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749B1 -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749B1
KR101526749B1 KR1020130158386A KR20130158386A KR101526749B1 KR 101526749 B1 KR101526749 B1 KR 101526749B1 KR 1020130158386 A KR1020130158386 A KR 1020130158386A KR 20130158386 A KR20130158386 A KR 20130158386A KR 101526749 B1 KR101526749 B1 KR 10152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docking
audio
exter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해
고지선
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749B1/ko
Priority to US14/476,173 priority patent/US9525387B2/en
Priority to DE102014217916.5A priority patent/DE102014217916A1/de
Priority to CN201410482554.XA priority patent/CN10473558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1Aspects relating to docking-station type assemblies to obtain an acoustical effect, e.g. the type of connection to external loudspeakers or housings, frequency impr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장 앰프를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앰프 장착 공간의 축소 및 장착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앰프의 장착성 및 조립 편이성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앰프 장착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디오 본체에 도킹 공간이 마련되고, 오디오 본체의 회로보드에 도킹 커넥터가 구비되며, 외장 앰프가 상기 도킹 공간에서 오디오 본체의 도킹 커넥터에 도킹 방식으로 결합되어 오디오 본체의 회로보드에 접속될 경우 상기 도킹된 외장 앰프를 통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및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Amplifier docking type vehicle audio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 앰프를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앰프 장착 공간의 축소 및 장착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앰프의 장착성 및 조립 편이성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앰프 장착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음향 및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자동차, 편리한 자동차로의 진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차량 내에서 운전자 및 승객 모두에게 양질의 음향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은 현재 운전자 정보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음향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
한편, 차량에서 운전자 및 승객에게 음향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Amplifier),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의 이용은 필수적이며, 오디오 시스템(또는 AVN(Audio, Video & Navigation) 시스템)에서 음향 재생을 위한 주요 구성은 CPU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내장된 헤드유닛, 그리고 앰프와 차량 내 각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이다.
여기서, DSP는 CPU의 제어하에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앰프는 DSP에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차량 내 각 스피커로 출력한다.
최근 상기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에 대하여 음향 출력의 고급화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고급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외장 앰프를 구비하여 여러 채널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섬세하고 박진감 넘치는 음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고급 차량에서는 사운드의 고급화를 위하여 헤드유닛과 별도로 장착되는 외장 앰프를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차량 내 고급스러운 사운드 운용을 위하여 차량 제조사가 외부 유명 브랜드의 고급 외장 앰프를 해당 업체로부터 납품받아 차량에 조립하는 경우가 있다.
차량에 적용되는 외장 앰프는 서브 우퍼 2 채널, 도어 스피커 4 채널, 미드 레인지(range) 2 채널과 같이 8 채널 출력을 기본으로 하며, 8 채널부터 10 채널, 12 채널 등의 멀티 채널 형태로 출력 확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외장 앰프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에 외장 앰프 크기 이상의 큰 장착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 차량 내 앰프의 장착 구조, 장착성, 조립 편이성, 안정성, A/S성, 디자인 등을 고려한 레이아웃(Layout)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고, 차량 내 헤드유닛과의 통신 조건 또한 까다롭게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차량 내에서 공간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외부 브랜드의 외장 램프 각 사양에 따라 장착 브라켓 등을 설계해야 하고, 장착 브라켓 신작에 따른 금형 비용이나 개발비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외장 앰프의 장착시 조립 작업상 많은 어려움이 있고, 작업 공수 및 인건비, A/S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함은 물론, 주변 부품과의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헤드유닛과 외장 앰프를 와이어로 연결할 때 외부 전장부품과의 상호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며, 앰프 장착시에 커넥터의 연결 및 그 체결력 문제 등 품질 문제를 고려한 설계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시트 위치 및 높낮이가 전동식으로 조절되는 차량에서 외장 앰프를 시트 하단에 장착한 차량에서는 시트 이동시 외장 앰프 및 부속 부품(와이어 등)이 주변 차량 부품의 간섭을 받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시트 이동시 앰프가 주변 부품에 걸리거나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 등 발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외장 앰프를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앰프 장착 공간의 축소 및 장착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앰프의 장착성 및 조립 편이성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앰프 장착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 앰프용 장착 브라켓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앰프 조립 작업의 공수와 인건비, A/S 비용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앰프 장착으로 인한 주변 부품과의 간섭 및 상호 영향 문제, 커넥터 체결 등의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본체에 도킹 공간이 마련되고, 오디오 본체의 회로보드에 도킹 커넥터가 구비되며, 외장 앰프가 상기 도킹 공간에서 오디오 본체의 도킹 커넥터에 도킹 방식으로 결합되어 오디오 본체의 회로보드에 접속될 경우 상기 도킹된 외장 앰프를 통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및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장 앰프는 풀 디지털(Full Digital) 방식의 앰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본체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체 내장 앰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장 앰프는 풀 디지털(Full Digital) 방식의 앰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본체는, 외장 앰프의 도킹 여부를 감지하는 도킹감지부와; 오디오 신호가 내장 앰프로만 전달되어 처리된 후 출력되거나 내장 앰프와 외장 앰프에 함께 전달되어 처리된 후 출력되도록 상기 각 앰프의 오디오 신호 입력단으로 연결된 회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디바이스와; 상기 도킹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외장 앰프의 도킹 여부에 따라 스위칭 디바이스의 스위칭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외장 앰프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외장 앰프를 위한 도킹 구조를 구비하고, 도킹 방식으로 외장 앰프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외장 앰프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 장착 공간 및 장착 구조, 조립 작업을 위한 설계가 불필요해진다.
특히, 외장 앰프를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앰프 장착 공간의 축소 및 장착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앰프의 장착성 및 조립 편이성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복잡한 구조의 장착 브라켓의 삭제로 인해 비용 절감 및 중량 저감의 이점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앰프 조립의 공수와 인건비, A/S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고, 앰프 장착으로 인한 주변 부품과의 간섭 및 상호 영향 문제, 커넥터 체결 등의 품질 문제, 헤드유닛과의 통신 연결 및 매칭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형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형 오디오 시스템에서 외장 앰프의 도킹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외장 앰프를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앰프 장착 공간의 축소 및 장착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앰프의 장착성 및 조립 편이성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앰프 장착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 앰프용 장착 브라켓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앰프 조립 작업의 공수와 인건비, A/S 비용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앰프 장착으로 인한 주변 부품과의 간섭 및 상호 영향 문제, 커넥터 체결 등의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부피 축소가 가능한 풀 디지털 앰프(Full Digital Amplifier)를 활용하는 점, 그리고 풀 디지털 앰프를 오디오 본체에 도킹(Docking) 방식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하는 점 등에 주된 특징이 있다.
차량의 외장 앰프로 풀 디지털 앰프를 적용할 경우 앰프의 발열 문제가 해결되면서 앰프의 부피 축소가 가능해지고, 나아가 외장 앰프가 헤드유닛 내에 도킹 방식으로 결합되는 일체형의 오디오 본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량 내 고급스러운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유명 브랜드의 고급 외장 앰프를 적용함에 있어서, 해당 업체에 차량 오디오 본체에 삽입하여 도킹시킬 수 있는 사양으로 풀 디지털 방식의 외장 앰프를 납품받아 장착할 경우, 외부 브랜드의 용이한 음질 영역 확장이 가능해지면서도, 장착 브라켓, 작업 공수, 주변 부품과의 간섭, 디자인 등에 대한 여러 문제가 동시에 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앰프에 대한 참고 설명을 하면,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앰프는 드라이빙 회로의 동작에 따라 A급(Class-A), B급(Class-B), AB급(Class-AB) 및 D급(Class-D) 등으로 분류되고, 아날로그 앰프에 A급, B급 또는 AB급 방식이 적용되는 것과 달리, 디지털 앰프에는 PWM 증폭 방식의 D급 드라이빙 회로가 적용된다.
디지털 앰프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와 같이 진폭이 작은 디지털 신호를 펄스폭 변조하여 PWM 신호로 변조하고,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PWM 신호의 진폭을 증폭한 후, 증폭된 PWM 신호에서 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
PWM 펄스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디지털 앰프 중 풀 디지털 앰프(Full Digital Amplifier)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한 디지털 앰프 프로세싱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PWM 디지털 출력을 생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풀 디지털 앰프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AB급 등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앰프에 비해 발열 문제가 거의 없고, 부피가 큰 히트 싱크(Heat Sink) 등이 불필요하므로 앰프 부피의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PCM에서 PWM 전환시 DAC(Digital-Analog Converter)를 통해 아날로그로 한 번 변환한 후 다시 PWM 신호로 변환하는 일반적인 D급 방식에 비해, DAC 과정 없이 디지털 PCM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하므로 DAC 과정에서 생기는 이득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형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외장 앰프의 도킹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설명 부호 41, 42는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지는 스피커를 나타낸다.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별도의 차량 내 큰 장착 공간(시트 하단 공간 등)을 확보하여 외장 앰프를 장착하여야 했으나,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풀 디지털 방식의 외장 앰프(30)를 사용함과 더불어, 상기 풀 디지털 방식의 외장 앰프(30)를 오디오 본체(10) 내부에 삽입하여 도킹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오디오 본체(10) 내에는 풀 디지털 앰프(30)를 삽입하여 도킹시킬 수 있는 공간(11)이 마련된다.
여기서, 풀 디지털 앰프(30)가 도킹되는 부분은 회로보드(PCB)(12)가 내장된 오디오 본체(10) 내부 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또는 AVN 시스템)에서 헤드유닛이 될 수 있고, 헤드유닛의 하우징 내부 공간에 앰프(30)가 삽입 및 도킹형으로 결합될 수 있는 도킹 공간(11)을 마련한다.
상기 풀 디지털 앰프(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헤드유닛(10)의 도킹 공간(11) 내부에는,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풀 디지털 앰프(30)를 헤드유닛(10) 내 도킹 공간(11)에서 지지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그 밖에 앰프의 삽입 및 도킹이 용이해지도록 도킹 공간(11) 내에서 앰프(30)를 지지하면서 앰프의 삽입 및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이나 레일 등의 가이드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풀 디지털 앰프(30)를 헤드유닛(10) 내 도킹 공간(11)에 삽입한 후 슬라이드 이동시켜 후술하는 회로보드(12)에 도킹 결합하면, 앰프(30)가 후술하는 도킹 커넥터(13)를 통해 회로보드(12)에 접속되면서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및 출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을 위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Micom)(17), 스위칭 디바이스(Switching Device, S/D)(18), 및 튜너(Tuner)(19) 등을 회로보드(12)와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이들 마이컴(17) 및 스위칭 디바이스(18), 튜너(19) 등의 오디오 관련 디바이스 및 회로부, 부품들은 앰프(30)가 도킹되는 상기 회로보드(12)에 실장 및 탑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마이컴(17) 및 스위칭 디바이스(18), 튜너(19) 등의 디바이스 및 회로부, 부품들이 상기 회로보드(12)와 접속되는 별도의 회로보드에 실장 및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회로보드(12)에는 외장 앰프(30)가 도킹되어 접속되는 부분인 도킹 커넥터(13)와, 상기 도킹 커넥터(13)에 연결된 회로 구성을 가지면서 도킹 커넥터(13)에 도킹된 외장 앰프(풀 디지털 앰프)(30)를 스위칭 디바이스(18) 및 전원부(미도시) 등과 연결시키면서 구동시키기 위한 도킹회로부(14)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도킹회로부(14)는 외장 앰프(30)의 도킹 여부를 감지하는 도킹감지부(15)와, 상기 도킹감지부(15)를 통해 감지되는 외장 앰프(30)의 도킹 여부에 따라 스위칭 디바이스(18)를 스위칭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커넥터(13) 및 도킹회로부(14)를 외장 앰프(30)가 도킹하도록 된 회로보드(12)에 탑재하고, 상기 회로보드(12)와 접속되는 별도의 회로보드에 도킹 커넥터 및 도킹회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 및 회로부, 부품들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나누어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오디오 본체(헤드유닛)(10)에는 음원 데이터를 입력받아 마이컴으로 전달하는 음원 입력단(21)이 구비되고, 상기 음원 입력단(21)은 USB, SD 슬롯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Bluetooth,BT) 모듈 등과 연결되어 음원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본체(10)에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별도의 오디오 앰프로서 내장 앰프(22)가 고정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내장 앰프(22)는 4 채널 출력이 가능한 앰프가 될 수 있고, 이 역시 풀 디지털 앰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은 상기 내장 앰프(22)를 기본 앰프로 사용하여 앰프의 선택적인 확장 이용이 가능해지는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앰프(30)가 도킹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장 앰프(22)만을 사용하여 4 채널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장 앰프(22)의 4 채널을 기본으로 하되, 원하는 채널 수에 맞게 외장 앰프(30)를 사용하여 채널 확장이 가능하며, 외장 앰프(30)의 채널 수(4 채널 ~ )에 따라 8 채널부터 멀티 채널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내장 앰프(22)의 4 채널부터 운용이 가능하고, 이에 더하여 외장 앰프(30)를 추가로 도킹시킬 경우 외장 앰프(30)의 채널 수에 따라 다양한 채널로 확장하여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 8 채널 외장 앰프를 기본으로 사용하여 그 이상의 채널로만 확장이 가능하였고, 8 채널 운용시 반드시 8 채널의 외장 앰프만을 사용하여야 했다.
반면,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차량에 따라 내장 앰프(22)만을 사용하여 4 채널부터 운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4 채널의 도킹형 외장 앰프(30)를 추가로 사용할 경우 8 채널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도킹형 외장 앰프(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풀 디지털 앰프로서, 회로보드(12)의 도킹 커넥터(13)에 도킹될 경우 접속되는 도킹회로부가 구비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신호 증폭을 위한 FDA 칩(Chip)(31)이 내장된 것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FDA 칩(31)은 해당 브랜드의 사운드 DSP 알고리즘을 처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이컴(17)으로부터 앰프(30)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DSP와, DSP에서 처리된 신호의 풀 디지털 D급(Class-D) 증폭을 실시하는 풀 디지털 스윙(Full Digital Swing)부를 내장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도킹형 외장 앰프(30)는 외부 브랜드의 앰프 제작 업체로부터 차량 제조사가 납품받아 헤드유닛에 삽입 및 도킹하여 조립하며, 차량 제조사는 헤드유닛(10)에 도킹 가능한 사양의 외장 앰프를 해당 업체에 발주한 뒤 납품받아 조립한다.
이에 따라, 차량 제조사에서는 각 브랜드의 외장 앰프를 탄력성 있게 적용할 수 있고, 유명 브랜드의 외장 앰프를 적용하여 차량 내 사운드의 고급화를 도모함과 더불어 소비자들이 원하는 고급 브랜드의 사운드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외장 앰프(30)가 헤드유닛(10) 내에 도킹(회로보드의 도킹 커넥터에 접속)되면, 회로보드(12)에 탑재된 도킹회로부(14)의 도킹감지부(15)가 외장 앰프(30)의 도킹 및 접속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도킹감지부(15)로부터 출력되는 도킹 감지 신호를 스위칭 제어부가 입력받아 스위칭 디바이스(18)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18)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컴(17)의 출력단으로부터 각 앰프(22,30)의 오디오 신호 입력단 사이의 연결회로 상에 구비되어, 스위칭 제어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마이컴(17)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내장 앰프(22)로만 전달되거나 내장 앰프(22)와 외장 앰프(30)에 함께 전달될 수 있게 연결회로를 스위칭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앰프가 도킹되지 않은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스위칭 디바이스(18)가 ⓐ 방향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여 내장형 풀 디지털 앰프(22)를 이용한 4 채널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앰프(30)가 도킹되면, 이를 도킹감지부(15)가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스위칭 제어부가 스위칭 디바이스(18)의 구동을 제어하는바, 스위칭 디바이스(18)가 ⓑ 방향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여 내장 앰프(22)와 외장 앰프(30)를 이용한 8 채널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외장 앰프의 도킹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이를 인지하여 4 채널 또는 8 채널의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은 외장 앰프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외장 앰프를 위한 도킹 구조를 구비하고, 도킹 방식으로 외장 앰프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외장 앰프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 장착 공간 및 장착 구조, 조립 작업을 위한 설계가 불필요해진다.
특히, 외장 앰프를 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 앰프 장착 공간의 축소 및 장착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앰프의 장착성 및 조립 편이성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복잡한 구조의 장착 브라켓의 삭제로 인해 비용 절감 및 중량 저감의 이점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앰프 조립의 공수와 인건비, A/S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고, 앰프 장착으로 인한 주변 부품과의 간섭 및 상호 영향 문제, 커넥터 체결 등의 품질 문제, 헤드유닛과의 통신 연결 및 매칭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오디오 본체(헤드유닛) 11 : 도킹 공간
12 : 회로보드 13 : 도킹 커넥터
14 : 도킹회로부 15 : 도킹감지부
17 : 마이컴 18 : 스위칭 디바이스
19 : 튜너 21 : 음원 입력단
22 : 내장 앰프 23 : FDA 칩
30 : 풀 디지털 외장 앰프 31 : FDA 칩
41, 42 : 스피커

Claims (5)

  1. 오디오 본체에 도킹 공간이 마련되고,
    오디오 본체의 회로보드에 도킹 커넥터가 구비되며,
    외장 앰프가 상기 도킹 공간에서 오디오 본체의 도킹 커넥터에 도킹 방식으로 결합되어 오디오 본체의 회로보드에 접속될 경우 상기 도킹된 외장 앰프를 통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및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오디오 본체는,
    외장 앰프의 도킹 여부를 감지하는 도킹감지부와;
    오디오 신호가 내장 앰프로만 전달되어 처리된 후 출력되거나 내장 앰프와 외장 앰프에 함께 전달되어 처리된 후 출력되도록 상기 각 앰프의 오디오 신호 입력단으로 연결된 회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디바이스와;
    상기 도킹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외장 앰프의 도킹 여부에 따라 스위칭 디바이스의 스위칭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
    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 앰프는 풀 디지털(Full Digital) 방식의 앰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본체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체 내장 앰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앰프는 풀 디지털(Full Digital) 방식의 앰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5. 삭제
KR1020130158386A 2013-12-18 2013-12-18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KR101526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86A KR101526749B1 (ko) 2013-12-18 2013-12-18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US14/476,173 US9525387B2 (en) 2013-12-18 2014-09-03 Amplifier docking audio system for vehicle
DE102014217916.5A DE102014217916A1 (de) 2013-12-18 2014-09-08 Verstärker-Dockingplatz für Fahrzeuge
CN201410482554.XA CN104735586B (zh) 2013-12-18 2014-09-19 用于车辆的放大器对接音频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86A KR101526749B1 (ko) 2013-12-18 2013-12-18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749B1 true KR101526749B1 (ko) 2015-06-05

Family

ID=5319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386A KR101526749B1 (ko) 2013-12-18 2013-12-18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5387B2 (ko)
KR (1) KR101526749B1 (ko)
CN (1) CN104735586B (ko)
DE (1) DE1020142179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695A (ko) * 2015-10-27 2017-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부 스피커가 탑재된 차량 음향 시스템 및 그 튜닝 방법
KR20190066299A (ko) *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앰프, 차량 사운드 시스템 및 이에 제어방법
US10701476B1 (en) 2018-12-07 2020-06-30 Hyundai Motor Company Speaker unit for a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56B1 (ko) * 2014-09-2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92052B1 (ko) * 2016-03-15 2017-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E102016208543B4 (de) 2016-05-18 2022-07-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Call Modul - Verfahren und 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E-Call-Modul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01A (ko) * 1997-07-11 1999-02-05 윤종용 오디오앰프 확장이 가능한 다채널오디오시스템
JP2000052884A (ja) * 1998-08-05 2000-02-22 Yazaki Corp 車載用オーディオ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2672A1 (de) * 1989-01-31 1990-08-02 Shintom Kk Mobiles audiosystem
EP1614214A1 (en) 2003-04-07 2006-01-1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Digital amplifier
US20050089179A1 (en) * 2003-10-24 2005-04-28 Laraia Claudio R. Car audio amplifier with remote control panel
US7095867B2 (en) * 2004-04-30 2006-08-22 Altec Lansing Technologies, Inc. Portable audio reproduction system
KR101323949B1 (ko) 2005-12-27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앰프모듈이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및 그 디지털앰프모듈의 5.1채널 제어방법
KR100739786B1 (ko) 2006-01-20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채널 디지털 앰프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7733659B2 (en) * 2006-08-18 2010-06-08 Delphi Technologies, Inc. Lightweight audio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US20080089547A1 (en) * 2006-10-13 2008-04-17 Klipsch, Llc Digital audio speaker system for digital audio players with motorized drawer mechanism
CN201117003Y (zh) * 2007-10-29 2008-09-17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音频供应装置与多媒体装置
KR101871360B1 (ko) 2011-03-09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KR20130055970A (ko) 2011-11-21 2013-05-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음량의 좌우 차등화를 통한 차량 진행 방향 안내 avn 시스템 및 방법
CN203311849U (zh) * 2013-05-03 2013-11-27 重庆徐港电子有限公司 多功能系统级芯片车载多媒体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01A (ko) * 1997-07-11 1999-02-05 윤종용 오디오앰프 확장이 가능한 다채널오디오시스템
JP2000052884A (ja) * 1998-08-05 2000-02-22 Yazaki Corp 車載用オーディオラッ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695A (ko) * 2015-10-27 2017-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부 스피커가 탑재된 차량 음향 시스템 및 그 튜닝 방법
KR102343949B1 (ko) 2015-10-27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부 스피커가 탑재된 차량 음향 시스템 및 그 튜닝 방법
KR20190066299A (ko) *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앰프, 차량 사운드 시스템 및 이에 제어방법
KR102394910B1 (ko) * 2017-12-05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앰프, 차량 사운드 시스템 및 이에 제어방법
US10701476B1 (en) 2018-12-07 2020-06-30 Hyundai Motor Company Speaker unit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5586A (zh) 2015-06-24
US20150171801A1 (en) 2015-06-18
DE102014217916A1 (de) 2015-06-18
US9525387B2 (en) 2016-12-20
CN104735586B (zh)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749B1 (ko) 앰프 도킹 방식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US8139782B2 (en) Modular amplification system
US88252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factory and aftermarket vehicle components
KR101796989B1 (ko) 차량용 앰프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
KR101396177B1 (ko) 멀티단자 일체형 하이패스 모듈
US20090110211A1 (en) Supplemental Audio Output Box
KR101500177B1 (ko) 외부 음원 연동이 가능한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음원의 음향 출력 방법
JP2015154478A (ja) 車両向け一体型娯楽装置
CN103412503A (zh) 车辆音响控制系统及方法
KR200454910Y1 (ko) 카 오디오용 믹싱 콘솔 장치
CN203840512U (zh) 一种汽车专车专用音质提升数字功放
US9875078B1 (en) External amplifier interface
CN203407008U (zh) 一种以音箱和耳机作为输出终端的车载多媒体系统及车辆
CN201499135U (zh) 车载模拟功率放大器
KR20190023498A (ko) 도어 앰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오디오 시스템
KR20140001289A (ko) 차량용 오디오 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7985376U (zh) 车载音频设备
CN218367598U (zh) 一种低速行车提示音系统及车辆
KR100963252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JP6144774B2 (ja) サテライトからホストへの診断情報の通信
AU2017254914A1 (en) A wireless enhanced sound system and retrofit control module
CN212647873U (zh) 汽车智能语音系统及车辆
KR200161465Y1 (ko) 차량용 오디오시스템
KR20190029190A (ko)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102394910B1 (ko) 앰프, 차량 사운드 시스템 및 이에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