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345B1 - 밀폐형 전지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345B1
KR101525345B1 KR1020137031050A KR20137031050A KR101525345B1 KR 101525345 B1 KR101525345 B1 KR 101525345B1 KR 1020137031050 A KR1020137031050 A KR 1020137031050A KR 20137031050 A KR20137031050 A KR 20137031050A KR 101525345 B1 KR101525345 B1 KR 10152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hole
battery
contacting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782A (ko
Inventor
가즈유키 구사마
도모히로 마츠우라
다카시 하라야마
야스시 히라카와
이치로오 무라타
신야 무로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고코쿠 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고코쿠 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01M50/645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5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밀폐형 전지(100)는, 전지 케이스(110)의 관통 구멍(113e)을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하는 밀봉 부재(170)를 구비한다. 이 밀봉 부재(170)는, 외부로부터 전지 케이스(110)에 고착된 피복부(171)와, 관통 구멍(113e) 내에 삽입된 삽입부(173)와, 전지 케이스(110)의 구멍 주위부(113f3)에 기밀하게 압접한 환상 압접부(175)와,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 사이에 이들과 일체로 되어 개재하는 개재부(177)를 갖는다. 개재부(177)에는, 삽입부(173)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상의 개재부 오목 홈(177v)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전지{HERMETICALLY SEALED BATTERY}
본 발명은, 자신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전지 케이스와, 이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극체와, 전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을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밀폐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액 구멍 등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전지 케이스와, 이 전지 케이스에 수용된 전극체와, 전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을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한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밀폐형 전지가 알려져 있다. 밀봉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덮개 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이 밀봉 부재(금속 덮개 부재)(915)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신의 환상의 주연부(915m)를, 전지 케이스(913) 중 주액 구멍(관통 구멍)(913e)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상의 주위부(913m)에,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하여, 주액 구멍(913e)을 외부로부터(도 23 중, 상방으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한다.
그러나 이 밀봉 부재(915)에서는, 밀봉 부재(915)의 주연부(915m)를 전지 케이스(913)의 주위부(913m)에 용접할 때, 주위부(913m)에 부착되어 있었던 전해액이나 용접 시의 열에 의해 증발한 전해액에 기인하여, 밀봉 불량(용접 불량)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밀봉 부재(915)의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한 주액 구멍(913e)의 기밀 밀봉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 밖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금속 덮개 부재(915)에, 고무로 이루어지는 원판 형상의 탄성 부재(926)를 접합한 밀봉 부재(925)를 사용한 밀폐형 전지가 있다. 이 밀봉 부재(925)는, 그 탄성 부재(탄성부)(926)를, 전지 케이스(923) 중 주액 구멍(923e)의 주위에 형성한 오목부(923h) 내에 끼워, 주액 구멍(923e)을 외부로부터(도 24 중, 상방으로부터) 막는다. 그리고 금속 덮개 부재(금속 덮개부) 금속 덮개부(915)와 전지 케이스(923) 사이에서 탄성부(926)를 압축한 상태에서, 금속 덮개부(915)의 주연부(915m)를 전지 케이스(923)의 주위부(923m)에 용접하고, 탄성부(926)로 주액 구멍(923e)을 기밀하게 밀봉한다. 또한, 이것에 유사한 밀폐형 전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5 등을 참조).
이 밀봉 부재(925)에서는, 탄성부(926)의 직경 방향의 치수(도 24 중, 좌우 방향의 치수)를, 오목부(923h)의 직경 방향의 치수와 동등하게 하고, 탄성부(926)가 오목부(923h)에 간극 없이 끼워 맞추어지는 형태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탄성부(926)를 금속 덮개부(915)와 전지 케이스(923) 사이에서 압축해도, 탄성부(926)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할 수 없으므로, 탄성부(926)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오목부(923h)의 측면으로부터]도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탄성부(926) 내에는, 두께 방향뿐만 아니라, 직경 방향으로도 응력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부(926)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 탑재용의 밀폐형 전지는, 예를 들어 10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므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요망된다.
한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성부(926)의 직경 방향의 치수를 오목부(923h)의 치수보다도 작게 하고, 탄성부(926)와 오목부(923h)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탄성부(926)를 오목부(923h) 내에 배치할 때에, 그 위치 결정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액 구멍(923e) 내에 압입되는 삽입부(936)와, 이 삽입부(936)와 일체로 연결되고 삽입부(936)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상의 환상 압접부(937)를, 금속 덮개부(915)에 접합한 밀봉 부재(935)도 제안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935)는, 그 삽입부(936)를 위치 결정 가이드로서 이용함으로써, 주액 구멍(923e)에 대한 밀봉 부재(935)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유사한 밀폐형 전지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의 도 2 등을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1932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8811호 공보
그러나 삽입부(936)는, 주액 구멍(923e)에 압입하였을 때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므로, 삽입부(936)의 주위에 일체로 연결된 환상 압접부(937)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로 인해, 환상 압접부(937) 내에는, 두께 방향뿐만 아니라, 직경 방향으로도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이 경우에도, 환상 압접부(937)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삽입부(936)의 직경 방향의 치수(도 25 중, 좌우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삽입부(936)를 주액 구멍(923e)에 압입하지 않고, 삽입부(936)와 주액 구멍(923e)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형태(헐겁게 끼워진 형상)로 한 경우라도, 삽입부(936)를 주액 구멍(923e)에 삽입할 때, 삽입부(936)의 둘레 방향의 일부가 주액 구멍(923e)에 접촉하는(부분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이 접촉 부분에 있어서, 삽입부(936)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고, 이에 수반하여 환상 압접부(937)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므로, 역시 이 경우에도, 환상 압접부(937)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밀폐형 전지에서는, 밀봉 부재에 의한 주액 구멍 등의 관통 구멍의 밀봉에 대해,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전지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밀봉 부재에 의한 밀봉에 대해,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기밀의 장기 신뢰성이 높은) 밀폐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신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극체와, 상기 관통 구멍을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외부로부터 덮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고착된 피복부와,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 중 상기 전지 케이스측에 위치하는 면인 피복부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삽입부와,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환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복부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전지 케이스 중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위치하는 환상의 구멍 주위부에 기밀하게 압접하여 이루어지는 환상 압접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환상 압접부 사이가 서로 이격된 형태,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 내측면으로부터 환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환상 압접부 사이에 개재되고, 이들과 일체로 된 개재부를 갖고, 상기 개재부에, 상기 삽입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상의 개재부 오목 홈을 갖는 형태,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환상 압접부가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 중,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는 구멍 내부보다도 상기 피복부측에 위치하는 기부에, 상기 기부의 직경 방향으로 잘록한 기부 오목 홈을 갖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이다.
이 밀폐형 전지에서는, 전지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밀봉 부재에 의한 밀봉에 대해,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압입되어, 상기 관통 구멍을 단단히 막아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한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전지 케이스 내는, 대기압보다도 감압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피복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스폿 용접부에 의해, 자신의 주연부가 상기 전지 케이스에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환상 압접부의 외부가,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부에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환상 압접부는, 자신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상기 환상 압접부에 의한 시일 성능을,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저하시키는 오목부를 갖는 밀폐형 전지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밀봉 부재에 근접한 위치에, 안전 밸브를 갖는 밀폐형 전지로 하면 좋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전극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정극판 및 부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해 서로 포갠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덮개 부재,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 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5의 상방에서 본,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덮개 부재의 주액 구멍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8의 상방에서 본, 케이스 덮개 부재의 주액 구멍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의 삽입부를 주액 구멍에 압입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16의 하방에서 본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의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 형태의 제2 변형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의 제3 변형 형태에 관한 것으로, 밀봉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해머 드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1 종래 형태에 관한 밀폐형 전지 중,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 종래 형태에 관한 밀폐형 전지 중,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제3 종래 형태에 관한 밀폐형 전지 중, 주액 구멍 및 밀봉 부재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밀폐형 전지)(100)[이하, 단순히 전지(100)라고도 함]를 도시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이 전지(100)를 구성하는 권회형의 전극체(120) 및 이것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에, 케이스 덮개 부재(113), 정극 단자(150) 및 부극 단자(160) 등의 상세를 도시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주액 구멍(관통 구멍)(113e) 및 밀봉 부재(170)의 근방의 형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상방을 전지(100)의 상측, 하방을 전지(100)의 하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전지(100)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이나, 해머 드릴 등의 전지 사용 기기에 탑재되는 각형 전지이다. 이 전지(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전지 케이스(110), 이 전지 케이스(110) 내에 수용된 권회형의 전극체(120), 전지 케이스(110)에 지지된 정극 단자(150) 및 부극 단자(1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전지 케이스(110) 내에는, 비수계의 전해액(117)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중 전지 케이스(110)는, 금속(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 케이스(110)는, 상측만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 부재(111)와, 이 케이스 본체 부재(111)의 개구(111h)를 폐색하는 형태로 용접된 케이스 덮개 부재(113)로 구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케이스 덮개 부재(113)는, 전지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 주면(113c)과, 전지 케이스(110)의 외부를 향하는 외측 주면(113d)을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는, 전지 케이스(110)의 내압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였을 때에 파단하는 안전 밸브(113j)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는, 전지 케이스(110)의 내외를 연통하는 후술하는 주액 구멍(관통 구멍)(113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액 구멍(113e)은, 전지 케이스(110) 내가 대기압보다도 감압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밀봉 부재(170)로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는, 각각 연장 단자 부재(151)와 볼트(153)에 의해 구성되는 정극 단자(150) 및 부극 단자(160)가,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 부재(155)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전지 케이스(110) 내에 있어서, 정극 단자(150)는 전극체(120)의 정극판(121)[그 정극 집전부(121m)]에 접속되고, 부극 단자(160)는 전극체(120)의 부극판(131)[그 부극 집전부(131m)]에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다음으로, 전극체(12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극체(120)는, 절연 필름을 상측만이 개방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한 절연 필름 포위체(115) 내에 수용되고,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110) 내에 수용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전극체(120)는, 띠 형상의 정극판(121)과 띠 형상의 부극판(131)을, 띠 형상의 세퍼레이터(141)를 통해 서로 포개어(도 3 참조), 축선(AX) 주위로 권회하고, 편평 형상으로 압축한 것이다(도 2 참조).
정극판(121)은, 심재로서, 띠 형상의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집전박(122)을 갖는다. 이 정극 집전박(122)의 양 주면 중, 폭 방향의 일부이며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 상에는, 각각 정극 활물질층(123, 123)이 길이 방향(도 3 중, 좌우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정극 활물질층(123, 123)은, 정극 활물질, 도전제 및 결착제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정극판(121) 중,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정극 집전박(122) 및 정극 활물질층(123, 123)이 존재하는 띠 형상의 부위가, 정극부(121w)이다. 이 정극부(121w)는, 전극체(120)를 구성한 상태에 있어서, 그 전체 영역이 세퍼레이터(141)를 통해 부극판(131)의 후술하는 부극부(131w)와 대향하고 있다(도 3 참조). 또한, 정극판(121)에 정극부(121w)를 설치한 것에 수반하여, 정극 집전박(122) 중,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도 3 중, 상방)는, 길이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고,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정극 활물질층(123)이 존재하지 않는 정극 집전부(121m)로 되어 있다. 이 정극 집전부(121m)의 폭 방향의 일부는, 세퍼레이터(141)로부터 축선(AX) 방향의 일측(SA)에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어 있고, 전술한 정극 단자(150)와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부극판(131)은, 심재로서, 띠 형상의 구리박으로 이루어지는 부극 집전박(132)을 갖는다. 이 부극 집전박(132)의 양 주면 중, 폭 방향의 일부이며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 상에는, 각각 부극 활물질층(133, 133)이 길이 방향(도 3 중, 좌우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극 활물질층(133, 133)은, 부극 활물질, 결착제 및 증점제로 형성되어 있다.
부극판(131) 중,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부극 집전박(132) 및 부극 활물질층(133, 133)이 존재하는 띠 형상의 부위가, 부극부(131w)이다. 이 부극부(131w)는, 전극체(120)를 구성한 상태에 있어서, 그 전체 영역이 세퍼레이터(141)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부극판(131)에 부극부(131w)를 설치한 것에 수반하여, 부극 집전박(132) 중,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도 3 중, 하방)는, 길이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고,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부극 활물질층(133)이 존재하지 않는 부극 집전부(131m)로 되어 있다. 이 부극 집전부(131m)의 폭 방향의 일부는, 세퍼레이터(141)로부터 축선(AX) 방향의 타측(SB)에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어 있고, 전술한 부극 단자(160)와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세퍼레이터(141)는,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막이며, 띠 형상을 이룬다.
다음으로, 주액 구멍(113e), 오목부(113h) 및 밀봉 부재(170)에 대해 설명한다(도 5∼도 9 참조). 주액 구멍(113e), 오목부(113h) 및 밀봉 부재(170)는, 안전 밸브(113j)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는, 주액 구멍(113e) 및 오목부(113h)와 안전 밸브(113j)가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 정극 단자(150) 및 부극 단자(160)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주액 구멍(113e) 및 이것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70)로부터 정극 단자(150) 또는 부극 단자(160)까지의 거리보다도, 주액 구멍(113e) 및 밀봉 부재(170)로부터 안전 밸브(113j)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위치에, 주액 구멍(113e) 및 밀봉 부재(170)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13h)(도 8 및 도 9 등을 참조)는,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내측 주면(113c)측(도 8 중, 하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고, 외측 주면(113d)(도 8 중, 상방)에 개방되는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이다. 이 오목부(113h)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 측면(113f2)과, 내측 주면(113c) 및 외측 주면(113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을 이루는 오목부 저면(113f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 저면(113f3)이, 주액 구멍(113e)의 주위에 위치하는 환상의 「구멍 주위부」에 상당한다.
주액 구멍(113e)(도 8 및 도 9 등을 참조)은, 전해액(117)을 전지 케이스(110) 내에 주입하기 위해, 내측 주면(113c)과 오목부 저면(113f3) 사이를 관통하는 형태로, 오목부 저면(113f3)의 중앙에 형성된 둥근 구멍이며, 전지 케이스(110)의 내외를 연통하고 있다. 이 주액 구멍(113e)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구멍 측면(113f1)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밀봉 부재(170)(도 7 참조)는, 피복 부재(피복부)(171)와 탄성 부재(179)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탄성 부재(179)는,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와 개재부(177)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 중에, 삽입부(173)와 개재부(177)의 경계 및 개재부(177)와 환상 압접부(175)의 경계를 각각 파선으로 나타낸다.
이 중 피복 부재(171)는, 전지 케이스(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 피복 부재(171)는, 전지 케이스(110)측[케이스 덮개 부재(113)측](도 5 및 도 7 중, 하방)에 위치하는 주면인 피복부 내측면(171c)과, 이것에 평행하고 케이스 덮개 부재(113)와는 반대측(도 5 및 도 7 중, 상방)에 위치하는 주면인 피복부 외측면(171d)을 갖고, 오목부(113h)보다도 직경이 큰 원판 형상을 이룬다.
이 피복 부재(171)는, 주액 구멍(113e)을 전지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덮는 형태로, 전지 케이스(110)에 고착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구체적으로는, 피복 부재(171)의 외주연을 따르는 원환상의 주연부(171m)가, 케이스 덮개 부재(113) 중 오목부(113h)의 주위를 둘러싸는 원환상의 오목부 주위부(113m)에, 둘레 방향의 4개소에서 등간격으로 스폿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4개의 스폿 용접부(171y)가 형성되고, 피복 부재(171)가 전지 케이스(110)[그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 고착되어 있다. 특히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 부재(171)와 전지 케이스(110)를 동일한 재질(알루미늄)로 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용접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17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와 개재부(177)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일체로 연결된 것이다. 이 탄성 부재(179)는, 고무상 탄성체,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로 이루어진다. 이 중 삽입부(173)는, 주액 구멍(113e)보다도 직경이 작은 정상면(173c)과, 이 정상면(173c)보다도 직경이 크고, 또한, 주액 구멍(113e)보다도 직경이 큰 저면(173d)과, 이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173f)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룬다. 이 삽입부(173)는, 그 저면(173d)이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의 중앙에 접합되어 있고, 피복부 내측면(171c)으로부터 연장되어, 주액 구멍(113e) 내에 삽입되어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173)의 측면(173f)이, 주액 구멍(113e)을 구성하는 구멍 측면(113f1)에 압접하는 형태로, 삽입부(173)가 주액 구멍(113e)에 압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삽입부(173)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 있고, 삽입부(173) 내에는, 도 5 중에 좌우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액 구멍(113e)은, 삽입부(173)로 단단히 막아져 있다.
또한, 환상 압접부(175)는, 그 단면이 개략 직사각 형상이며,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이룬다. 이 환상 압접부(175)의 외경은, 오목부(113h)의 직경[오목부 저면(113f3)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한편, 환상 압접부(175)의 내경은, 주액 구멍(113e)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환상 압접부(175)의 높이(두께)는, 도 7에 도시하는 압축 전의 상태에서, 오목부(113h)의 깊이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압축된 상태에서, 오목부(113h)의 깊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 환상 압접부(175)는,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에, 삽입부(173)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접합되어 있고, 피복부 내측면(171c)으로부터 환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환상 압접부(175)는, 피복 부재(171)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상 압접부(175) 내에는, 도 5 중에 상하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환상 압접부(175)는, 오목부(113h)의 오목부 저면(113f3)에 밀착되어 있고, 환상 압접부(175)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주액 구멍(113e)의 내측(전지 내부)과 외측(전지 외부) 사이가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액 구멍(113e)은, 삽입부(173)에 의해서도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으므로,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에 의해 2중으로 시일되어 있다.
또한, 개재부(177)는, 원환상을 이루고,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에 접합되어, 피복부 내측면(171c)으로부터 환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개재부(177)는,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개재부(177)에는, 삽입부(173)의 주위를 둘러싸는 원환상의 개재부 오목 홈(177v)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재부 오목 홈(177v)은, 피복 부재(171)측(도 5 및 도 7 중, 상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고, 피복 부재(171)와는 반대측[케이스 덮개 부재(113)측, 도 5 및 도 7 중, 하방]에 개방되고,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는 원환 U자 홈이다.
이 개재부(177)는, 삽입부(173)가 주액 구멍(113e)에 압입되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었을 때, 개재부(177) 중, 개재부 오목 홈(177v)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177p)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그러나 개재부 오목 홈(177v)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개재부(177) 중, 개재부 오목 홈(177v)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부(177q)까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어렵다. 이로 인해, 개재부(177)[그 외측부(177q)]에 연결되는 환상 압접부(175)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어렵다.
이 탄성 부재(179)에서는, 도 25와 대비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 환상 압접부(175) 내에는 직경 방향의 응력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173)는 주액 구멍(113e)에 압입되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 있지만,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 사이에는, 개재부 오목 홈(177v)을 갖는 개재부(177)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삽입부(173) 내에 발생한 직경 방향의 응력이, 환상 압접부(175)까지는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환상 압접부(17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공간(KC)이 형성되어 있다. 즉, 환상 압접부(175)의 표면(175c) 중, 오목부(113h)의 오목부 저면(113f3)에 압접하는 압접면(175c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175c2)과, 오목부(113h)의 오목부 측면(113f2) 사이에, 공간(K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상 압접부(175)는,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과 오목부(113h)의 오목부 저면(113f3) 사이에서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 것에 수반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고 있다.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오목부 측면(113f2)으로부터] 힘이 가해짐으로써, 환상 압접부(175)에 직경 방향의 응력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00)는, 자신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주액 구멍)(113e)을 갖는 전지 케이스(110)와, 전지 케이스(110) 내에 수용된 전극체(120)와, 관통 구멍(113e)을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170)를 구비한다. 이 중 밀봉 부재(170)는, 관통 구멍(113e)을 외부로부터 덮고, 전지 케이스(110)에 고착된 피복부(피복 부재)(171)를 갖는다. 또한, 밀봉 부재(170)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피복부(171) 중 전지 케이스(110)측에 위치하는 면인 피복부 내측면(171c)으로부터 연장되어 관통 구멍(113e) 내에 삽입된 삽입부(173)를 갖는다. 또한, 밀봉 부재(170)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피복부 내측면(171c)으로부터 삽입부(173)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환상으로 연장되고, 피복부(171)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전지 케이스(110) 중 관통 구멍(113e)의 주위에 위치하는 환상의 구멍 주위부(오목부 저면)(113f3)에 기밀하게 압접하여 이루어지는 환상 압접부(175)를 갖는다. 또한, 밀봉 부재(170)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피복부 내측면(171c)으로부터 환상으로 연장되고,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과 일체로 된 개재부(177)를 갖고, 이 개재부(177)에, 삽입부(173)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상의 개재부 오목 홈(177v)을 갖는다.
이 전지(100)에서는,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가, 개재부 오목 홈(177v)을 갖는 개재부(177)를 통해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주액 구멍(113e)에 삽입된 삽입부(173)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도, 환상 압접부(175)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어려우므로, 환상 압접부(175) 내에는, 직경 방향의 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상 압접부(175)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173)는, 관통 구멍(주액 구멍)(113e)에 압입되어, 관통 구멍(113e)을 단단히 막아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이 전지(100)에서는, 환상 압접부(175)에 의한 시일뿐만 아니라, 삽입부(173)에 의한 시일도 행해지고 있으므로, 밀봉 부재(170)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케이스(110) 내는, 대기압보다도 감압되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충방전)에 수반하여 전지 케이스(110) 내에 가스가 발생한 경우라도, 전지 케이스(110) 내의 내압이 조기에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100)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부(피복 부재)(171)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스폿 용접부(171y)에 의해, 자신의 주연부(171m)가 전지 케이스(110)에 용접되어 이루어진다. 이 전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상 압접부(175)에 의해 주액 구멍(113e)이 기밀 밀봉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피복 부재(171)를 전지 케이스(110)에 전체 둘레 용접까지 해서 이들의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할 필요는 없다. 또한, 피복 부재(171)를 전지 케이스(110)[그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 주위부(113m)]에 전체 둘레 용접하면, 공정수를 필요로 하여 고비용을 초래한다. 이에 반해, 이 전지(100)에서는, 피복 부재(171)를 전지 케이스(110)에 복수 개소에서 스폿 용접하면 충분하므로, 공정수가 적어, 전지(100)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케이스(110)는, 관통 구멍(주액 구멍)(113e) 및 밀봉 부재(170)에 근접한 위치에, 안전 밸브(113j)를 갖는다. 이로 인해, 안전 밸브(113j)로부터 방출된 가스나 전해액을 배출하는 배출로를 설계, 구성할 때, 주액 구멍(113e) 및 밀봉 부재(170)가 안전 밸브(113j)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주액 구멍(113e)으로부터 가스 등이 배출된 경우의 배출로도, 안전 밸브(113j)용의 배출로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설계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지(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별도 형성한 띠 형상의 정극판(121) 및 부극판(131)을, 띠 형상의 세퍼레이터(141)를 통해 서로 포개고(도 3 참조), 권심을 사용하여 축선(AX) 주위로 권회한다. 그 후, 이것을 편평 형상으로 압축하여 전극체(120)를 형성한다(도 2 참조).
또한, 안전 밸브(113j) 및 주액 구멍(113e) 등을 형성한 케이스 덮개 부재(113)와, 연장 단자 부재(151) 및 볼트(153)를 준비하고, 이들을 사출 성형용의 금형에 세트한다. 그리고 사출 성형에 의해 절연 부재(155)를 형성하여,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 정극 단자(150) 및 부극 단자(160)를 고정한다(도 4 참조).
다음으로, 정극 단자(150)와 전극체(120)의 정극 집전부(121m)를 접속(용접)한다. 또한, 부극 단자(160)와 전극체(120)의 부극 집전부(131m)를 접속(용접)한다. 그 후, 케이스 본체 부재(111) 및 절연 필름 포위체(115)를 준비하고, 케이스 본체 부재(111) 내에 절연 필름 포위체(115)를 통해 전극체(120)를 수용하는 동시에, 케이스 본체 부재(111)의 개구(111h)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로 막는다. 그리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케이스 본체 부재(111)와 케이스 덮개 부재(113)를 용접하여, 전지 케이스(110)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또한 별도, 피복 부재(171)와 탄성 부재(179)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170)(도 7 참조)를 형성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171)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에 세트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삽입부(173), 환상 압접부(175) 및 개재부(177)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179)를 성형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전지를, 진공 챔버 내에 넣어, 진공 챔버 내를 감압한다. 그리고 주액용 노즐을 주액 구멍(113e) 내에 삽입하여, 주액용 노즐로부터 전지 케이스(110) 내에 전해액(117)을 주액한다. 그 후, 주액 구멍(113e)의 주위[오목부(113h) 및 오목부 주위부(113m) 등]를 부직포로 닦아 청소한다.
다음으로, 감압하에서 제1 밀봉을 행한다. 즉, 이 밀봉 부재(170) 중 삽입부(173)를, 전지 케이스(110)[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외부로부터(상방으로부터) 주액 구멍(113e) 내에 압입한다. 이에 의해, 삽입부(173)와 주액 구멍(113e) 사이가 기밀하게 밀봉된다. 그때, 삽입부(173)는 위치 결정 가이드로서의 역할도 하므로, 주액 구멍(113e)에 대한 밀봉 부재(170)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그 후, 진공 챔버 내를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진공 챔버로부터 이 전지를 취출한다. 이에 의해, 전지 케이스(110) 내는 대기압보다도 감압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다음에 서술하는 제2 밀봉을, 전지 케이스(110) 내를 감압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대기압하에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기압하에서 제2 밀봉을 행한다. 우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170)의 피복 부재(171)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측에(하방에) 압박하여, 환상 압접부(175)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113h)의 오목부 저면(113f3)에 압접시키는 동시에, 피복 부재(171)의 주연부(171m)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 주위부(113m)에 접촉시킨다.
그 후, 피복 부재(171)의 주연부(171m)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 주위부(113m)에 용접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부재(170)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측에 압박한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에 의해, 피복 부재(171)의 주연부(171m)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 주위부(113m)에, 둘레 방향의 4개소에 등간격으로 스폿 용접한다. 이에 의해, 환상 압접부(175)와 오목부 저면(113f3) 사이가 밀착되므로, 환상 압접부(175)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주액 구멍(113e)의 내측(전지 내부)과 외측(전지 외부) 사이가 기밀하게 밀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액 구멍(113e)은, 삽입부(173)에 의해서도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으므로,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에 의해 2중으로 시일된다.
다음으로, 컨디셔닝 공정(초기 충방전 공정)에 있어서, 이 전지(100)의 충방전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전지(100)가 완성된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밀폐형 전지)(200)에서는, 밀봉 부재(270)의 형태(도 11 및 도 12 참조)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부재(170)의 형태와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의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부재(270)의 탄성 부재(279)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를 갖는다. 단, 이 탄성 부재(279)는,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가 서로 이격된 별체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재부(177)와 같은 개재부를 갖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 탄성 부재(279)에서는, 삽입부(173)를 주액 구멍(113e)에 삽입해도, 환상 압접부(175)에 직경 방향의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삽입부(173)가 주액 구멍(113e)으로의 압입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도,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삽입부(173) 내에 발생한 직경 방향의 응력이, 환상 압접부(175)까지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환상 압접부(17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간(K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오목부 측면(113f2)으로부터] 힘이 가해짐으로써, 환상 압접부(175)에 직경 방향의 응력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의 전지(200)는,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 사이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되어 있다.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175)는 서로 독립하고 있으므로, 삽입부(173)가 주액 구멍(113e)[구멍 측면(113f1)]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도, 환상 압접부(175)는 직경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환상 압접부(175) 내에는 직경 방향의 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환상 압접부(175)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그 외,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밀폐형 전지)(300)에서는, 밀봉 부재(370)의 형태(도 13 및 도 14 참조)가,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부재(170, 270)의 형태와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의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부재(37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피복 부재(171)를 갖지만, 탄성 부재(379)의 형태가 다르다. 이 밀봉 부재(370)의 탄성 부재(379)는, 삽입부(373)와 환상 압접부(375)로 이루어진다. 이들 삽입부(373)와 환상 압접부(375)는,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고, 양자의 사이에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재부(177)와 같은 개재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 14 중에, 삽입부(373)와 환상 압접부(375)의 경계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373)에 잘록한 형상의 기부 오목 홈(373v)을 갖는 점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 중 삽입부(37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작은 정상면(373c)과 직경이 큰 저면(373d)과 이들의 사이을 연결하는 측면(373f)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룬다. 이 삽입부(373)는,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주액 구멍(113e) 내에 삽입된다. 이 삽입부(373)는, 도 14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4 중, 상하 방향으로, 선단부(373s)와 접촉부(373t)와 기부(373k)의 3개의 부위로 나뉜다.
이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접촉부(373t)는, 삽입부(373)를 주액 구멍(113e)에 삽입(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입)하였을 때에, 주액 구멍(113e)[구멍 측면(113f1)]에 접촉(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접)하는 부위이다(도 13 참조). 또한, 선단부(373s)는, 접촉부(373t)보다도 전지 내부측(도 13 중, 하방)에 위치하는 원뿔대 형상의 부위이다. 또한, 기부(373k)는, 접촉부(373t)보다도 전지 외부측[피복 부재(171)측, 도 13 중, 상방]에 위치하는 원기둥 형상의 부위이다. 그리고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 기부(373k) 중 접촉부(373t)와의 경계 부분에,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U자 형상이며 원환상으로 잘록한 기부 오목 홈(373v)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압접부(375)는, 그 단면이 개략 직사각 형상이며,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이룬다. 이 환상 압접부(375)는, 삽입부(373)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삽입부(373)[그 기부(373k)]와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고,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에 접합되어 있다. 이 환상 압접부(375)는, 피복 부재(171)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상 압접부(375) 내는, 도 13 중에 상하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환상 압접부(375)는, 오목부(113h)의 오목부 저면(113f3)에 밀착되어 있고, 전지 케이스(110) 내를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379)에서도, 삽입부(373)[그 접촉부(373t)]가 주액 구멍(113e)을 구성하는 구멍 측면(113f1)에 압접하는 형태로, 삽입부(373)가 주액 구멍(113e)에 압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삽입부(373)[그 접촉부(373t)]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 있고, 삽입부(373) 내에는, 도 13 중에 좌우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액 구멍(113e)은, 삽입부(373)[그 접촉부(373t)]로 단단히 막아져 있다.
단,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접촉부(373t)보다도 피복 부재(171)측에 위치하는 기부(373k) 중, 접촉부(373t)와의 경계 부분에, 기부 오목 홈(373v)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접촉부(373t)가 주액 구멍(113e)[구멍 측면(113f1)]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도, 기부(373k) 중, 기부 오목 홈(373v)보다도 피복 부재(171)측(도 13 중, 상방)의 부위까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기 어렵다. 따라서, 기부(373k)에는, 직경 방향의 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 기부(373k)의 직경 방향 외측에 연결되는 환상 압접부(375)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어려우므로, 환상 압접부(375) 내에도 직경 방향의 응력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즉, 압입에 의해 접촉부(373t)에 발생한 직경 방향의 응력은, 환상 압접부(375)까지 전해지기 어렵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도, 환상 압접부(375)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간(KC)이 형성되어 있다. 즉, 환상 압접부(375)의 표면(375c) 중, 압접면(375c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375c2)과, 오목부(113h)의 오목부 측면(113f2) 사이에, 공간(K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오목부 측면(113f2)으로부터] 힘이 가해짐으로써, 환상 압접부(375)에 직경 방향의 응력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300)는, 탄성 부재(379)를 이루는 삽입부(373)와 환상 압접부(375)가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이루어지고, 삽입부(373) 중, 관통 구멍(주액 구멍)(113e)에 접촉하는 접촉부(373t)보다도 피복 부재(171)측에 위치하는 기부(373k)에, 기부(373k)의 직경 방향으로 잘록한 기부 오목 홈(373v)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주액 구멍(113e)에 삽입된 삽입부(373)[그 접촉부(373t)]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도, 환상 압접부(375)까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어려우므로, 환상 압접부(375) 내에도, 직경 방향의 응력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환상 압접부(375)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그 외,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리튬 이온 2차 전지(밀폐형 전지)(400)에서는, 밀봉 부재(470)의 형태(도 15∼도 17 참조)가, 제1∼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부재(170, 270, 370)의 형태와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의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밀봉 부재(470)는, 피복 부재(171) 외에, 삽입부(173), 환상 압접부(475) 및 개재부(177)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479)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피복 부재(171)와, 탄성 부재(479) 중 삽입부(173) 및 개재부(177)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단,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 부재(171)의 주연부(171m)를,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 주위부(113m)에, 둘레 방향의 4개소의 스폿 용접부(171y)에서 접합하였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반해,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이 중 3개소의 스폿 용접부(171y)만을 형성하고 있고, 도 5 및 도 6 중, 좌측에 도시하는 스폿 용접부(171y)를 형성하지 않는다(도 15 참조).
환상 압접부(475)는, 그 단면이 개략 직사각 형상이며,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을 이룬다. 이 환상 압접부(475)는, 피복 부재(171)의 피복부 내측면(171c)에, 삽입부(173)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접합되어 있고, 피복 부재(171)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상 압접부(475) 내는, 도 15 중에 상하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환상 압접부(475)는, 오목부(113h)의 오목부 저면(113f3)에 밀착되어 있고, 전지 케이스(110) 내를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475) 사이에는, 개재부 오목 홈(177v)을 갖는 개재부(177)가 개재하므로, 삽입부(173) 내에 발생하는 직경 방향의 응력은, 환상 압접부(475)까지 전해지기 어렵다.
또한, 이 환상 압접부(475)는, 그 둘레 방향의 일부[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안전 밸브(113j)에 가장 가까운 부위(도 15∼도 17 중, 좌측)]인 밀착 저하부(475g)에, 오목부(475w1)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오목부(475w1)는,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 있어서, 환상 압접부(475)의 표면(475c) 중, 오목부 저면(113f3)에 압접하는 압접면(475c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475c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475w1)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고, 직경 방향 외측에 개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475w1)를 형성함으로써,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는, 환상 압접부(475)의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시일 성능이 저하된다. 즉, 오목부(475w1)가 형성된 밀착 저하부(475g)에 있어서, 환상 압접부(475)의 압접면(475c1)이 케이스 덮개 부재(113)의 오목부 저면(113f3)에 압접하는 압력이,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서는, 밀착성이 저하되고,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시일 성능이 낮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400)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삽입부(173)와 환상 압접부(475)가, 개재부 오목 홈(177v)을 갖는 개재부(177)를 통해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주액 구멍(113e)에 삽입된 삽입부(173)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되어도, 환상 압접부(475)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어려우므로, 환상 압접부(475) 내에는, 직경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환상 압접부(475)에 의한 기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 전술한 오목부(475w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밀봉 부재(470)의 피복 부재(171)와 케이스 덮개 부재(113)를, 전체 둘레 용접이 아니라,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으므로, 환상 압접부(475)의 외부(직경 방향 외측)가, 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밀봉 부재(470)의 환상 압접부(475) 및 삽입부(173)가 경년 열화되어, 만일, 환상 압접부(475)에서의 시일을 충분히 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환상 압접부(475) 중에서도, 우선 시일 성능이 가장 낮게 된 밀착 저하부(475g)를 통해, 전지 케이스(110) 내에 발생한 가스나 전해액이, 환상 압접부(47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또한, 이 가스 등은, 피복 부재(171)와 오목부 주위부(113m) 사이를 통해, 도 15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가스 등은, 안전 밸브(113j)를 향하기 쉬우므로, 안전 밸브(113j)용으로 설치하는 배출로를 겸용시키기 쉬워진다. 그 외,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서 시일 성능을 저하시키는 오목부(475w1)를, 환상 압접부(475)의 표면(475c) 중 외측면(475c2)에 형성하였지만, 오목부의 형성 위치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475w2)를, 환상 압접부(475)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서 시일 성능을 저하시켜도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475w3)를, 환상 압접부(475)의 압접면(475c1)으로부터 피복 부재(171)측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서 시일 성능을 저하시켜도 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475w4)를, 환상 압접부(475) 중, 외측면(475c2)과 압접면(475c1)의 경계에 형성함으로써, 환상 압접부(475)의 밀착 저하부(475g)에서 시일 성능을 저하시켜도 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오목부(475w2)를 형성한 경우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오목부(475w1)를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착 저하부(475g)에 있어서, 압접면(475c1)이 오목부 저면(113f3)에 압접하는 압력이, 환상 압접부(475)의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작아진다. 이로 인해, 이 밀착 저하부(475g)에서 시일 성능이 저하된다. 한편, 도 19 또는 도 20에 도시하는 오목부(475w3, 475w4)를 형성한 경우에는, 밀착 저하부(475g)에 있어서, 오목부 저면(113f3)에 압접하는 압접면(475c1)의 면적(압접 면적)이, 환상 압접부(475)의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작아진다. 이로 인해, 이 밀착 저하부(475g)에서 시일 성능이 저하된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차량)(700)[이하, 단순히 자동차(700)라고도 함]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00)를 탑재하고, 이 전지(100)에 축적한 전기 에너지를, 구동원의 구동 에너지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이다(도 21 참조).
이 자동차(700)는, 전지(100)를 복수 조합한 조전지(710)를 탑재하고, 엔진(740), 프론트 모터(720) 및 리어 모터(730)를 병용하여 구동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자동차(700)는, 그 차체(790)에, 엔진(740)과, 프론트 모터(720) 및 리어 모터(730)와, 조전지(710)[전지(100)]와, 케이블(750)과, 인버터(760)를 탑재한다. 그리고 이 자동차(700)는, 조전지(710)[전지(100)]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프론트 모터(720) 및 리어 모터(730)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100)는, 장기간에 걸쳐 밀봉 부재(170)로 주액 구멍(113e)을 기밀하게 밀봉할 수 있으므로, 이 자동차(700)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00) 대신에, 제2∼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200, 300, 400)를 탑재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이어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6 실시 형태의 해머 드릴(80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00)를 탑재한 전지 사용 기기이다(도 22 참조). 이 해머 드릴(800)은, 본체(820)의 저부(821)에, 전지(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810)이 수용되어 있고, 이 배터리 팩(810)을, 드릴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100)는, 장기간에 걸쳐 밀봉 부재(170)로 주액 구멍(113e)을 기밀하게 밀봉할 수 있으므로, 이 해머 드릴(800)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00) 대신에, 제2∼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200, 300, 400)를 탑재해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제1∼제6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케이스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으로서, 전해액(117)을 주입하기 위한 주액 구멍(113e)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구멍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지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기 구멍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을, 전지 케이스(110) 중 케이스 덮개 부재(113)에 형성하였지만, 관통 구멍의 형성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구멍은,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 부재(111)의 측면이나 저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관통 구멍」의 형상을 둥근 구멍으로 하였지만, 관통 구멍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구멍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 평면에서 볼 때 긴 원 형상,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 평면에서 볼 때 다각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로서, 각각 띠 형상을 이루는 정극판(121) 및 부극판(131)을 세퍼레이터(141)를 통해 서로 포개어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권회형의 전극체(120)를 예시하였지만, 전극체(120)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체를, 각각 소정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 등)을 이루는 정극판 및 부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해 교대로 복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부」로서, 전지 케이스(110)와 동일한 재질(알루미늄)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171)를 예시하였지만, 피복부의 재질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폿 용접에 의해, 피복 부재(171)를 전지 케이스(110)에 고착시켰지만, 고착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해, 피복 부재(171)를 전지 케이스(110)에 고착시켜도 된다. 또한, 납땜재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피복 부재(171)를 전지 케이스(110)에 고착시켜도 된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 부재의 「삽입부」로서, 원뿔대 형상의 삽입부(173, 373)를 예시하였지만, 삽입부의 형상이나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로서, 주액 구멍(113e)에 압입되는 형태의 삽입부(173, 373)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삽입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삽입부와 주액 구멍이 압접하는 일 없이 서로 접촉하는 형태나, 삽입부와 주액 구멍이 간극을 통해 근접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제1∼제4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 「환상 압접부」 및 「개재부」로서, EPDM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173, 373), 환상 압접부(175, 375, 475) 및 개재부(177)를 예시하였지만, 고무 탄성체의 재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니트릴고무(NBR), 폴리프로필렌(PP), 퍼플루오로알콕시불소수지(PFA)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개재부 오목 홈」으로서, U자 홈으로 이루어지는 개재부 오목 홈(177v)을 예시하였지만, 개재부 오목 홈의 형상이나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 오목 홈」으로서, U자 홈으로 이루어지는 기부 오목 홈(373v)을 예시하였지만, 기부 오목 홈의 형상이나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100)를 탑재하는 차량으로서, 하이브리드 자동차(700)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하이브리드 철도 차량, 포크리프트, 전기 휠체어,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100)를 탑재하는 전지 사용 기기로서, 해머 드릴(800)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를 탑재하는 전지 사용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전지 구동의 전동 공구, 무정전 전원 장치 등, 전지로 구동되는 각종 가전 제품, 오피스 기기, 산업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100, 200, 300, 400 : 리튬 이온 2차 전지(밀폐형 전지)
110 : 전지 케이스
111 : 케이스 본체 부재
113 : 케이스 덮개 부재
113e : 주액 구멍(관통 구멍)
113h : 오목부
113j : 안전 밸브
113m : 오목부 주위부
120 : 전극체
150 : 정극 단자
160 : 부극 단자
170, 270, 370, 470 : 밀봉 부재
171 : 피복 부재(피복부)
171c : 피복부 내측면
171d : 피복부 외측면
171m : (피복 부재의)주연부
171y : 스폿 용접부
173, 373 : 삽입부
373s : 선단부
373t : 접촉부
373k : 기부
373v : 기부 오목 홈
175, 375, 475 : 환상 압접부
175c, 375c, 475c : (환상 압접부의)표면
175c1, 375c1, 475c1 : (표면 중의)압접면
175c2, 375c2, 475c2 : (표면 중의)외측면
475g : 밀착 저하부(환상 압접부의 둘레 방향 일부)
475w1, 475w2, 475w3, 475w4 : 오목부
177 : 개재부
177v : 개재부 오목 홈
179, 279, 379, 479 : 탄성 부재
700 : 하이브리드 자동차(차량)
710 : 조전지
800 : 해머 드릴(전지 사용 기기)
810 : 배터리 팩

Claims (6)

  1. 자신의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극체와,
    상기 관통 구멍을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밀폐형 전지이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외부로부터 덮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고착된 피복부와,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 중 상기 전지 케이스측에 위치하는 면인 피복부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삽입부와,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환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복부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상기 전지 케이스 중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위치하는 환상의 구멍 주위부에 기밀하게 압접하여 이루어지는 환상 압접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환상 압접부 사이가 서로 이격된 형태,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 내측면으로부터 환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환상 압접부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과 일체로 된 개재부를 갖고, 상기 개재부에, 상기 삽입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상의 개재부 오목 홈을 갖는 형태,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환상 압접부가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 중, 상기 관통 구멍에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보다도 상기 피복부측에 위치하는 기부에, 상기 기부의 직경 방향으로 잘록한 기부 오목 홈을 갖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압입되어, 상기 관통 구멍을 단단히 막아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 내는, 대기압보다도 감압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스폿 용접부에 의해, 자신의 주연부가 상기 전지 케이스에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압접부의 외부가,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부에 연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환상 압접부는,
    자신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상기 환상 압접부에 의한 시일 성능을, 둘레 방향의 다른 부위보다도 저하시키는 오목부를 갖는, 밀폐형 전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는,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밀봉 부재에 근접한 위치에, 안전 밸브를 갖는, 밀폐형 전지.
KR1020137031050A 2011-05-25 2012-04-17 밀폐형 전지 KR101525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7343 2011-05-25
JP2011117343A JP5814000B2 (ja) 2011-05-25 2011-05-25 密閉型電池
PCT/JP2012/060331 WO2012160907A1 (ja) 2011-05-25 2012-04-17 密閉型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82A KR20140004782A (ko) 2014-01-13
KR101525345B1 true KR101525345B1 (ko) 2015-06-02

Family

ID=4721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50A KR101525345B1 (ko) 2011-05-25 2012-04-17 밀폐형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14200B2 (ko)
JP (1) JP5814000B2 (ko)
KR (1) KR101525345B1 (ko)
CN (1) CN103620827B (ko)
WO (1) WO2012160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000B2 (ja) 2011-05-25 2015-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CN203013829U (zh) * 2012-09-27 2013-06-19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封口阀及锂离子电池
JP5969356B2 (ja) * 2012-11-05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密閉型電池の封止部材および密閉型電池
CN103872380B (zh) * 2012-12-10 2017-06-09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 卫星用锂离子电池的注液孔封口方法
JP6094460B2 (ja) * 2013-11-19 2017-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の製造方法
KR101498853B1 (ko) * 2014-02-18 2015-03-05 세방전지(주) 배터리의 밸브 밀폐구조
JP6181593B2 (ja) * 2014-04-16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CN105364327B (zh) * 2014-08-25 2019-03-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锂离子电池螺纹极柱注液孔的焊接方法
US10396343B2 (en) * 2015-05-05 2019-08-27 Cps Technology Holdings Llc Sealing patch for electrolyte fill hole
CN106549122B (zh) * 2015-09-18 2020-01-03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防水电池收容结构
DE112018003611T5 (de) * 2017-07-14 2020-05-2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iespeicher
CN110061157B (zh) * 2019-05-24 2022-09-13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顶盖组件及包含其的二次电池
EP4099492B1 (en) * 2020-07-10 2024-04-03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case, battery cell, batter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c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689A (ja) * 2003-12-24 2005-07-14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
KR20080072132A (ko) * 2007-02-01 2008-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0198941A (ja) * 2009-02-26 2010-09-09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用液口栓
KR20110043413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과,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캡 플레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밀봉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1621B2 (ja) 1999-03-17 2008-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式電池、密閉式電池用封止栓及び注液孔封止方法
JP2001313022A (ja) 2000-04-28 2001-11-0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4119329A (ja) 2002-09-30 2004-04-15 Sanyo Electric Co Ltd 二次電池
WO2005045983A1 (ja) * 2003-11-05 2005-05-19 Gs Yuasa Corporation 電池
JP2007018915A (ja) 2005-07-08 2007-01-25 Nec Tokin Corp 密閉型電池
JP2008041548A (ja) * 2006-08-09 2008-02-21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9087659A (ja) 2007-09-28 2009-04-23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
JP2010157414A (ja) * 2008-12-26 2010-07-15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2011210691A (ja) * 2010-03-30 2011-10-20 Toshiba Corp 密閉形電池
CN202042559U (zh) 2011-03-30 2011-11-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
JP5814000B2 (ja) 2011-05-25 2015-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689A (ja) * 2003-12-24 2005-07-14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
KR20080072132A (ko) * 2007-02-01 2008-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0198941A (ja) * 2009-02-26 2010-09-09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用液口栓
KR20110043413A (ko) * 2009-10-19 2011-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과,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캡 플레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밀봉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14000B2 (ja) 2015-11-17
US9614200B2 (en) 2017-04-04
JP2012248336A (ja) 2012-12-13
US20140322565A1 (en) 2014-10-30
WO2012160907A1 (ja) 2012-11-29
CN103620827B (zh) 2016-07-06
CN103620827A (zh) 2014-03-05
KR20140004782A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345B1 (ko) 밀폐형 전지
JP5969356B2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密閉型電池の封止部材および密閉型電池
JP5083326B2 (ja) 電池,その電池を搭載した車両および機器
JP4493623B2 (ja) 二次電池
JP4686399B2 (ja) 二次電池
JP4596289B2 (ja) 密閉型電池
JP5561848B2 (ja) 電池、車両及び電池使用機器
JP2012038529A (ja) 電池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電気機器
CN104300171A (zh) 可再充电电池
KR101927390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811539B2 (ja) 電池、車両及び電池使用機器
JP5754280B2 (ja)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6891B1 (ko) 댐핑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5510051B2 (ja) 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KR101511302B1 (ko) 이차 전지
JP2013182722A (ja)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5742610B2 (ja)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5724696B2 (ja) 電池の製造方法
KR101563680B1 (ko) 이차 전지
KR102314084B1 (ko) 이차 전지
JP5742644B2 (ja) 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