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204B1 -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204B1
KR101525204B1 KR1020140007109A KR20140007109A KR101525204B1 KR 101525204 B1 KR101525204 B1 KR 101525204B1 KR 1020140007109 A KR1020140007109 A KR 1020140007109A KR 20140007109 A KR20140007109 A KR 20140007109A KR 101525204 B1 KR101525204 B1 KR 10152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information
unit
vehic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홍
오영달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alcohol, e.g. ethanol in bre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측정부, 운전자를 인증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수집부 그리고 상기 알코올 측정부, 인식부 및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DRUNK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에 입력되는 운전자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교통사고 중 음주운전에 따른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 중 약 37%를 차지함에 따라,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음주운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음주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알코올 인터락 장치)가 개발 되고 있다.
상기 알코올 인터락 장치는 운전자의 호흡에 알코올 성분이 검출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관련하여, 북미나 EU,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교통사고 Zero를 목표로 음주운전 사고방지와 관련하여 알코올 인터락 장치를 개발하고 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규제하여 보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 운전자의 호흡 부위에 음주측정단을 설치하여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방지하는 음주운전방지 시동제어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 운전자의 안구 상태, 운전자 행동을 이용해서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83943호(2003년 11월 1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70847호(2009년 7월 1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개시된 바와 같은 음주운전 방지장치를 차량에 적용하더라도, 동승자나 행인에 의한 음주 측정 후 차량을 운전하는 등, 운전자의 데이터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악용 사례를 예시한 테이블이다.
악용사례 예시
동승자에 의한 대리 측정 인터락 장치 미장착차량 이용
행인에 의한 대리 측정 공기 흡입구에 중간매개체 이용
환경 요소 (물, 바람, 온도) 복수차량의 경우
천식환자, 가글 본인 명의 차량 미소유의 경우
음주 직후 바로 운전 타인의 음주측정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주행 중의 음주행위 하드웨어의 불법개조
주행 전 시동 후 음주행위 하드웨어의 오작동
차량손상 후 운전 공기 흡입기구를 이용한 측정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다양한 방식의 위조 또는 변조를 통해 악용하는 사례로 인해 음주운전을 완전하게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운전하지 못하도록 음주 여부에 기초해서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인증 정보를 활용해서 운전자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측정부, 운전자를 인증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수집부 그리고 상기 알코올 측정부, 인식부 및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식부는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 및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상기 운전자의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운전자별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는 차량 도어에 설치되고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모듈 및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용해서 착석 및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도어 개폐 정보와 상기 무게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착석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및 지문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비교해서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알코올 측정부에서 측정된 알콜 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를 비교하여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주 상태 판단부 및 운전자의 음주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시동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나의 모듈로 제조되고, 상기 모듈에는 탈거 방지볼트 또는 봉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a) 운전자의 인증 정보를 인식해서 운전자를 인증하는 단계, (b)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서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와 (b)단계를 수행한 후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해서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의 인증 정보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 및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도어 개폐 정보와 상기 무게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착석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e)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재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차량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반복적으로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와 지문인식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인증 이전 또는 이후에 차량 도어의 개폐 정보, 운전자의 착석 및 이동 정보를 이용해서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음주측정 시 운전자의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이용해서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된 음주운전 방지장치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고, 체결 후 머리부분을 파단한 탈거 방지볼트 또는 봉인을 이용해서 운전자가 임의로 탈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동승자나 행인과 같은 대리인을 이용한 위조 및 변조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음주운전 시도를 무력화하고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측정부(20), 운전자를 인증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30),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수집부(40) 그리고 알코올 측정부(20), 인식부(30) 및 상태 정보 수집부(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20)는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운전자마다 알코올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이 상이함에 따라, 운전자별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알코올 측정부(20)는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날숨을 흡입하는 흡입모듈(21) 및 흡입모듈(21)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센서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30)는 실제 차량의 운전을 위해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알코올 측정부(20)를 통해 음주 측정에 응하는지 여부를 검증해서 운전자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인식부(30)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31) 및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는 카메라 모듈(31)을 이용해서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 및 지문 인식기(32)에서 인식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정보는 카메라 모듈(31)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운전자의 음주 측정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수집부(40)는 차량 도어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모듈(41) 및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용해서 착석 및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는 도어 개폐 감지모듈(41)에서 감지된 도어 개폐 정보와 무게 감지모듈(42)에서 감지된 착석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인식부(30)에서 인식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및 지문 정보와 상태 정보 수집부(40)에서 수집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저장부(60)에 저장된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비교해서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부(51) 및 알코올 측정부(20)에서 측정된 알콜 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를 비교하여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주 상태 판단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50)는 운전자의 음주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시동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53)는 음주 상태 판단부(52)에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로 판단되면, 이그니션 키 또는 스마트 버튼이 스타트 조작되더라도 차량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시동장치에 시동 방지신호를 발생해서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신호 발생부(53)는 운전자가 비음주 상태로 판단되면, 시동 가능 신호를 발생해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10)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된 음주운전 방지장치를 차량 내부, 예컨대 센터페시아에 설치하고, 체결 후 머리부분을 파단한 탈거 방지볼트 또는 봉인을 이용해서 운전자가 임의로 탈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의 S10단계에서 음주운전 방지장치(10)의 인식부(30)는 운전자의 인증 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인식부(30)의 카메라 모듈(31)은 운전자를 촬영해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제어부(50)로 전달하고, 지문인식 모듈(32)은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해서 제어부(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50)의 인증부(51)는 인식부(30)에서 인식된 운전자의 인증 정보와 저장부(6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해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여기서, 저장부(60)는 운전자의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와 함께 운전자별 음주 측정시 흡입위치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한 상태이다.
S12단계의 판단결과 인식된 인증 정보와 저장된 인증 정보가 불일치하면, 제어부(50)는 S10단계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12단계의 판단결과 인식된 인증 정보와 저장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상태 정보 수집부(40)는 운전자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14).
이때, 상태 정보 수집부(40)의 도어 개폐 감지모듈(41)은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운전석 시트에 설치된 무게 감지모듈(42)은 운전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착석 및 이동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한다.
그러면, S16단계에서 제어부(50)는 상태 정보 수집부(40)에서 수집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 즉 차량 도어의 개폐 정보 및 운전자의 착석 및 이동 정보와 저장부(6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6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이동하는지 여부를 수집한 운전자의 상태정보와 저장된 상태 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제어부(50)는 다시 S10단계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16단계의 판단결과 수집된 운전자의 상태정보와 저장된 상태 정보가 일치하면, 알코올 측정부(20)의 흡입모듈(21)은 운전자의 날숨을 흡입하고, 알코올 센서모듈(22)은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다(S18).
제어부(50)의 음주 상태 측정부(52)는 알코올 측정부(20)에서 측정된 알코올 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농도값을 비교해서 운전자가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이때,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음주 측정시 카메라 모듈(31)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된 운전자별 음주 측정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와 비교해서 운전자를 재인증할 수도 있다.
S20단계의 판단결과 운전자가 음주 상태이면, 제어부(50)의 신호 발생부(53)는 차량의 시동을 방지하도록 시동 방지신호를 발생해서 시동장치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상태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위조 및 변조 가능성을 제거한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반면, S20단계의 판단결과 운전자가 비 음주 상태이면, 신호 발생부(53)는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 가능신호를 발생해서 시동장치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 음주 상태의 운전자인 경우, 차량 시동 및 운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알코올 측정부(20)는 차량의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이전에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차량 주행 도중에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인증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음주운전 방지장치 20: 알코올 측정부
21: 흡입모듈 22: 알코올 센서모듈
30: 인식부 31: 카메라 모듈
32: 지문 인식기 40: 상태 정보 수집부
41: 도어 개폐 감지모듈 42: 무게 감지모듈
50: 제어부 51: 인증부
52: 음주 상태 판단부 53: 신호 발생부
60: 저장부

Claims (10)

  1.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측정부,
    운전자를 인증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수집부,
    상기 운전자의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운전자별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알코올 측정부, 인식부 및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 및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는
    차량 도어에 설치되고 차량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모듈 및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고 운전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이용해서 착석 및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도어 개폐 정보와 상기 무게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착석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및 지문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비교해서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알코올 측정부에서 측정된 알콜 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를 비교하여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주 상태 판단부 및
    운전자의 음주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시동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나의 모듈로 제조되고,
    상기 모듈에는 탈거 방지볼트 또는 봉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7. (a) 운전자의 인증 정보를 인식해서 운전자를 인증하는 단계,
    (b)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서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와 (b)단계를 수행한 후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해서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인증 정보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 및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시 상기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는 도어 개폐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도어 개폐 정보와 무게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착석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차량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반복적으로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KR1020140007109A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10152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09A KR101525204B1 (ko)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09A KR101525204B1 (ko)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204B1 true KR101525204B1 (ko) 2015-06-10

Family

ID=5350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09A KR101525204B1 (ko)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20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53A1 (ko) * 2015-10-06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101745329B1 (ko) * 2015-12-24 2017-06-09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홍채인식 기반 알코올 인터락 시스템
KR20180077891A (ko) * 2016-12-29 2018-07-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지능형 위해 방지방법
KR101998612B1 (ko) 2018-01-19 2019-07-11 (주)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02108681B1 (ko) 2019-07-01 2020-05-08 (주)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02144635B1 (ko) 2019-04-04 2020-08-12 서민호 음주운전 방지장치
KR102249312B1 (ko) * 2021-01-21 2021-05-10 주식회사 트루아이디 음주측정 기반의 차량 시동 제어시스템
KR20210091452A (ko) 2020-01-14 2021-07-2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 제어 방법 및 음주운전 방지 제어 시스템
KR102290066B1 (ko) 2020-04-24 2021-08-18 (주)센텍코리아 루프형 샘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주측정기
WO2021173001A1 (en) * 2020-02-26 2021-09-02 Effera As Apparatus for verifying operators for operating machines
CN114347787A (zh) * 2022-01-20 2022-04-15 驭浪安全科技(海南)有限公司 一种预防酒后驾车的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900A (ja) * 2006-04-17 2007-11-01 Toyota Motor Corp 酒気帯び運転防止装置
JP2008310454A (ja) * 2007-06-13 2008-12-25 Toyota Industries Corp 不適格者操縦抑制システム及び不適格者操縦抑制方法
JP2009255844A (ja) * 2008-04-18 2009-11-05 Ngk Spark Plug Co Ltd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09255610A (ja) * 2008-04-11 2009-11-05 Denso Corp 飲酒運転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900A (ja) * 2006-04-17 2007-11-01 Toyota Motor Corp 酒気帯び運転防止装置
JP2008310454A (ja) * 2007-06-13 2008-12-25 Toyota Industries Corp 不適格者操縦抑制システム及び不適格者操縦抑制方法
JP2009255610A (ja) * 2008-04-11 2009-11-05 Denso Corp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09255844A (ja) * 2008-04-18 2009-11-05 Ngk Spark Plug Co Ltd 飲酒運転防止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508B1 (ko) * 2015-10-06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US10435027B2 (en) 2015-10-0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Driver assistance apparatus
WO2017061653A1 (ko) * 2015-10-06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101745329B1 (ko) * 2015-12-24 2017-06-09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홍채인식 기반 알코올 인터락 시스템
KR20180077891A (ko) * 2016-12-29 2018-07-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지능형 위해 방지방법
KR101998612B1 (ko) 2018-01-19 2019-07-11 (주)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02144635B1 (ko) 2019-04-04 2020-08-12 서민호 음주운전 방지장치
KR102108681B1 (ko) 2019-07-01 2020-05-08 (주)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20210091452A (ko) 2020-01-14 2021-07-2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 제어 방법 및 음주운전 방지 제어 시스템
WO2021173001A1 (en) * 2020-02-26 2021-09-02 Effera As Apparatus for verifying operators for operating machines
KR102290066B1 (ko) 2020-04-24 2021-08-18 (주)센텍코리아 루프형 샘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주측정기
WO2021215711A1 (ko) 2020-04-24 2021-10-28 주식회사 센텍코리아 루프형 샘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주측정기
KR102249312B1 (ko) * 2021-01-21 2021-05-10 주식회사 트루아이디 음주측정 기반의 차량 시동 제어시스템
CN114347787A (zh) * 2022-01-20 2022-04-15 驭浪安全科技(海南)有限公司 一种预防酒后驾车的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204B1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JP5348457B2 (ja) 運転者監視装置
JP4347345B2 (ja) アルコール検査装置及びアルコール検査方法
KR102088590B1 (ko) 음주운전 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안전운전 시스템
EP1705085A1 (en)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vehicle driver
CN107554483A (zh) 一种基于人脸表情动作识别的车辆防盗系统
EP1700761A1 (en)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vehicle driver
JP6148064B2 (ja) 顔認証システム
KR101448592B1 (ko) 차량 안전 스마트키 시스템
WO2013157466A1 (ja) 喫煙検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64069A1 (en) System for preventing operation by impaired op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JP4006715B1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08291710A (ja) 始動装置
JP2008075424A (ja) 指紋錠システム
US20200124589A1 (en) Alcohol Testing Machine With Lock Controller
CN104149620A (zh)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汽车安全系统及其使用方法
JP2009255844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220083944A (ko)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시동제어와 얼굴인식 시스템
JP2007070899A (ja) 保管庫システムおよび保管方法
CN111591135A (zh) 预防酒驾的方法和装置
JP2003301639A (ja) 車両用使用者認証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方法
CN108790818A (zh) 一种基于t-box的安全驾驶检测方法
JP2009012733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03256813A (ja) 操作者監視装置
CN107491759B (zh) 一种混合模式登记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