 시, 상기 제1전단작업과 같이 실행되는 상기 젓가락 가공용 전단부에 의한 전단 작업에 의해 서로 직경이 다른 반원형 단부들을 기준으로 하여 금속판재의 전폭(全幅)을 전단하는 제2전단작업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금속 판재로부터는 폭이 다르게 형성되면서 양단에는 부드러운 곡면을 제공하는 반원형 단부를 갖는 젓가락들을 연속적으로 제조하여 후처리 가공이 필요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의 제조 방법.
  2. 프레스기에서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한 상부금형 및 이에 대응하여 하부에 대향 설치한 하부금형;
    상기 상.하부금형의 대향 면에 각각 대응하게 설치되어 상.하부 금형면의 사이에 위치되는 젓가락 제조용 금속판재의 양단에 직경이 서로 다른 한조의 반원형단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반원형 전단날부를 갖는 반원형 가공용 전단부; 및
    상기 상.하부금형의 반원형 전단부들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에 설치되어 반원형 전단부에 의해 1차 작업된 상기 금속판재의 반원형 단부들이 형성된 부위를 젓가락 형태로 전단하는 젓가락 전단날부를 갖는 젓가락 전단부를 포함하는 젓가락의 제조 장치.
KR1020130137756A 2013-11-13 2013-11-13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756A KR101534084B1 (ko) 2013-11-13 2013-11-13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756A KR101534084B1 (ko) 2013-11-13 2013-11-13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420A KR20150055420A (ko) 2015-05-21
KR101534084B1 true KR101534084B1 (ko) 2015-07-06

Family

ID=5339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756A KR101534084B1 (ko) 2013-11-13 2013-11-13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5349B (zh) * 2018-01-22 2019-08-02 宿州市鑫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餐具修复功能的清洗杀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094A (ko) * 1992-11-25 1994-06-20 오도자 은젓가락의 제조방법
KR20090008194U (ko) * 2008-02-12 2009-08-17 이종순 효율적인 젓가락 생산을 위한 지발방법
JP2011110724A (ja) * 2009-11-24 2011-06-09 Yoshihiro Yamamura 箸材の製造方法、箸材及び箸製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094A (ko) * 1992-11-25 1994-06-20 오도자 은젓가락의 제조방법
KR20090008194U (ko) * 2008-02-12 2009-08-17 이종순 효율적인 젓가락 생산을 위한 지발방법
JP2011110724A (ja) * 2009-11-24 2011-06-09 Yoshihiro Yamamura 箸材の製造方法、箸材及び箸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420A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48027U (zh) 一种网孔冲压模具
KR101534084B1 (ko) 젓가락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662018A (zh) 一种提高带钢剪切宽度精度的方法
CN109277786B (zh) 一种刀模加工方法
CN108555130B (zh) 一种钢片冲切去毛刺加工工艺
JP2013128963A (ja) プレス加工方法およびプレス加工装置
CN204448981U (zh) 一种适用于高速冲压模具无塌角大光亮带精切结构
KR20160000768A (ko) 젓가락 제조장치
CN201537654U (zh) 一种冲裁全光面的专用冲裁模具
KR101513282B1 (ko) 다층 시트부재의 절단 방법
CN206588592U (zh) 一种数控高速校平横切生产线
CN201493535U (zh) 一种金属带材的分切机构
KR20140038643A (ko) Nct의 휠타입 금형
CN205431794U (zh) 一种擀面装置
CN207629098U (zh) 多层切边模具
CN203091505U (zh) 一种修边模具上的废料剪切结构
CN216139048U (zh) 一种超声波冲孔剪切机
CN203266761U (zh) 拖剪机构及含有该拖剪机构的厚箔剪设备
CN210969120U (zh) 橡胶板通过式倒角装置
CN213005704U (zh) 一种用于肉类冲压切割修型机上的刀头
JP5736815B2 (ja) トムソン刃切断機
CN101708522A (zh) 竖角机及带折边面板的制造方法
CN203768225U (zh) 一种数控加工装置
CN207415713U (zh) 陶瓷马桶坯体虹吸孔开孔工具
CN206287244U (zh) 一种便于退料的刀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