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896B1 - 신호 포맷의 판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포맷의 판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896B1
KR101528896B1 KR1020107029514A KR20107029514A KR101528896B1 KR 101528896 B1 KR101528896 B1 KR 101528896B1 KR 1020107029514 A KR1020107029514 A KR 1020107029514A KR 20107029514 A KR20107029514 A KR 20107029514A KR 101528896 B1 KR101528896 B1 KR 10152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file
value
amplitude modulation
weighted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712A (ko
Inventor
아론 릴 부이에
마크 프랜시스 룸라이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1003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채널에 대한 신호 변조 포맷의 판정은 신호 수신기의 동작의 중요 형태이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710),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샘플을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720),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720), 상기 신호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750)를 포함하는 방법(700)이 개시된다. 입력 신호의 샘플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샘플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링 카운터(510), 상기 링 카운터(510)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신호 프로파일러(550); 및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550)에 결합되어,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550)에서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판정하는 검출기(560)를 포함하는 장치(500)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신호 포맷의 판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IGNAL FORMAT}
본 출원은 법률 35 U.S.C §119하에서 2008년 6월 3일자로 미합중국에 출원된 예비 출원 61/130,911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호 수신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채널(channel)이나 트랜스폰더(transponder)의 변조 포맷의 판정에 관한 것이다.
이 단락은 독자들에게 여러 형태의 기술을 소개해주기 위한 것으로, 이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여러 형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 논의는 본 발명의 여러 형태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종래 기술의 허용으로서가 아니고, 이런 관점에서 판독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고객 가정은 비디오 및 오디오 컨텐트, 뿐만 아니라 대량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방송 텔레비전, 케이블, 위성, 디지털 가입자 회선 시스템과 같은 복수의 소스로부터 수신한다. 이들 시스템은 때로 프로그램과 컨텐트를 고객 구내 장비에 전달하도록 분배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많은 분배 네트워크는 여러 소스 (예를 들어, 다수의 위성, 케이블 헤드-엔드, 등)으로부터 발신되는 다수의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에 컨텐트를 갖는다. 여러 소스로부터의 다수의 채널이나 트랜스폰더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셋톱 박스에의 접속을 위해 고객의 가정으로 가기 전에 단일 매체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에서 함께 결합하게 된다. 그 결과, 인력하는 채널이나 트랜스폰더를 식별하는 주파수 맵, 뿐만 아니라 각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변조 포맷과 같은 특정한 특성들은 처음에 완전히 알려져 있을 수 없다.
주파수 맵이 완전히 알려지지 않고,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에 대한 변조 포맷이 식별되거나 특정되지 않은 경우, 텔레비젼이나 셋톱 박스는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용 변조 포맷을 식별하기 위해서 어떤 검색 유형을 실행하도록 설계되므로 텔레비전이나 셋톱 박스는 수신된 신호의 복조 및 복호화를 진행할 수가 있다. 일 방법에서, 텔레비젼이나 셋톱 박스는 시행 착오 변조 포맷 식별 검색을 구현할 수 있다. 시행 착오 검색에서, 텔레비전이나 셋톱 박스에서의 수신 회로는 제1 변조 포맷에 기초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링크 회로를 초기화한다. 복조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각 가능한 포맷이 예를 들어 신호 포맷의 심볼의 변조 깊이나 성좌도(mapping of the constellation)를 반복적으로 결정하도록 시도되면서 검색은 계속되게 된다.
오늘날의 방송 통신 신호는 2개 정도로 적은 심볼 또는 256개나 되는 심볼과 위치를 갖는 포맷을 포함하는 성좌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QAM 기반의 시스템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방송 케이블 (DVB-C) 또는 US 케이블 표준 J.83A)하에서 전송될 수 있는 몇 개의 다른 성좌도가 있다. 실험적 및 오차 변조 포맷 식별 검색은 선택된 제1 변조 포맷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포맷과 매우 다르면 시간 소모적이며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시행 착오 검색법에 따른 문제는 많은 가능한 신호 유형을 갖는 대규모의 다중소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더욱 악화된다. 이 방법은 이러한 대규모의 다중소스 네트워크에서 각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는 데에 허용 불가능하게 긴 주기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가 주파수 매핑의 변경 뿐만 아니라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변조 포맷의 변경으로 인해 빈번한 재초기화를 필요로 한다면, 결과되는 대기 주기는 사용자에게 허용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서 개선된 장치와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일 형태에 따르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샘플을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디지털 샘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샘플값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에 대해서 상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샘플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샘플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링 카운터, 상기 링 카운터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신호 프로파일러, 및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에 결합되어,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에서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판정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수신기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신기에 이용되는 링크 회로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신기에 이용되는 링 카운터 회로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호 포맷 프로파일의 세트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신기에 이용되는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신기에 이용되는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들은 예시적으로,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할 목적으로, 실재 구현의 모든 특성들은 상세 설명에서 기술하지 않았다. 엔지니어링이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은, 실재 구현의 개발시, 수많은 구현에 특정한 결정들은 구현들 마다 달라질 수 있는 시스템 관련 및 비지니스 관련 제약들과의 호환과 같은, 개발자의 특정한 목표를 성취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더구나, 이런 개발 노력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역시 일상적인 디자인, 제조 및 제작의 업무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는 방송 신호에 관한 시스템 및 더욱 특히 위성 또는 케이블 신호 전송 시스템에 이용하도록 특정된 방송 신호에 관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술된 실시예는 셋톱 박스, 텔레비전, 또는 유사한 신호 수신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한 장치의 예로는 셀룰러폰, 지능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및 랩톱 컴퓨터를 포함하지만,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유형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용된 다른 시스템은 유사한 구조 및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기술의 당업자라면 여기 기재된 회로와 프로세스의 실시예들은 단지 일 세트의 가능한 실시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방송 및 무선 표준과 호환되는 신호는 방송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또는 전화선에 의한 전송을 포함하는, 위성 또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서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구성 성분은 재배열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또는 부가의 성분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은 변형으로, 설명된 시스템은 세계 어디에서나 이용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지상 방송 서비스, wi-fi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 또는 전화 데이터 서비스에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는 주로 신호의 수신에 관련된다.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제어 신호 및 전원 접속을 포함하는 측정 형태의 실시예들이 도면에서 도시하거나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프로그램 코드나 주문형 집적 회로의 이용을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은 실시예의 여러 요소들 간의 반복적인 동작과 접속을 수반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 기재된 반복 동작의 실시예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직렬 접속되는 반복되는 동일한 요소들을 이용하는 파이프라이닝 구조를 이용하여 가능할 수 있다.
이제 도면으로 돌아가,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형태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00)의 예시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수신기(100)는 셋톱 박스나 텔레비젼 장치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고객 구내 장비 위치로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의해 전파되는 위성 신호나 케이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위성 신호 스트림은 도시하지 않은 위성 옥외 수신 장치로부터 제1 튜너(tuner; 104)로 전달된다. 또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케이블 신호 스트림은 케이블 신호 유선망으로부터 제2 튜너(106)로 전달된다. 튜너(104) 및 튜너(106)는 링크 회로(110)에 접속된다. 링크 회로(110)의 일 출력은 전송 디코더(112)에 접속된다. 링크 회로(110)의 제2 출력은 두 튜너(104)와 튜너(106)에 다시 접속된다. 전송 디코더(112)의 출력은 제어기(116)에 접속된다. 제어기(116)는 또한 보안 인터페이스(118),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120), 사용자 패널(122), 원격 제어 수신기(124), 오디오/비디오 출력(126), 및 메모리(130)에 접속된다. 전원(128)은 수신기(100)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모든 블럭에 접속될 수 있다.
위성 수신된 신호 스트림은 옥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다. 옥외 유닛은 하나 이상의 위성에 위치된 위성 트랜스폰더로부터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 복수의 트랜스폰더를 갖는 두 신호들은 옥외 유닛에 의해 수신되어 L-대역으로 언급되는 950 내지 2150 메가헤르쯔의 주파수 범위로 전환된다. L-대역 주파수 범위 내의 신호 스트림은 튜너(104)로 전달된다.
튜너(104)는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신호를 형성하도록 위성 신호 스트림의 트랜스폰더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튜닝하여 위성 신호 스트림을 처리한다. 튜너(104)는 분할된 신호 스트림을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변환하기 위해서, 증폭기, 필터, 믹서(mixer) 및 오실레이터(oscillator)와 같은 회로를 포함한다. 튜너(104)는 통상 링크 회로(110) 또는 후술되는 제어기(116)와 같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거나 튜닝된다. 제어 명령은 주파수 변환을 실행하기 위해서 튜너(104)의 믹서로 이용되는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케이블 수신된 신호 스트림은 케이블 플랜트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된다. 케이블 플랜트 네트워크는 통상 지역 범위에 걸친 컨텐트의 유선 전송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는 보통 동축 케이블을 통해, 구내 장비 위치로의 케이블 신호 스트림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수신된 신호 스트림은 50MHz와 800M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 위치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이 케이블 주파수 범위 내의 케이블 신호 스트림은 튜너(106)에 전달된다.
튜너(106)는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케이블 신호 스트림의 채널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튜닝하여 케이블 신호 스트림을 처리한다. 튜너(106)는 케이블 신호 스트림을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변환하기 위해서, 증폭기, 필터, 믹서 및 오실레이터와 같은 회로를 포함한다. 튜너(106)는 통상 링크 회로(110)에 의해 또는 후술되는 제어기(116)와 같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제어 또는 튜닝된다. 제어 명령은 주파수 변환을 실행하기 위해 튜너(106)의 믹서로 이용되는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통상 튜너(104) 또는 튜너(106)의 출력에서의 기저대역 신호는 집합적으로 원하는 수신 신호로 언급되며 입력 신호 스트림으로 수신되는 트랜스폰더나 채널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튜닝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폰더나 채널을 나타낸다. 신호가 기저대역 신호로 설명되었지만, 이 신호는 실재로 기저대역 근처에만 있는 주파수에 위치될 수 있다.
튜너(104) 및 튜너(106)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신호는 링크 회로(110)에 제공된다. 링크 회로(110)는 통상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신호를 링크 회로(110)의 나머지 회로에 의한 복조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데에 필요한 아날로그-디지털 (A/D) 변환기와 같은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신호는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신호의 디지털 버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지털 신호는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신호의 벡터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링크 회로는 튜너(104) 및 튜너(106)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 중에서 어느 것이 처리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제어는 케이블 모드나 위성 모드를 선택한다. 제어 정보는 제어기(116)로부터 링크 회로(110)에 제공된다. 링크 회로는 위성 모드를 위해 튜너(104)로부터의 신호 또는 케이블 모드나 다른 처리를 위해 튜너(106)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링크 회로(110)는 또한 전송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을 복조 및 실행한다. 전송 신호는 단일의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single program transport streams; SPTS)로 불리는,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거나, 다수의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 (multiple program transport stream; MPTS)로 불리는, 함께 멀티플렉스된 다수의 프로그램 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다. 링크 회로(110)의 일부의 동작을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링크 회로(110)는 또한 디지털 신호의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는 신호 레벨과 같은 신호 특성을 검출하고 비교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는 또한 신호 특성 비교에 의해 형성된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의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 변조 포맷을 식별한 후에 특정 데이터 심볼 성좌도를 결정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 포맷을 판정하기 위한 회로의 동작을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링크 회로(110)로부터의 전송 신호는 전송 디코더(112)에 제공된다. 전송 디코더(112)는 통상 SPTS 또는 MPTS로 제공되는 전송 신호를, 개별의 프로그램 스트림 및 제어 신호로 분리한다. 전송 디코더(112)는 또한 프로그램 스트림을 복호하고, 이들 복호된 프로그램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디코더(11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프로그램 스트림만을 복호하고 이 하나의 복호된 프로그램 스트림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만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어기(116)와 같은 제어기를 통해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디코더(112)는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 스트림 모두를 복호한 다음에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전송 디코더(112)로부터, 필요한 제어 신호와 함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제어기(116)에 제공된다. 제어기(116)는 오디오, 비디오 및 제어 신호의 라우팅과 인터페이싱을 관리하고, 더욱 셋톱 박스(100) 내의 여러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송 디코더(112)로부터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제어기(116)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A/V) 출력(126)에 라우팅된다. A/V 출력(126)은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의해 이용하도록 셋톱 박스(100)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전송 디코더(112)로부터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기록 및 저장을 위해 메모리 블럭(130)에 제어기(116)를 통해서 라우팅된다. 메모리 블럭(13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하드 매체를 포함하여 몇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 블럭(130)은 제어기(116)에 의해 이용되는 명령과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 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제어기(116)는 또한 전송 디코더(112)로부터 MPTS 또는 SPTS와 같은 다른 형태로 메모리 블럭(130)에의 신호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기(116)는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120)에 신호를 보내고,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서비스 프로바이더에의 전화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전화 모뎀을 포함한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무엇보다도, 수신기(100)에서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이용을 위해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의한 인증을 허용한다. 제어기(116)는 또한 보안 인터페이스(118)에 신호를 보내고,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보안 인터페이스(118)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이용을 관리하고 비인증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하기 위해, 스마트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는 사용자 패널(122) 및 원격 제어 수신기(124)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 패널(122)는 수신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사용자 명령의 직접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한편 원격 제어 수신기(124)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사용자 패널(122)과 원격 제어 수신기(124)는 둘 다 제어기(116)에 사용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기(116)는 또한 초기 셋업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블럭들 간에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튜너(104), 튜너(106), 링크 회로(110) 및 전송 디코더(112)에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마지막으로, 전원(128)은 통상 수신기(100)의 모든 블럭에 접속되어 이들 블럭에 전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위성 옥외 유닛과 같이 외부에서 전원을 필요로 하는 소자들에게 전원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수신기(100) 내측에 도시된 블럭들은 중요한 상호 관계를 가지며, 몇 블럭들은 조합되거나 재배열되고 여전히 동일한 기본적인 전반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링크 회로(110) 및 전송 디코더(112)는 셋톱 박스(100)에 대한 주요 디코더/제어기로 작용하도록 조합되거나 더욱 제어기(116)의 기능들 일부나 모두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여러 기능들의 제어는 셋톱 박스나 텔레비전 장치에서의 이용과 같은, 특정한 디자인 응용과 조건에 기초하여 분배되거나 할당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형태를 이용한 링크 회로(200)의 실시예의 블럭도가 도시된다. 링크 회로(200)는 도 1에 도시된 수신기(100)와 같은 신호 수신기에 이용된다. 링크 회로(200)는 이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 (quaternary phase shift keying; QPSK) 변조, 16레벨 직교 진폭 변조 (16QAM, 16 level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32 QAM 변조, 64 QAM 변조, 128 QAM 변조, 및 256 QAM 변조를 포함하는 위성, 케이블 또는 지상파 전송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몇 개의 신호 포맷의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크 회로(200)는 DVB-S 및 DVB-C 표준에 따라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할 수 있다.
링크 회로(200)에서, 입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A/D 변환기로부터 수신되어, 입력 포매터(202)에 제공된다. 입력 포매터(202)는 자동 이득 제어부(AGC; 204)에 접속되며, 이는 도 1의 튜너(104) 또는 튜너(106)와 같은 튜너에 다시 신호를 제공한다. 입력 포매터(202)는 또한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에 접속된다.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는 안티앨리어싱(anti-aliasing) 필터(208)에 접속된다. 안티앨리어싱 필터(208)는 디지털 AGC(210)에 접속된다. 디지털 AGC(210)는 샘플링 타이밍 회수 (STR) 블럭(212)에 접속된다. STR 블럭(212)는 정합 필터(214)에 접속된다. 정합 필터(214)는 캐리어 트래킹 루프(carrier tracking loop; CTL: 216)에 접속된다. CTL는 이퀄라이저(218)에 접속된다. 이퀄라이저(218)는 콘볼루셔널 디코더(convolutional decoder; 220) 및 차동 디코더(differential decoder; 222) 둘 다에 접속된다. 이퀄라이저(218)는 또한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에 다시 피드백된다. 콘볼루셔너러 디코더(220) 및 차동 디코더(222)는 mux(224)에 접속된다. mux(224)의 출력은 리드-솔로몬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226)에 접속된다. 리드-솔로몬 디코더(226)의 출력은 전송 인터페이스(228)에 접속된다. 전송 인터페이스는 도 1의 전송 디코더(112)와 같은 전송 디코더에 의해 이용되는 직렬 전송 출력 스트림으로 출력을 제공한다. 전송 인터페이스는 또한 DVB-공통 인터페이스(DVB-CI) 블럭(230)에 접속된다. DVB-CI 블럭은 명확하게 말해서 DVB-CI 표준에 따르는 전송 디코더에 의해 이용하기 위해 병렬 데이터 전송 스트림을 출력한다.
링크 회로(200)의 블럭들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의 포맷은 통상적으로 복소수 페이서 신호(complex phasor singal)가 벡터 신호 포맷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벡터 신호 포맷 신호는 단일의 데이터 라인 접속을 이용한 상호 연결을 허용한다. 다르게, 신호의 포맷은 I/Q 신호 포맷과 같은 스칼라 포맷으로 되어 있으며, I/Q 신호 포맷 신호는 두 데이터 라인 및 각각 I와 Q 신호에 대한 접속을 필요로 한다. 이용되는 신호 포맷의 선택은 이용되는 A/D 컨버터의 유형에 따른 것이거나 디자인 선택의 문제일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입력 포매터(202)에 제공된다. 입력 포매터(202)는 A/D 컨버터에 의해 유도된 DC 오프셋을 제거한다. 부가하여, 입력 포매터(202)는 신호 포맷에 기초하여 필요하다면 스펙트럼 반전 및/또는 2의 보수 변환에 대한 이진 오프셋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포매터(202)는 신호가 I/Q 이득 임밸런스 및 I/Q 페이즈 임밸런스의 적용에 의해, I/Q 포맷으로 제공되면, I/Q 임밸런스를 또한 제거할 수 있다.
입력 포매터(202)로부터의 일 신호는 AGC(204)에 제공된다. AGC(204)는 튜너에서 신호 이득이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서, 도 1의 튜너(104) 또는 튜너(106)와 같은 튜너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 신호는 신호 파워의 결정 또는 다른 유형의 신호 품질의 측정에 기초할 수 있다.
입력 포매터(202)로부터의 다른 포맷된 신호는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에 제공된다.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는 주파수 오프셋 레지스터를 제어하거나 CTL(216)에서 형성되어, 이퀄라이저(218)에서 처리되어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에 다시 피드백 신호로 제공되는 누설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에 존재하는 조악(coarse) 주파수 에러를 감하거나 제거하도록 동작한다.
오프셋 보상된 신호는 안티앨리어싱 필터(208)에 제공된다. 안티앨리어싱 필터(208)는 신호 주파수 변환 앨리어싱과 같은, 튜닝 및 복조 프로세스에 의해 유도된 원치 않는 신호 생성물을 억제하는 데에 이용된다. 안티앨리어싱 필터(208)는 다수의 공지된 디지털 필터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티앨리어싱 필터(208)는 완전히 프로그램 가능한 49 탭 대칭 유한 임펄스 응답 (FIR) 필터이다.
필터된 신호는 디지털 AGC(210)에 제공된다. 디지털 AGC(210)은 입력 신호 레벨이나 입력 신호 품질을 측정하고, 이득 에러 신호를 연산하고,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한다. 디지털 AGC(210)은 이어지는 중요한 신호 복조 단계 이전에 이용 가능한 동적 범위 모두를 이용하여 최대 레벨이나 최대 신호 품질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조정한다.
디지털 AGC된 신호는 STR 블럭(212)에 제공된다. STR 블럭(212)은 2 샘플/부호를 형성하고 심볼 내의 샘플의 위치에 관련하여 샘플 타이밍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서 리샘플링 레이트의 범위에 걸쳐 신호를 적응적으로 리샘플링한다. STR 블럭(210)은 또한 최적의 샘플링 지점의 표시를 위한 심볼 이네이블 신호(symbol enable signal) 및 심볼에 제2 샘플을 제공하기 위한 샘플 이네이블 신호를 제공한다. STR 블럭(210)은 가드너(Gardenr) 2x 알고리즘과 같은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리샘플링 및 리타이밍의 일부로 페이즈 에러 평가를 실행한다.
리샘플링된 신호는 정합 필터(214)에 제공된다. 정합 필터(214)는 심볼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신호의 필요한 스펙트럼 성형(spectral shaping)을 제공한다. 정합 필터(214)의 필터 응답은 전송된 신호 포맷에 대한 사양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이 사양은 통상적으로 제곱근 상승형 코사인 스펙트럼 성형과 같은 필터 특성을 식별하며, 또한 신호 대역폭이나 심볼 레이트의 비율로 롤오프 인수(rolloff factor)를 특정한다. 정합 필터(214)는 통상적으로 가능한 필터 응답을 고려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필터 탭을 갖는 멀티탭 FIR 필터로 구현된다.
정합 필터링된 신호는 CTL블럭(216)에 제공된다. CTL은 튜너 또는 저잡음 블럭 변환기(LNB)에서 부정확한 믹싱이나 주파수 드리프트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 주파수 및 위상 오프셋을 적응적으로 제거한다. 부가하여, CTL 블럭(216)은 조악 주파수 오차를 나타내는 오차 신호를 형성한다. 조악 주파수 오차는 이퀄라이저(218)에서의 처리 후에 주파수 오프셋 보상 블럭(206)과 같은 다른 주파수 조정 블럭에 의해 이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조악 주파수 오차는 또한 도 1에서의 튜너(104) 또는 튜너(106)와 같은 튜너가 주파수 오차를 감소하도록 재튜닝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제공된다.
주파수 보정 신호는 이퀄라이저(218)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퀄라이저(218)는 수신된 신호가 전송되게 하는 전송 채널의 다중 경로 왜곡 효과를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이퀄라이저(218)는 수신된 신호와 연관되는 진폭이나 위상 정보를 조정 또는 변경한다. 이퀄라이저(218)는 이퀄라이저(640) 내에서 복조된 OFDM 신호에 대해 실행된 연산과 동작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폭이나 위상 정보를 조정하다. 이퀄라이저(218)는 유한 임펄스 응답 (FIR) 또는 피드 포워드 이퀄라이제이션 (feed forward equalization :FFE) 알고리즘 뿐만 아니라 결정 피드백 이퀄라이제이션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DFE)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둘 다 실수치이거나 복소수치일 수 있는 적응성 필터구조를 이용한다. 필터에서의 조정 가능한 탭 값의 연산은 최소 평균 제곱 (LMS)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이 때 LMS 에러는 결정 지향 또는 블라인드 모드에서 연산될 수 있다. 이퀄라이저는 신호 변조 포맷과 관련된 정의 또는 결정된 심볼 성좌도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의 변조 심볼을 비트의 스트링으로 부분 또는 완전 복조할 수 있다.
이퀄라이즈되고 복조된 신호는 콘볼루셔널 디코더(220)에 또한 차동 디코더(222)에 제공된다. 이들 디코더 회로 각각은 케이블 또는 위성 신호 전송 사양에 포함된 특정 신호 포맷을 복조 및 복호하기 위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볼루셔널 디코더(220)은 DVB-S 신호 포맷에 기초하여 비트 스트림을 복호하는 데에 적합한 반면 차동 디코더는 DVB-C 신호 포맷에 기초하여 비트 스트림을 복호하는 데에 적합하다.
콘볼루셔널 디코더(220) 및 차동 디코더(222)로부터의 복호된 신호 각각은 mux(224)에 제공된다. mux(224)는 그 신호를 출력으로 형성하는 두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 선택은 특정 운영 모드, 즉 케이블이나 위성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과 같이,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 선택은 또한 후술되는 신호 검출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 유형의 결정과 식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부가하여, 디코더가 비선택된 신호를 형성하면, 콘볼루셔널 디코더(220) 또는 차동 디코더(222)는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서 디세이블된다.
선택된 복호된 출력은 리드-솔로몬 디코더(226)에 제공된다. 리드-솔로몬 디코더는 신호의 일부를 데이터의 바이트의 패킷으로 그룹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드-솔로몬 엔코더는 신호의 데이터를 204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그룹화한다. 리드-솔로몬 디코더(226)는 204바이트의 데이터의 각 패킷을 188 에러 정정된 바이트를 형성하도록 복호한다. 여기에서 정의된 리드-솔로몬 프로세스는 각 패킷에서 8바이트에 이르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리드-솔로몬 복호된 데이터 패킷은 전송 인터페이스(228)에 제공된다. 전송 인터페이스(228)는 전송 디코더에 이용하도록 출력되는 직렬 전송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을 포맷한다. 전송 인터페이스 스트림은 또한 DVB-CI 인터페이스(230)에 제공된다. DVB-CI 인터페이스는 직렬 전송 스트림을 병렬 전송 스트림으로 재포맷하고 DVB-CI 사양의 조건에 맞추도록 스트림에 부가의 변경을 행한다. DVB-CI 인터페이스(230)은 DVB-CI 호환 병렬 전송 스트림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240)는 링크 회로(200) 내의 여러 블럭에 제어 신호와 개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2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개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거나, 다르게 수신 장치 내의 대형 중앙 처리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예를 들어,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 또는 이퀄라이저(218)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이들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도 1의 튜너(104) 또는 튜너(106)와 같은 튜너에 제어 신호 출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240)는 채널 정보와 같은 정보 및 링크 회로(200)의 블럭에 대한 초기 세팅과 같은 운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운영 모드에 따라서, 링크 회로(200) 내의 블럭들 중 몇은 활성 또는 비활성일 수 있으며 운영적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회로는 변조 포맷의 판정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에서 운영된다. 변조 포맷 모드에서, 블럭들 중 몇개는 비활성이며 포매터(202), AGC 제어부(204),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206) 및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변조 포맷 식별에 필요한 블럭들만이 운영된다. 감소된 활성 블럭의 수는 판정 프로세스의 운영 효율 및 속도를 개선한다. 변조 포맷 판정 및 식별 프로세스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형태를 이용하여 수신기에 이용되는 링 카운터(300)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가 도시된다. 링 카운터(300)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의 판정의 일부로서 수신된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에 관련된, 복소수 페이서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나 신호 크기와 같은, 특성을 결정 및 비교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비교 결과는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서 기준 프로파일 히스토그램과 더욱 비교될 수 있는 신호 프로파일 히스토그램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링 카운터(300)는 도 2에 나타낸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이퀄라이저 회로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링 카운터(300)는 위성 신호의 트랜스폰더 또는 케이블 신호의 채널과 같은, 몇개의 신호원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포함되는 채널에 대한 복소수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링 카운터(300)로의 입력에 존재하는, 벡터나 스칼라 신호 포맷의 복소수 위상 입력 신호는 크기 검출기(310)에 제공된다. 크기 검출기(310)는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 및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 둘 다에 접속된다.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는 또한 입력으로 상한 크기값을 수신한다.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는 또한 입력으로 하한 크기 값을 수신한다.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 및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는 조합 회로(340)에 접속된다. 조합 회로(340)는 카운터(350)에 접속된다. 카운터(350)의 출력은 링 카운터(300)의 출력을 나타내며 다른 프로파일 처리를 위해 다른 회로에 제공된다.
입력 신호는 크기 검출기(310)에 제공된다. 입력 신호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퀄라이즈되지만 복조되지 않은 채널이나 트랜스폰더를 나타내는 디지털 샘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크기 검출기(310)는 입력 디지털 신호의 각 샘플에 대한 복소수 위상 정보를 제거하여 디지털 신호의 절대값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스칼라 신호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크기 검출기는 벡터 스칼라 그래프 상의 원점으로부 원점에서의 반지름 값과 동일한 값 까지의 반경 거리인 링을 따라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크기 검출기(310)는 입력 신호의 각 샘플을 샘플의 공액 복소수로 곱하여 입력 신호의 크기를 연산한다.
크기 값 신호는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 및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 둘 다에 제공된다.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 및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는 함께 윈도위 모드 비교 회로를 설정한다.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 및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에 제공된 상한 크기와 하한 크기의 값에 기초하여,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는 입력 신호의 크기값이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의 상한 크기 보다 더 작은 경우 1의 이진값을 출력한다. 출력은 크기값이 더 큰 경우에 0의 이진값이 된다. 유사하게,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는 입력 신호의 크기 값이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에 제공된 하한 크기 보다 더 큰 경우 1의 이진값을 출력하게 된다. 출력은 크기 값이 더 큰 경우 0의 이진값이 된다.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 및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의 출력 각각은 조합 회로(340)에 제공된다. 조합 회로(340)는 윈도우 모드 비교를 완료하기 위해서 불린 로직(Boolena logic) 'AND' 함수를 구현한다. 그 결과, 조합 회로(340)의 출력은 입력 신호의 크기 값이 상한 임계값 검출기(320)의 상한 크기 기준값 보다 더 작고 하한 임계값 검출기(330)의 하한 크기 기준값 보다 더 큰 경우 이진값 1이 된다.
조합 회로(340)로부터의 이진값은 카운터(350)에 제공된다. 카운터(350)는 입력 신호의 샘플 각각에 대해 결과된 이진 1 값들의 수의 계수를 보유한다. 카운터(350)는 계수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몇 개의 계수 값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지스터로 구현된다. 다르게, 메모리는 다수의 계수값을 저장하고 보유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더욱 복잡한 구조일 수 있다.
링 카운터(300)는 프로그램 가능한 동작의 성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한 크기 기준 값과 하한 크기 기준 값은 입력 신호의 각 샘플에 대해서 다수회 변경될 수 있다. 이들 크기 기준 값 세트 각각은 또한 카운터(350)에서 개별의 카운터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와 연관된다. 크기 값은 각 세트의 프로그램 가능한 크기 기준 값과 윈도우 비교된다. 크기 값이 윈도우 내에 있으면 - 이 윈도우는 입력 신호에서의 신호 에너지의 링 고리를 나타냄 -, 조합 회로(340)는 이진 1 값을 출력하고, 특정 세트의 프로그램 가능한 크기 기준 값과 연관되는 카운터(350)에서의 카운터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가 인크리멘트된다.
상한 크기 기준값과 하한 크기 기준값에 대한 프로그램 가능한 크기 기준 값의 세트는 입력 신호에 대한 가능한 크기 값에 이른다. 예를 들어, 한 세트의 크기 기준 값은 입력 디지털 신호의 크기 값에 대한 예상 범위에 이르기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 크기 기준 값은 입력 디지털 신호의 크기 값에 대한 예상 범위를 한 세트의 연속된 비교 윈도우 세그먼트로 분해하거나 세그먼트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입력 신호의 크기 값은 적당한 윈도우 비교를 위해 인크리멘트된 계수 값과 크기 기준 값의 세트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세그먼트들에 대해 윈도우 비교될 수 있다. 크기 기준 값은 도 2의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이퀄라이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크기 기준 값은 다르게는 프로세서(240)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일의 링 카운터(300)는 연속되는 일련의 비교 윈도우 세그먼트에 대해 입력 신호의 전체 크기 값 범위를 포괄하기 위한 계수값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계수값 빈(bin)은 입력 신호의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다르게, 링 카운터(30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체 범위 윈도우 모드 비교 링 카운터를 구현하기 위해 다수 회 중복될 수 있으며, 입력 신호에 대한 히스토그램 또는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의 크기값은 개별의 상한 크기 임계값 검출기(320), 하한 크기 임계값 검출기(330), 및 조합 회로(340)를 각각 포함하는 한 세트의 윈도우 모드 비교 회로에 제공되며, 각각은 다른 세트의 상한 및 하한 크기 기준값을 이용한다. 조합 회로의 출력 각각은 각 출력에 대한 개별의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를 포함하는 카운터 회로(350)에 제공된다. 링 카운터(300)의 다수의 병렬 링 카운터 구조는 다른 성좌도를 고려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다수의 병렬 링 카운터 구조의 크기 기준 값은 프로그램 가능할 수 있다.
링 카운터(300)는 최종 세트의 계수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샘플링된 입력 신호의 샘플 수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수 값을 형성하도록 링 카운터(300)에 의해 이용되는 샘플의 수는 64의 값에서 65,536의 값으로 프로그램가능하다. 링 카운터(300)에 의해 이용되는 다수의 샘플은 형성된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의 정밀도를 개선하지만, 또한 변조 포맷 판정을 완료하도록 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형태를 이용한 신호 포맷 프로파일(400)의 세트를 설명하는 그래프가 도시된다. 프로파일 세트(400)는 5개의 다른 변조 포맷의 신호의 65,536 샘플의 세트에 대해 링 카운터(300)의 출력에서 형성된 프로파일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히스토그램(410)은 16 데시벨(dB)의 신호 대 잡음 비(SNR)로 동작하는 16 QAM 변조를 이용한 신호를 나타낸다. 히스토그램(420)은 19dB의 SNR에서 동작하는 32 QAM 변조를 이용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히스토그램(430)은 22dB의 SNR에서 동작하는 64 QAM 변조를 이용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히스토그램(440)은 25dB의 SNR에서 동작하는 128 QAM 변조를 이용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히스토그램(450)은 30dB의 SNR에서 동작하는 256 QAM 변조를 이용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히스토그램은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신호 동작 임계값 이하인 SNR에서 각 성좌 순서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 매우 낮은 SNR에서도, 뚜렷한 차이는 히스토그램(410-450) 간에서 식별될 수 있다. 각 히스토그램(410-450)에 대해 이용되는 총 지점수는 65,356 지점이다. 그러나, 다른 지점의 수가 성능이나 특성에 실재적으로 필요한 데로 이용될 수 있다. 각 히스토그램(410-450)에 대한 빈 수는 카운터(350)에서 다른 계수값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x축을 따라 표시된다. 각 히스토그램(410-450)의 계수값은 y축을 따라 표시된다.
프로파일 세트(400)에서, 입력 신호의 크기 값의 전 범위에 이르기 위해서 총 350개의 빈이 각 히스토그램(410-450)에서 이용된다. 이용된 빈의 수는 링 카운터(300)에서, 이용 가능한 처리 시간양, 뿐만 아니라 이용된 회로의 크기나 속도에 의해 제한된다. 32개의 빈과 같이 적은 수의 빈이 이용되며 그 결과 정밀도가 매우 적게 열화하게 된다.
입력 신호 히스토그램 프로파일과의 비교를 위해서 변조 포맷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신호 파일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링크 회로에 대해 동일한 동작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은 16 QAM에 대한 심볼 링 값과 동일한 성좌 심볼 링 추정 값을 갖는 블라인드 모드에 세트된,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이퀄라이저에서의 운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형태를 이용하여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의 실시예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는 수신된 신호의 트랜스폰더나 채널에 대한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는 도 4에 나타낸 히스토그램 프로파일과 같은 특정 SNR에서 변조 포맷의 세트에 대한 대표적 또는 기준의 신호 프로파일을 이용한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는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서, 입력 신호에 대해 형성된 프로파일 히스토그램을 다수의 저장된 기준 링 카운터 프로파일과 비교한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는 도 2의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이퀄라이저 회로의 일부로 포함되고, 복조 회로 이전에 동작되는 회로로 포함된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로부터의 최종 출력은 이퀄라이저를 더욱 조정하고 결정된 신호 포맷을 복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로부터의 최종 출력은 링크 회로의 다른 회로에 의해 이용하기 위해 도 2의 프로세서(240)와 같은 프로세서에 제공되거나, 링크 회로의 다른 회로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의 일부는 프로세서(240)과 같은 프로세서에 또한 포함될 수 있으며, 최종 출력은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링크 회로의 다른 회로에 제공된다.
도시하지 않은 이퀄라이저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링 카운터(510)에 제공된다. 링 카운터(510)의 출력은 입력 오프셋 블럭(520)에 접속된다.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은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에 출력을 제공한다. 입력 오프셋 블럭(520)의 출력과 함께,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의 출력은 상관 블럭(550)에 접속된다. 상관 블럭(550)의 출력은 max 검출 블럭(560)에 접속된다. max 검출 블럭의 출력은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의 출력을 나타내며 도 2에 나타낸 이퀄라이저(218) 또는 프로세서(240)와 같은 다른 회로에 제공된다.
이퀄라이저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링 카운터(510)에 제공된다. 링 카운터(510)는 도 3에 나타낸 링 카운터(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며 여기에서 더 설명하지는 않는다. 링 카운터(510)는 프로그램 가능한 크기 기준 레벨을 이용하여 단일의 링 카운터로 구현된다. 링 카운터(510)는 병렬 윈도우 모드 비교 회로의 세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병렬 링 카운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 카운터(510)는 입력 신호의 크기 범위에 이르는 32개의 계수값 세트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 프로파일 히스토그램을 형성한다.
링 카운터(510)로부터의 계수값은 입력 오프셋 블럭(520)에 제공된다. 입력 오프셋 블럭(520)은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에 저장된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로부터 연산된 값들의 가중 평균값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에 대한 새로운 오프셋 신호 프로파일을 결정한다. 입력 오프셋 블럭(520)은 입력된 계수값에서 연산된 가중 평균값을 제하여, 입력 오프셋 프로파일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새로운 세트의 오프셋 계수값을 출력한다. 입력 오프셋 블럭(520)은 오프셋 계수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계수값에 대해 연산된 가중 평균값은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는 수신된 신호의 유형에 대한 변조 포맷의 세트에 대응하는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를 저장한다.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는 여러 신호 대 잡음 비율 (SNR)과 같은, 여러 신호 조건에서의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기준 프로파일은 이용되는 샘플의 수 및 프로파일 히스토그램에 이용되는 빈의 개수나 계수값과 같은, 입력 신호에 대한 동작 조건과 일치해야 한다. 기준 프로파일은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제조 이전에 결정 및 저장되고 제작 동안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에 저장된다. 기준 프로파일은 도 2의 프로세서(240)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거나,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의 초기 동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는 16QAM 신호, 32QAM 신호, 64QAM 신호, 128AQM 및 256QAM 신호에 대한 기준 프로파일을 저장 및 제공하고, 이들 모두는 25dB와 같은 동일한 SNR에서 결정되거나 연산된다.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는 다수의 SNR에서의 변조 포맷과 관련한 성좌도의 각 유형에 대한 기준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 히스토그램 프로파일과 포맷이 유사한 히스토그램의 값으로 표현된, 기준 프로파일 각각은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에 제공된다. 기준 오프셋 블럭 각각은 입력 오프셋 블럭(520)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에 저장된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로부터 연산된 값의 가중 평균값에 기초하여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새로운 오프셋 신호 프로파일이나 히스토그램을 결정한다. 오프셋 기준 프로파일은 연산된 가중 평균값을 제공된 기준 프로파일 계수값으로부터 제하는 것으로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 각각에서 연산된다. 부가하여,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 중 하나 이상은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에 대한 가중 평균값을 연산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가중 평균값은 또한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40)와 같은, 다른 회로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 각각은 또한 기준 오프셋 계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 오프셋 블럭(520) 및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은 오프셋 프로파일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 중 하나 이상에 연산된 기준 프로파일 값의 가중 평균값을 이용한다. 연산에 이용된 가중 평균값은 입력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비교에 이용되고 있는 변조 포맷의 개수 및 유형과 같은, 몇 가지 요소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가중 평균값은 동일하게 가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가중된 평균값은 다음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068981-pct00001
수학식 1에서, 값 16QAM, 32QAM, 64QAM, 128QAM 및 256QAM은 대응하는 기준 프로파일 각각에서 특정 빈에 대한 계수 값이다. 계수나 가중치는 일의 값에 부가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가중 수학식 1은 수신된 입력 신호에 관련된 많은 신호 동작 조건에 잘 맞는다. 그러나, 비교에 이용되는 변조 포맷에 따라서, 기준 프로파일은 동일한 가중을 이용하여 가중 평균화한 이후에 다른 기준 프로파일과 매우 유사할 수 있어, 이들을 분간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 또한, 오프셋이 실행된 후에 입력 프로파일은 기준 프로파일 중 하나 보다 더 유사하므로, 장차 비교 구별을 더 어렵게 만든다. 입력 신호는 또한 여러 레벨의 잡음, 다중 경로 및 AGC 오차로 붕괴되므로, 입력 프로파일을 왜곡시키고 입력 프로파일과 기준 프로파일 중 하나 이상 간의 구별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신호 왜곡 및 잡음은 도 4에 도시된 각 다른 유형의 상상도 및 변조 포맷에 대한 히스토그램(410-415)에서와 같이, 입력 신호 프로파일에 존재하는 고유의 피크를 완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동일하게 가중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파일 간을 구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불균일한 가중을 적용함으로써, 다른 프로파일 간의 구별을 희생하고, 유사한 프로파일 간의 구별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불균일한 가중 평균값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7068981-pct00002
수학식 2에서, 값 16QAM, 32QAM, 64QAM, 128QAM 및 256QAM은 수학식 1에서 이용된 것과 동일한 계수값이다. 또한, 수학식 1에서와 같이, 계수나 가중치는 일의 값에 부가되어야 한다.
오프셋 기준 블럭(540-548)은 또한 이득 조정 회로를 포함한다. 기준 프로파일 각각에 대한 이득 계수는 고유의 값으로, 계산된 상관 값이 완전한 성좌 일치가 있을 때 단일한 공칭값을 갖게 되도록 연산된다. 이득 조정은 최상의 일치를 구하기 위해 max 검출 블럭(560)에서 최종 값들을 직접 비교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하다. 이득 조정은 각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이득 값 K에 대한 다음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068981-pct00003
수학식 3에서, refN은 대응하는 기준 프로파일이고, ave 값은 수학식 1 또는 2에서 연산된 가중 평균값이고, i 값은 빈 번호이다. 사용된 빈의 총수는 32이다.
각 기준 프로파일에 대해 연산된 이득 조정 값은 최종 출력 오프셋 기준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각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오프셋 기준 값으로 승산된다. 기준 프로파일, 가중 평균값 및 오프셋 및 이득 조정된 프로파일은 모두 상관 검출기(550)에서의 처리 이전에 연산되므로 상관 검출기(550)가 이들 결정의 부담을 지지 않는다. 최종 오프셋 값은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 각각에 위치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의 세트에 대해 연산된 가중 평균값은 32개 값으로 저장되고, 5개의 오프셋 및 이득 조정된 기준 프로파일은 5세트의 32개 값으로 저장된다.
기준 오프셋 값은 이용 이전 시간에 연산되어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의 메모리 또는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530)와 같은 다른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것에 주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가하여, 연산은 도 2의 프로세서(240)와 같은 개별의 회로에 의해 실행되어,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경우, 기준 오프셋 블럭(540-548)은 이용되지 않으며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로부터 디세이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입력 오프셋 프로파일로부터의 입력 오프셋 계수값과 함께, 기준 오프셋 프로파일 각각으로부터의 기준 오프셋 계수값이 상관 블럭(550)에 제공된다. 상관 블럭(550)은 기준 오프셋 프로파일 각각을 입력 오프셋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상관 값을 연산한다. 각 비교를 위한 상관 값은 다음을 이용하여 연산된다:
Figure 112010087068981-pct00004
수학식 4에서, 값 corr은 오프셋 입력 프로파일과 오프셋 기준 프로파일들 각각 간의 연산된 상관 관계이고, 값 ogref는 각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각 빈의 오프셋 기준값이고, 괄호 내의 값은 입력 기준 값과 입력 프로파일의 각 빈에 대한 평균값의 차이다.
상관 블럭(550)으로부터의 연산된 상관 값은 max 검출 블럭(560)에 제공된다. max 검출 블럭(560)은 연산된 상관 값들 각각을 비교하여 최대 또는 가장 양성의 값을 선택한다. 최대 값은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에 의해 결정된, 변조 유형의 최고의 일치 및 최고의 성좌 유형을 나타낸다. 부가하여, max 검출 블럭(560)은 최대 값과 제2 최대 값을 비교하여 신뢰값을 연산한다. 이 신뢰값은 검출기에 대한 양호한 신뢰 측정값과 함께 이퀄라이저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신뢰 계수가 작다고 결정되면, 수신기 회로는 링크 회로에서 몇 다른 획득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채널이나 트랜스폰더 획득을 재도전하도록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형태를 이용한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2 세트의 기준 프로파일, 가중 평균값, 및 오프셋 및 게인 조정된 기준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유사하다. 입력 신호가 링 카운터(610)에 제공된다. 링 카운터(610)의 출력은 입력 오프셋(620)과 입력 오프셋(625) 둘 다에 연결된다.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630)는 제1 세트의 기준 오프셋 블럭(640-648) 및 제2 세트의 기준 오프셋 블럭(660-668)에 출력을 제공한다. 기준 오프셋 블럭(640-648)의 출력은 입력 오프셋 블럭(620)의 출력과 함께, 상관 블럭(650)에 접속된다. 기준 오프셋 블럭(660-668)의 출력은 입력 오프셋 블럭(625)의 출력과 함께, 상관 블럭(670)에 접속된다. 상관 블럭(650)과 상관 블럭(670)의 출력은 max 검출 블럭(680)에 접속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예외적으로,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에서의 블럭의 동작은 도 5의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에 대해 설명된 블럭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에서,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630)에 의해 기준 오프셋 블럭(640-648) 및 기준 오프셋 블럭(660-668)에 제공된 두 세트의 프로파일은 특정 SNR (신호 대 잡음 비율)에 대해 각각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제1 SNR은 비교적 잡음없는 신호를 나타내며 제2 SNR은 비교적 잡음있는 신호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준 오프셋 블럭(640-648)에 제공된 기준 프로파일은 20dB SNR에서 특성화되는 반면, 기준 오프셋 블럭(660-668)에 제공된 기준 프로파일은 30dB SNR에서 특성화된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는 10개의 상관 값을 형성하며, 각각 5개씩 상관 블럭(650)과 상관 블럭(670)에 있다. max 검출 블럭(680)에서 결정된 최고의 일치는 입력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에 대한 성좌 유형을 나타낸다. 최고의 일치는 입력 SNR의 그대로의 표시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는 룩업 테이블 저장 양의 배가 및 연산양과 연산 시간의 증가로 인해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 보다, 구현하는 데에 더 많은 회로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동작하는 데에 더 많은 오버헤드를 필요로 한다. 두 다른 SNR에서 두 세트의 기준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는 더 넓은 범위의 입력 신호 동작 조건을 처리하므로 부가의 강건성과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는 신호 동작 환경과 명목상 일치하는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SNR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단일 세트의 프로파일만으로 높은 수준의 강건성을 성취할 수 있다. 잡음있는 신호는 도 4에 나타낸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에 존재하는 피크를 넓히는 경향이 있다.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중간 SNR을 선택하여, 전체 유용한 신호 동작 환경에 대해 양호한 상관 관계를 성취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형태를 이용하여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700)의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예시와 설명의 목적으로, 프로세스(700)의 단계들은 도 5의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500)을 참조하여 우선 설명된다. 프로세스(700)의 단계들은 도 6의 신호 포맷 프로파일러(6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700)의 단계들은 도 1에 나타낸 수신기(100)와 같은 수신기 회로와 관련되는 전체 프로세스의 일부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700)의 단계들은 이에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위성 신호의 트랜스폰더 및 케이블이나 지상파 신호에서의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프로세스(700)의 단계들은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어느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710에서, 신호 스트림이 수신된다. 수신된 신호 스트림은 채널이나 트랜스폰더를 나타내는 디지털 샘플의 세트일 수 있다. 수신된 신호 스트림은 도 2에 나타낸 이퀄라이저(218)와 같은, 이퀄라이저 회로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퀄라이즈될 수 있지만, 복조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단계 720에서, 수신된 신호 스트림이 윈도우 비교된다. 단계 720에서 윈도우 비교는 링 카운터(510)에 의해 구현된 것과 같은, 계수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단계 720에서의 윈도우 비교는 수신된 신호 스트림의 샘플을 벡터 값으로부터 스칼라 크기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더욱, 복수의 윈도우 비교는 단계 720에서, 입력 신호 스트림의 값 범위에 이르는 윈도우 비교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하나 이상의 윈도우 비교를 위한 카운터 값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카운터 값은 입력 신호 스트림의 히스토그램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오프셋을 카운터 값에 적용하여 입력 신호 프로파일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형성하는 카운터 값에 대한 조정이 행해진다. 오프셋은 여러 신호 대 잡음 비율, 또는 다중 경로와 같은 신호 왜곡으로 인한 입력 프로파일 히스토그램 값을 조정하도록 필요할 수 있다. 오프셋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로부터 신호 프로파일이나 히스토그램의 카운터 값들의 세트의 가중 평균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연산된 오프셋은 오프셋 입력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카운터 값으로부터 제해진다. 오프셋 조정은 수신된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서 다른 기준 신호 프로파일과의 비교 결과를 개선한다.
다음에, 단계 740에서, 상관 연산은 오프셋 입력 프로파일 및 하나 이상의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기준 프로파일은 기준 프로파일 메모리(430)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오프셋 및 이득 조정은 단계 740에서 상관 연산을 개선하기 위해서 기준 프로파일에 대해 실행될 수 있다. 오프셋 조정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기준 프로파일들 간의 가중의 견지에서 동일하게 가중된 평균 연산을 이용하여 연산된다. 그러나, 특정 기준 프로파일에 대해서, 또는 특정 신호 동작 조건에 대해서, 오프셋 조정은 기준 프로파일 간의 가중의 견지에서 불균일하게 가중된 평균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의 기준 프로파일에 대해서나, 특정의 신호 동작 조건에 대해서나, 오프셋 조정은 기준 프로파일 간의 가중의 견지에서 불균일하게 가중된 평균화를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단계 750에서, 단계 750에서 연산된 상관 결과들이 비교되어 입력 신호 프로파일과 기준 프로파일 중 하나 간의 최고의 일치가 선택된다. 최고의 일치는 단계 750에서 결정된 상관 연산의 최고 값일 수 있다. 더욱, 최고의 일치는 단계 750에서, 두 다른 SNR에 대한 기준 프로파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된 신호 동작 조건에 대한 기준 프로파일의 세트를 이용한 결과, 최고의 상관 값을 결정하는 것을 수반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760에서, 단계 750의 최고의 일치 프로파일은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변조 포맷은 16QAM, 32QAM, 64QAM, 128QAM, 256QAM 등과 같은 신호에 대한 성좌 유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변조 포맷에 대한 정보는 수신된 신호의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적당한 복조에 중요하다. 변조 포맷에 대한 정보는 복조기를 초기화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위해서, 도 2에 기재된 링크 회로(218)와 같은 회로에 제공될 수 있다. 정보는 또한 메모리에 저장되고 특정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후반 튜닝을 원할 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신호의 채널이나 트랜스폰더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기재한다. 변조 포맷은 신호 변조 프로세스 이전에 식별되는 경우 신호 수신기에서 복조기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16QAM, 32QAM, 64QAM, 128QAM, 256QAM 등과 같은 성좌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입력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링 카운터를 이용한 성좌 유형을 포함하는 변조 포맷을 결정한다. 입력 신호 프로파일은 기준 프로파일과 비교되어 기준 프로파일 중 하나와의 최고의 일치가 선택된다. 변조 포맷 및 성좌 유형이나 성좌도와 같은 관련 정보는 선택된 기준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 결과, 변조 포맷은 신호 수신기에서, 실재로 신호 잠금을 얻지 않고, 또한 신호의 복조 시도 이전에 결정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채널이나 트랜스폰더 획득 및 복조 시간의 개선 결과를 가져온다.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수정과 대체 유형이 가능하긴 하지만, 특정 실시예가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설명은 개시된 특정 유형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보다, 본 명세서는 다음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명세서의 정신과 영역 내에 들어가는 모든 수정,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200: 링크 회로
202: 입력 포매터
204: 자동 이득 제어부(AGC)
206: 주파수 오프셋 보상 회로
208: 안티앨리어싱 필터
210: 디지털 AGC
212: 샘플링 타이밍 회수 (STR) 블럭
214: 정합 필터
218: 이퀄라이저
22): 콘볼루셔널 디코더
222: 차동 디코더
300: 링 카운터
310: 크기 검출기
320: 상한 임계값 검출기
330: 하한 임계값 검출기

Claims (22)

  1. 방법(700)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710);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샘플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720);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720); 및
    상기 신호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modulation format)을 선택하는 단계(750)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720)는 상기 비교 단계로부터의 적어도 두 비교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750)는 적어도 두 기준 히스토그램에 대한 일군의 값들의 가중 평균값(weighted average)에 기초하여 상기 히스토그램 내의 일군의 값들을 오프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7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은 16 레벨 직교 진폭 변조(16QAM), 32 레벨 직교 진폭 변조(32QAM), 64레벨 직교 진폭 변조(64QAM), 128레벨 직교 진폭 변조(128QAM), 및 256레벨 직교 진폭 변조(256QAM)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7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7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샘플의 신호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7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은 상기 신호 레벨의 크기인 방법(7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변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700).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은 상기 적어도 두 기준 히스토그램에 대한 상기 일군의 값들의 균등하게 가중된 평균값(equally weighted average)인 방법(7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은 상기 적어도 두 기준 히스토그램에 대한 상기 일군의 값들의 불균등하게 가중된 평균값인 방법(700).
  10. 장치(500)에 있어서:
    디지털 샘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510);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샘플값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510);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510);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에 대해서 상관(correlating)시키기 위한 수단(550); 및
    상기 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560)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510)은 적어도 두 비교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550)은 적어도 두 기준 히스토그램에 대한 일군의 값들의 가중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히스토그램 내의 일군의 값들을 오프셋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5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은 16 레벨 직교 진폭 변조(16QAM), 32 레벨 직교 진폭 변조(32QAM), 64레벨 직교 진폭 변조(64QAM), 128레벨 직교 진폭 변조(128QAM), 및 256레벨 직교 진폭 변조(256QAM)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500).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값은 신호 레벨의 크기 값인 장치(500).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변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500).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은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상기 일군의 값들의 균등하게 가중된 평균값인 장치(500).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은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에 대한 일군의 값들의 불균등하게 가중된 평균값인 장치(500).
  18. 장치(500)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샘플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샘플을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하며,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신호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링 카운터(510);
    상기 링 카운터(510)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신호 프로파일러(550); 및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550)에 결합되어,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550)에서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변조 포맷을 결정하는 검출기(560, detector) 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프로파일러(550)는 상기 적어도 두 기준 프로파일의 가중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상기 신호 프로파일을 조정하는 오프셋 회로(520)를 포함하는 장치(50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포맷은 16 레벨 직교 진폭 변조(16QAM), 32 레벨 직교 진폭 변조(32QAM), 64레벨 직교 진폭 변조(64QAM), 128레벨 직교 진폭 변조(128QAM), 및 256레벨 직교 진폭 변조(256QAM)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50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 카운터(510)에 결합된 이퀄라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신호 전송 동안 유도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서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조정하는, 장치(500).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560)에 결합된 복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조기는 상기 변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복조하는 장치(500).
  22. 삭제
KR1020107029514A 2008-06-03 2009-06-03 신호 포맷의 판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28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91108P 2008-06-03 2008-06-03
US61/130,911 2008-06-03
PCT/US2009/046080 WO2009155134A2 (en) 2008-06-03 2009-06-03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ignal form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712A KR20110036712A (ko) 2011-04-08
KR101528896B1 true KR101528896B1 (ko) 2015-06-29

Family

ID=4143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514A KR101528896B1 (ko) 2008-06-03 2009-06-03 신호 포맷의 판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37494B2 (ko)
EP (1) EP2283624B1 (ko)
JP (1) JP5628153B2 (ko)
KR (1) KR101528896B1 (ko)
CN (1) CN102113283B (ko)
WO (1) WO20091551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5359B2 (en) 2008-08-04 2013-01-15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Secondary payload interface
JP5141538B2 (ja) * 2008-12-19 2013-02-13 ヤマハ株式会社 信号識別装置、復調装置、自動演奏鍵盤楽器、信号識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23890B1 (en) 2009-10-30 2012-07-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symptotically optimal modulation classification method for software defined radios
EP2569771A1 (en) * 2010-05-10 2013-03-20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et and gain correction
JP5742310B2 (ja) * 2011-03-09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方式判定装置および方式判定方法
US8971701B2 (en) * 2012-05-01 2015-03-0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ueing system for universal optical receiver
CN104769875B (zh) 2012-06-20 2018-07-06 安华高科技通用Ip(新加坡)公司 采用正交频分复用的高频谱效率传输
US8982984B2 (en) 2012-06-20 2015-03-17 MagnaCom Ltd. Dynamic filter adjustment for highly-spectrally-efficient communications
US8548097B1 (en) 2012-06-20 2013-10-01 MagnaCom Ltd. Coarse phase estimation for highly-spectrally-efficient communications
US8781008B2 (en) 2012-06-20 2014-07-15 MagnaCom Ltd. Highly-spectrally-efficient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9088400B2 (en) 2012-11-14 2015-07-21 MagnaCom Ltd. Hypotheses gener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licing
US8811548B2 (en) 2012-11-14 2014-08-19 MagnaCom, Ltd. Hypotheses gener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licing
CN103944855B (zh) 2013-01-18 2018-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制处理方法及装置
US8923445B1 (en) * 2013-08-29 2014-12-30 L-3 Communications Corp. Complex symbol de-mapping using sectoring
US9118519B2 (en) 2013-11-01 2015-08-25 MagnaCom Ltd. Reception of inter-symbol-correlated signals using symbol-by-symbol soft-output demodulator
US8804879B1 (en) 2013-11-13 2014-08-12 MagnaCom Ltd. Hypotheses gener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licing
US9130637B2 (en) 2014-01-21 2015-09-08 MagnaCom Ltd.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nonlinear multi-user environments
US9496900B2 (en) 2014-05-06 2016-11-15 MagnaCom Ltd. Signal acquisition in a multimode environment
US8891701B1 (en) 2014-06-06 2014-11-18 MagnaCom Ltd. Nonlinearity compensation for reception of OFDM signals
US9071472B1 (en) * 2014-07-03 2015-06-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arameter estimation
US9246523B1 (en) 2014-08-27 2016-01-26 MagnaCom Ltd. Transmitter signal shaping
US9276619B1 (en) 2014-12-08 2016-03-01 MagnaCom Ltd. Dynamic configuration of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S9191247B1 (en) 2014-12-09 2015-11-17 MagnaCom Ltd. High-performance sequenc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19248B2 (en) * 2016-12-14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domain inter-carrier interference compensation
DE102017219691B3 (de) * 2017-11-06 2019-05-02 Laird Dabendor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Bestimmung der Modulationsart eines Signals und Konfiguration einer Verstärkungseinheit
CN110247710B (zh) * 2019-05-10 2020-07-31 北京邮电大学 基于光ofdm空载波位置编码的多维调制信号处理方法及装置
CN111464245B (zh) * 2020-03-30 2022-05-20 上海创远仪器技术股份有限公司 适用于信号分析仪平台的实现多制式信号发射质量测量控制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799A (ko) * 1993-02-08 1994-09-16 프레데릭 얀 스미드 수신기(Receiver)
US5381450A (en) * 1993-08-20 1995-01-10 Hitachi America, Ltd. Techniqu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constellation size of a quadrature amplitude modulated (QAM)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346B2 (ja) * 1999-03-30 2004-06-14 アンリツ株式会社 線形デジタル変調信号の搬送波周波数測定装置
JP2001111644A (ja) * 1999-08-04 2001-04-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変調方式自動識別受信機
JP3576880B2 (ja) * 1999-09-09 2004-10-13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変調方式識別装置及び自動変調方式識別方法
US7149938B1 (en) * 2001-12-07 2006-12-12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Non-causal channel equalization
JP2003244263A (ja) * 2002-02-15 2003-08-29 Toshiba Corp 信号処理装置
JP3983688B2 (ja) * 2003-02-17 2007-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変調型式識別回路および復調装置
US7417548B2 (en) 2004-04-13 2008-08-26 Impinj, Inc. Adjusting RFID waveform shape in view of signal from an RFID tag
CN100521670C (zh) * 2006-10-27 2009-07-29 清华大学 一种多进制频移键控信号的检测和分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799A (ko) * 1993-02-08 1994-09-16 프레데릭 얀 스미드 수신기(Receiver)
US5381450A (en) * 1993-08-20 1995-01-10 Hitachi America, Ltd. Techniqu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constellation size of a quadrature amplitude modulated (QAM)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3283A (zh) 2011-06-29
US8237494B2 (en) 2012-08-07
JP2011525320A (ja) 2011-09-15
US20110074500A1 (en) 2011-03-31
EP2283624A2 (en) 2011-02-16
EP2283624A4 (en) 2014-08-06
WO2009155134A3 (en) 2010-03-11
WO2009155134A2 (en) 2009-12-23
KR20110036712A (ko) 2011-04-08
CN102113283B (zh) 2014-09-03
EP2283624B1 (en) 2018-09-26
JP5628153B2 (ja)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896B1 (ko) 신호 포맷의 판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48181B1 (ko) 비디오신호의복조와디코딩을위한장치및수신기,그리고복조네트워크
KR100444378B1 (ko) 다양한포맷으로인코드된비디오신호를디코딩하기위한장치및그처리방법
JP5566379B2 (ja) 信号内のチャネル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7577213B2 (en) Hierarchical 8PSK performance
USRE42021E1 (en) Equalizer performance enhancements for broadband wireless applications
KR101248327B1 (ko)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위상 에러 검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머신 액세스 가능 매체
US7881365B2 (en) Demodulator with configurable adaptive equalizer
KR20070014165A (ko) 잡음 전력 추정치에 기반한 등화기 동기 검출기
KR100609941B1 (ko) 결정 지향 위상 검출기
EP1195960A2 (en) Demapping in a multicarrier receiver
US6982745B2 (en) Antenna level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JP4859830B2 (ja) 受信信号点の位置に基づく等化器ロック検出
US6246722B1 (en) Method of detection of misconvergence using constellation scanning in an equalizer
JP2009517969A (ja) 受信機において周波数オフセットを判別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7537666A (ja) イコライザエラー信号のためのコンステレーション位置依存ステップサイズ
JP2003230070A (ja) アンテナレベル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
KR100577264B1 (ko) 자동 이득 제어 장치를 포함한 수신 시스템
AU735890B2 (en)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signals encoded in different formats
Karam et al. Variable Symbol-Rate Modem Design for Cable and Satellite TV Broadcasting
KR20070022263A (ko) 오에프디엠 수신장치 및 오에프디엠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