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935B1 -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935B1
KR101527935B1 KR1020140183585A KR20140183585A KR101527935B1 KR 101527935 B1 KR101527935 B1 KR 101527935B1 KR 1020140183585 A KR1020140183585 A KR 1020140183585A KR 20140183585 A KR20140183585 A KR 20140183585A KR 101527935 B1 KR101527935 B1 KR 10152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parts
lighting devic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원
Original Assignee
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원 filed Critical 박상원
Priority to KR102014018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구의 외면에 방열도료를 도포하여 조명기구에 내장된 전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조명기구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전등을 조명기구 내부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조명기구 외면에 형성된 방열도료막이 오염물질이 조명기구의 외면과 직접 접촉하여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기구의 형태와 상관없이 방열도료막을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방열도료를 조명기구의 외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조명기구가 방열성을 갖도록 하되, 방열도료는, 물유리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 증류수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증류수에 수산화칼륨과 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제2 혼합물을 제조하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한 후, 제3 혼합물과 증류수, 탄화규소, 지르코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LIGHT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RADIATE HEAT}
본 발명은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구의 외면에 방열도료를 도포하여 조명기구에 내장된 전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조명기구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전등을 조명기구 내부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조명기구 외면에 형성된 방열도료막이 오염물질이 조명기구의 외면과 직접 접촉하여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기구의 형태와 상관없이 방열도료막을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술이 발달하면서 조명기구, 즉 조명기구도 전등갓이나 형광등 커버 등과 같이 단순한 전등 노출형 형태에서 벗어나 매입형, 밀폐형의 조명기구가 점차 많아지고 있어서 조명기구 내에 장착된 전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조명기구 외부로 최대한 많이 방열시켜 조명기구에 내장된 전등의 수명을 늘리는 기능성 조명기구의 제조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전등도 백열등이나 형광등에서 LED등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데, 특히 열에 취약한 LED등은 방열기능이 뛰어난 조명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조명기구는 방열효과를 높이고 오염물질에 의한 부식방지를 위해 조명기구 상부 커버의 재질을 대부분 부식 방지 도료가 도포된 금속재질로 만들고 있으며, 조명기구 상부 커버 표면의 방열면적이 넓어지도록 주름지게 한 방열기능이 있는 조명기구 제품,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엘이디 조명기구"와 같은 제품들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명기구 표면의 열 전달율을 높이기 위해 방열 기능이 있는 방열테이프를 조명기구 표면에 부착시켜서 방열 효율을 더욱 높인 제품,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방열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같은 제품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금속성분의 조명기구는 방열 효과보다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부식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재질이 선정되어 있고, 방열을 위하여 상부 커버를 주름지게 하는 것은 방열효과는 크지만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와 같이 방열테이프를 부착시키는 조명기구는 사각형의 조명기구의 경우 부착이 쉽지만 원형이나 주름형의 커버를 가진 조명기구에는 부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31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22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기구의 외면에 방열도료를 도포하여 조명기구에 내장된 전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조명기구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전등을 조명기구 내부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기구 외면에 형성된 방열도료막이 오염물질이 조명기구의 외면과 직접 접촉하여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기구의 형태와 상관없이 방열도료막을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방열도료를 조명기구의 외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조명기구가 방열성을 갖도록 하되, 방열도료는, 물유리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 증류수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증류수에 수산화칼륨과 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제2 혼합물을 제조하며,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한 후, 제3 혼합물과 증류수, 탄화규소, 지르코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제1 혼합물은, 물유리 40 내지 60중량부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 4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합계 900 내지 1,100중량부의 혼합액이 되도록 하고, 혼합액에 증류수 300 내지 500중량부를 투입하여 교반기가 온도 60 내지 80℃를 유지하면서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시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혼합물은, 증류수 300 내지 700중량부에 수산화칼륨 200 내지 500중량부와 산화알루미늄 5 내지 10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혼합물은, 제1 혼합물에 제2 혼합물 500 내지 700중량부를 20~40분에 걸쳐 투입하고, 교반기가 온도 80 내지 95℃를 유지하면서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2 내지 5시간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열도료는, 제3 혼합물 900 내지 1,100중량부에 증류수 300 내지 500중량부를 투입하고, 탄화규소 50 내지 100중량부와 지르코늄 5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며, 교반기가 온도 80 내지 95℃를 유지하면서 1분당 30 내지 60 회전의 속도로 2 내지 5시간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숙성시켜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의하면, 조명기구의 외면에 방열도료를 도포하여 조명기구에 내장된 전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조명기구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전등을 조명기구 내부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조명기구 외면에 형성된 방열도료막이 오염물질이 조명기구의 외면과 직접 접촉하여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구의 형태와 상관없이 방열도료막을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조명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사용되는 방열도료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방열도료를 도포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도포된 방열도료를 건조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조명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사용되는 방열도료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는 방열도료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명기구(100)의 외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조명기구(100)가 방열성을 갖도록 하게 된다.
이에, 조명기구(100)의 외면에 도포하기 위한 방열도료(40)를 제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처럼 방열도료(40)를 제조하는 공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방열도료(40)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제1 혼합물(10)과 제2 혼합물(20)을 각각 제조하고, 제조된 제1 혼합물(10)과 제2 혼합물(20)을 섞어 제3 혼합물(30)을 만든다. 그리고, 제3 혼합물(3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열도료(40)를 제조하게 된다.
먼저, 제1 혼합물(10)은 물유리(2) 40 내지 60중량부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4) 40 내지 60중량부, 그리고 물, 예를 들어 증류수(W) 300 내지 5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물유리(Water Glass, 2)는 이산화규소와 알칼리를 융해해서 얻은 규산나트륨(액상)을 진한 수용액으로 한 것으로, 공기 속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겔 모양의 규산이 석출되어 강한 접착력을 보이게 된다. 이에, 접착제나 접합제, 내화(耐火)시멘트 등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물유리(2)는 4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방열도료(40)의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되고, 6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열도료(40)의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나노실리케이트(Sodium Methyl Siliconate) 용액(4)은 실리카 분말이 나노입자 상태의 졸 상태로 존재하며, 도료로 제조하여 도포하면 도료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면서 화학적 결합에 의해 한층 강화시키게 된다. 나노실리케이트 용액(4)은 4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방열도료(40)의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6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방열도료(40)의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물은 일반적인 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수돗물이나 우물물 등은 각종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순수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좀 더 원활한 화학적 반응을 위해 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과 같은 증류수(Distilled Water, W)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혼합물(10)의 제조시 증류수(W)가 300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면 물유리(2)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이 원활하게 혼합되지 않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어렵고, 증류수(W)가 500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 너무 묽어지게 되어 이 또한 원하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어렵게 된다. 또한, 증류수(W)는 실리카의 함량을 낮추고자 하는 목적도 갖고 있어서, 증류수(W)의 투입량에 따른 실리카 함량에 따라 하기에 서술하는 제2 혼합물(20)의 제조시 수산화칼륨(12)과 산화알루미늄(14)의 투입량이 결정된다.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하여 제1 혼합물(10)을 제조하는 과정은, 우선 히터(120)가 설치된 반응용기(110)에 물유리(2) 40 내지 60중량부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4) 40 내지 60중량부를 넣어 합계 900 내지 1,100중량부의 혼합액이 되도록 한다.
다음, 물유리(2)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4)의 혼합액에 증류수(W) 300 내지 500중량부를 투입하고, 히터(120)를 가동시켜 반응용기(110) 내의 온도가 60 내지 80℃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교반기(130)로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충분히 혼합되도록 30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시켜줌으로써 제1 혼합물(10)을 제조한다.
제2 혼합물(20)은 증류수(W) 300 내지 700중량부에 수산화칼륨(12) 200 내지 500중량부와 산화알루미늄(14) 5 내지 10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수산화칼륨(12)과 산화알루미늄(14)은 방열도료(40)에 경도와 강도를 주기 위하여 첨가하게 된다. 이때, 수산화칼륨(12)과 산화알루미늄(14)의 투입량은 증류수(W)와의 중축합에 이상적인 혼합량으로써 기본적으로는 수산화칼륨(12) 350g과 산화알루미늄(14) 8g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칼륨(KOH, 12)은 칼륨의 수산화물로서 가성칼륨 또는 가성칼리라고도 하며, 칼륨의 제조, 의약품, 염료, 침탄제, 도금, 알칼리 전지, 시약 등에 사용된다. 수산화칼륨(12)이 200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면 원하는 만큼의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울 수 있고, 5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열도료(40)의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14)은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로 알루미나라고도 하고, 알루미늄 전해용, 촉매, 촉매 담체, 연마재 외에도 IC 패키지, 세라믹스 배선판 등에 두루 사용된다. 산화알루미늄(14)은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효과를 보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열도료(40)의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제2 혼합물(20)의 제조시 수산화칼륨(12)이 증류수(W)에 용해되면서 격렬한 발열반응이 일어나므로 수산화칼륨(12)을 조금씩 천천히 증류수(W)에 투입하여 서서히 용해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산화알루미늄(14)은 수산화칼륨(12)을 용해시킬 때 서서히 투입하면 된다. 이러한 제2 혼합물(20)을 제조하는 용기는 열에 강한 금속재질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전술한 것과 같이 제조된 제1 혼합물(10)과 제2 혼합물(20)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30)을 제조한다.
즉, 반응용기(110)에 담겨 있는 제1 혼합물(10)에 제2 혼합물(20) 500 내지 700중량부를 20~40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하고, 히터(120)를 가동시켜 반응용기(110) 내의 온도 80 내지 95℃를 유지하면서 교반기(130)가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2 내지 5시간 교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교반하지 않는, 즉 무 교반 상태로 숙성시키면 제3 혼합물(30)이 제조된다.
이후, 제3 혼합물(30) 900 내지 1,100중량부와 증류수(W) 300 내지 500중량부, 탄화규소(32) 50 내지 100중량부 및 지르코늄(34) 5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열도료(40)를 제조한다.
탄화규소(SiC, 32)는 규소의 탄화물이며, 상품명은 카보런덤이라 한다. 주로 연마재로서 사용되거나 전기재료 용도로 사용되고, 본 발명에서는 내부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200nm 이하 크기의 입자로 제조된 분말 상태의 것을 사용한다. 탄화규소(32)의 경우 50중량부 미만으로 투입하면 되고, 탄화규소(32)의 투입효과를 보기 어렵고,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열도료(40)의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지르코늄(Zr, 34)은 내열성, 내식성이 뛰어나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원소로써 전이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고열페인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 상태의 지르코늄(34)을 사용하며, 전술한 탄화규소(32)와 마찬가지로 200nm 이하 크기의 입자로 제조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지르코늄(34) 또한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효과를 보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열도료(40)의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하여 방열도료(40)를 제조하는 과정은, 반응용기(110)에 담겨있는 제3 혼합물(30)에 증류수(W), 탄화규소(32) 및 지르코늄(34)을 전술한 것과 같은 적절한 양으로 투입하고, 히터(120)를 가동시켜 반응용기(110) 내의 온도가 80 내지 95℃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교반기(130)로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충분히 혼합되도록 2 내지 5시간 교반시킨다. 그리고,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무 교반 숙성시켜주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열도료(40)가 제조된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방열도료를 도포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방열도료(40)가 조명기구(100)에 보다 잘 도포될 수 있도록 방열도료(40)를 도포하고자 하는 조명기구(100)의 외면을 깨끗이 닦아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조명기구(100)의 외면을 산 세척하거나 걸레로 깨끗이 닦아내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a)와 같이 조명기구(100) 외면에 방열도료(40)를 붓(200)으로 칠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도 3의 (b)에서처럼 분사기(300)를 이용하여 방열도료(40)를 조명기구(100) 외면에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도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3의 (c)처럼 방열도료(40)가 충진된 도료용기(400)에 조명기구(100)를 함침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외에, 붓(200)으로 칠하는 방식, 분사기로 분사하는 방식, 도료용기(400)에 조명기구(100)를 함침시키는 방식을 조합하여 두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방열도료를 도포할 수도 있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도포된 방열도료를 건조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의 (a)는 상온에서 방열도료(40)를 건조시키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열풍기(500)의 열풍을 이용하여 방열도료(40)를 건조시키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며, 도 4의 (c)는 건조로(600)에 방열도료(40)가 도포된 조명기구(100)를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처럼 상온에서 건조시킬 경우에는 약 2~4일 정도 건조시키게 되며, 도 4의 (b)와 같이 열풍기(500)의 열풍을 이용할 경우 약 80 내지 95℃의 열풍으로 3시간 이상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건조로(600)에 투입하는 경우 약 250 내지 300℃의 건조로(600)에서 30분 이상 건조시키게 된다. 이 외에, 전술한 상온 건조 방식, 열풍 건조 방식, 건조로 건조 방식을 조합하여 두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방열도료를 건조시킬 수도 있다.
한편, 방열도료(40)를 조명기구(100)의 외면에 도포한 후 초기 건조를 빠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 방열도료(40)에 알코올(Alcohol)을 혼합시켜 도포하게 되면 알코올이 기화하면서 방열도료(40)가 도포면에서 빠르게 건조된다. 이러한 경우 알코올은 방열도료(40) 1L에 대해 50 내지 100ml 정도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물유리 4: 나노실리케이트 용액
10: 제1 혼합물 12: 수산화칼륨
14: 산화알루미늄 20: 제2 혼합물
30: 제3 혼합물 32: 탄화규소
34: 지르코늄 40: 방열도료
100: 조명기구 110: 반응용기
120: 히터 130: 교반기
200: 붓 300: 분사기
400: 도료용기 500: 열풍기
600: 건조로 W: 증류수

Claims (5)

  1.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있어서,
    방열도료를 조명기구의 외면에 도포 및 건조시켜 상기 조명기구가 방열성을 갖도록 하되,
    상기 방열도료는,
    물유리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 증류수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증류수에 수산화칼륨과 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제2 혼합물을 제조하며,
    상기 제1 혼합물과 상기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3 혼합물과 증류수, 탄화규소, 지르코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은,
    물유리 40 내지 60중량부와 나노실리케이트 용액 4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합계 900 내지 1,100중량부의 혼합액이 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액에 증류수 300 내지 500중량부를 투입하여 교반기가 온도 60 내지 80℃를 유지하면서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증류수 300 내지 700중량부에 수산화칼륨 200 내지 500중량부와 산화알루미늄 5 내지 10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제3 혼합물은,
    상기 제1 혼합물에 상기 제2 혼합물 500 내지 700중량부를 20~40분에 걸쳐 투입하고, 교반기가 온도 80 내지 95℃를 유지하면서 1분당 30 내지 60회전의 속도로 2 내지 5시간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도료는,
    상기 제3 혼합물 900 내지 1,100중량부에 증류수 300 내지 500중량부를 투입하고, 탄화규소 50 내지 100중량부와 지르코늄 5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며, 교반기가 온도 80 내지 95℃를 유지하면서 1분당 30 내지 60 회전의 속도로 2 내지 5시간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2 내지 5시간 숙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20140183585A 2014-12-18 2014-12-18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52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85A KR101527935B1 (ko) 2014-12-18 2014-12-18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585A KR101527935B1 (ko) 2014-12-18 2014-12-18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935B1 true KR101527935B1 (ko) 2015-06-11

Family

ID=5350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585A KR101527935B1 (ko) 2014-12-18 2014-12-18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9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53B1 (ko) * 2009-11-19 2010-07-28 탁명수 방열용 질화알루미늄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5750A (ko) * 2008-03-10 2010-12-27 베트로테크 세인트-고바인 (인터내셔널) 아게 알루미네이트-변성 또는 보레이트-변성 이산화규소를 가진 광투과성 방열부재
KR20140004452A (ko) * 2012-07-03 2014-01-13 천광조명 주식회사 방열 도료를 포함한 엘이디 램프 용 방열 장치
JP2014089939A (ja) * 2012-10-05 2014-05-15 Panasonic Corp Led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750A (ko) * 2008-03-10 2010-12-27 베트로테크 세인트-고바인 (인터내셔널) 아게 알루미네이트-변성 또는 보레이트-변성 이산화규소를 가진 광투과성 방열부재
KR100972753B1 (ko) * 2009-11-19 2010-07-28 탁명수 방열용 질화알루미늄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4452A (ko) * 2012-07-03 2014-01-13 천광조명 주식회사 방열 도료를 포함한 엘이디 램프 용 방열 장치
JP2014089939A (ja) * 2012-10-05 2014-05-15 Panasonic Corp Led照明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382B1 (ko) 친수막
KR20160078340A (ko) 수지 조성물, 방열 재료 및 방열 부재
TW200938608A (en) Surface-modified conversion phosphors
BR102013033687A2 (pt) revestimento de cerâmica com resistência ao risco aprimorada e propriedades de condução térmica
JP6365532B2 (ja) 水性塗料、放熱部材、金属部品、電子機器
WO2011056751A1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thin multilayer phosphor film
Shi et al. Bioinspired lotus-like self-illuminous coating
JP2003013007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建材
WO2016084331A1 (ja) 低反射コーティング付ガラス板
Kim et al. Controlling surface property of K2SiF6: Mn4+ for improvement of lighting-emitting diode reliability
JP2000280397A (ja) 過酸化チタン含有酸化チタン膜を有する多層体
CN104356937A (zh) 一种用于地铁车厢内饰的陶瓷涂料的生产方法
KR101527935B1 (ko)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132668B1 (ko) 내열성, 내화학성, 열전도성, 열방사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강판
JP6082890B2 (ja) 放熱性塗料組成物、放熱性塗膜および被塗装物品
JP2002060687A (ja) 透明光触媒用塗料組成物
CN100450622C (zh) 透明膜形成组合物及其应用
TW201245415A (en) Carbodiimide phosphors
CN105860756A (zh) 一种耐化学腐蚀的led灯座用高导热绝缘漆及其制作方法
JP6041511B2 (ja) Led素子用接着剤
JP6084739B2 (ja) Led素子用封止材料
KR101425339B1 (ko) 세라믹 코팅제의 코팅으로 광반사율이 향상된 led 조명등
JP2005041771A (ja) 酸化チタン、酸化チタン含有ゾル、および当該ゾルから形成された薄膜ならびに当該ゾルの製造
JP2007284528A (ja) シリカ被覆金属酸化物系蛍光体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44177B1 (ko) 자동차 부품용 수용성 나노 분산 세라믹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