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681B1 - 음주운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681B1
KR102108681B1 KR1020190078659A KR20190078659A KR102108681B1 KR 102108681 B1 KR102108681 B1 KR 102108681B1 KR 1020190078659 A KR1020190078659 A KR 1020190078659A KR 20190078659 A KR20190078659 A KR 20190078659A KR 102108681 B1 KR102108681 B1 KR 10210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ga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lcoho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준
정종진
김용
이준노
Original Assignee
(주)센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센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7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681B1/ko
Priority to PCT/KR2020/008051 priority patent/WO20210026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호기 가스와 차량의 내부의 공기가 혼합된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가스 유입관 및 유입된 시료가스가 배출되는 시료가스 유출관을 포함하며, 시료가스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시료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시료가스 유출관과 연결되며, 가동시에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내부로 시료가스를 유입시키는 흡입 펌프와; 상기 흡입 펌프의 출구와 연결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흐르는 시료가스의 알코올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알코올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알코올센서의 전기신호를 기준으로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는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운전석의 핸들이나 선바이저에 설치된 음주운전 방지 장치를 향해서 호기 가스를 불면 3초 정도의 짧은 시간안에 음주 여부가 바로 확인된다.

Description

음주운전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주운전은 운전자 자신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치명적인 피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법률로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량에는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아무런 장치가 없기 때문에, 음주 상태의 운전자라도 자유롭게 운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운전자의 호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알코올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10-2017-0040890에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알코올 농도를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알코올 농도를 기준으로 음주운전 인증을 수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시동 전에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1차 음주운전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알코올 농도에 따라 2차 음주운전 인증을 추가 수행하는 차량 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10-2017-0040890의 장치는 주행 중의 추가인증을 통해서 음주하지 않은 지인의 대리 인증이나, 차량의 주행 도중 운전자의 교체 등을 대비할 수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25204에는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측정부, 운전자를 인증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수집부, 상기 운전자의 인증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운전자별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알코올 측정부, 인식부 및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해서 운전자를 인증하고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 및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운전자의 음주 측정 시 흡입 위치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25204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역시, 동승자나 행인에 의한 대리 인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6-0096251에는 차량의 실내 공기의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운전자가 음주의심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제1 음주경고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음주경고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음주경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심장박동수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운전자가 음주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제2 음주경고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음주경고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706040에는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키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706040에 개시된 차량용 키에는 제어기, 삽입 방지수단, 알코올 센서 및 이산화탄소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키의 제어기는 이산화탄소 센서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사용자의 호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검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숨이 내뿜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알코올 센서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사용자의 호기 중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해서, 이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해본 결과 알코올 농도가 기준값보다 높으면, 삽입 방지 수단이 돌출되어 차량용 키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열쇠구멍에 끼워지지 못하도록 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40890 한국등록특허 10-1525204 한국공개특허 10-2016-0096251 한국등록특허 10-0706040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주운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운전자의 호기 가스와 차량의 내부의 공기가 혼합된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가스 유입관 및 유입된 시료가스가 배출되는 시료가스 유출관을 포함하며, 시료가스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시료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시료가스 유출관과 연결되며, 가동시에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내부로 시료가스를 유입시키는 흡입 펌프와; 상기 흡입 펌프의 출구와 연결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흐르는 시료가스의 알코올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알코올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알코올센서의 전기신호를 기준으로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현재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 값과 미리 정해진 X초 이전의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 값을 비교하여 획득된 X초 동안의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을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과 비교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알코올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신호를 기준으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를 미리 정해진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과 비교하는 알코올 농도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가 미리 정해진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알코올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가 기준 값(Ra)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와,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를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계산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혈중 알코올 농도(BAC)가 기준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는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운전석의 핸들이나 선바이저에 설치된 음주운전 방지 장치를 향해서 호기 가스를 불면 3초 정도의 짧은 시간안에 음주 여부가 바로 확인된다.
또한,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호기 가스를 약하게 부는 경우에는 시동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여러 명이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알코올센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알코올센서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운전석의 썬바이저나 핸들 등 운전자가 호기 가스를 불어넣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이산화탄소 센서(100), 알코올센서(200) 및 제어기(250, 도 2에는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센서(100)는 운전자의 호기 가스와 차량 내부의 공기가 혼합된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기(2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알코올센서(200)는 운전자의 호기 가스와 차량의 내부의 공기가 혼합된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기(2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기(250)는 이들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흡입 펌프(150), 이산화탄소 센서(100)와 흡입 펌프(150)의 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120), 흡입 펌프(150)의 출구와 알코올센서(200)를 연결하는 배기관(170)을 포함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센서(100)와 흡입 펌프(150)는 연결관(120)을 통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 펌프(150)가 가동되면,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내부로 시료가스가 유입된다. 시료가스는 차량의 내부의 공기에 의해서 희석된 운전자의 호기 가스이다.
흡입 펌프(150)로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 펌프는 다이아프램의 운동에 의해서 유체를 흡입 토출하는 용적형 펌프의 일종이다. 용적형 펌프는 정량특성이 우수하고, 출구 측 압력 변화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흡입 펌프(150)의 출구에는 배기관(17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배기관(170)의 타단에는 반도체식 알코올센서(200)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류 측과 하류 측은 흡입 펌프(150)가 작동할 때 시료가스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이산화탄소 센서는 적외선 방식의 가스 센서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산화탄소 센서(100)는 광도파로(10), 적외선 광원(20), 광센서(30), 밴드패스 필터(40), 하류 측 투명층(50), 상류 측 투명층(55), 하류 측 광가이드(60), 상류 측 광가이드(65)를 포함한다.
적외선 광원(20)에서 조사된 적외선은 광도파로(10)의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여, 광센서(30)에 도달한다. 이때, 광센서(30)에 도달하는 적외선 중에서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파장의 빛의 강도는 광도파로(10)의 내부에 흐르는 시료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서 변한다. 이산화탄소 센서(100)는 이러한 특정 파장의 빛의 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날숨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계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파로(10)는 직선 형태의 금속관이다. 광도파로(1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예를 들어, 황동 관으로 제작할 수 있다. 광도파로(10)는 시료가스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또한, 광도파로(10)는 그 내부로 조사된 적외선이 그 내면에 반사되면서 통과하는 통로이다.
광도파로(10)의 우측 하단 측면에는 시료가스 유입관(11)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시료가스 유입관(11)으로 시료가스가 유입된다. 또한, 광도파로(10)의 좌측 하단 측면에는 시료가스 유출관(12)이 결합되어 있다.
광도파로(10)의 둘레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히터로는 필름 형태의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날숨에는 다량의 수증기 포함되어 있으므로, 시료가스의 온도가 약 33℃ 이하로 떨어지면, 시료가스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광도파로(10)의 내부에 수분이 맺힌다. 알코올 등의 가스는 수분에 쉽게 용해되므로, 수분이 맺히면 시료가스 내부의 알코올 등 수분에 용해되는 가스의 농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광도파로(10)의 온도를 33℃ 이상의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히터는 광도파로(10)를 가열하여, 광도파로(10)의 내부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광도파로(10)의 둘레에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광원(20)은 광도파로(10)의 도면상 우측 끝단에 광도파로(10)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적외선 광원(20)은 이산화탄소가 흡수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포함하는 적외선 광을 방사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원(20)과 광도파로(10)의 개방된 상류 측 일단 사이에는 순서대로 상류 측 광가이드(65)와 상류 측 투명층(55)이 배치된다. 상류 측 광가이드(65)는 빛을 안내하도록 경사진 내면을 구비한 중공 관으로서, 황동 등 구리 합금 또는 구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류 측 광가이드(65)는 적외선 광원(20)에서 조사된 빛을 광도파로(10)의 개방된 상류 측 일단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류 측 투명층(55)은 광도파로(10)에 유입된 시료가스가 적외선 광원(20) 측으로 흐르는 것은 방지하고, 적외선 광원(20)에서 방사된 적외선 중 적어도 이산화탄소에 반응하는 특정 파장은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료가스의 내부에는 침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유입된 시료가스가 적외선 광원(20)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류 측 투명층(55)은 투명한 유리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센서(30)는 광도파로(10)의 도면상 좌측 끝단에 광도파로(10)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광센서(30)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전환한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의 강도가 약해진다.
광센서(30)와 광도파로(10)의 개방된 하류 측 일단 사이에는 밴드패스 필터(40), 하류 측 광가이드(60), 하류 측 투명층(50)이 순서대로 설치된다.
밴드패스 필터(40)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류 측 광가이드(60)는 빛을 안내하도록 경사진 내면을 구비한 중공 관으로서, 상류 측 광가이드(65)와 마찬가지로, 황동 등 구리합금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류 측 광가이드(60)는 광도파로(10)를 통과한 빛을 밴드패스 필터(4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류 측 투명층(50)은 광도파로(10)에 유입된 시료가스가 광센서(30) 측으로 흐르는 것은 방지하고, 적외선 광원(20)에서 방사된 적외선 중 적어도 이산화탄소에 반응하는 특정 파장은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료가스의 내부에는 침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유입된 시료가스가 밴드패스 필터(40)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류 측 투명층(50)은 상류 측 투명층(55)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유리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알코올센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센서(200)는 시료가스통로(210)와 시료가스통로(2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센서 모듈(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반도체식 알코올센서 모듈(220)이 설치된다.
시료가스통로(210)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이며, 배기관(170)과 연결된 유입구(211) 및 유입구(211) 반대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212)를 포함한다. 또한, 시료가스통로(21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센서 모듈 설치 구멍(215)들이 형성된다. 유출구(212)의 전체 면적은 유입구(211)에 비해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가스가 알코올센서 모듈(220) 쪽으로 흐르지 않고, 바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알코올센서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알코올센서 모듈(220)은 하우징(221), 하우징(221) 내부에 설치된 절연체기판(222), 절연체기판(222)의 하면에 형성된 발열체 패턴(223),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224)과 전극(224) 위에 형성된 감지막(225) 및 발열체 패턴(223), 전극(2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템핀(2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221)은 원통형이며, 상류 측 일단인 상단과 하류 측 일단인 하단의 중심부에 각각 관통구멍들(227, 228)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28)은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27)의 면적의 전체 합에 비해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기판(222)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나(Al2O3)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두께는 대략 0.25㎜인 것이 주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체 패턴(223)과 전극(224)은 일반적으로 백금(Pt)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절연체기판(222)에 발열체 패턴(223)과 전극(224)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열체 패턴(223)의 셀 단위로 절단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이용하여 알루미나기판의 표면에 금을 형성한다. 다음, 금이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나기판의 표면을 세척한다. 그리고 세척된 알루미나기판의 양쪽 표면에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백금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발열체 패턴 및 전극을 형성한다. 발열체 패턴은 충분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지그재그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지막으로, 진공 또는 환원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하여 백금 페이스트 내의 바인더를 제거하고, 백금을 소결한다.
감지막(225)은 고온에서 시료가스의 알코올과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후막이다.
스템핀(226)은 절연체기판(222)을 하우징(221)의 내부에 소정 높이로 떠 있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스템핀(226)은 발열체 패턴(223)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발열체 패턴(223)에 전류를 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나머지 한 쌍의 스템핀(226)은 전극(224)과 실버 페이스트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229)에 의해서 연결되어 감지막(225)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시료가스는 상류 측 관통구멍(227)을 통해 하우징(221)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우징(221)의 내부에 유입된 시료가스는 절연체기판(222)에 부딪힌 후 절연체기판(222)을 돌아서 하우징(221)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구멍(228)을 통해서 배출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50)는 센서 신호 수신부(251),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 알코올 농도 비교부(253),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254), 혈중 알코올 농도 비교부(255), 메모리(256) 및 시동장치 제어부(257)를 포함한다.
센서 신호 수신부(251)는 이산화탄소 센서(100) 및 알코올 센서(10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정상상태는 운전자가 음주운전 방지 장치(1)를 향해서 호기 가스를 정상적으로 불어넣은 경우를 나타낸다. 세로 축은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전기신호 값을 나타내며, 가로 축은 운전자가 호기 가스를 불어넣은 시점을 기준으로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1인 탑승과 5인 탑승은 운전자 혼자 또는 운전자와 다른 탑승자 네 명이 탑승을 하였지만 운전자가 음주운전 방지 장치(1)를 향해서 호기 가스를 불어넣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가로 축은 탑승시점을 기준으로 경과시간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상태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호기 가스를 불어넣은 후 3초(도 7에서 수직 점선으로 표시)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전기신호가 약 1000㎷에서 약 3200㎷으로 2200㎷정도 증가한다. 운전자가 호기 가스를 불어넣지 않아도 차량의 내부에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이산화탄소 센서(100)는 기본적으로 1000㎷정도의 전압을 출력한다. 전기신호 2200㎷는 이산화탄소 농도로 환산하면 2200PPM이 된다. 따라서 호기 가스에 의해서 3초 안에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200PPM정도 증가한 것이다.
그런데 운전자가 호기 가스를 불어넣지 않은 경우에는 탑승자 많더라도 정상상태에 비해서 전기신호가 느리게 증가한다. 1인 탑승의 경우에는 70초 정도가 경과한 후에야 2000㎷에 도달하며, 4인 탑승의 경우에도 24초 정도 경과한 후에야 2000㎷에 도달한다.
도 8은 이산화탄소 및 알코올 센서의 전기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 센서(200)의 전기신호도 3초 이내에 급격하게 증가한다. 도 8 작성에 사용된 알코올 센서(200)는 반도체식 알코올 센서이다.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는 메모리(256)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Cc)의 변화 값과 비교한다. 즉, 현재의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전기신호 값과 미리 정해진 X초 이전의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전기신호 값을 비교하여 X초 동안의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변화 값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은 3초이고,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는 1000PPM일 수 있다.
도 7을 예로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현재의 전기신호 값은 약 3200㎷이고, 3초 전의 전기신호 값은 약 1000㎷이므로, 3초 동안의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은 약 2200㎷가 된다. 2200㎷는 이산화탄소 농도 2200PPM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는 이 값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 1000㎷와 비교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는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작동이 시작된 후 계속해서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전기신호 값을 모니터링하면서, 3초 이전의 전기신호 값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이를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과 비교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호기 가스를 불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하여도 3초 동안의 이산화탄소 농도(Cc) 변화 값이 1000PPM미만이 된다.
알코올 농도 비교부(253)는 메모리(256)에 저장된 알코올 농도 기준 값(Rc)과 센서 신호 수신부(251)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시료가스내의 알코올 농도(Ca)를 비교한다.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254)는 센서 신호 수신부(251)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시료가스내의 알코올 농도(Ca)에, 메모리(256)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를 센서 신호 수신부(251)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시료가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Cc)로 나눈 값은 곱하여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를 추정한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구한다.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는 운전자의 호기 가스 내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의 최대치로서 보통 45000PPM 정도이다. 메모리(256)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를 센서 신호 수신부(251)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시료가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Cc)로 나눈 값은 호기 가스의 희석된 정도를 나타내므로, 이 값을 시료가스내의 알코올 농도(Ca)에 곱하면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와 혈중 알코올 농도(BAC)는 정비례하므로,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를 알면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알 수 있다.
혈중 알코올 농도 비교부(255)는 메모리(256)에 저장된 혈중 알코올 농도 기준 값과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254)에서 계산된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비교한다.
시동장치 제어부(257)는 알코올 농도 비교부(253) 또는 혈중 알코올 농도 비교부(255)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시동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시동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즉, 알코올 농도(Ca)가 알코올 농도 기준 값(Rc) 미만이거나, 혈중 알코올 농도(BAC)가 혈중 알코올 농도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는 시동장치가 시동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시동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하, 도 9를 참고하여 상술한 음주운전 방지 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주측정 결과가 확인되기 전까지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시동잠금상태로 유지된다(S1).
다음, 측정 준비 단계(S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주운전 방지 장치(1)가 가동되면, 광도파로(10)가 가열된다.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운전석에 설치된 센서나, 운전석 측 문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을 가동하거나, 운전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켜는 방식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광도파로(10)가 충분히 가열된 것이 확인되어, 측정준비가 완료되면, 흡입 펌프(150)가 가동된다. 그리고 음주운전 방지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미도시)를 이용해서 운전자에게 측정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다음, 이산화탄소 및 알코올 농도 측정 단계(S3)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전자가 운전석의 썬바이저나 핸들에 설치된 음주운전 방지 장치(1)를 향해서 호기 가스를 불면, 운전자의 호기 가스가 포함된 시료가스가 광도파로(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광도파로(10)의 내부로 유입된 시료가스는 광도파로(10)를 채운다. 광도파로(10)의 양단은 각각 하류 측 투명층(50)과 상류 측 투명층(55)에 의해서 막혀 있으므로, 시료가스가 적외선 광원(20)이나 광센서(30)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적외선 광원(20)이 점등되면, 적외선 광원(20)에서 발산된 적외선이 상류 측 광가이드(65)와 상류 측 투명층(55)을 통과하여, 광도파로(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광도파로(10)의 내부로 조사된 빛은 광도파로(10)의 내면에서 반사되면서, 광센서(30) 측(하류 측)으로 진행한다. 이때,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특정 파장의 빛은 이산화탄소에 흡수된다.
광도파로(10)를 통과한 적외선은 하류 측 투명층(50)을 통과하고, 하류 측 광가이드(60)에 의해서 안내된다. 이 적외선은 밴드패스 필터(40)를 통과한 후 광센서(30)에 도달한다. 밴드패스 필터(40)는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제외한 나머지 빛은 반사 또는 흡수하고,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특정 파장의 빛만 통과시킨다. 광센서(30)에서는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특정 파장의 빛의 강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기신호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1)의 제어기(250)에 전달된다.
다음, 알코올 농도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기(25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각각의 알코올센서 모듈(220)의 감지막(225)이 가열된다. 이산화탄소 센서(100)에서 배출된 시료가스는 배기관(170)을 통해서 시료가스통로(210)로 유입된다. 일부는 시료가스통로(210)의 유출구(212)를 통해서 배출되고, 일부는 알코올센서 모듈(220)에 각각 유입된다. 유입된 시료가스에 포함된 알코올은 알코올센서 모듈(220)의 감지막(225)과 반응하여 감지막(225)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신호는 제어기(250)에 전달된다.
다음,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단계(S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기(250)의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는 이산화탄소 센서(100) 가동 후 계속해서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3초 동안의 이산화탄소 농도(Cc)의 변화 값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3초 시점에는 3초와 0초에서의 이산화탄소 센서(100)의 전기신호 값을 비교하여 이산화탄소 농도(Cc)의 변화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4초 시점에서는 4초와 1초에서의 전기신호 값을 비교하여 이산화탄소 농도(Cc)의 변화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변화 값을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과 비교한다.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과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은 농도로 환산한 값일 수도 있으나, 전기신호 값 자체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은, 예를 들어, 1000ppm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 예를 들어, 1000PPM 미만인 것이 확인되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단계(S2)로 돌아가서 계속 이산화탄소 센서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한다. 시료가스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가 1000ppm 미만인 것은 운전자가 고의로 날숨을 약하게 불었기 때문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252)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이 1000ppm 이상인 것이 확인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다음, 알코올 농도 비교 단계(S5)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기(250)의 알코올 농도 비교부(253)는 알코올 센서(100)로부터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알코올의 농도(Ca)와 미리 정해진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을 비교한다.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은, 예를 들어, 1ppm일 수 있다.
알코올의 농도(Ca)가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 미만인 것이 확인되면,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시동가능상태(S8)가 된다.
알코올의 농도(Ca)가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 이상인 것이 확인되면 혈중알코올 농도 연산단계(S6)로 진행한다.
다음, 혈중알코올 농도 연산단계(S6)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단계에서는 제어기(250)의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254)가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와,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를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연산한다.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는 운전자의 호기 가스 내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의 최대치로서 보통 45,000PPM 정도이다.
예를 들어,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와 이산화탄소의 농도(Cc)가 각각 1PPM과 1000PPM으로 측정되었다면, 호기 가스의 희석 정도를 고려하여, 실제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는 1PPM×(45,000PPM÷1,000PPM) = 45PPM으로 연산된다. 그리고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는 혈중 알코올 농도와 비례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 0.05BAC%는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 130PPM에 대응하므로, 호기 가스 내의 알코올 농도 45PPM은 혈중 알코올 농도(BAC) 0.0173BAC%(45÷130×0.05BAC%)에 대응한다.
본 단계는 제어기와 연결된 별도의 음주측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음주측정기에 불대를 이용하여 직접 호기 가스를 불어넣어 혈중 알코올 농도(BAC) 측정할 수도 있다. 특히, 알코올의 농도(Ca)가 낮은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혈중알코올 농도 비교단계(S7)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단계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254)에서 계산되거나 별도의 음주측정기를 이용해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기준 값, 예를 들어, 0.05BAC%와 비교한다. 혈중 알코올 농도(BAC)가 기준값 미만이면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시동가능상태(S8)가 된다.
그리고 혈중 알코올 농도(BAC)가 기준값 이상이면, 음주운전 방지 장치(1)는 시동장금상태(S1)가 유지된다. 또한, 운전자에게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장치를 통해서 경고 메시지가 전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배기관(175) 및 알코올센서(300)의 구조에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배기관(170)의 개방된 타단에 반도체식 알코올센서(200)의 시료가스통로(210)가 연결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관(175)의 중간에 화학식 알코올센서(300)가 설치된다. 화학식 알코올센서(300)는 감지부(320)에 정량의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알코올센서(300)는 감지부(320),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를 포함한다.
감지부(320)는 시료가스챔버(310)와 시료가스챔버(310)의 내부공간(313)에 설치되는 반응셀(314)을 포함한다.
시료가스챔버(310)는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가스유입관(311)과, 시료가스가 유출되는 시료가스유출관(312) 및 시료가스유입관(311)에서 유입된 시료가스가 시료가스유출관(312)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내부 공간(313)을 구비한다.
시료가스챔버(310)의 시료가스유입관(311)은 배기관(175)과 연결되며, 시료가스유출관(312)은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와 연결된다.
시료가스챔버(310)의 시료가스유입관(311)과 시료가스유출관(312) 사이의 내부 공간(313)에는 반응셀(314)이 설치된다. 반응셀(314)은 시료가스의 알코올 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전류 값을 출력한다.
반응셀(314)는 감지 전극과 대향 전극 및 감지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게재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감지 전극에서 이온으로 분해된 알코올은 전해질을 통과한 후 대향 전극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생한 전류 값이 알코올 농도에 비례하는 검출신호 값이 된다.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는 배기관(175)에 흐르는 시료가스 중에서 정량을 시료가스챔버(310)에 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는 시료가스챔버(310)의 시료가스유출관(312)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는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난 시점에 순간적으로 동작하여 정량의 시료가스를 채취한다.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로는 솔레노이드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단계는 상술한 단계와 차이가 없으므로, 알코올센서의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산화탄소 센서(100)로부터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이산화탄소의 농도(Cc)가 기준값(Rc)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잠시 후 제어기(25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가 작동하면서, 시료가스챔버(310)에 정량의 시료가스가 유입된다.
이때,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가 연속적으로 복수 회 가동될 수도 있다. 즉,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의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짧은 간격으로 복수 회 인가하여,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340)가 연속적으로 복수 회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료가스챔버(310)의 내부로 많은 양의 호기 가스를 유입시키면, 알코올 농도가 낮을 경우에도 알코올 농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수 회 가동된 경우에는 제어기(250)가 이를 고려하여 알코올 농도 값을 보정한다.
유입된 시료가스 내에 포함된 알코올은 시료가스챔버(310)에 설치된 반응셀(314)의 감지 전극에서 전부 이온으로 분해된 후 전해질을 통과하여 대향 전극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생한 전류 값이 알코올 농도에 비례하는 검출신호 값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며, 밸브(430, 440)가, 배기관(175)과 감지부(420) 사이 및 배기관(175)의 개방된 끝단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산화탄소 센서(100)로부터의 전기신호에 기초한 이산화탄소의 농도(Cc)가 기준값(Rc) 이상인 것이 확인되면, 제어기(25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잠시 후 배기관(175)과 감지부(420) 사이의 밸브(440)가 열리고, 배기관(175)의 개방된 끝단에 설치된 밸브(430)가 닫히면서, 배기관(175)에 흐르는 시료가스가 시료가스챔버(310)에 유입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 정량의 시료가스가 감지부(420)에 공급되면, 배기관(175)과 감지부(420) 사이의 밸브(440)가 닫히고, 배기관(175)의 개방된 끝단에 설치된 밸브(430)가 열린다.
유입된 시료가스 내에 포함된 알코올은 시료가스챔버(410)에 설치된 반응셀(414)의 감지 전극에서 전부 이온으로 분해된 후 전해질을 통과하여 대향 전극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생한 전류 값이 알코올 농도에 비례하는 검출신호 값이 된다.
제어기(250)에서는 이 검출신호 값을 통해서 알코올의 농도를 측정하고 알코올의 농도(Ca)가 미리 정해진 값(Ra)과 비교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광도파로(10)는 직선 형태의 금속관으로 설명하였으나, U자 형태의 금속관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기관(175)과 감지부(420) 사이 및 배기관(175)의 개방된 끝단에 밸브(430, 440)를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기관의 개방된 끝단에 삼방 밸브를 설치하고, 삼방 밸브에 한쪽 출구 측에 시료가스챔버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시에는 시료가스가 시료가스챔버로 향하도록 삼방 밸브를 제어하고, 비측정시에는 시료가스가 배기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삼방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1, 2, 3: 음주운전 방지 장치
100: 이산화탄소 센서
120: 연결관
150: 흡입펌프
170, 175: 배기관
200: 반도체식 알코올센서
300, 400: 화학식 알코올센서
320, 420: 감지부
340: 알코올센서용 흡입 펌프
430, 440: 밸브

Claims (6)

  1. 운전자의 호기 가스와 차량의 내부의 공기가 혼합된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가스 유입관 및 유입된 시료가스가 배출되는 시료가스 유출관을 포함하며, 시료가스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시료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시료가스 유출관과 연결되며, 가동시에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내부로 시료가스를 유입시키는 흡입 펌프와,
    상기 흡입 펌프의 출구와 연결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흐르는 시료가스의 알코올 농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알코올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 및 알코올센서의 전기신호를 기준으로 음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현재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 값과 미리 정해진 X초 이전의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 값을 비교하여 획득된 X초 동안의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을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과 비교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의 변화 값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기준 값(Rc)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알코올센서에서 측정된 전기신호를 기준으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를 미리 정해진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과 비교하는 알코올 농도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가 미리 정해진 알코올 농도 기준 값(Ra)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알코올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가 기준 값(Ra)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와,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의 최대치(Cmax)를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계산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혈중 알코올 농도 연산부에서 계산된 혈중 알코올 농도(BAC)가 기준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측정하는 음주측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알코올 농도 비교부에서 시료가스 내의 알코올의 농도(Ca)가 기준 값(Ra)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주측정기에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수신하고, 상기 음주측정기에서 측정된 혈중 알코올 농도(BAC)가 기준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부는 현재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 값과 3초 이전의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 값을 비교하여 3초 동안 시료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Cc)가 1000ppm이상 증가하였는지 판단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센서는,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시료가스챔버와,
    상기 시료가스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셀과,
    상기 배기관과 시료가스챔버 사이의 경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1밸브와,
    상기 배기관의 개방된 단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밸브가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제2밸브가 차단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밸브가 차단되고, 상기 제2밸브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센서는,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는 삼방밸브와,
    상기 삼방밸브와 연결되는 시료가스챔버와,
    상기 시료가스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의 전기신호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시료가스챔버를 향해서 시료가스가 흐르도록 삼방밸브를 제어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배기관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서 시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020190078659A 2019-07-01 2019-07-01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0210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59A KR102108681B1 (ko) 2019-07-01 2019-07-01 음주운전 방지 장치
PCT/KR2020/008051 WO2021002616A1 (ko) 2019-07-01 2020-06-22 음주운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59A KR102108681B1 (ko) 2019-07-01 2019-07-01 음주운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681B1 true KR102108681B1 (ko) 2020-05-08

Family

ID=7067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59A KR102108681B1 (ko) 2019-07-01 2019-07-01 음주운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8681B1 (ko)
WO (1) WO20210026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616A1 (ko) * 2019-07-01 2021-01-07 주식회사 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WO2022215985A1 (ko) * 2021-04-07 2022-10-13 주식회사 센텍코리아 음주측정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040B1 (ko) 2003-09-17 2007-04-13 히로시 가미키 차량용 키 및 음주운전 방지장치
JP2011220759A (ja) * 2010-04-07 2011-11-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飲酒検知装置及び車両用飲酒検知方法
JP2011251564A (ja)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140022638A (ko) * 2012-08-14 2014-02-25 (주)센텍코리아 음주측정기
KR101525204B1 (ko) 2014-01-21 2015-06-10 자동차부품연구원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20160096251A (ko) 2015-02-04 2016-08-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장치
KR20170040890A (ko) 2015-10-06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20180021355A (ko) * 2016-08-18 2018-03-02 (주)센텍코리아 복합 가스 센서
JP2019023651A (ja) * 2012-08-24 2019-02-14 オートモーティブ コアリション フォー トラフィック セーフ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度に正確な呼気検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4227B2 (en) * 2016-03-24 2021-08-31 Automotive Coalition For Traffic Safety, Inc. Sensor system for passive in-vehicle breath alcohol estimation
KR102108681B1 (ko) * 2019-07-01 2020-05-08 (주)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040B1 (ko) 2003-09-17 2007-04-13 히로시 가미키 차량용 키 및 음주운전 방지장치
JP2011220759A (ja) * 2010-04-07 2011-11-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飲酒検知装置及び車両用飲酒検知方法
JP2011251564A (ja)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飲酒運転防止装置
KR20140022638A (ko) * 2012-08-14 2014-02-25 (주)센텍코리아 음주측정기
JP2019023651A (ja) * 2012-08-24 2019-02-14 オートモーティブ コアリション フォー トラフィック セーフ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度に正確な呼気検査システム
KR101525204B1 (ko) 2014-01-21 2015-06-10 자동차부품연구원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20160096251A (ko) 2015-02-04 2016-08-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음주운전 방지장치
KR20170040890A (ko) 2015-10-06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20180021355A (ko) * 2016-08-18 2018-03-02 (주)센텍코리아 복합 가스 센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616A1 (ko) * 2019-07-01 2021-01-07 주식회사 센텍코리아 음주운전 방지 장치
WO2022215985A1 (ko) * 2021-04-07 2022-10-13 주식회사 센텍코리아 음주측정기
KR20220139486A (ko) * 2021-04-07 2022-10-17 (주)센텍코리아 음주측정기
KR102531358B1 (ko) 2021-04-07 2023-05-15 (주)센텍코리아 음주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616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681B1 (ko) 음주운전 방지 장치
EP1874595B1 (en) Vehicle ignition interlock systems with mouth alcohol contamination sensor
US7377186B2 (en) Engagement of a sensor system with a vehicle operating device
CA2606881C (en) Vehicle ignition interlock systems with retesting frequency control
US7473229B2 (en) Method of analyzing components of alveolar breath
EP1688741B1 (en) Chemical vapor sensor having an active and a passive measurement mode
US4707336A (en) Apparatus for gas analysis
US7218236B2 (en) Vehicle ignition interlock systems that detect the presence of alcohol within vehicles
JP4241904B2 (ja) ガス検出方法及びガス検出装置
US7736903B2 (en) Tracer to compensate for environmental variations that influence a chemical vapor sensor measurement
KR101998612B1 (ko) 음주운전 방지 장치
JP2009002883A (ja) 飲酒検出装置
KR101484581B1 (ko) 상호작용형 알콜측정
US200301201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achine operator status
EP1681554A2 (en) Chemical vapor sensor
WO2007083350A1 (ja) 呼気成分検査装置
KR101873642B1 (ko) 복합 가스 센서
JP2007147384A (ja) センサ素子劣化判定装置およびセンサ素子劣化判定方法
JP4557059B2 (ja) 呼気アルコール濃度検知装置
US6994780B2 (en) Gas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gas concentration
JP2010091502A (ja) アルコール検出器
JP3405707B2 (ja) オゾン水濃度連続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電解式オゾン水製造装置における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JPH11316188A (ja) オゾン濃度測定方法
JPH06265507A (ja) 炭酸ガス計測装置
JP2013192860A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