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90A -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90A
KR20190029190A KR1020170116447A KR20170116447A KR20190029190A KR 20190029190 A KR20190029190 A KR 20190029190A KR 1020170116447 A KR1020170116447 A KR 1020170116447A KR 20170116447 A KR20170116447 A KR 20170116447A KR 20190029190 A KR20190029190 A KR 2019002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mplifier
current path
unit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858B1 (ko
Inventor
이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8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라디오 방송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라디오 장치; 라디오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라디오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전파를 수신하고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복수 개의 커넥터와, 복수 개의 커넥터 중 전력이 공급되는 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공급된 전력의 전류의 경로로 설정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Antenna apparatus, manufacture method of antenna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커넥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라디오 기능은 뉴스 등의 각종 정보나 음악 등을 청취하기 위한 기능으로, 차량은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라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방송국에서 발신하는 전파(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를 라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안테나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헤드 유닛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헤드 유닛은 차량에 마련된 배터리 또는 차량에 마련된 팬텀을 전원부로 이용하며, 이 전원부의 타입은 차량 제조 시 미리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는 차량 제조 후 다른 타입의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일 측면은 서로 다른 타입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는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전원 내 노이즈를 제거하는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안테나에 연결되고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 서로 다른 타입의 전원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복수 개의 커넥터; 및 복수 개의 커넥터 중 전력이 공급되는 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공급된 전력의 전류의 경로로 설정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커넥터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제1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와, 제1타입과 상이한 제2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1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마련되고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 중 직류 성분의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1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와, 제2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1커넥터와 직류 차단부 사이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2커넥터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1커넥터와 제1전류 경로 설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제1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1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와, 제2커넥터와 제2전류 경로 설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노이즈 차단부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제1커넥터에 유입된 전류의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노이즈 차단부는 제1인턱터를 포함하고, 제2노이즈 차단부는 제2인턱터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타입의 전원부는 팬텀을 포함하고, 제2타입의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안테나에 연결되고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제1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 제1타입과 상이한 제2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커넥터; 제1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 및 제2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 제1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제2커넥터에서 제1커넥터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고, 제2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1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제1커넥터에서 제2커넥터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1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흐름을 안내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흐름을 안내하는 제2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1커넥터와 제1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제1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전력의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와, 제2커넥터와 제2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제2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라디오 방송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라디오 장치; 라디오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라디오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전파를 수신하고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복수 개의 커넥터와, 복수 개의 커넥터 중 전력이 공급되는 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공급된 전력의 전류의 경로로 설정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원부는 팬텀을 포함하는 제1타입의 전원부 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2타입의 전원부이고, 복수 개의 커넥터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라디오 장치에 전송하고, 제1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와, 제2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안테나 징차는, 제1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마련되고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 중 직류 성분의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류 경로 설정부는, 제1커넥터와 직류 차단부 사이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제1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커넥터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제2커넥터와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커넥터와 제1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제1다이오드를 통해 제1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와, 제2커넥터와 제2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제2다이오드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1노이즈 차단부는, 제2다이오드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제1커넥터에 유입된 전류의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1노이즈 차단부는 제1인턱터를 포함하고, 제2노이즈 차단부는 제2인턱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라디오 장치는, 튜너부와, 튜너부에 연결되고,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 중 직류 성분의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1타입의 전원부는, 팬텀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주파수 이하의 저주파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인덕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배터리와 팬텀 타입의 전원부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원부의 타입을 일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의 전원을 필요에 따라 배터리 및 팬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 유닛의 전원부의 타입과 무관하게 안테나 장치의 전원부를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 내 전원부의 부품 관리 및 생산 비용을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이오드에 의해 전류가 미사용 전원 경로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여 주변 장치(예, 자체, 공구 등)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고 노이즈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덕터에 의해 미사용 전원 경로에서 유입되는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를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 사이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연결된 라디오 장치를 포함한 헤드 유닛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의 회로 연결 구성의 일 예시도로, 전원부의 타입별 전력의 흐름 경로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의 회로 연결 구성의 다른 예시도로, 전원부의 타입별 전력의 흐름 경로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 사이의 연결 구성의 변형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 사이의 통신과 전원의 연결 구성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 100)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 전후좌우 윈도우 글래스(1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글래스는,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윈도우 글래스는 도어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 이외에 차량의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차량의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한다.
차량(1)은 루프 패널(113)에 마련되고 라디오 방송국의 전파, 텔레비전 방송국의 전파 및 위성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 안테나 장치는 다른 차량, 서버,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200)에 대해 추후 설명한다.
아울러 안테나 장치는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리어 윈도우 글래스는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테나는 라디오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는 라디오 안테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대시 보드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5)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공기 조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라디오 장치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 유닛(130)을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 페시아(124)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고 멀티단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단자는 헤드 유닛(13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5)는 대시 보드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5)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 중 수행하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00)은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조작 위치를 입력받는 변속 레버와, 변속 레버의 주변 또는 헤드 유닛(130)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
헤드 유닛(130)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0a)와,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b)와,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라디오 장치(130c)를 포함한다.
아울러 헤드 유닛(130)은 라디오 장치(30c)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3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a)는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30a)는 라디오 장치(130c)의 온, 오프 명령, 주파수 변경 명령, 라디오의 볼륨 레벨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a)는 버튼 타입 외에도, 키 타입, 스위치 타입 및 다이얼 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는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입력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5)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30b)는 라디오 장치(130c)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30b)는 라디오 장치의 온, 오프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된 주파수 정보 및 선국된 주파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라디오의 볼륨 레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b)는 차량에 마련된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일 수 있고, 또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30)의 라디오 장치(130c)는 전원부(130d)에서 공급된 전력을 내부의 구성부의 구동을 위한 전력으로 이용하고, 안테나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전파들 중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파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파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파는 전기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신호는 멘트음, 악기음, 음악, 광고음에 대한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은 박자, 가락(즉, 멜로디), 음성 등을 갖가지 형성으로 조화하고 결합한 목소리나 악기의 소리이다.
또한 전원부(130d)는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다른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다른 장치는 입력부, 표시부 및 플레이어(미도시), 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d)는 배터리 또는 팬텀(또는 팬텀 피딩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원부(130d)는 헤드 유닛(130)의 외부에 마련되고 헤드 유닛 내부의 구성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 구성부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라디오 장치(130c)의 내부 구성에 대해 추후 설명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오디오 장치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 또는 모터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단말 장치,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인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연결된 라디오 장치(130c)를 포함한 헤드 유닛의 제어 구성도이다.
헤드 유닛(130)은 입력부(130a), 표시부(130b) 및 라디오 장치(130c)를 포함하고, 라디오 장치(130c)는 수신부(131), 제2증폭부(132), 스피커(133) 및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입력부(130a)는 라디오 장치(130c)의 온, 오프 명령, 주파수 변경 명령, 라디오의 볼륨 레벨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a)는 자동 검색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30a)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제어부(134)에 전송한다.
아울러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는, 현재 선택된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주파수 크기 순으로 검색하는 업 버튼과, 현재 선택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주파수 크기 순으로 검색하는 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주파수 변경 또는 볼륨 레벨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부는, 버튼 이외에도 다이얼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30b)는 라디오 장치의 온, 오프를 표시하고, 라디오 장치 동작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를 표시하고, 라디오의 볼륨 레벨을 표시한다.
표시부(130b)는 주파수를 자동으로 검색하는지 등의 자동 검색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b)는 주파수 업에 대응하는 심벌을 표시하고, 주파수 다운에 대응하는 심벌을 표시하며, 볼륨 레벨 업에 대응하는 심벌과 볼륨 레벨 다운에 대응하는 심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라디오 장치(130c)의 수신부(131)는 라디오 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이전에 선택된 주파수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131)는 제어부(134)의 주파수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전파를 수신한다.
수신부(132)를 이루는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해 라디오 방송국의 방송 신호 출력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라디오 방송국에는 송신기가 마련되어 있다.
송신기는 마이크로폰에 수집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고, 이를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파로 출력하고, 또한 출력하고자 하는 음악에 대한 전기 신호를 전파로 출력한다. 여기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20 내지 20,000[Hz]의 가청 주파수 전기 신호이다.
송신기는 음성의 전기 신호 출력 시에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전기 신호에 함께 실어서 출력한다.
마이크로폰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기에 너무 낮은 주파수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음성 신호에 실어 보내는 고주파를 반송파라 한다.
즉, 수신부(131)는 라디오 방송국에서 보내온 전파를 안테나(250)로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를 음성 신호와 고주파로 분리함으로써 음성 신호가 본래의 음파로 출력되도록 한다.
수신부(13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131a)와, 튜너부(131a)에 수신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증폭부(131b)와, 증폭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가청 주파수 범위의 신호를 출력하는 검파부(131c)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튜너부(131a)는 라디오용 안테나(250)에 수신된 복수의 전파 중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파(즉, 전기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안테나(250)에는 복수의 방송국에서 전송한 서로 다른 반송파로 변조시킨 전파들이 수신되기 때문이다.
제1증폭부(131b)는 추출된 전파에서 세기가 약한 고주파 신호를 세기가 강한 고주파로 증폭한다. 즉 제1증폭부(131b)는 고주파 증폭부이다.
검파부(131c)는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음성 신호와 반송파로 분리한다.
제2증폭부(132)는 검파부(131c)에 연결되어 검파부(131c)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33)로 전달한다.
즉 검파부(131c)에서 분리한 음성 신호의 경우 스피커를 통해 청취하기에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제2증폭부(132)에서 다시 한 번 강하게 증폭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증폭부(132)는 저주파 증폭부이다.
스피커(133)는 증폭된 저주파의 음성 신호를 오리지널의 음파로 변환시키고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함으로써 방송국에서 전송한 정보들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34)는 입력부(130a)의 전원 온 버튼의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라디오 방송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34)는 이전에 선택된 주파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수신부(131)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전에 선택된 주파수는, 라디오 장치의 전원 오프 전 선택된 주파수이다.
제어부(134)는 라디오 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입력부(130a)의 전원 오프 버튼의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라디오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이때 선택된 주파수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4)는 입력부를 통해 주파수 업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선택된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수신부(131)에 업 신호를 전송하고, 주파수 다운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선택된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수신부(131)에 다운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34)는 입력부를 통해 볼륨 레벨의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라디오의 볼륨 레벨을 현재 볼륨 레벨보다 높게 제어하거나,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현재 선택된 주파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라디오의 볼륨 레벨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200)는 차체의 루프 패널(113)에 장착되는 바닥부재(210a)와, 바닥부재(210a)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성부들을 커버링하는 커버부재(210b)를 포함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바닥 부재(210a)는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체에 부착되어, 커버 부재(210b)와의 사이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한다.
바닥 부재(210a)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 우려가 적어 무선 신호의 수신율이 양호하도록, 차량의 상부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바닥부재(210a)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차체의 이동 시 발생되는 바람의 저항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인다.
이러한 바닥부재(210a)는 구동 모듈(230)과 라디오 장치(130c)를 전기적, 기계적 및 통신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의 하우징(210)은 샤크 핀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는 바닥부재(210a)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220)와, 베이스 부재(220)에 배치되는 구동 모듈(23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20)는 바닥부재(210a)에 본딩 또는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구동 모듈(230)과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220)는 구동모듈(230) 및 제1안테나(240)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구동 모듈(230)은 기판 상에 구리 등을 에칭하여 형성된 배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모듈(230)은 제1안테나(240)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거나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듈의 구성을 추후 설명한다.
구동 모듈(230)은 헤드 유닛의 라디오 장치(130c)에 전송한다.
제1 안테나(240)는 구동 모듈(230)에 안착된다.
이러한 제1 안테나(240)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일례로 FM/AM 대역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즉 제1안테나(240)는 라디오용 안테나이다.
제1 안테나(240)는 코일 타입의 안테나 이외에도 칩 타입의 안테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타입의 안테나 등 다양한 타입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안테나(240)는 복수의 방송사가 갖고 있는 각각의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라디오 장치(130c)로, 제1안테나는 라디오 장치의 수신부(131)에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는 제2안테나와 제3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안테나(250)는 구동 모듈(230)에 안착되고,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일례로 GPS 및 DMB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즉 제2안테나(250)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3 안테나(260)는 제3주파수 대역인5850 MHz 내지 5925MHz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이다. 이러한 제3 안테나(260)는 도로의 인프라, 서버, 또는 다른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안테나 기술의 발달로 길안내와 교통 체증 알림 정보뿐만 아니라,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서비스를 통한 주변 차량의 주행 정보, 도로 상태 정보, 차량 간 긴급 메시지 정보를 제공받고, 이때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에 복수 개의 안테나가 마련된 경우, 구동 모듈(230)은 복수 개의 안테나(240, 250, 260)에서 각각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거나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안테나에 대한 신호 처리 회로는 안테나 별로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의 회로 연결 구성의 일 예시도로, 전원부의 타입별 전력의 흐름 경로를 도시한다.
우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의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안테나 장치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용 커넥터와, 외부의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용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용 커넥터와 전원용 커넥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 도 있다. 또한 통신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전원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역시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테나 장치는 라디오 장치의 튜너부(131a)에 연결된 제1케이블(310)과 전원부에 연결된 제2케이블(320)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각각 접속되는 제1커넥터(200a)와, 전원부인 배터리(B)에 연결된 제3케이블(330)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제2커넥터(200b)를 더 포함한다.
제1케이블(310)은 통신용 케이블일 수 있다.
제1케이블(310)은 피더 케이블(Feeder cable)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케이블(310)은 제1안테나(240)를 통해 수신된 전파를 라디오 장치(130c)의 튜너부(131a)에 전달한다.
아울러 제1커넥터(200a)에는 전원부인 팬텀(P)에 연결된 제2케이블(320)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제2케이블(320)은 팬텀용 케이블일 수 있다.
제3케이블(330)은 배터리용 케이블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커넥터(200a)와 제2커넥터(200b)는 안테나 장치(200)의 하우징의 바닥부재(210a)에 마련되되 바닥 부재의 홀에 마련되고, 구동 모듈(230)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라디오용 안테나인 제1안테나(240)에 연결된 증폭기(LNA)와, 증폭기(LNA)의 RF 통신용 출력 핀과 제1 커넥터(200a) 사이에 연결된 제1직류 차단부(C1)와, 증폭기(LNA)의 전원핀에 연결되고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의 전류 흐름 경로를 변경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D)를 포함한다.
증폭기(LNA)는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파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즉 RF신호)와 미약한 노이즈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일 수 있다.
증폭기(LNA)의 RF 통신용 입력 핀에는 제1안테나(2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직류 차단부(C1)는 제1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직류 차단부(C1)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 중 직류 성분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교류 성분의 전류만을 통과시킨다.
전류 경로 설정부(D)는 증폭기(LNA)의 전원핀과 제1 커넥터(200a) 사이에 연결되고 제1커넥터(200a)를 통해 전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전력의 전류를 증폭기(LNA)로 안내하여 제1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를 경로를 설정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와, 증폭기(LNA)의 전원핀과 제2커넥터(200b) 사이에 연결되고 제2커넥터를 통해 전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전력의 전류를 증폭기(LNA)로 안내하여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를 포함한다.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은 제1 커넥터(200a)와 제1캐패시터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은 증폭기의 전력핀(Vc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은 제2 커넥터(200b)에 연결될 수 있고,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은 증폭기의 전력핀(Vc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은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증폭기(LNA), 제1직류 차단부(C1), 제1, 2 전류 경로 설정부(D1, D2)는 구동 모듈(230)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 유닛(130)의 라디오 장치(130c)는 튜너부(131a)에 연결된 제2직류 차단부(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직류 차단부(C2)는 제1케이블(31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직류 차단부(C2)는 제2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직류 차단부(C2)는 제1직류 차단부(C1)과 제1케이블(310)을 통과한 전류 중 직류 성분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고, 고주파의 교류 성분의 전류만을 통과시키고 통과된 전류를 튜너부(131a)로 전달한다.
팬텀이 마련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경우, 헤드 유닛(130)의 전원부는 교류 차단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류 차단부(L)는 교류 성분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직류 성분의 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교류 차단부(L)는 저주파의 전류를 통과시켜 안테나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2케이블(320)은 교류 차단부의 인덕터와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30)은 팬텀(P)이 마련된 전원부(130d)를 포함하고, 팬텀(P)의 전력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내 각종 구성부를 동작시킨다.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케이블(31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케이블(32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커넥터(200a)는 제1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포트와, 제2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튜너부(131a), 제2직류 차단부(C2), 제1케이블(310),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 제1직류 차단부(C1) 및 증폭기(LNA)를 통해 제1안테나(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안테나(240)에 수신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는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된 제2케이블(320)을 통해 헤드 유닛의 전원부의 팬텀(P)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팬텀(P)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는 제2케이블(320)과 교류 차단부(L)를 통해 헤드 유닛(130)의 전원부인 팬텀(P)과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의 제2케이블(320)과 제1커넥터(200a)를 통해 공급되는 팬텀(P)의 전력은 증폭기(LNA)에 전달된다.
즉 팬텀(P)의 전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에 의해 제1커넥터(200a)에서 증폭기(LNA)의 전원핀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는 증폭기에 전달되는 전력의 전류가 제2커넥터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커넥터와 주변의 다른 장치(예, 차체, 공구 등)와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는 제2커넥터(200b)가 자체 그라운드와 접속됨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30)은 배터리(B)가 마련된 전원부(130d)를 포함하고, 배터리(B)의 전력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내 각종 구성부를 동작시킨다.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케이블(31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3케이블(33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2커넥터(20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튜너부(131a), 제2직류 차단부(C2), 제1케이블(310),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 제1직류 차단부(C1) 및 증폭기(LNA)를 통해 제1안테나(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안테나(240)에 수신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200)는 제3케이블(330)을 통해 헤드 유닛(130)의 전원부인 배터리(B)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의 제2커넥터(200b)를 통해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력은 증폭기(LNA)에 전달된다.
즉 배터리의 전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에 의해 제2커넥터(200b)에서 증폭기(LNA)의 전원핀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증폭기에 전달되는 배터리의 전류가 제1커넥터 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커넥터와 주변의 다른 장치(예, 차체, 공구 등)와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커넥터에 유입된 배터리의 전류가 제1케이블을 경유하여 라디오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커넥터에 전류가 유입되어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이즈 발생 방지에 따라 제1케이블을 경유하여 라디오 장치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커넥터가 자체 그라운드와 접속됨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의 회로 연결 구성의 다른 예시도로, 전원부의 타입별 전력의 흐름 경로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는 도 6 및 도 7의 안테나 장치의 구성 외에 노이즈 차단부(F)를 더 포함한다.
안테나 장치는 라디오용 안테나인 제1안테나(240)에 연결된 증폭기(LNA)와, 증폭기(LNA)의 RF 통신용 출력 핀과 제1 커넥터(200a) 사이에 연결된 제1직류 차단부(C1)와, 증폭기(LNA)의 전원핀에 연결되고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의 전류 흐름 경로를 변경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D)와, 증폭기(LNA)로 유입될 수 있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차단부(F)를 포함한다.
이러한 증폭기(LNA), 제1직류 차단부(C1), 제1, 2 전류 경로 설정부(D: D1, D2), 노이즈 차단부(F: F1, F2)는 구동 모듈(230)에 마련될 수 있다.
전류 경로 설정부(D)는 증폭기(LNA)의 전원핀과 제1 커넥터(200a) 사이에 연결되고 제1커넥터(200a)를 통해 전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전력의 전류를 증폭기(LNA)로 안내하여 제1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를 경로를 설정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와, 증폭기(LNA)의 전원핀과 제2커넥터(200b) 사이에 연결되고 제2커넥터를 통해 전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전력의 전류를 증폭기(LNA)로 안내하여 제2커넥터에서 증폭기로 전류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를 포함한다.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은 제1 커넥터(200a)와 제1캐패시터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은 증폭기의 전력핀(Vc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은 제2 커넥터(200b)에 연결될 수 있고,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은 증폭기의 전력핀(Vc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은 제1다이오드의 캐소드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노이즈 차단부(F)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인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과 제1커넥터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전원부의 전력을 전류를 증폭기에 전달할 때 제1 커넥터에 유입된 노이즈가 증폭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F1)와, 제2전류 경로 설정부인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과 제2커넥터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전원부의 전류를 증폭기에 전달할 때 제2 커넥터에 유입된 노이즈가 증폭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F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 노이즈 차단부는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2 노이즈 차단부는 전원부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전류 경로의 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도 노이즈나, 전파 형태로 공중으로 방사되는 방사 노이즈 등이 증폭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30)의 라디오 장치(130c)는 튜너부(131a)에 연결된 제2직류 차단부(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직류 차단부(C2)는 제1케이블(31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직류 차단부(C2)는 제2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직류 차단부(C2)는 제1직류 차단부(C1)과 제1케이블(310)을 통과한 전류 중 직류 성분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고, 고주파의 교류 성분의 전류만을 통과시키고 통과된 전류를 튜너부(131a)로 전달한다.
팬텀이 마련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경우, 헤드 유닛(130)의 전원부는 교류 차단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류 차단부(L)는 교류 성분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직류 성분의 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교류 차단부(L)는 저주파의 전류를 통과시켜 안테나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2케이블(320)은 교류 차단부(L)와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30)은 팬텀(P)이 마련된 전원부(130d)를 포함하고, 팬텀(P)의 전력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내 각종 구성부를 동작시킨다.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케이블(31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케이블(32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커넥터(200a)는 제1케이블(310)이 연결될 수 있는 포트와, 제2케이블(320)이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튜너부(131a), 제2직류 차단부(C2), 제1케이블(310),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 제1직류 차단부(C1) 및 증폭기(LNA)를 통해 제1안테나(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안테나(240)에 수신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는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된 제2케이블(320)을 통해 헤드 유닛의 전원부의 팬텀(P)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팬텀(P)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는 제2케이블(320)과 전원부의 교류 차단부(L)를 통해 헤드 유닛(130)의 전원부인 팬텀(P)과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된 제2케이블(320)을 통해 수신되는 팬텀(P)의 전력은 증폭기(LNA)에 전달된다.
안테나 장치(200)의 제1커넥터(200a)에 전달된 전력의 전류는, 제1노이즈 차단부(F1)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후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를 경유하여 증폭기(LNA)의 전원핀으로 전달된다.
즉 팬텀(P)의 전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에 의해 제1커넥터(200a)에서 증폭기(LNA)의 전원핀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는 증폭기에 전달되는 전력의 전류가 제2커넥터(200b)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커넥터(200b)와 주변의 다른 장치(예, 차체, 공구 등)와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는 제2커넥터(200b)가 자체 그라운드와 접속됨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이즈 차단부(F2)는 제2커넥터와, 제2커넥터와 제2전류 경로 설정부 사이의 선에 유입된 노이즈가 증폭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유닛(130)은 배터리(B)가 마련된 전원부(130d)를 포함하고, 배터리(B)의 전력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내 각종 구성부를 동작시킨다.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케이블(31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3케이블(330)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제2커넥터(20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유닛(130)에 마련된 라디오 장치(130c)는 튜너부(131a), 제2직류 차단부(C2), 제1케이블(310), 안테나 장치의 제1커넥터(200a), 제1직류 차단부(C1) 및 증폭기(LNA)를 통해 제1안테나(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디오 장치(130c)는 제1안테나(240)에 수신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200)는 제3케이블(330)을 통해 헤드 유닛(130)의 전원부인 배터리(B)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의 제2커넥터(200b)에 전달된 배터리의 전력의 전류는, 제2노이즈 차단부(F2)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후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를 경유하여 증폭기(LNA)의 전원핀으로 전달된다.
즉 배터리의 전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D2)에 의해 제2커넥터(200b)에서 증폭기(LNA)의 전원핀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배터리의 전류가 제1커넥터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제1커넥터에 유입된 배터리의 전류가 제1케이블을 경유하여 라디오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커넥터에 전류가 유입되어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이즈 발생 방지에 따라 제1케이블을 경유하여 라디오 장치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전류 경로 설정부(D1)는 제1커넥터가 자체 그라운드와 접속됨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노이즈 차단부(F1)는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와 제1전류 경로 설정부 사이의 선에 유입된 노이즈가 증폭기(LNP)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헤드 유닛 사이의 연결 구성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헤드 유닛(130) 내 라디오 장치(130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30d)와, 안테나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30e)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30d)와 전원부(130e)는 서로 다른 타입의 전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30d)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전원부(130e)는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샤크 타입의 안테나 장치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된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 장치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1: 차량 130: 헤드 유닛
130c: 라디오 장치130d: 전원부
200: 안테나 장치200a: 제1커넥터
200b: 제2커넥터310: 제1케이블
320: 제2 케이블330: 제3케이블

Claims (22)

  1.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
    서로 다른 타입의 전원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복수 개의 커넥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 중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상기 공급된 전력의 전류의 경로로 설정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는,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제1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타입과 상이한 제2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 중 직류 성분의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와,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직류 차단부 사이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전류 경로 설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1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상기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와,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상기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이즈 차단부는,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제1커넥터에 유입된 전류의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이즈 차단부는, 제1인턱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노이즈 차단부는, 제2인턱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의 전원부는 팬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타입의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0.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제1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타입과 상이한 제2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1전류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상기 제2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상기 제2커넥터에서 상기 제1커넥터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1전류 경로 설정부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상기 제1커넥터에서 상기 제2커넥터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흐름을 안내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흐름을 안내하는 제2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1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전력의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와,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4. 라디오 방송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라디오 장치;
    상기 라디오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라디오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복수 개의 커넥터와,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 중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상기 공급된 전력의 전류의 경로로 설정하는 전류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팬텀을 포함하는 제1타입의 전원부 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2타입의 전원부이고,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는,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기 라디오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2타입의 전원부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 중 직류 성분의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경로 설정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직류 차단부 사이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에 애노드단이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전원핀에 캐소드 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증폭기 사이에 전류 경로를 설정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차량.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1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다이오드를 통해 제1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상기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노이즈 차단부와,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다이오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다이오드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상기 공급된 전력 내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노이즈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이즈 차단부는, 상기 제2다이오드를 통해 제2커넥터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류 경로를 설정할 때 제1커넥터에 유입된 전류의 노이즈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이즈 차단부는, 제1인턱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노이즈 차단부는, 제2인턱터를 포함하는 차량.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장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 중 직류 성분의 전류를 차단하는 직류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량.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의 전원부는,
    팬텀에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주파수 이하의 저주파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116447A 2017-09-12 2017-09-12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10241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47A KR102410858B1 (ko) 2017-09-12 2017-09-12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47A KR102410858B1 (ko) 2017-09-12 2017-09-12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90A true KR20190029190A (ko) 2019-03-20
KR102410858B1 KR102410858B1 (ko) 2022-06-21

Family

ID=6603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447A KR102410858B1 (ko) 2017-09-12 2017-09-12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05B1 (ko) * 2020-03-17 2021-02-09 주식회사 오성전자 Ir 리드를 활용한 rf 안테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291A (ja) * 2001-03-23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基地局装置
CN205944452U (zh) * 2016-08-22 2017-02-0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车用集成天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291A (ja) * 2001-03-23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基地局装置
CN205944452U (zh) * 2016-08-22 2017-02-0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车用集成天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05B1 (ko) * 2020-03-17 2021-02-09 주식회사 오성전자 Ir 리드를 활용한 rf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858B1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9830B1 (en) Audio system and method of use
US6731761B1 (en) Wireless remote speakers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050280250A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20240163653A1 (en) Telematics control units (tcus) including sensors for monitoring vehicle interiors
CN107839628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2410858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20190065520A (ko)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66861B1 (ko)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20170186415A1 (en) Audio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dio system
US20050143047A1 (en) Low noise and distortion adapter and system for providing audio output signals from the auxiliary SDARS radio to the in-vehicle AM/FM radio
US20090238376A1 (en) Location based audio reception zone system for use with vehicular entertainment systems
KR102434001B1 (ko) 안테나 장치, 안테나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20190131172A (ko) 라디오 시스템, 라디오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210083371A1 (en) In-vehicle wireless system
US81800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EP1721784B1 (en) Vehicular entertainment module
JP2001102826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システム
US7844225B2 (en) Radio for a motor vehicle
KR101736105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CN112152654A (zh) 自动驾驶车辆的声音播放系统、声音播放方法和车辆
JP2001516983A (ja) アンテナ基部の受信器
US20090167620A1 (en) Accessory-type antenna for vehicle
JP4066689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JP5542587B2 (ja) 車載用信号処理装置及び車載用アンテナ
JP2008067217A (ja) 無線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