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037Y1 - 편광기 - Google Patents

편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037Y1
KR200432037Y1 KR2020060025355U KR20060025355U KR200432037Y1 KR 200432037 Y1 KR200432037 Y1 KR 200432037Y1 KR 2020060025355 U KR2020060025355 U KR 2020060025355U KR 20060025355 U KR20060025355 U KR 20060025355U KR 200432037 Y1 KR200432037 Y1 KR 200432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polarizing plate
circumferential surface
polarizer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유솔지
Original Assignee
김경수
유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유솔지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2020060025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0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92Polarisation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3Filters having holographic or diffrac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편광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내주면으로 제 1단턱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되, 몸체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이 연결되는 받침대;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에 안착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필터부재를 통해 조사되는 빛 중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는 제 1편광판;과, 상기 제 1편광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 2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고정링;과, 상기 제 1고정링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편광판; 및 상기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가 장착된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회전부재를 측면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큰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내주면으로 광물시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재물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손잡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물시료, 필터, 고정링, 재물대

Description

편광기{A Polarisco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편광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편광기의 회전부재 결합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제 1단턱
12: 절개홈 13: 눈금 표시부
20: 받침대 21: 광원
30: 필터부재 40: 제 1편광판
50: 회전부재 51: 손잡이
52: 제 2단턱 53: 기준점
60: 재물대 70: 제 1고정링
80: 제 2편광판 90: 제 2고정링
100: 편광기 200: 광물시료
본 고안은 빛의 성질과 편광 현상을 이해하고,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편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대체하여 저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광원이 연결되어 있어 실내에서도 광물의 결정 및 각종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구조의 편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의 성질과 편광 현상을 이해하고,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편광현미경은 접안렌즈, 상부 편광판, 대물렌즈, 집광렌즈, 조리개 하부 편광판, 반사거울, 광원 집광렌즈, 재물대, 조동 및 미동 조절장치와 같이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편광현미경은 한 사람만이 관찰할 수 있으며, 매우 고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기존의 편광현미경은 숙련자가 조동 및 미동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광물의 성질을 관찰하게 됨으로, 비숙련자가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숙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학습도구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를 위해 2006년 4월 6일자로 출원된 간이 편광기(출원번호: 20-2006-0009206)가 있으나, 이러한 간이 편광기는 광원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실내에서는 학습도구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편광기 중간에 시료를 끼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큰 시료의 제작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태양광을 통해 관찰학습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이 어렵고, 오랜 시간 사용시 시력저하가 올 수 있는 문제점이 항시 존재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빛의 성질과 편광 현상을 이해하고,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편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기존의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대체하여 저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광원이 연결되어 있어 실내에서도 광물의 결정 및 각종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구조의 편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광물시료를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편광기의 측면으로 광물시료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의 편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박판형태의 광물시료를 통해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과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편광기에 있어서,
내주면으로 제 1단턱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되, 몸체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이 연결되는 받침대;와, 상기 몸체 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에 안착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필터부재를 통해 조사되는 빛 중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는 제 1편광판;과, 상기 제 1편광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 2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고정링;과, 상기 제 1고정링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편광판; 및 상기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가 장착된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회전부재를 측면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큰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내주면으로 광물시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재물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손잡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필터부재의 재질은 불투명 흰색 아크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재물대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 2단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재물대는 투명의 아크릴판 또는 유리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몸체는 내주면으로 회전부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 2고정링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2고정링은 삽입후 회전부재가 몸체의 절개홈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개홈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몸통의 절개홈 상부에는 좌우로 90°내지 180°의 회전각 측정범위 를 갖는 눈금 표시부가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회전부재는 손잡이의 수평선상으로 외주면에 회동각도를 식별할 수 있는 기준점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판형태의 광물시료(200)를 통해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과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편광기(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편광기(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원통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두고 장착되는 2개의 편광판(40,80)과, 상기 각 편광기(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5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회전부재(50)는 몸체(10)의 측면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몸체(10)의 하부 내주면에는 받침대(20)가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되, 몸체(10)의 내부 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21)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몸체(10)는 광원(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필터부재(3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 1단턱(11)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필터부재(30)는 재질은 불투명 흰색 아크릴 또는 불투명 흰색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30)의 상부면에는 광원(21)을 통해 조사되는 빛 중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는 제 1편광판(40)이 안착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절개홈(1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개홈(12)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내주면에는 제 1고정링(70)이 결합된다.
이러한 제 1고정링(70)은 상부에 제 2편광판(80)을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의 외부에서 결합수단인 나사볼트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광물시료는 제 1편광판(40)과 제 2편광판(80)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는 바, 상기 광물시료(200)가 안착된 회전부재(50)는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개홈(12)을 통해 몸체(1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의 절개홈(12)은 상기 회전부재(5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50)는 상기 몸체(10)에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내삽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 사이즈를 갖으며, 내부에는 재물대(60)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 2단턱(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 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50)은 제 2단턱(52)을 통해 광물시료(200)를 올려놓을 수 있는 재물대(60)가 구비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여기서 광물시료(200)를 올려놓을 수 재물대(60)는 하부로 조사되는 빛이 그대로 투영되도록 투명의 아크릴판 또는 유리판 또는 플라스틱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부재(50)는 강제회동에 의해 재물대(60)에 안착된 광물시료(200)를 관찰할 수 있도록 손잡이(51)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10)는 내주면으로 회전부재(5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 2고정링(90)이 더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2고정링(90)은 회전부재(50)의 삽입 후 회전부재(50)가 몸체(10)의 절개홈(12)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개홈(1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한편 몸통(10)의 절개홈(12) 상부에는 좌우로 90°내지 180°의 회전각 측정범위를 갖는 눈금 표시부(13)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50) 역시 눈금 표시부(13)에 따라 회전각도를 식별할 수 있는 기준점(53)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기준점(53)은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는데, 손잡이(51)의 수평선에 표시되어 있어, 절개홈(12)을 통해 보면 식별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편광기의 회전부재 결합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기(100)는 광물시료(200)가 안착된 회전부재(50)를 몸체(10)의 측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부재(50)에 구비된 재물대(60)에 광물시료(200)를 올려 놓은 후, 회전부재(50)의 손잡이(51)를 잡고 몸체(10)의 절개홈(12)으로 삽입시킨다.
이 후 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회전부재(50)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 앉으면서 몸체(10)에 결합된 제 2고정링(90)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부재(50)는 절개홈(12)을 통해 이탈되지 않고, 자유롭게 절개홈(12)을 따라 회동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 후 회전부재(50)를 손잡이를 통해 회동시킨다 하더라도, 몸체(10)의 절개홈(12)을 따라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회동되면서 제 2편광판(80)의 상부에서 나타나는 광물의 다색성과, 간섭색, 소광 현상 및 소광각 관찰을 통해 광물의 성질을 여러사람이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기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제 2편광판의 상부 또는 회전부재와 제 2편광판의 사이로 볼록랜즈를 배치하여 관찰되는 광물시료를 보다 더 크게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기는 회전부재는 고정하고, 상부에 배치된 제 2편광판을 회전시켜 광물시료를 관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광기에 따르면, 기존의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저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광원이 연결되어 있어 실내에서도 광물의 결정 및 각종 성질을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광물시료를 보다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박판형태의 광물시료를 통해 광물의 결정 및 광물의 광학적 성질과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편광기에 있어서,
    내주면으로 제 1단턱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되, 몸체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이 연결되는 받침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에 안착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필터부재를 통해 조사되는 빛 중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는 제 1편광판;
    상기 제 1편광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 2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고정링;
    상기 제 1고정링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편광판; 및
    상기 제 1편광판과 제 2편광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가 장착된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회전부재를 측면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큰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내주면으로 광물시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재물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손잡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재질은 불투명 흰색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재물대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 2단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물대는 투명의 아크릴판 또는 유리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주면으로 회전부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 2고정링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링은 삽입후 회전부재가 몸체의 절개홈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개홈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절개홈 상부에는 좌우로 90°내지 180°의 회전각 측정범위를 갖는 눈금 표시부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손잡이의 수평선상으로 외주면에 회동각도를 식별할 수 있는 기준점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기.
KR2020060025355U 2006-09-20 2006-09-20 편광기 KR200432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55U KR200432037Y1 (ko) 2006-09-20 2006-09-20 편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55U KR200432037Y1 (ko) 2006-09-20 2006-09-20 편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037Y1 true KR200432037Y1 (ko) 2006-11-29

Family

ID=4178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55U KR200432037Y1 (ko) 2006-09-20 2006-09-20 편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oiber et al. Crystal identification with the polarizing microscope
JP6521331B2 (ja) サンプル粘着部材、サンプル載置モジュール及び携帯型顕微鏡装置
Carpenter The microscope and its revelations
AU754240B2 (en) Examining diamonds and gemstones
Carlton et al. Polarized light microscopy
WO2007059090A2 (en) Engraved gemstone viewer
US7857450B1 (en) Hand-held device for contrast and multifunction vision testing
WO2004076993A3 (en) Spherical light-scatter and far-field phase measurement
US1766037A (en) Piezo-electric crystal apparatus
KR200432037Y1 (ko) 편광기
US4099881A (en) Viewer for biological diffusion plate
Chamot Elementary chemical microscopy
KR100749903B1 (ko) 편광기
KR101527925B1 (ko) 현미경 모듈
Tadrous PUMA–An open‐source 3D‐printed direct vision microscope with augmented reality and spatial light modulator functions
US6791767B2 (en) Magnetic optical element holder and microscope assembly including same
US3297391A (en) Unitary vertical illumination device for detachable mounting in microscope frame
CN209911641U (zh) 一种便携式单球透镜显微镜
US2715852A (en) Eye testing instruments
JP2002267932A (ja) 微分干渉顕微鏡
KR20060011908A (ko) 편광 확대경
Patzelt Polarized light microscopy
KR200312944Y1 (ko) 광학기기특성 실험장치
RU2002133684A (ru) Учебный прибор для демонстрации волновой оптики
Salmon et al. Proper alignment and adjustment of the light micr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