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35B1 -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35B1
KR101530835B1 KR1020147024900A KR20147024900A KR101530835B1 KR 101530835 B1 KR101530835 B1 KR 101530835B1 KR 1020147024900 A KR1020147024900 A KR 1020147024900A KR 20147024900 A KR20147024900 A KR 20147024900A KR 101530835 B1 KR101530835 B1 KR 10153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annealing
temperature
volume fraction
tempered marten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581A (ko
Inventor
히데타카 가와베
다케시 요코타
레이코 스기하라
시게유키 아이자와
가즈키 나카자토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고가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성분계에 있어서, 금속 조직을 조정함으로써, 연신율, 신장 플랜지성 및 굽힘성을 향상시킨, 인장 강도 TS 가 1180 ㎫ 이상인 고강도 냉연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의 성분 조성으로 함과 함께, 체적 분율로, 페라이트상 : 40 ∼ 60 %, 베이나이트상 : 10 ∼ 30 %,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 20 ∼ 40 %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 5 ∼ 20 % 를 함유하고, 상기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중, 총 체적 분율에서 차지하는 장축 길이 ≤ 5 ㎛ 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이 80 ∼ 100 % 를 만족하는 조직을 갖는다.

Description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복잡한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되는 것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골격 구조 부품 등에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b 나 V, Cu, Ni, Cr, Mo 등의 고가의 원소를 적극적으로 첨가하지 않고, 금속 조직으로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활용하고, 또 마텐자이트상을 템퍼링 연화함과 함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사이즈를 제어하여, 균일 또한 미세한 조직으로 함으로써, 연신율 (El) 및 신장 플랜지성 (통상적으로, 구멍 확장률 (λ) 로 평가된다), 나아가서는 굽힘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인장 강도 (TS) : 1180 ㎫ 이상이라는 고강도를 아울러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이나 충돌 안전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인장 강도 (TS) 가 980 ㎫ 이상인 강판의 자동차 골격 구조 부재로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더욱 고강도의 강판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종래, TS : 1180 ㎫ 이상의 고강도 강판은, 범퍼 리인포스먼트나 도어 임팩트 빔 등의 경가공 부품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한층 더 충돌 안전성의 확보 및 차체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도록, 프레스 성형에 의한 많은 복잡 형상의 자동차 골격 구조 부품으로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고, 성형성이 우수한 강판에 대한 니즈는 높다.
그러나, 강판은, 일반적으로, 고강도화에 수반하여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프레스 성형시에 있어서의 균열의 회피가 고강도 강판의 적용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큰 과제로 되고 있다. 또, 특히 TS : 1180 ㎫ 이상으로 고강도화하는 경우,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 C 나 Mn 이외에, Nb, V, Cu, Ni, Cr 및 Mo 등의 매우 고가의 희소 원소의 적극적인 첨가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많다.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7 에, 강 성분이나 조직의 한정, 열연 조건, 어닐링 조건의 최적화에 의해, 마텐자이트상 또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조직의 구성상으로 한 고강도 냉연 강판을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080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797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31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99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56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594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68050호
특허문헌 1 은, 고가의 원소를 필수로 하고 있지 않기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성분계는, C ≥ 0.3 % 로 C 함유량이 많은 성분계로서, 스폿 용접성에 우려가 있다. 또, C 량이 많은 성분계에 있어서 높은 El 을 얻는 지견이 개시되어 있지만, C < 0.3 % 로 낮은 C 량 레벨에 있어서, El 에 더하여, 신장 플랜지성 및 굽힘성을 밸런스시키는 것에 관한 지견은 없다.
특허문헌 2 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고가의 Cu 나 Ni 를 필수로 하는 불리가 있다. 또,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활용하여 TS : 780 ∼ 980 ㎫ 레벨에서 높은 El 을 달성하는 지견은 개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TS : 1180 ㎫ 이상으로 고강도인 경우에는 C 량이 많아, 충분한 신장 플랜지성은 얻어지지 않고, 추가로 굽힘성의 향상에 관한 지견은 없다.
특허문헌 3 은,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많고, 특히 TS : 1180 ㎫ 이상으로 고강도인 경우, 우수한 TS × El 밸런스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 신장 플랜지성과 굽힘성의 향상에 관한 지견은 없다.
특허문헌 4 는, 고가의 Mo 나 V 를 필수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5 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이 적고, 특히 TS : 1180 ㎫ 이상의 고강도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6 은, TS : 780 ㎫ 이상의 강도 레벨에 있어서, 양호한 연신율과 굽힘 특성을 갖는 냉연 강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낮고, 구체적으로 개시된 TS 레벨은 1100 ㎫ 미만으로 낮고, 또 연신율도 개시되는 최대가 18 % 정도이기 때문에, 이 기술로 TS : 1180 ㎫ 이상의 고강도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양호한 TS-El 밸런스를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7 도, TS : 780 ㎫ 이상의 강도 레벨에 있어서, 양호한 굽힘 특성을 얻고자 하는 기술이지만, 구체적으로 개시된 TS 레벨은 1100 ㎫ 미만으로 낮고, 또 연신율도 개시되는 최대가 18 % 정도이기 때문에, 이 기술로 TS : 1180 ㎫ 이상의 고강도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양호한 TS-El 밸런스를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현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고가의 합금 원소인 Nb 나 V, Cu, Ni, Cr, Mo 등을 함유하지 않는 성분계에 있어서, 금속 조직을 조정함으로써,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 나아가서는 굽힘성을 향상시킨, 인장 강도 TS 가 1180 ㎫ 이상인 고강도 냉연 강판을, 그 유리한 제조 방법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용접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C 나 고가의 희소 금속을 함유시키지 않아도, 금속 조직중, 특히 오스테나이트로부터 저온 변태 생성되는 베이나이트상의 체적 분율 및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 나아가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엄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 나아가서는 굽힘성의 향상과 함께, 인장 강도 (TS) : 1180 ㎫ 이상의 고강도화를 달성할 수 있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에 입각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질량% 로,
C : 0.12 ∼ 0.22 %,
Si : 0.8 ∼ 1.8 %,
Mn : 2.2 ∼ 3.2 %,
P : 0.020 % 이하,
S : 0.0040 % 이하,
Al : 0.005 ∼ 0.08 %,
N : 0.008 % 이하,
Ti : 0.001 ∼ 0.040 % 및
B : 0.0001 ∼ 0.002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체적 분율로, 페라이트상 : 40 ∼ 60 %, 베이나이트상 : 10 ∼ 30 %,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 20 ∼ 40 %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 5 ∼ 20 %
를 함유하고,
상기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중, 총 체적 분율에서 차지하는 장축 길이 ≤ 5 ㎛ 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이 80 ∼ 100 % 를 만족하는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2. 상기 1 항에 기재된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고, 산세 후, 350 ∼ 650 ℃ 의 온도역에서 1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하고, 이어서 냉간 압연 후, 820 ∼ 900 ℃ 의 온도역에서 2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하고, 계속하여 720 ∼ 800 ℃ 의 온도역에서 3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한 후, 냉각 속도 : 10 ∼ 80 ℃/초로 냉각 정지 온도 : 300 ∼ 500 ℃ 까지 냉각시키고, 이 온도역으로 100 ∼ 1000 초 유지한 후, 다시 100 ∼ 300 ℃ 의 온도역에서 4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합금 원소를 함유시키지 않고, 연신율, 신장 플랜지성 및 굽힘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인장 강도가 1180 ㎫ 이상인 고강도 냉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고강도 냉연 강판은, 특히 엄격한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되는 자동차용 골격 구조 부품으로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명자들은, 고강도 냉연 강판의 성형성의 향상에 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Nb, V, Cu, Ni, Cr, Mo 등의 매우 고가의 희소 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성분계에 있어서도, 페라이트상이나, 베이나이트상,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엄밀하게 제어하고, 또한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을 미세 균일한 조직으로 함으로써, 소기한 목적이 유리하게 달성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성분 조성 및 조직의 한정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강의 성분 조성의 적정 범위 및 그 한정 이유는 이하와 같다. 또한, 강판 중의 원소의 함유량의 단위는 모두「질량%」인데,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한 간단히「%」로 나타낸다.
C : 0.12 ∼ 0.22 %
C 는, 고용 강화 및 저온 변태상에 의한 조직 강화에 의한 강도 확보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또,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필수의 원소이다. 또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 및 마텐자이트상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고, 신장 플랜지성에 영향을 주는 원소이기도 하다. 여기에, C 량이 0.12 % 미만에서는 필요한 체적 분율의 마텐자이트상을 얻는 것이 어렵고, 한편 0.22 % 를 초과하면 스폿 용접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마텐자이트상의 과도한 경질화 및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의 증가에 수반하여 과도하게 고 TS 화되기 때문에, 성형성의 저하, 특히 신장 플랜지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C 량은 0.12 ∼ 0.22 % 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6 ∼ 0.20 % 의 범위이다.
Si : 0.8 ∼ 1.8 %
Si 는, 오스테나이트상 중으로의 C 농화를 촉진시켜,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원소이다. 상기 작용을 얻으려면 0.8 %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는데, 1.8 % 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강판이 취약해져,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 성형성도 저하된다. 따라서, Si 량은 0.8 ∼ 1.8 % 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0 ∼ 1.6 % 의 범위이다.
Mn : 2.2 ∼ 3.2 %
Mn 은, ?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강도에 기여하는 저온 변태상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 작용을 얻으려면 2.2 %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3.2 % 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편석에서 기인한 밴드상 조직을 나타내어, 신장 플랜지 성형이나 굽힘 성형에 있어서 균일한 성형이 저해된다. 그 때문에, Mn 량은 2.2 ∼ 3.2 % 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6 ∼ 3.0 % 의 범위이다.
P : 0.020 % 이하
P 는, 스폿 용접성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입계에 편석되어, 입계에서의 균열을 유발하여, 성형성을 저하시키는 폐해가 있으므로,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20 % 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P 를 과도하게 저감시키는 것은 제강 공정에서의 생산 능률이 저하되고, 고비용이 되기 때문에, P량의 하한은 0.001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 0.0040 % 이하
S 는, MnS 등의 황화물계 개재물을 형성하고, 이 MnS 가 냉간 압연에 의해 전신 (展伸) 되어, 변형시의 균열의 기점이 되어 국부 변형능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S 는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0.0040 % 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저감은 공업적으로 곤란하고, 제강 공정에 있어서의 탈황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S 량의 하한은 0.0001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01 ∼ 0.0030 % 이다.
Al : 0.005 ∼ 0.08 %
Al 은, 주로 탈산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또,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생성시키는 데 유효하고, 또한 강도-연신율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원소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0.005 %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지만, 0.08 % 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알루미나 등의 개재물 증가에 의한 성형성 열화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Al 량은 0.005 ∼ 0.08 % 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2 ∼ 0.06 % 의 범위이다.
N : 0.008 % 이하
N 은, 내시효성을 열화시키는 원소로서, N 량이 0.008 % 를 초과하면 내시효성의 열화가 현저해진다. 또, B 를 함유하는 경우, B 와 결합하여 BN 을 형성하여 B 를 소비하여, 고용 B 에 의한 ?칭성을 저하시켜, 소정의 체적 분율의 마텐자이트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페라이트상 중에서 불순물 원소로서 존재하고, 변형 시효에 의해 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N 량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0.008 % 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N 의 과도한 저감은 제강 공정에 있어서의 탈질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N 량의 하한은 0.0001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1 ∼ 0.006 % 이다.
Ti : 0.001 ∼ 0.040 %
Ti 는, 강 중에서 탄질화물이나 황화물을 형성하고, 강도의 향상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또, B 를 첨가하는 경우, N 을 TiN 으로서 고정시킴으로써 BN 의 형성을 억제하여, B 에 의한 ?칭성을 발현시키는 데 있어서도 유효한 원소이다. 이들의 효과를 발현시키려면 0.001 %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지만, Ti 량이 0.040 % 를 초과하면, 페라이트상 중에 과도하게 석출물이 생성되어, 과도한 석출 강화에 의해 연신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Ti 량은 0.001 ∼ 0.040 % 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0 ∼ 0.030 % 의 범위이다.
B : 0.0001 ∼ 0.0020 %
B 는, ?칭성을 높여, 마텐자이트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등의 저온 변태상을 확보하는 데 유효하게 기여하고, 우수한 강도-연신율 밸런스를 얻기 위해서 유용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B 를 0.0001 %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지만, B 량이 0.0020 % 를 초과하면, 상기의 효과는 포화된다. 따라서, B 량은 0.0001 ∼ 0.0020 % 의 범위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성분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단,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상기 이외의 성분의 함유를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인 강 조직의 적정 범위 및 그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페라이트상 : 체적 분율로 40 % 이상 60 % 이하
페라이트상은 연질이고, 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원하는 연신율을 얻으려면, 체적 분율로 40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페라이트상이 40 % 에 미치지 못하면, 경질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증가하여, 과도하게 고강도화되어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된다. 한편, 페라이트상이 60 % 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강도 : 1180 ㎫ 이상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40 % 이상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55 % 이하의 범위로 한다.
베이나이트상 : 체적 분율로 10 % 이상 30 % 이하
베이나이트 변태를 진행시킴으로써, 오스테나이트상 중으로의 C 농화가 촉진되고, 최종적으로 연신율에 기여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소정량 확보하기 위해서는, 베이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10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베이나이트상이 30 % 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TS : 1180 ㎫ 보다 과도하게 고강도화되어, 연신율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베이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10 % 이상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25 % 이하의 범위로 한다.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 체적 분율로 20 % 이상 40 % 이하
경질의 마텐자이트상을 재가열 승온하여 얻어지는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은, 강도에 기여하고, TS : 1180 ㎫ 이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20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과도하게 고강도화되어, 연신이 저하되기 때문에,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40 %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을 체적 분율로 20 % 이상 40 %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조직으로 함으로써, 강도, 연신율, 신장 플랜지성 및 굽힘성이 양호한 재질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35 % 이하의 범위로 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 체적 분율로 5 % 이상 20 % 이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은, 변형 유기 변태 즉 재료가 변형되는 경우에 변형을 받은 부분이 마텐자이트상으로 변태함으로써, 변형부가 경질화되어, 변형의 집중을 방지함으로써 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고연성화를 위해서는 5 %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은 C 농도가 높아 경질이기 때문에, 강판 중에 20 % 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존재하면, 국소적으로 경질의 부분이 존재하게 되어,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 성형시의 재료의 균일한 변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점에서, 우수한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히 신장 플랜지성의 관점에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5 % 이상 20 %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18 % 이하의 범위이다.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총 체적 분율에서 차지하는 장축 길이 ≤ 5 ㎛ 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 : 80 ∼ 100 %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은, 베이스 조직인 페라이트상보다 경질이고,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총 체적 분율이 동일한 경우, 장축이 5 ㎛ 이하인 비율이 적으면, 조대한 템퍼드 마텐자이트가 국재하여 존재하게 되어, 균일한 변형을 저해하여, 보다 균일한 변형을 하는 미세 균일한 조직과 비교하면 신장 플랜지성에 불리하다. 따라서, 조대한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이 적고, 미세한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은 많은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총 체적 분율에서 차지하는 장축 길이 ≤ 5 ㎛ 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은 80 ∼ 100 %, 바람직하게는, 85 ∼ 100 % 의 범위로 한다.
또한, 여기서 장축이란, 압연 방향 단면의 조직 관찰에 있어서 관찰되는, 개개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최대 직경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고강도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추가로 산세를 실시한 열연 강판에, 350 ∼ 650 ℃ 의 온도역에서 어닐링 (1 회째의 어닐링) 을 실시하고, 이어서 냉간 압연 후, 820 ∼ 900 ℃ 의 온도역에서 어닐링 (2 회째의 어닐링) 을 실시하고, 추가로 720 ∼ 800 ℃ 의 온도역에서 어닐링 (3 회째의 어닐링) 을 실시한 후, 냉각 속도 : 10 ∼ 80 ℃/초로 냉각 정지 온도 : 300 ∼ 500 ℃ 까지 냉각시키고, 이 온도역으로 100 ∼ 1000 초간 유지한 후, 다시 100 ∼ 300 ℃ 의 온도역에서 어닐링 (4 회째의 어닐링) 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이 얻어진다. 또한, 그 후, 강판에 대해 스킨 패스 압연을 실시해도 된다.
이하, 제조 조건의 한정 범위 및 한정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어닐링 온도 (1 회째) : 350 ∼ 650 ℃
본 발명에서는, 열간 압연-산세 후에 1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하는데, 이 때의 어닐링 온도가 350 ℃ 에 미치지 못하면 열연 후의 템퍼링이 불충분하여, 페라이트, 마텐자이트 및 베이나이트가 혼재된 불균일한 조직이 되고, 이러한 열연판 조직의 영향을 받아, 균일 미세화가 불충분해지는 결과, 4 회째의 어닐링 후의 최종 어닐링재에 있어서 조대한 마텐자이트의 비율이 증가하여, 불균일한 조직이 되어 최종 어닐링재의 신장 플랜지성이 저하된다. 한편, 1 회째의 어닐링 온도가 650 ℃ 를 초과하면, 페라이트와 마텐자이트 또는 펄라이트의 불균일 또한 경질화한 조대한 2 상 조직이 되어, 냉간 압연 전에 불균일한 조직이 되어, 최종 어닐링재의 조대한 마텐자이트의 비율이 증가되고, 역시 최종 어닐링재의 신장 플랜지성은 저하된다. 최종적으로 매우 균일한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이 열연 후의 1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는 350 ∼ 650 ℃ 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어닐링 온도 (2 회째) : 820 ∼ 900 ℃
냉간 압연 후에 실시하는 2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가 820 ℃ 보다 낮으면, 어닐링 중에 오스테나이트상에 대한 C 농화가 과도하게 촉진되어, 마텐자이트상이 과도하게 경질화되어, 최종 어닐링 후에도 경질 또한 불균일한 조직이 되어, 신장 플랜지성이 저하된다. 한편, 2 회째의 어닐링시에 900 ℃ 를 초과하여 오스테나이트 단상의 고온역까지 가열하면, 균일하기는 하지만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과도하게 조대화되기 때문에, 최종 어닐링재의 조대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이 증가하여, 최종 어닐링재의 신장 플랜지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2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는 820 ∼ 900 ℃ 의 범위로 한다.
또한, 어닐링 온도 이외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할 필요는 없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이유에 의해, 냉각 정지 온도까지의 냉각 속도 : 10 ∼ 80 ℃/초, 냉각 정지 온도 : 300 ∼ 500 ℃, 냉각 정지 온도역에서의 유지 시간 : 100 ∼ 1000 초로 한다. 즉, 어닐링 후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 ℃/초 미만인 경우, 과도하게 페라이트상이 생성되어, 베이나이트상 및 마텐자이트상의 확보가 곤란해지고, 연질화됨과 함께 불균일한 조직이 되어, 최종 어닐링재도 불균일한 조직이 되어,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 등의 성형성이 저하되기 쉽다. 한편, 어닐링 후의 평균 냉각 속도가 80 ℃/초를 초과하면, 반대로 과도하게 마텐자이트상이 생성되어, 과도하게 경질화되기 때문에, 최종 어닐링재도 과도하게 경질화되고, 역시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 등의 성형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이 경우의 냉각은, 가스 냉각이 바람직한데, 노랭, 미스트 냉각, 롤 냉각, 수랭 등을 사용하여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어닐링 냉각 후의 냉각 정지 온도가 300 ℃ 미만인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생성이 억제되어, 과도하게 마텐자이트상이 생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최종 어닐링재의 연신율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한편, 500 ℃ 초과인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생성이 억제되어, 최종 어닐링재에 있어서 우수한 연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최종 어닐링재에 있어서 페라이트상을 주체로 하고,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존재 비율을 제어하여, TS : 1180 ㎫ 이상의 강도를 확보함과 함께,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얻기 위해서는, 어닐링 냉각 후의 냉각 정지 온도는 300 ∼ 500 ℃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지 시간이 100 초에 미치지 못하면, 오스테나이트상에 대한 C 농화가 진행되는 시간이 불충분해지고, 최종 어닐링재에 있어서 원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얻는 것이 곤란해져 연신율이 저하된다. 한편, 1000 초를 초과하여 체류해도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은 증가하지 않고, 연신율의 현저한 향상은 관찰되지 않고 포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지 시간은 100 ∼ 1000 초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온도 (3 회째) : 720 ∼ 800 ℃
3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가 720 ℃ 보다 낮은 경우,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과도하게 많아져, TS : 1180 ㎫ 이상의 강도 확보가 곤란해진다. 한편, 800 ℃ 초과의 2 상역 어닐링의 경우, 가열 중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증가하고, 오스테나이트상 중의 C 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마텐자이트상의 경도가 저하되어, TS : 1180 ㎫ 이상의 강도 확보가 곤란해진다. 또한, 어닐링 온도를 고온화하고,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에서 어닐링하면, TS : 1180 ㎫ 의 확보는 가능하지만,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적고,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El 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3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는 720 ∼ 800 ℃ 의 범위로 한다.
냉각 속도 : 10 ∼ 80 ℃/초
3 회째의 어닐링 후의 냉각 속도는, 원하는 저온 변태상의 체적 분율을 얻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 냉각 과정에 있어서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 ℃/초 미만인 경우, 베이나이트상 및 마텐자이트상의 확보가 곤란해져, 페라이트상이 다량으로 생성되고, 연질화되기 때문에 강도 확보가 곤란해진다. 한편, 80 ℃/초를 초과하면, 반대로 과도하게 마텐자이트상이 생성되고, 과도하게 경질화되기 때문에,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 등의 성형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 경우의 냉각은, 가스 냉각이 바람직한데, 노랭, 미스트 냉각, 롤 냉각, 수랭 등을 사용하여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 정지 온도 : 300 ∼ 500 ℃
3 회째의 어닐링 후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의 냉각 정지 온도가 300 ℃ 미만인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생성이 억제되어, 과도하게 마텐자이트상이 생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연신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한편, 500 ℃ 초과인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우수한 연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페라이트상을 주체로 하고, 마텐자이트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존재 비율을 제어하여, TS : 1180 ㎫ 이상의 강도를 확보함과 함께,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얻기 위하여, 이 냉각 정지 온도는 300 ∼ 500 ℃ 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유지 시간 : 100 ∼ 1000 초
상기한 냉각 정지 온도에서의 유지 시간이 100 초에 미치지 못하면, 오스테나이트상에 대한 C 농화가 진행되는 시간이 불충분해져, 최종적으로 원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 과도하게 마텐자이트상이 생성되어 고강도화되기 때문에,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이 저하된다. 한편, 1000 초를 초과하여 체류해도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증가하지 않고, 연신율의 현저한 향상은 관찰되지 않고 포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유지 시간은 100 ∼ 1000 초의 범위로 한다. 또한, 유지 후의 냉각은 특별히 규정할 필요는 없고, 임의의 방법에 따라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켜도 된다.
어닐링 온도 (4 회째) : 100 ∼ 300 ℃
4 회째의 어닐링 온도가 100 ℃ 보다 낮은 경우, 마텐자이트상의 템퍼링 연질화가 불충분해져 과도하게 경질화되어, 신장 플랜지성 및 굽힘성이 저하된다. 한편, 어닐링 온도가 300 ℃ 를 초과하면, 마텐자이트상이 과도하게 연질화되어, TS : 1180 ㎫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게다가 3 회째의 CAL (연속 어닐링) 후에 얻어진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이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체적 분율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이 얻어지지 않아, TS-El 밸런스가 우수한 강판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4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는 100 ∼ 300 ℃ 의 범위로 한다.
또한, 1 회째 ∼ 4 회째의 어닐링은,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 어닐링 방법은 문제삼지 않고, 연속 어닐링, 박스 어닐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적합 제조 조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슬래브는, 박슬래브 주조, 조괴여도 상관없지만, 편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연속 주조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시의 가열 온도는 1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케일 생성의 경감, 연료 원단위의 저감의 관점에서 상한 온도는 13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등 저온 변태상의 층상 조직을 회피하기 위하여, 850 ℃ 이상의 마무리 압연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케일 생성의 경감, 결정 입경 조대화의 억제에 의한 조직의 미세 균일화의 관점에서, 상한은 95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 후에는, 권취까지 적절히 냉각시키면 되고, 냉각 조건은 특별히 규정할 필요는 없다.
또, 열간 압연 종료 후의 권취 온도는, 냉간 압연성, 표면 성상의 관점에서 450 ∼ 6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후의 강판은, 산세 후, 상기 서술한 어닐링 (1 회째) 이 실시된 후, 냉간 압연 공정을 거쳐, 상기 서술한 조건으로 어닐링 (2 회째 ∼ 4 회째) 된다. 열간 압연 후의 산세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된다. 또, 냉간 압연은, 어닐링 공정에서의 재결정시에 있어서의 입자의 조대화나 불균일 조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압하율을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압하율은 높아도 상관없지만, 압연 부하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에 압하율을 6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냉연 강판에, 형상 교정이나 표면 조도 조정의 목적에서 조질 압연 (스킨 패스 압연) 을 실시해도 상관없지만, 과도하게 스킨 패스 압연을 하면 강판에 변형이 도입되기 때문에, 결정립이 전신되어 압연 가공 조직이 되고, 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스킨 패스 압연의 압하율은 0.05 % 이상 0.5 %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이 되는 강을 용제하여 슬래브로 하고, 1220 ℃ 로 가열 후, 마무리 압연기 출측 온도 : 880 ℃ 에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압연 종료 직후에 50 ℃/초의 속도로 냉각시켜, 550 ℃ 에서 권취하고, 이어서 염산 산세 후,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1 회째의 어닐링 처리를 실시한 후,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 1.6 ㎜ 의 냉연 강판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어서,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2 ∼ 4 회째의 어닐링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2 회째의 어닐링 후의 냉각은, 상기한 바람직한 조건인, 냉각 정지 온도까지의 냉각 속도 : 10 ∼ 80 ℃/초, 냉각 정지 온도 : 300 ∼ 500 ℃, 냉각 정지 온도역에서의 유지 시간 : 100 ∼ 1000 초의 범위 내로 하였다. 얻어진 냉연 강판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재료 시험에 의해 재료 특성을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표 2 및 표 3 의 셀 중의 밑줄부는, 본 발명의 범위 외인 것을 나타낸다.
(1) 강판의 조직
압연 방향 단면에서, 판두께의 1/4 위치의 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관찰함으로써 조사하였다. 관찰은 N = 5 (관찰 시야 5 개 지점) 로 실시하였다. 탄화물 등의 석출물이 관찰되지 않는 페라이트상 (폴리고날페라이트상) 의 체적 분율은, 배율 : 2000 배의 단면 조직 사진을 사용하여, 화상 해석에 의해 임의로 설정한 50 ㎛ × 50 ㎛ 사방의 정방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점유 면적을 구하고, 이것을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로 하였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Mo 의 Kα 선을 사용한 X 선 회절법에 의해 구하였다. 즉, 강판의 판두께 1/4 부근의 면을 측정면으로 하는 시험편을 사용하고, 오스테나이트상의 (211) 면 및 (220) 면과 페라이트상의 (200) 면 및 (220) 면의 피크 강도로부터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률을 산출하였다.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4 회째의 어닐링의 전과 후의 조직 관찰을 실시하고, 템퍼링 전에 비교적 평활한 표면을 갖고 괴상의 형상으로서 관찰된 조직이 최종적으로 템퍼링 어닐링되어 내부에 미세 탄화물의 석출이 관찰된 경우에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으로 판정하여 면적률을 측정하고, 이것을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로 하였다. 또한, 관찰은, 배율 : 2000 배의 단면 조직 사진을 사용하여 임의로 설정한 50 ㎛ × 50 ㎛ 사방의 정방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점유 면적을 구하였다. 또한, 4 회째의 최종 어닐링 온도가 100 ℃ 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만, 4 회째의 최종 어닐링 후에 점상의 탄화물이 관찰되지 않는 평활한 표면을 갖고 괴상의 형상으로서 관찰된 조직을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및 마텐자이트상의 총합으로 하고, X 선 회절에 의해 구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와의 차분을, 템퍼링되지 않은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로 하였다.
장축 직경이 5 ㎛ 이하인 비율은, 5 ㎛ 초과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산출하였다. 즉, 5 ㎛ 초과의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을, 배율 : 2000 배의 압연 방향의 단면 조직 사진을 사용하여, 화상 해석에 의해, 임의로 설정한 50 ㎛ × 50 ㎛ 사방의 정방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장축 직경이 5 ㎛ 초과인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점유 면적률을 구하고, 전체로부터 그 면적률을 빼, 장축 직경이 5 ㎛ 이하인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로 하였다. 여기서, 장축이란, 각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최대 직경이다.
또한, 각 상의 체적 분율은, 처음에 페라이트상과 저온 변태상을 구별하고,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결정하고, 다음으로 X 선 회절에 의해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결정하고,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SEM 관찰에 의해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을 구하고, 최종 잔부를 베이나이트상으로 판단하여 구하였다.
(2) 인장 특성
압연 방향과 90°의 방향을 길이 방향 (인장 방향) 으로 하는 JIS Z 2201 에 기재된 5 호 시험편을 사용하여 JIS Z 2241 에 준거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인장 특성의 평가 기준은 TS × El ≥ 20000 ㎫·% (TS : 인장 강도 (㎫), El : 전체 연신율 (%)) 을 양호로 하였다.
(3) 구멍 확장률
일본 철강 연맹 규격 JFST 1001 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초기 직경 d0 = 10 ㎜ 의 구멍을 타발하고, 꼭지각 : 60°의 원추 펀치를 상승시켜 구멍을 확장했을 때에, 균열이 판두께를 관통한 시점에서 펀치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균열 관통 후의 타발 구멍 직경 d 를 측정하여, 다음 식
구멍 확장률 (%) = ((d - d0)/d0) × 100
으로 산출하였다. 동일 번호의 강판에 대해 3 회 시험을 실시하고, 구멍 확장률의 평균치 (λ) 를 구하였다. 또한, 신장 플랜지성 (TS × λ) 의 평가 기준은 TS × λ ≥ 35000 ㎫·% 을 양호로 하였다.
(4) 굽힘 특성
판두께 : 1.6 ㎜ 의 강판을 사용하여 굽힘부의 능선과 압연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 사이즈는 40 ㎜ × 100 ㎜ (샘플의 긴 쪽이 압연 직각 방향) 로 하였다. 선단 굽힘 R = 1.0 ㎜ 의 금형을 사용하여, 하사점에서의 보터밍 하중 (bottoming load) : 3 톤으로 90°V 굽힘을 실시하고, 굽힘 정점에서 균열의 유무를 육안으로 판정하여, 균열의 발생이 없는 경우를 양호한 굽힘성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112014084683110-pct00001
Figure 112014084683110-pct00002
Figure 112014084683110-pct00003
표 3 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No.1 ∼ 5 의 발명예는 모두, TS ≥ 1180 ㎫ 이며, 또한 TS × El ≥ 20000 ㎫·%, TS × λ ≥ 35000 ㎫·% 및 R/t = 1.0/1.6 = 0.625 로 균열없이 90°V 굽힘을 만족하는, 연신율, 신장 플랜지성 및 굽힘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이 얻어졌다.
이에 반하여, 강 성분이 본 발명의 적정 범위 외인 No.6, 2 회째의 어닐링 온도가 낮은 No.9, 냉각 속도가 빠른 No.14, 냉각 정지 온도가 낮은 No.15 및 유지 시간이 짧은 No.17 은 모두,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지나치게 많고,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이 떨어진다.
열연 후의 1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가 낮은 No.7, 어닐링 온도가 높은 No.8, 2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가 높은 No.10 은 모두, 조대한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비율이 많아, 신장 플랜지성이 떨어진다.
3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가 낮은 No.11, 냉각 속도가 느린 No.13 은 각각,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많아, TS ≥ 1180 ㎫ 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3 회째의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가 높은 No.12 는, 페라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적고,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연신율 및 신장 플랜지성이 떨어진다.
3 회째의 어닐링 후의 냉각 정지 온도가 높은 No.16, 템퍼링 어닐링 (4 회째의 어닐링) 에서의 온도가 높은 No.19 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 분율이 적어, 연성이 떨어지고, 또 No.19 는 마텐자이트상이 과도하게 연질화되기 때문에, TS ≥ 1180 ㎫ 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템퍼링 어닐링 (4 회째의 어닐링) 에서의 온도가 낮은 No.18 은,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이 불충분하고,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신장 플랜지성이 떨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라, 강판 중의 Nb 나 V, Cu, Ni, Cr, Mo 등 고가의 원소를 적극적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페라이트상,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및 베이나이트상, 각 상의 체적 분율을 적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저렴하고 또한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인장 강도 (TS) : 1180 ㎫ 이상의 고강도 냉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강도 냉연 강판은, 특히 자동차용 골격 구조 부품으로서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에도, 건축 및 가전 분야 등 엄격한 치수 정밀도, 성형성이 필요해지는 용도에도 유용하다.

Claims (2)

  1. 질량% 로,
    C : 0.12 ∼ 0.22 %,
    Si : 0.8 ∼ 1.8 %,
    Mn : 2.2 ∼ 3.2 %,
    P : 0.020 % 이하,
    S : 0.0040 % 이하,
    Al : 0.005 ∼ 0.08 %,
    N : 0.008 % 이하,
    Ti : 0.001 ∼ 0.040 % 및
    B : 0.0001 ∼ 0.0020 %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체적 분율로, 페라이트상 : 40 ∼ 60 %, 베이나이트상 : 10 ∼ 30 %,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 20 ∼ 40 %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 5 ∼ 20 %
    를 함유하고,
    압연 방향 단면의 조직 관찰에 있어서 특정되는, 상기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에 대한, 최대 직경인 장축 길이가 5 ㎛ 이하인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의 비율이 80 ∼ 100 % 를 만족하는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2. 제 1 항에 기재된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고, 산세 후, 350 ∼ 650 ℃ 의 온도역에서 1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하고, 이어서 냉간 압연 후, 820 ∼ 900 ℃ 의 온도역에서 2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하고, 계속하여 720 ∼ 800 ℃ 의 온도역에서 3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한 후, 냉각 속도 : 10 ∼ 80 ℃/초로 냉각 정지 온도 : 300 ∼ 500 ℃ 까지 냉각시키고, 이 온도역으로 100 ∼ 1000 초 유지한 후, 다시 100 ∼ 300 ℃ 의 온도역에서 4 회째의 어닐링을 실시함으로써, 체적 분율로, 페라이트상 : 40 ∼ 60 %, 베이나이트상 : 10 ∼ 30 %, 템퍼드 마텐자이트상 : 20 ∼ 40 %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 5 ∼ 20 % 를 함유하고, 압연 방향 단면의 조직 관찰에 있어서 특정되는, 상기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에 대한, 최대 직경인 장축 길이가 5 ㎛ 이하인 템퍼드 마텐자이트상의 체적 분율의 비율이 80 ∼ 100 % 를 만족하는 조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47024900A 2012-03-07 2013-02-28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0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50591 2012-03-07
JP2012050591A JP5348268B2 (ja) 2012-03-07 2012-03-07 成形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3/001217 WO2013132796A1 (ja) 2012-03-07 2013-02-28 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581A KR20140112581A (ko) 2014-09-23
KR101530835B1 true KR101530835B1 (ko) 2015-06-22

Family

ID=4911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900A KR101530835B1 (ko) 2012-03-07 2013-02-28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31250B2 (ko)
EP (1) EP2824210B1 (ko)
JP (1) JP5348268B2 (ko)
KR (1) KR101530835B1 (ko)
CN (1) CN104160055B (ko)
BR (1) BR112014022007B1 (ko)
CA (1) CA2866130C (ko)
IN (1) IN2014KN01673A (ko)
MX (1) MX335961B (ko)
RU (1) RU2557035C1 (ko)
WO (1) WO2013132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8026B1 (en) * 2014-03-31 2019-03-06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exhibiting excellent material-quality uniform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0435762B2 (en) 2014-03-31 2019-10-08 Jfe Steel Corporation High-yield-ratio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0662496B2 (en) 2014-08-07 2020-05-26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CN106574341B (zh) * 2014-08-07 2018-07-27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以及高强度镀锌钢板的制造方法
US10570475B2 (en) 2014-08-07 2020-02-25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US10662495B2 (en) 2014-08-07 2020-05-26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CN104388652B (zh) * 2014-10-29 2016-11-02 攀钢集团江油长城特殊钢有限公司 一种高速钢冷轧薄板的制造方法和高速钢冷轧薄板
US20180127846A9 (en) * 2014-10-30 2018-05-10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high-strength hot-dip aluminum-coated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10954578B2 (en) 2014-10-30 2021-03-23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228722B1 (en) * 2015-02-17 2019-03-20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cold-rolled, thin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35794A1 (ja) * 2015-02-27 2016-09-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982087C (en) 2015-04-08 2020-01-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eat-treated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822680B2 (en) 2015-04-08 2020-11-03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for heat treatment
RU2686713C1 (ru) * 2015-04-08 2019-04-30 Ниппон Стил Энд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Корпорейшн Элемент из термообработанного стального лист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1736619B1 (ko) 2015-12-15 2017-05-17 주식회사 포스코 화성처리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09538A1 (en) * 2015-12-21 2017-06-29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ductility and formability
WO2017109540A1 (en) * 2015-12-21 2017-06-29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ductility and formability, and obtained steel sheet
JP6210183B1 (ja) * 2016-04-19 2017-10-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17183348A1 (ja) * 2016-04-19 2017-10-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6222550A (zh) * 2016-08-03 2016-12-14 宁波宏协承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高强度汽车防撞梁及其制备方法
CN108018484B (zh) 2016-10-31 2020-01-3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抗拉强度1500MPa以上成形性优良的冷轧高强钢及其制造方法
WO2018115933A1 (en) 2016-12-21 2018-06-28 Arcelormittal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form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MX2019008079A (es) * 2017-01-06 2019-08-29 Jfe Steel Corp Lamina de acero laminada en frio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US11208704B2 (en) 2017-01-06 2021-12-28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9092482A1 (en) 2017-11-10 2019-05-16 Arcelormittal Cold rolle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375340B1 (ko) * 2018-02-19 2022-03-1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86989A1 (ja) 2018-03-30 2019-10-03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
KR102109265B1 (ko) * 2018-09-04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4186987A4 (en) 2020-10-15 2023-09-27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2553527B (zh) * 2020-11-27 2021-11-23 中天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电炉流程生产高废钢比的20CrMnTi系列齿轮钢氮含量的控制方法
DE102021108448A1 (de) * 2021-04-01 2022-10-06 Salzgitter Flachstahl Gmbh Stahlband aus einem hochfesten Mehrphasenstah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Stahlband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697A (ko) * 2008-01-31 2010-09-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65591A1 (ja) * 2009-11-30 2011-06-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引張最大強度900MPa以上の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84758A (ja) * 2010-03-09 2011-09-22 Jfe Steel Corp 高強度プレス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Z2530A1 (fr) * 1997-12-19 2003-02-0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e tôle d'acier cette tôle d'acier et procédé pour renforcer la resistanceà la propagation des fissures d'une tôle d'acier.
US6159312A (en) * 1997-12-19 2000-12-1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Ultra-high strength triple phase steels with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FR2790009B1 (fr) * 1999-02-22 2001-04-20 Lorraine Laminage Acier dual-phase a haute limite d'elasticite
CA2387322C (en) 2001-06-06 2008-09-30 Kawasaki Steel Corporation High-ductility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and strain age harden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306202B2 (ja) 2002-08-02 2009-07-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張力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268079B2 (ja) 2003-03-26 2009-05-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及び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超高強度鋼板を用いた超高強度プレス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4362319B2 (ja) 2003-06-02 2009-11-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9619B2 (ja) 2003-12-16 2008-07-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及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JP4445365B2 (ja) * 2004-10-06 2010-04-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伸びと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の製造方法
JP3889768B2 (ja) 2005-03-31 2007-03-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塗膜密着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自動車用鋼部品
JP4164537B2 (ja) 2006-12-11 2008-10-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薄鋼板
JP5223360B2 (ja) 2007-03-22 2013-06-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8039A (ja) 2007-09-11 2009-04-02 Nisshin Steel Co Ltd エネルギー吸収特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7487B2 (ja) * 2008-02-19 2013-03-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に優れる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06244B2 (ja) 2008-09-02 2013-06-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冷延鋼板
JP5418047B2 (ja) * 2008-09-10 2014-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65112B2 (ja) 2008-09-10 2013-1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65272A (ja) * 2008-09-10 2010-03-25 Jfe Steel Corp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09151B2 (ja) 2009-03-10 2015-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12182B2 (ja) 2009-05-29 2014-0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JP5347739B2 (ja) 2009-06-11 2013-11-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析出強化型複相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5521444B2 (ja) 2009-09-01 2014-06-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7984B2 (ja) 2010-01-12 2014-05-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曲げ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53336A (ja) * 2010-01-26 2011-08-11 Nippon Steel Corp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1391B2 (ja) 2010-03-31 2015-02-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工性および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697A (ko) * 2008-01-31 2010-09-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65591A1 (ja) * 2009-11-30 2011-06-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引張最大強度900MPa以上の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84758A (ja) * 2010-03-09 2011-09-22 Jfe Steel Corp 高強度プレス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31250B2 (en) 2017-04-25
KR20140112581A (ko) 2014-09-23
WO2013132796A1 (ja) 2013-09-12
IN2014KN01673A (ko) 2015-10-23
BR112014022007B1 (pt) 2019-04-30
RU2557035C1 (ru) 2015-07-20
EP2824210A1 (en) 2015-01-14
CA2866130C (en) 2016-04-26
EP2824210A4 (en) 2015-04-29
CN104160055A (zh) 2014-11-19
JP5348268B2 (ja) 2013-11-20
CN104160055B (zh) 2016-05-04
CA2866130A1 (en) 2013-09-12
JP2013185196A (ja) 2013-09-19
US20150034219A1 (en) 2015-02-05
MX2014010648A (es) 2014-11-21
EP2824210B1 (en) 2016-10-05
MX335961B (es)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835B1 (ko)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A2931494C (en) Hot formed steel sheet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s well as steel sheet for hot forming
JP5609945B2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80785B2 (en) High-strength galvannea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862051B2 (ja) 加工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EP2615191B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tch flange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2119332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487984B2 (ja) 曲げ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21605B2 (ja) 延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36763A (ko)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792762B1 (en) High-yield-ratio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740843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958669B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62052B2 (ja) 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4324226B1 (ja) 降伏応力と伸びと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EP4198149A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ot-dipped galvanized steel sheet, alloyed hot-dipped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s for producing of these
KR101536409B1 (ko) 연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283B1 (ko) 신장과 신장 플랜지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60938A1 (ja) 延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