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140B1 -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140B1
KR101532140B1 KR1020130110815A KR20130110815A KR101532140B1 KR 101532140 B1 KR101532140 B1 KR 101532140B1 KR 1020130110815 A KR1020130110815 A KR 1020130110815A KR 20130110815 A KR20130110815 A KR 20130110815A KR 101532140 B1 KR101532140 B1 KR 10153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calling
button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318A (ko
Inventor
강원일
Original Assignee
강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일 filed Critical 강원일
Priority to KR102013011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1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 영상입력수단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제2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단말기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알람 동작하는 알람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집에 없는 경우에도 집에 침입자가 방문할 경우 단말기를 이용하여 침입자임을 확인하여 신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제 어디에서나 집에 침입자가 들어오는 것을 걱정하지 않으며, 집에 침입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ime prevention motion using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에는 방문자가 외부에서 방문을 알리도록 하는 초인종이 출입문의 일측에 구성된다. 이러한 초인종에 의해 가정에서는 출입문을 열지 않고도 방문한 사람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고, 방문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출입문을 개방하여도 되는지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외출에 의해 집에 사람이 없을 경우 방문자는 초인종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가정을 방문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방문자가 친척이나 친구 등과 같은 가까운 사람일 경우에, 방문자는 가정에 사람이 올 때까지 계속하여 출입문 밖에서 서 있어야만 한다.
또한, 빈집을 노려 절도 등을 하는 도둑들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외출시에는 출입문을 잠그고 외출하여도 도둑들이 잠겨진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부수거나 열어 출입문을 통해 빈집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절도에 의한 피해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콤 등과 같은 방범회사에 불법적인 침입자의 감시를 의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관리비용이 고가임에 따라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래 특허문헌에도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470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집에 없는 경우에도 집에 침입자가 방문할 경우 단말기를 이용하여 침입자임을 확인하여 신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 상기 영상입력수단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제2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알람 동작하는 알람수단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은 벨의 눌림이고, 상기 영상입력수단은 상기 벨이 설정시간 동안 설정횟수 눌려지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은 도어폰의 호출이고, 상기 영상입력수단은 상기 도어폰의 호출에 의해 설정된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는 방범동작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방범동작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영상입력수단이 온(ON)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방범동작버튼은 토글 스위치이고, 상기 방범동작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다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영상입력수단이 오프(OFF)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는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비밀번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방범동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녹화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녹화수단은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한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출입자 감지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출입자 감지동작신호에 의해 출입자 감지 동작하는 출입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에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영상입력수단에서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단계; 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입력수단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단계; 음성출력수단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3 단계; 음성입력수단에서, 제2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4 단계; 및 알람수단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알람 동작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은 벨의 눌림이고, 상기 영상입력수단에서는 상기 벨이 설정시간 동안 설정횟수 눌려지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은 도어폰의 호출이고, 상기 영상입력수단은 상기 도어폰의 호출에 의해 설정된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기의 방범동작버튼이 눌려져 상기 영상입력수단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는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비밀번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방범동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녹화수단에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녹화수단에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한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출입자 감지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출입자 감지센서에서 상기 출입자 감지동작신호에 의해 출입자 감지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에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집에 없는 경우에도 집에 침입자가 방문할 경우 단말기를 이용하여 침입자임을 확인하여 신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제 어디에서나 집에 침입자가 들어오는 것을 걱정하지 않으며, 집에 침입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은, 영상입력수단(100), 휴대용 단말기(200), 음성출력수단(300), 음성입력수단(400), 및 알람수단(500)을 포함한다.
영상입력수단(100)은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호출수단은 주택의 문 옆에 설치된 벨이나 도어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호출수단이 벨(50)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영상입력수단(100)은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카메라는 아파트와 같은 주택 출입문의 렌즈에 구비될 수 있다. 주택 내부에 사람이 없는 경우, 방문자가 벨(50)을 누르면 동작한다. 영상입력수단(100)은 벨(50)이 설정시간 동안 설정횟수 눌려지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영상입력수단(100)은 벨(50)이 10초 동안 2번 눌려지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영상입력수단(100)은 도어폰의 호출에 의해 설정된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설정된 호출신호는 예를 들어 1회, 2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폰의 사용예와 관련하여, 현관 외부 벽쪽 문 옆의 도어폰의 호출신호가 있을 때 호출신호가 거실 벽쪽 단말기에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송신되면 거실 벽쪽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폰의 호출신호가 한 번 이상이면 집안 내부와 외부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송신되어 사용자가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영상입력수단(10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 벨(50)을 누른 방문자의 모습을 볼 수 있어 방문자가 우편배달부와 같은 비 침입자인지 도둑과 같은 침입자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200)에는 방범동작버튼(210)이 구비되고, 방범동작버튼(210)이 눌려지는 경우 영상입력수단(100)이 온(ON) 상태가 된다. 방범동작버튼(210)은 스위칭 수단인데,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직선적인 상하동작 또는 좌우의 왕복 동작을 함으로써 온/오프 동작하는 레버를 가진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일 수 있다. 이때, 방범동작버튼(210)이 눌려진 상태에서 다시 눌려지는 경우 영상입력수단(100)이 오프(OFF)된다. 방범동작버튼(210)은 사용자가 집을 비우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영상신호와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녹화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녹화수단(220)은 영상신호와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한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한다. 녹화수단(220)을 통해 추후 필요한 경우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문자의 인상착의와 목소리로부터 방문자가 누구인지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문자가 방문한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여 방문자의 방문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스마트 비디오폰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후술하기로 한다.
음성출력수단(300)은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제1 음성신호(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음성출력수단(30O)은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스피커를 통해 제1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방문자에게 어디서 무엇을 하러 왔는지 등을 질문할 수 있게 된다.
음성입력수단(400)은 제2 음성신호(침입자의 음성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휴대용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음성입력수단(40O)은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마이크를 통해 제2 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방문자는 사용자가 질문한 내용에 대해 응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우체국에서 온 우편배달부라면 등기우편을 전달하러 왔다고 질문에 대해 응대할 수 있게 된다.
알람수단(500)은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알람 동작한다. 알람수단(500)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buzz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부저를 통해 알람 동작할 수 있으므로, 방문자가 침입자라면 알람을 인지한 아파트 경비실, 경찰 지구대, 또는 세콤과 같은 사설 보안업체 등에서 사용자의 집으로 출동하여 침입자를 체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은, 단말기가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출입자 감지동작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출입자 감지동작신호에 의해 출입자 감지 동작하는 출입자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 감지센서에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단말기는 고유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스마트 비디오폰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창(230)은 스마트 비디오폰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위치하고, 날짜와 시간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뉴버튼(240)을 누르면 LCD 창(230)이 디스플레이되며, 스마트 비디오폰 번호 입력수정 최대 5개, 비밀번호 입력수정, 녹화기록 보기, 날짜 입력수정, 시간 입력수정, 및 스마트 비디오폰 발신음 문자송신 입력수정, 여러 개의 송수신 기기 고유 신호문자 음성 입력수정 등의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비밀번호 입력수정방식은 한글과 숫자의 조합형태로서, 메뉴버튼을 누르고 비밀번호의 입력이나 수정 쪽으로 커서를 이동하여 확인버튼을 누르면 한글과 숫자의 자막창이 열린다. 한글에 확인버튼을 누르면 숫자 다이얼 버튼이 자음과 모음의 동작으로 변환되며, 이 조합된 비밀번호 문자는 비밀번호 확인버튼을 눌렀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창 바로 아래에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한글이나 숫자로 표시된다. 비밀번호 입력이나 수정을 완료한 후, 확인버튼을 빠르게 두 번 누르면 비밀번호 입력이나 수정한 내용이 저장된다. 비밀번호 입력이나 수정은 외부에서 할 수 없다.
날짜입력 수정방식은 메뉴버튼의 날짜로 커서를 움직여 확인버튼을 누르면 달력이 나타나고 달력의 숫자에 커서를 이동하여 확인 버튼을 빠르게 두 번 누르면 해당 날짜로 저장되어 날짜를 카운트할 수 있다. 커서가 시간 쪽으로 이동하여 확인버튼을 한번 누르면 시간과 분의 창이 나타나며, 숫자 다이얼을 눌러 시간을 셋팅할 수 있다(setting).
메뉴버튼(240)을 누르면 숫자 다이얼 버튼 중 상하좌우 화살표 버튼이 동작하며, 화살표 버튼을 눌러 커서를 움직여 확인버튼을 한 번 누르면 다른 부가적인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확인버튼을 빠르게 두 번 누르면 실행된다.
방범동작버튼(210)을 누르면 방범동작램프가 점등하고, LCD 창(230)에 방범동작모드라는 문자와 조명제어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아무것도 누르지 않으면 방범동작모드에서만 동작하고, 상하좌우 버튼을 움직여 커서를 조명제어 쪽으로 이동하여 확인버튼을 한 번 누르면 점등과 소등의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점등이나 소등쪽으로 커서를 움직여 확인버튼을 누르고 스마트 비디오폰의 다이얼 숫자로 시간을 세팅하고 확인버튼을 두 번 빠르게 누르면 실행된다. 동작 중인 방범동작버튼(210)을 다시 한번 누르면 비밀번호 입력 칸과 문자 숫자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문자 쪽에 커서를 움직여 확인버튼을 누르면 스마트 비디오폰의 숫자 다이얼이 문자 다이얼로 변환된다. 그리고, 숫자 입력창에 확인버튼이 확인되면 숫자 다이얼로 변환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눌러야만 방범기능이 해제된다. 이때,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해제되지 않으면 해제되지 않았다는 신호를 발생한다. 비밀번호를 여러 번 입력했음에도 해제되지 않으면 인증번호를 부여받고 일시적으로 방범기능 해제 후 사용자가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사용한다. 방범기능 해제는 스마트 비디오폰에서만 할 수 있다.
건전지 교체시점이 되면, 스마트 비디오폰의 건전지 알람 램프가 점멸하며, 스마트 비디오폰의 LCD 창(230)에 입력된 기기의 개별번호나 문자로 입력한 글자가 디스플레이된다.
또 한편, 상술한 스마트 비디오폰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외출시 스마트 비디오폰의 방범동작버튼(210)을 누르면, 방범동작램프가 점등하고 조명제어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잠깐 외출시에는 방범동작버튼(210)을 누르는 것으로 방범기능을 수행하며, 장시간 외출시에는 조명의 점등과 소등의 시간을 셋팅하면 매일 셋팅시간에 의해 조명이 동작한다. 이때, 방범동작버튼(210)이 눌려지면 카메라가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녹화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출타하여 집에 돌아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작동하고 있는 방범동작버튼(21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방범감시모드 해제 비밀번호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는데,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방범해제신호가 스마트 비디오폰으로 송신된다. 이때, 방범모드기능과 조명제어기능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사용자가 외출시 방범동작버튼(210)을 누르지 않고 외출하였을 때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일시적으로 스마트 비디오폰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해제되는 경우(비밀번호를 해제하면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방범동작모드로 전환 가능), 방범기능 수행방법을 스마트 비디오폰으로 보면서 날짜와 조명의 점등/소등을 셋팅하며 방범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방범기능의 해제는 방범동작버튼(210)을 다시 한 번 누르거나 아니면 별도로 설정된 비밀번호 입력 방법으로 해제되고 잠깐 동안 방범기능을 해제하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며, 방범기능이 해제되면 스마트 비디오폰의 LCD 창(230)이 닫히고 방범기능 동작램프도 소등된다.
또 한편, 상술한 스마트 비디오폰의 출입문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출입문 안쪽에는 보조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보조잠금장치에는 건전지가 삽입된다. 보조잠금장치에 내장된 진동센서가 스마트 비디오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보조잠금장치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보조잠금장치의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점멸램프가 점멸하고, 보조장금장치가 잠긴 후 보조잠금장치의 버튼을 한 번 더 누르면 점멸램프가 소등되는데, 이때 보조장금장치가 잠금 해제된다.
스마트 비디오폰의 방범감시모드 상태에서 호출버튼을 한 번 이상 눌렸을 때나 디지털 키의 비밀번호를 여러 번 눌렸을 때 출입문이 진동하면, 출입문 내부에 설치된 보조잠금장치가 잠긴다. 보조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 일정시간(약 5분 이상, 사용자가 시간 세팅함)이 경과하면 보조잠금장치가 해제되며, 출입문의 비밀번호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해제되는 경우에는 진동센서가 동작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방법은, S100 내지 S1200을 포함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200)의 방범동작버튼(210)이 눌려져(S100) 영상입력수단(100)이 온(ON) 상태가 된다(S200).
S200 이후, 벨(50)이 눌려지면(S300), 영상입력수단(100)에서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S400). 영상입력수단(100)에서는 벨(50)이 설정시간 동안 설정횟수 눌려지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도 2에서는 벨(50)이 호출수단의 예로 설명되었으나, 호출수단은 주택의 문 옆에 설치된 도어폰일 수도 있다. 이때, 영상입력수단(100)은 도어폰의 호출에 의해 설정된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한다. 설정된 호출신호는 예를 들어 1회, 2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S400 이후,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영상입력수단(10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500).
S500 이후, 음성출력수단(300)에서,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600).
S600 이후, 음성입력수단(400)에서, 제2 음성신호를 입력받아(S700) 휴대용 단말기(200)에 송신한다(S800).
S800 이후, 알람수단(500)에서,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S900) 알람 동작한다(S1000).
S1000 이후, 휴대용 단말기(200)의 방범동작버튼(210)이 눌려진 상태에서 다시 눌려져(S1100) 영상입력수단(100)이 오프(OFF)된다(S1200).
휴대용 단말기(200)의 동작과 관련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녹화수단에서, 영상신호와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녹화수단에서 영상신호와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한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한다.
또한, 단말기에서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출입자 감지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출입자 감지센서에서 출입자 감지동작신호에 의해 출입자 감지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출입자 감지센서에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단말기가 고유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50 : 벨
100 : 영상입력수단
200 : 단말기
210 : 방범동작버튼
220 : 녹화수단
230 : LCD 창
240 : 메뉴버튼
300 : 음성출력수단
400 : 음성입력수단
500 : 알람수단

Claims (18)

  1.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수단;
    상기 영상입력수단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제2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음성입력수단;
    상기 단말기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알람 동작하는 알람수단;
    문에 설치되고, 내장된 진동센서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보조잠금장치; 및
    상기 보조잠금장치의 버튼이 한 번 눌려지면 점멸하고, 상기 보조잠금장치가 잠긴 후 상기 보조잠금장치의 버튼이 한 번 더 눌려지면 소등하는 점멸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방범감시모드 상태에서 문 옆에 설치된 호출버튼이 한 번 이상 눌렸을 때나 문에 설치된 디지털 키의 비밀번호가 여러 번 눌렸을 때 문이 진동하면 상기 보조잠금장치가 잠기고, 상기 보조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보조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은 벨의 눌림이고, 상기 영상입력수단은 상기 벨이 설정시간 동안 설정횟수 눌려지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은 도어폰의 호출이고, 상기 영상입력수단은 상기 도어폰의 호출에 의해 설정된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방범동작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방범동작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영상입력수단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비밀번호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방범동작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녹화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수단은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음성신호를 녹화한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호출수단의 호출동작에 의해 출입자 감지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출입자 감지동작신호에 의해 출입자 감지 동작하는 출입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에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받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30110815A 2013-09-16 2013-09-16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53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15A KR101532140B1 (ko) 2013-09-16 2013-09-16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15A KR101532140B1 (ko) 2013-09-16 2013-09-16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18A KR20150051318A (ko) 2015-05-13
KR101532140B1 true KR101532140B1 (ko) 2015-06-30

Family

ID=5338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15A KR101532140B1 (ko) 2013-09-16 2013-09-16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20Y1 (ko) * 2003-04-07 2003-06-11 고 성 욱 휴대폰과 연동하는 비디오 도어폰
KR20080071370A (ko) * 2007-01-30 2008-08-04 오영란 원격 영상 통화 장치를 이용한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5171A (ko) * 2009-12-09 2011-06-15 강병두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101272492B1 (ko) * 2011-12-12 2013-06-10 한성기성주식회사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20Y1 (ko) * 2003-04-07 2003-06-11 고 성 욱 휴대폰과 연동하는 비디오 도어폰
KR20080071370A (ko) * 2007-01-30 2008-08-04 오영란 원격 영상 통화 장치를 이용한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5171A (ko) * 2009-12-09 2011-06-15 강병두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101272492B1 (ko) * 2011-12-12 2013-06-10 한성기성주식회사 방문자를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조치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로 연결되는 인터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18A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608B1 (ko) 도어 록 장치
US8294574B2 (en) Securit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US9060103B2 (en) Doorbell security and safety
US20130147626A1 (en) Electronic Mailbox System
KR101801200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JP2004013871A (ja) 防犯システム
US9558638B2 (en) Security arrangement and method therfor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JP2006287467A (ja) ドアホン装置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07310531A (ja) 防犯システム
JP2005216186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KR101532140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동작 시스템 및 방법
JP2000017911A (ja) 物品類受け取り装置
JP2006344191A (ja) 防犯用室内監視通報装置
KR101449477B1 (ko) 비디오 도어폰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70070814A (ko) 도어폰 시스템
KR20190010854A (ko) 현관문 홈오토메이션 방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55553Y1 (ko) 홈 관제 시스템
KR102111571B1 (ko) 화장실 선반장치 제어시스템
JP200509462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737765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30078139A (ko) 방문자 확인장치
JP20111764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219475A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