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64B1 -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64B1
KR101534064B1 KR1020130154261A KR20130154261A KR101534064B1 KR 101534064 B1 KR101534064 B1 KR 101534064B1 KR 1020130154261 A KR1020130154261 A KR 1020130154261A KR 20130154261 A KR20130154261 A KR 20130154261A KR 101534064 B1 KR101534064 B1 KR 10153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ir pressure
vehicle
reference ai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250A (ko
Inventor
허경
강여진
이봉현
배철용
유성민
지성원
이석호
이다연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5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 B60C23/0416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allocating a corresponding wheel position on vehicle, e.g. front/left or rear/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B60S5/043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control means or the drive of the air pressur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1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OF CONTROLLING AIR PRESSURE OF TIR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이어별 중량, 차량의 주행 관련 정보 및 차량의 외부환경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반영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제어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 상태는 차량이 위치한 노면상태, 차량의 주행조건 또는 적재하중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타이어가 터지거나 차량이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고, 연료 소모량이 많아져 연비가 악화된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절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타이어 수명이 짧아지고 승차감과 제동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타이어의 결함을 막기 위해 최근에는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을 이용해서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며, 타이어 공기압이 규정 공기압 이하로 떨어지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은 타이어 휠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를 측정하고, 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운전자가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차량의 휠 주변에 LF(Low Frequency) 안테나를 장착하고, 각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타이어 압력을 입력받아 각 타이어가 최적의 압력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압력 센서에 2축 가속 센서를 추가하여 각 압력 센서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이 어느 타이어의 압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7946 호(2013.04.17.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가 있다.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는 것이 차량의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은 일반화된 사실이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은 각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고 이 값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더불어, 기존의 기술은 차량의 다양한 외부 조건에 대한 고려없이 연비 향상에 적합하다고 미리 알려진 공기압으로만 타이어의 공기압을 제어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차량의 각 타이어에 미치는 중량, 차량이 위치한 도로, 또는 외부 날씨 등에 따라서 타이어에 적합한 공기압은 달라지기 마련인데, 종래에는 이러한 요인들을 반영하여 타이어별로 적합한 공기압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이어별 중량, 차량의 주행 관련 정보 및 차량의 외부환경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반영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제어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 장치는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량 감지 신호는 타이어별로 분배된 중량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신호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환경 감지 신호는 외부 기온과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배된 중량값이 클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고속도로, 시내도로 또는 비포장 도로인지를 구별하여, 구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공기압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고, 외부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해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타이어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한 이후에, 상기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량 감지 신호는 타이어별로 분배된 중량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신호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환경 감지 신호는 외부 기온과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공기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적정 공기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타이어별로 최적의 타이어 공기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를 통해서 표시되는 타이어별 최적 공기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를 통해서 표시되는 타이어별 최적 공기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는 입력부(10), 제어부(30) 및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어(1)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차량의 중량 감지, 주행 관련 신호 또는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등을 추가로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0)는 타이어(1)별로 존재하는 중량 센서(미도시)를 통해서 각 타이어(1)별 중량값을 개별적으로 입력받는다.
즉, 차량의 하중이 각 타이어(1)별로 동일하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어(1)별로 설치된 중량 센서로부터 각 타이어(1)별로 분배되는 중량을 개별적으로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0)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경로 안내 장치(미도시)로부터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때,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특성에 따라서 타이어(1)의 적정 공기압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관련 신호를 추가로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부(10)는 차량의 공조 장치의 제어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온도 센서(미도시)나 습도 센서(미도시)로부터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주행하는 외부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서 타이어(1)의 적정 공기압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외부환경을 감지한 신호를 추가로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로부터 온도와 습도를 입력받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타이어(1) 주변에 별도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장착하고 측정값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고, 후술하는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하여 연산된 기준 공기압에 따라 타이어(1)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이 때,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은 차량의 중량 정보, 주행 관련 정보, 외부환경 정보 등을 반영하였을 때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각 타이어(1)의 최적 공기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차량의 중량 정보, 주행 관련 정보, 외부환경 정보 등을 반영하여 타이어(1) 공기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타이어(1)별로 분배된 중량값이 상대적으로 큰 타이어(1)의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한다. 따라서, 큰 하중이 미치는 타이어(1)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압을 보충함으로써, 차체의 기울어짐 등을 방지하면서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의 주행 도로에 따라서 타이어(1)의 기준 공기압을 다르게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지, 시내도로를 주행하는지 또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지에 기초하여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다르게 연산한다.
즉,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으며 속도 변화가 자주 발생하지 않으므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연산하고,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도로의 상태가 가장 좋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1)가 도로와 맞닿는 부분을 넓힘으로써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가장 작게 연산한다.
반면, 차량이 시내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보다는 느린 속도로 주행하되 속도 변화가 자주 발생하지만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보다는 주행 안정성이 보장되므로, 시내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고속도로와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의 사이 값으로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의 외부 기온과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다르게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타이어(1)가 상대적으로 더 팽창하여 노면과 맞닿는 부분이 좁아져서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제어부(30)는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연산함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돕는다.
그리고 차량의 외부 습도가 높을수록 노면과 타이어(1)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제어부(30)는 차량의 외부 습도가 높을수록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연산함으로써, 타이어(1)와 노면이 맞닿는 부분이 넓어지게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연산할 때 반영하는 정보는 전술한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와 외부환경 감지 신호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주행 관련 신호와 외부환경 감지 신호를 추가로 반영하여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연산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0)는 제어부(30)에서 연산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타이어(1)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50)는 전방 좌측(Front Left) 타이어(1a)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52), 전방 우측(Front Right) 타이어(1b)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54), 후방 좌측(Rear Left) 타이어(1c)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56) 및 후방 우측(Rear Right) 타이어(1d)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58)를 각각 포함한다.
다만 타이어(1)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 타이어(1)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50)가 각각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하나의 액추에이터(50)를 통해서 타이어(1)별 공기압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미리 연산하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70)는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주행 관련 신호 및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30)는 입력부(10)의 신호에 따라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연산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부(70)로부터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추출하여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되거나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출력하는 표시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되거나 추출된 타이어(1)별 최적의 공기압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반영하여 연산된 각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은 서로 동일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주행 관련 신호 및 외부환경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각 타이어(1) 주변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각 타이어(1)별로 최적의 공기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30)는 입력부(10)를 통해서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다(S1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어(1)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타이어(1) 공기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로서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등을 추가로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한다(S20).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타이어(1)별 중량값이 상대적으로 큰 타이어(1)의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여, 큰 하중이 미치는 타이어(1)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압을 보충함으로써, 차체의 기울어짐 등을 방지하면서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지, 시내도로를 주행하는지 또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지에 기초하여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다르게 연산한다.
즉,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으며 속도 변화가 자주 발생하지 않으므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연산하고,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도로의 상태가 가장 좋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1)가 도로와 맞닿는 부분을 넓힘으로써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가장 작게 연산한다.
반면, 차량이 시내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보다는 느린 속도로 주행하되 속도 변화가 자주 발생하지만,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보다는 주행 안정성이 보장되므로, 시내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고속도로와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의 사이 값으로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의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연산함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도울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외부 습도가 높을수록 노면과 타이어(1)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제어부(30)는 차량의 외부 습도가 높을수록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연산함으로써, 타이어(1)와 노면이 맞닿는 부분이 넓어지게 제어한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전술한 단계(S20)에서 연산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을 표시부(9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타이어(1)별 최적의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연산된 타이어(1)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50)를 제어함으로써 타이어(1)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S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공기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적정 공기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각 타이어별로 최적의 타이어 공기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1a, 1b, 1c, 1d: 타이어
10: 입력부
30: 제어부
50, 52, 54, 56, 58: 액추에이터
70: 메모리부
90: 표시부

Claims (10)

  1.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감지 신호는 타이어별로 분배된 중량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신호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환경 감지 신호는 외부 기온과 습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배된 중량값이 클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고속도로, 시내도로 또는 비포장 도로인지를 구별하여, 구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공기압을 연산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고, 외부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해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타이어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감지 신호는 타이어별로 분배된 중량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신호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환경 감지 신호는 외부 기온과 습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분배된 중량값이 클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며,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단계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고속도로, 시내도로 또는 비포장 도로인지를 구별하여, 구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공기압을 연산하며,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단계는,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고, 외부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한 이후에, 상기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
  10. 삭제
KR1020130154261A 2013-12-11 2013-12-11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261A KR101534064B1 (ko) 2013-12-11 2013-12-11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261A KR101534064B1 (ko) 2013-12-11 2013-12-11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50A KR20150068250A (ko) 2015-06-19
KR101534064B1 true KR101534064B1 (ko) 2015-07-08

Family

ID=5351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261A KR101534064B1 (ko) 2013-12-11 2013-12-11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87A (ko) 2017-01-03 2018-07-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
KR102345549B1 (ko) * 2020-06-30 2021-12-30 주식회사 파티클 타이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187B1 (ko) 2015-12-10 2017-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선된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및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52A (ko) * 1998-09-23 2000-04-15 이재홍 타이어 압력 제어 장치
KR20020049549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JP2002529716A (ja) * 1998-11-09 2002-09-1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的な車両タイヤ圧測定・調節システムおよび自動的な車両タイヤ圧測定・調節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52A (ko) * 1998-09-23 2000-04-15 이재홍 타이어 압력 제어 장치
JP2002529716A (ja) * 1998-11-09 2002-09-1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的な車両タイヤ圧測定・調節システムおよび自動的な車両タイヤ圧測定・調節法
KR20020049549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987A (ko) 2017-01-03 2018-07-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
KR102345549B1 (ko) * 2020-06-30 2021-12-30 주식회사 파티클 타이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타이어 공기압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50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028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120221196A1 (en) Active tire controller device
CN104973052A (zh) 减速带检测装置和使用该装置的导航数据更新装置和方法
CN106515734A (zh) 用于机动车辆中自动适应加速的方法
CN105346340A (zh) 动态轮胎气压系统
EP2823974B1 (en) Tire air pressure monitor device
US73083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daptive brake gain parameters for use in a safety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1534064B1 (ko)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61597B2 (ja) 車両挙動制御装置及びスタビリティファクタ予想装置
US20200207357A1 (en) Modifying vehicle behavior based on data from a dynamically updated roadway coefficient of friction database
JP2006193015A (ja) 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
JP3978774B2 (ja) 車両制御装置
JP5126048B2 (ja)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KR102255437B1 (ko) 곡선로 주행과 관련하여 도로상에서의 차량 주행을 적합화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0936891A (zh) 用于在胎压损失的情况下应急反应的方法以及交通工具
JP7005979B2 (ja) タイヤの回転速度補正装置
KR101953132B1 (ko) 조향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0093B1 (ko) 전동식 조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8155889A (ja) 車両の走行安定状態判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走行状態安定制御装置
KR100892360B1 (ko) 티피엠에스를 이용한 요레이트 연산방법
KR101553594B1 (ko) 타이어 공기압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EP3656585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3237337A (ja) 車両制御装置
CN110831788A (zh) 车辆中的车轮监测
JP2017149340A (ja) タイヤの減圧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