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925B1 - 현미경 모듈 - Google Patents

현미경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925B1
KR101527925B1 KR1020130123607A KR20130123607A KR101527925B1 KR 101527925 B1 KR101527925 B1 KR 101527925B1 KR 1020130123607 A KR1020130123607 A KR 1020130123607A KR 20130123607 A KR20130123607 A KR 20130123607A KR 101527925 B1 KR101527925 B1 KR 10152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objective lens
lens unit
sampl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337A (ko
Inventor
이효원
Original Assignee
이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원 filed Critical 이효원
Priority to KR102013012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9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88Inverse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2Objectives
    • G02B21/04Objectives involving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6Means for illuminating specimens
    • G02B21/08Condensers
    • G02B21/088Condensers for both incident illumination and transillu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료가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의 시료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시료를 통과한 광이 굴절되어 상기 시료의 상을 확대하는 대물 렌즈부; 상기 대물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전달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시료의 상을 조망할 수 있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도립상의 관측과 정립상의 관측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현미경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미경 모듈{MICROSCOPE MODULE}
본 발명은 현미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료가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의 시료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시료를 통과한 광이 굴절되어 상기 시료의 상을 확대하는 대물 렌즈부; 상기 대물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전달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시료의 상을 조망할 수 있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도립상의 관측과 정립상의 관측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현미경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미경은 매우 작은 사물을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광학 기구로서, 망원경과 함께 현대 과학 있어 필수적인 도구이다.
이러한 현미경은 그 구성에 따라서 크게 도립 현미경과 정립 현미경으로 분류된다. 정립 현미경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도립 현미경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과 도 2 사이, 및 도 3 과 도 4 사이의 차이점은 광이 시료를 투과하는 투과형 현미경인지, 또는 광이 시료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현미경인지 여부의 차이이다. 반사 현미경의 경우 광원부(20)가 대물 렌즈부(30)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소정의 굴절 수단을 매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아니한다.
정립 현미경은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의 상이 정립 형태로 나타나며, 시료가 놓이는 스테이지의 하부에서 생성된 광이 상부의 시료를 통과하여 시료 상부의 대물 렌즈로 입사한다. 이러한 정립 현미경은 비교적 작은 시료의 관찰에 사용된다.
도립 현미경은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의 상이 도립 형태로 나타나며, 정립 현미경과는 반대로 시료가 놓이는 스테이지의 상부에서 생성된 광이 하부의 시료를 통과하여 시료 하부의 대물 렌즈로 입사한다.
도립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정립 현미경에 비해 큰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미생물이 담긴 접시나 비커를 그대로 올려 놓고 용기의 지면에 부착되어 증식하고 있는 배양세포 등의 형태나 기능을 살아 움직이는 모습 그대로 생생하게 관찰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관찰 과정에서 스테이지 상의 피검체를 움직이는 등의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립 현미경은 상이 정립 형태로 나타나는 장점을 가지며, 아울러 도립 현미경과 달리 대물 렌즈가 시료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대물 렌즈의 조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현미경 내에서 상기와 같이 도립 현미경과 정립 현미경의 장점을 취사 선택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함은 매우 고무적인 사항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04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료가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의 시료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시료를 통과한 광이 굴절되어 상기 시료의 상을 확대하는 대물 렌즈부; 상기 대물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전달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시료의 상을 조망할 수 있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대물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도립상의 관측과 정립상의 관측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현미경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모듈은, 시료가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의 시료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시료를 통과한 광이 굴절되어 상기 시료의 상을 확대하는 대물 렌즈부; 상기 대물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전달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시료의 상을 조망할 수 있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도립상의 관측과 정립상의 관측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대물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광원부와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는 상기 스테이지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가변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 상기 광원부, 및 상기 대물 렌즈부가 지지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선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회 모듈은, 상기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시프트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 모듈은 상기 스테이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광원부와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상호 가변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 상기 광원부, 및 상기 대물 렌즈부가 지지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가변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부 및 상기 대물 렌즈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상호 가변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대물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서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가변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는, 일 면을 구성하는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1 스테이지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지에는 제1 고정 지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테이지에는 제2 고정 지그가 구비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물 렌즈부와 상기 경통 사이에 구비되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굴절부는 상기 대물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경로를 굴절시켜 상기 경통에 전달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모듈은 대물 렌즈부의 위치가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위치가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현미경 모듈 내에서 도립 현미경, 또는 정립 현미경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도립 현미경, 또는 정립 현미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립 현미경 및 정립 현미경이 가변적으로 구성되고 시료의 고정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관찰 가능한 시료가 더욱 다양해질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립 현미경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립 현미경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립 현미경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립 현미경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모듈의 대물 렌즈부의 위치 가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모듈의 광원부와 대물 렌즈부 사이의 위치 가변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상부" 는 "하부"로 해석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의 광원부(20)와 대물 렌즈부(30) 사이의 위치 가변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은, 시료가 안착되는 스테이지(10); 상기 스테이지(10) 상의 시료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20); 상기 시료를 통과한 광이 굴절되어 상기 시료의 상을 확대하는 대물 렌즈부(30); 상기 대물 렌즈부(30)를 통과한 광이 전달되는 경통(40); 및 상기 경통(40)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시료의 상을 조망할 수 있는 접안 렌즈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30)부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10)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도립상의 관측과 정립상의 관측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스테이지(10) 상에는 소정의 시료(T)가 안착된다. 상기 시료(T)는 예컨대 소정의 약제, 미생물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스테이지(10)에는 상기 시료(T)를 고정하도록 하는 소정의 지그가 구비될 수 있다.
광원부(20)는 상기 시료(T)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원부(20)는 예컨대 LED 와 같이 직접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외부의 광원을 반사하는 소정의 거울과 같은 부재가 광원부(20)로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원부(20)라 함은 상기 시료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여하한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직접적으로 광을 생성하는 부재에 한정하여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모듈이 반사 현미경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광원부(20)는 후술하는 대물 렌즈부(3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대물 렌즈부(30)를 통해서 상기 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광원부(20)은 대물 렌즈부(30)의 일 부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부(20)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을 갖고, 소정의 굴절 수단을 통해 상기 시료(T)에 조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상태 및 광 조사 상태로 한정되어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물 렌즈부(30)는 상기 광원부(20)를 통해 조사된 광이 시료(T)를 통과하여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대물 렌즈부(30)는 소정의 배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시료(T)를 통과한 광을 굴절시켜 시료의 상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한다. 이때, 상기 배율, 및 상기 시료(T)와 상기 대물 렌즈부(30)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는 소정의 조작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치 구조에 따라서,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광원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대물 렌즈부(30)를 통과해 굴절된 광은 소정의 경통(40)을 통과하여 접안 렌즈부(50)로 전달된다. 상기 경통(40) 내에는 소정의 광 굴절 부재, 및 렌즈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접안 렌즈부(50)는 상기 경통(40)의 일 단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여 상기 시료(T)의 상을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물 렌즈부(30), 경통(40), 상기 접안 렌즈부(50)를 각각 통과함에 따라서 시료의 상은 소정의 배율로 확대될 수 있고, 아울러 도립 상, 또는 정립 상 등이 조망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정의 집속 렌즈, 및 각종 광학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상기 경통(40) 사이에 구비되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굴절부는 상기 대물 렌즈부(30)를 통과한 광의 경로를 굴절시켜 상기 경통(40)에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는 상기 스테이지(10)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접안 렌즈부(50)를 통해 관찰되는 상은 도립상, 또는 정립상일 수 있다. 여기서, 시프트라 함은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가변되어 스테이지(10)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은 정립 현미경, 또는 도립 현미경이 하나의 현미경 모듈(1)내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서 적절히 도립 현미경, 또는 정립 현미경을 선택하여 관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정립 현미경의 경우 생물, 의학 관련 프레파라트 표본의 관찰에 용이하며, 도립 현미경의 경우 배양 등 배양용기 안의 세포와 조직관찰에 용이한 바, 관찰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하나의 현미경 모듈 내에서 적절한 현미경을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관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접안 렌즈부(50) 및 경통(40)의 위치는 상기 대물 렌즈부(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이 용이한 배향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반사 현미경으로 구성된 현미경 모듈의 경우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광원부(20)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10)에 대해 동일하게 배향되고 동시에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반적인 투과 현미경으로 구성된 현미경 모듈의 경우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가변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광원부(20)의 위치가 소정의 굴절부를 매개로 타 부분에 위치할 경우, 광원부(20)의 위치 가변 없이 대물 렌즈부(30)만, 또는 대물 렌즈부(30)와 소정의 굴절 수단의 변위만으로 정립 현미경 모드와 도립 현미경 모드가 상호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일 예로, 광원부(20)와 대물 렌즈부(30)의 위치 가변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는 상기 스테이지(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가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는 상호 가변되어 서로의 위치가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대물 렌즈부(30)의 위치 가변을 달성하도록, 소정의 선회 모듈(L)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10), 상기 광원부(20), 및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지지되는 프레임(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60)은 소정의 선회 모듈(L)을 포함하고, 상기 선회 모듈(L)은, 상기 상기 스테이지(10)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가변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선회 모듈(L)은, 상기 스테이지(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상호 가변되게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은, 상기 스테이지(10), 및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지지되는 프레임(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60)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 프레임(62), 및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64)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30)는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64)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가변되게 구성된다.
즉,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현미경 모듈(1)은 소정의 프레임(60)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60)에 상기 스테이지(10), 및 대물 렌즈부(30)가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60)은 위치가 고정되며 전체 현미경 모듈(1)을 지지하는 소정의 지지 프레임(62), 및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64)은 예컨대 소정의 회전축(R)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R)은 일 예로 나사 연결, 또는 원형 홀과 상기 홀에 삽입되는 원형 축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축(R)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이 Q 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프레임(64)을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 프레임(64)은 소정의 바(Bar)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일 단에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부라 함은 상기 회전 프레임(64)을 구성하는 바의 일 측 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64)이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일단부에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통(40), 및 접안 렌즈부(50)는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20)와 대물 렌즈부(30)가 서로 위치가 교환됨에 따라서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함께 위치 가변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형태로서는 상술한 소정의 굴절부를 매개로 상기 경통(40)과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경통(40) 및 접안 렌즈부(50)가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상기 광원부(20) 사이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안 렌즈부(50) 및 경통(40)의 위치는 상기 대물 렌즈부(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이 용이한 배향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상기 광원부(20) 및 대물 렌즈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 및 하반부라 함은 상기 회전 프레임(64)을 구성하는 바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놓았을 때 양단부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그 방향에 한정하는 개념이 아니다. 즉, 상기 회전 프레임(64)을 가로 방향으로 두면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는 양 측부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64)이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양단에 상기 광원부(20) 및 대물 렌즈부(30)가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광원부(20)와 대물 렌즈부(30) 사이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회전축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회전을 통한 대물 렌즈부(30) 사이의 위치 가변에도 불구하고 위치를 유지하여 동일한 시료를 스테이지(10) 상에 위치 유지시킨 상태에서 도립상, 및 정립상을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지(10)는 상면과 하면이 가변하게 구성된다.
즉,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지(10)는 상면과 하면이 서로 가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대물 렌즈부(30)가 상부에 위치할 경우, 대물 렌즈부(30)와 마주보는 면이 스테이지(10)의 상면을 구성하며, 대물 렌즈부(30)가 하부에 위치할 경우, 대물 렌즈부(30)와 마주보는 면이 스테이지(10)의 하면을 구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회전 프레임(6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회전에 따라서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상호 가변되게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회전 프레임(64)에 연결되되, P 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스테이지(10)와 상기 광원부(20) 또는 상기 대물 렌즈부(3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10)는 일 면을 구성하는 제1 스테이지(12), 및 상기 제1 스테이지(12)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스테이지(1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지(12)에는 제1 지그(7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테이지(14)에는 제2 지그(7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이지(10)는 상면과 하면이 서로 가변되게 구성되며, 제1 스테이지(12), 제2 스테이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상부에 위치할 경우 제1 스테이지(12)가 상면을 구성하며, 이때 정립 현미경의 기능을 갖는다. 반면에, 대물 렌즈부(10)가 하부에 위치할 경우 제2 스테이지(14)가 상면을 구성하며, 이때 도립 현미경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4)에는 각각 제1 지그(72), 및 제2 지그(74)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지그(72)와 제2 지그(74)는 각각 서로 상이한 시료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지그(72)의 경우 비교적 미량의 시료의 관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료가 놓인 유리판을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 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그(74)의 경우 비교적 다량의 시료의 관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료가 담긴 비커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립 현미경 및 정립 현미경이 가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료의 고정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관찰 가능한 시료가 더욱 다양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현미경 모듈
10: 스테이지
12: 제1 스테이지
14: 제2 스테이지
20: 광원부
30: 대물 렌즈부
40: 경통
50: 접안 렌즈부
60: 프레임
62: 지지 프레임
64: 회전 프레임
72: 제1 지그
74: 제2 지그

Claims (10)

  1. 시료가 안착되는 스테이지(10);
    상기 스테이지(10) 상의 시료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20);
    상기 시료를 통과한 광이 굴절되어 상기 시료의 상을 확대하는 대물 렌즈부(30);
    상기 대물 렌즈부(30)를 통과한 광이 전달되는 경통(40);
    상기 경통(40)의 일단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시료의 상을 조망할 수 있는 접안 렌즈부(50);
    상기 스테이지(10), 상기 광원부(20), 및 상기 대물 렌즈부(30)가 지지되는 프레임(60);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상기 스테이지(10)를 중심으로 시프트되어 도립상의 관측과 정립상의 관측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60)은,
    위치가 고정된 지지 프레임(62), 및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64)을 포함하며,
    상기 대물 렌즈부(30)는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64)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가변되고,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는 현미경 모듈(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10)는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는 상기 스테이지(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가변되는 현미경 모듈(1).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20) 및 상기 대물 렌즈부(30)는 상기 회전 프레임(64)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64)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광원부(20)와 상기 대물 렌즈부(30)의 위치가 상호 가변되는 현미경 모듈(1).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10)는 상면과 하면이 가변하게 구성되는 현미경 모듈(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10)는,
    일 면을 구성하는 제1 스테이지(10), 및
    상기 제1 스테이지(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스테이지(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지(10)에는 제1 고정 지그(7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테이지(10)에는 제2 고정 지그(74)가 구비되는 현미경 모듈(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부(30)와 상기 경통(40) 사이에 구비되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굴절부는 상기 대물 렌즈부(30)를 통과한 광의 경로를 굴절시켜 상기 경통(40)에 전달하는 현미경 모듈(1).
KR1020130123607A 2013-10-16 2013-10-16 현미경 모듈 KR10152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607A KR101527925B1 (ko) 2013-10-16 2013-10-16 현미경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607A KR101527925B1 (ko) 2013-10-16 2013-10-16 현미경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337A KR20150044337A (ko) 2015-04-24
KR101527925B1 true KR101527925B1 (ko) 2015-06-10

Family

ID=5303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607A KR101527925B1 (ko) 2013-10-16 2013-10-16 현미경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96A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온옵틱스 현미경용 얼라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969A (zh) * 2018-11-30 2019-07-05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用于观测生物单元的固定装置
KR102166495B1 (ko) * 2019-05-27 2020-10-15 김은근 델타봇 타입의 전동 현미경 스테이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34A (en) * 1887-11-22 Edwaed batjsch
US20070146872A1 (en) * 2003-11-07 2007-06-28 Carl Zeiss Jena Gmbh Invertible light-optical microscope
US8270071B2 (en) * 2008-10-22 2012-09-18 Microbrightfield, Inc. Movable objective lens assembly for an optical microscope and optical microscopes having such an assembly
KR20130057723A (ko) * 2011-11-24 2013-06-03 박영아 다이스 검사 현미경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34A (en) * 1887-11-22 Edwaed batjsch
US20070146872A1 (en) * 2003-11-07 2007-06-28 Carl Zeiss Jena Gmbh Invertible light-optical microscope
US8270071B2 (en) * 2008-10-22 2012-09-18 Microbrightfield, Inc. Movable objective lens assembly for an optical microscope and optical microscopes having such an assembly
KR20130057723A (ko) * 2011-11-24 2013-06-03 박영아 다이스 검사 현미경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96A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온옵틱스 현미경용 얼라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337A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5977B2 (ja) 顕微鏡
US10048478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correcting image errors and microscope with such a transmission system
US20050128573A1 (en) Tube for a microscope as well as microscope
US20230161142A1 (en) Microscope, method of operating a microscope and method of imaging a sample
KR101527925B1 (ko) 현미경 모듈
KR102625431B1 (ko) 광시야, 공초점 및 다광자 현미경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동적 초점 및 줌 시스템
US6137628A (en) Stereomicroscope having a specimen changer
JP6945557B2 (ja) 光学走査顕微鏡および検査方法
US10466461B2 (en) Dynamic focus and zoom system for use with wide-field, confocal and multiphoton microscopes
JP5825476B2 (ja) 顕微鏡装置
US100732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ed light illumination for light microscopes and microscope system
JP2005128443A (ja) 顕微鏡
US20110194073A1 (en) Attachment module for a microscope for observing the fundus of the eye
KR20210119278A (ko) 광시야, 공초점 및 다광자 현미경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동적 초점 및 줌 시스템
JP3537433B1 (ja) 固定高倍率切換型顕微鏡
US9869853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microscope and microscope
JP4819989B2 (ja) 顕微鏡
CN111344620B (zh) 用于宽场、共焦和多光子显微镜的动态聚焦和变焦系统
JP2019076329A (ja) 前置レンズ装置及び眼科用顕微鏡
JP2011102817A (ja) 顕微鏡装置
JP2006098875A (ja) 被検体観察装置
KR200432037Y1 (ko) 편광기
JPH10206748A (ja) 顕微鏡のステージ設置用キャピラリユニット並びにキャピラリユニットを具えた顕微鏡用ステージ並びにキャピラリユニットを具えた顕微鏡
JP2006065191A (ja) 顕微鏡
JP2007256414A (ja) 顕微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