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892B1 - 이동식 콘센트가 달린 유도전력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콘센트가 달린 유도전력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892B1
KR101524892B1 KR1020107010227A KR20107010227A KR101524892B1 KR 101524892 B1 KR101524892 B1 KR 101524892B1 KR 1020107010227 A KR1020107010227 A KR 1020107010227A KR 20107010227 A KR20107010227 A KR 20107010227A KR 101524892 B1 KR101524892 B1 KR 10152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inductor
inductive power
primary coi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008A (ko
Inventor
요시 아잔콧
아미르 벤 샬롬
울라 그린왈드
애릭 로프
Original Assignee
파워매트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매트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워매트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0008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Ac-Ac Convers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유도전력 콘센트를 이용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유도전력 콘센트에서 유도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유도전력 콘센트는 넓은 표면 뒤에 위치한 1차인덕터를 구비하고, 유도전력 수신기는 2차인덕터를 구비하며, 1차인덕터를 움직이기 위한 이동기구가 넓은 표면 뒤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콘센트가 달린 유도전력 공급장치{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HAVING MOVING OUTLETS}
본 발명은 이동식 유도전력 콘센트를 이용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요한 때 필요한 곳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건물의 건축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방마다 필요한 전력콘센트의 갯수와 위치는 방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다. 그러나, 미래의 방의 기능은 건축을 할 때는 알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물을 완공한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전력콘센트를 재배치해야 할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기존의 전력콘센트는 보통 방의 벽 둘레 여러곳에 설치된다. 콘센트가 연결되는 전선은 벽 속에 매립되고, 이곳에 단자함이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자함의 위치에 의해 콘센트의 위치가 결정되고, 일단 벽이 완성된 뒤에는 콘센트를 재배치하기가 어렵다.
콘센트를 추가하거나 재배치하려면, 추가 배선이 필요하고, 이런 배선은 벽면이 석고보드 등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벽에 홈을파고 벽 안에 설치해야 한다. 콘센트를 추가하려면 벽면에 홈을 파야되거나, 단자함을 벽면에 나사나 볼트로 고정해야 한다. 콘센트를 재배치하는 다른 방법은 벽면 표면에 전선을 깔고, 이곳에 콘센트를 연결하는 것인데, 이런 방법은 보통 단단한 돌이나 콘크리트나 벽돌로 벽을 만든 학교나 실험실 등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Price의 미국특허 3,585,565에서는 전기테이프와 플러그 커넥터를 이용해 전기배선의 설치를 단순화했다. 평면형이나 필름형 도체를 절연층 사이에 끼운 것의 절연 접지도체를 2개의 전선에 연결한다. 이런 테이프나 케이블의 한쪽면에 감압 접착제를 붙인다. 이런 테이프나 케이블을 3구 커넥터를 이용해 송전선에 연결한다.
이 방식에서는 벽면에 납작하게 배선을 할 수 있어 방해가 되는 것이 별로 없지만, 콘센트를 설치하려면 테이프에서 절연막을 벗겨내고 특수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며, 일단 연결된 송전선은 전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제거할 수 없다.
Chang의 미국특허출원 2002/84096에 소개된 전선결합장치에서는 전선에 고무외피를 입혔다. 소켓마다 하우징에 2개의 도체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 도체는 플러그를 끼우는 소켓의 구멍에 맞추어져 있다. 전선이나 소켓은 접착제로 벽면에 부착되고, 소켓 측면에는 다른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전력 스트립과 콘센트가 벽면에 부착되어 돌출된다. 보기 싫은 것은 제쳐두고라도, 돌출 소켓은 충격을 받아 벽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소켓과 전선이 접착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소켓이 벽면에서 떨어지면 전선에 매달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크다.
종래의 전기소켓에는 플러그의 핀을 끼울 구멍이 있다. 안전을 위해, 전원측은 암놈 구조를 갖고, 전선이 노출되지 않는다. 이곳에 끼울 플러그는 숫놈구조를 가져 핀이 달려있다. 핀과 구멍의 크기는 어린이 손가락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고품질 소켓은 접지가 되어있어, 긴 접지핀이 달린 플러그만 끼울 수 있지만, 어린애들이 젓가락이나 연필을 소켓 구멍에 끼워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크다. 이 경우, 정전이 일어나고 감전사고도 일어날 수 있다.
소켓이나 콘센트 자체가 보기싫으므로, 벽에 설치되는 소켓의 갯수는 제한하는 것이 좋다. 또, 소켓의 위치는 바꾸기가 어렵고, 바꿀 경우에도 연장 전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소켓이나 콘센트와는 다른 전력공급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인덕터가 드라이버를 통해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유도전력 콘센트를 구비하고; 드라이버는 1차인덕터에 발진전압을 제공하며; 1차인덕터는 전기부하에 유선연결된 2차인덕터와 유도결합하고; 유도전력 콘센트가 작업공간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경계면은 벽, 바닥, 천정, 세면대, 욕조, 도어 또는 작업면이고, 유도전력 콘세트는 경계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재료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런 조립식 재료로는 석고보드, 벽지, 종이시트, 석고테이프, 도어, 창틀, 벽면타일, 벽장, 조리대, 세면대, 욕조, 러그, 카펫, 마루쪽, 리놀륨, 바닥타일, 미끄럼방지 매트, 돌 또는 인조석을 사용한다.
또, 1차인덕터가 방수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런 방수표면으로는 조리대, 테이블, 욕실 표면, 세면대, 욕조, 벽장, 식기장, 도어, 바닥, 벽, 천정 또는 작업대가 있다. 또, 1차인덕터가 포미카(Fomica), 베이너판, 석고보드, 페인트, 플라스틱 시트, 돌 또는 인조석일 수도 있다. 또, 1차인덕터가 베이스 재료에 내장되고 표면재료로 덮일 수도 있다. 또, 1차인덕터가 유도작동 저장기에 설치되었다가 이 저장기 내부의 전기기기에 연결된 2차인덕터와 유도결합할 수도 있다. 또, 1차인덕터로부터 2차인덕터로 자속을 보내기 위한 자속안내코어가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계면에 부착되는 석고보드는 2장의 종이시트 사이에 배치된 1층의 석고층과, 1차인덕터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도체를 포함하고, 1차인덕터가 종이시트 뒤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석고보드가 1차인덕터와 2차인덕터 사이의 자속안내를 위한 강자성체 코어와 가열요소를 포함하고 방수성을 가지며, 상기 1차인덕터가 상기 종이시트에 인쇄되며 저항이 높은 합금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를 때 열을 낼 수 있다.
또, 전술한 경계면에 접착되는 종이시트가 1차인덕터와, 1차인덕터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이시트가 벽지이고, 1차인덕터가 유전체층의 뒷면에 부착되며, 1차인덕터가 종이시트에 인쇄된 도전 코일을 포함하고, 종이시트가 상기 경계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경계면에 붙이기 위한 테이프가 접착면을 갖는 제1층; 전기절연상태의 도체들에 1차인덕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층; 및 도체와 1차인덕터가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층을 덮는 제3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테이프는 하기 특징들을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이 좋다: 제2층에 1차인덕터들이 2차원으로 배열됨; 제1층의 접착면에 박리층이 벗겨질 수 있도록 부착됨; 제3층 바깥면에 코팅이 되어있고, 상기 테이프가 들어올려질 때 상기 접착면이 코팅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됨; 상기 테이프가 섬유층이나, 1차인덕터와 2차인덕터 사이의 자속안내를 강화하기 위한 강자성체 코어를 포함함.
또, 작업공간의 바닥면에서, 1차인덕터가 바닥면에 매립되고 배선을 통해 전원에 유선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런 바닥면으로는 러그, 카펫, 마루쪽, 리놀륨, 타일, 미끄럼방지 매트, 돌 또는 인조석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은, 1차인덕터와 유도결합하여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인덕터를 갖춘 유도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2차인덕터에 연결된 파워잭 소켓이 핀달린 플러그와 도전결합하는 유도전력 수신기도 제공한다.
이 경우, 2차인덕터에 의해 수신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저장기가 있고, 이런 전력저장기가 커패시터, 축전기 또는 전기화학전지일 수 있다. 또, 작업면에 케이싱을 부착하기 위한 흡착기가 있거나, 2차인덕터가 방수 케이싱 안에 설치되거나, 유도전력 수신기가 전기기기 안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런 전기기기로는 스탠드, 비디오 레코더, DVD 플레이어, 세절기, 선풍기, 복사기, 컴퓨터, 프린터, 주방기기, 냉장고, 냉동고, 세탁기, 건조기, 중량기계, 탁상등, 조명등, 무선전화기, 스피커, 스피커폰, 회의용 전화, 전자펜, 전기 스테이플러, 디스플레이 기기, 전기 화상프레임, VDU, 프로젝터, TV, 비디오 플레이어, 오디오장치, 계산기,스캐너, 팩스기, 가열판, 전기가열 머그, 휴대폰, 헤어드라이어, 면도기, 히터, 분쇄기, 왁스용해기, 헤어컬러, 수염다듬기, 체중계, 라디오, 에그비터, 제빵기, 믹서, 주서, 녹즙기, 음식물처리기, 전기나이프, 토스터, 와플메이커, 전기 바베큐 그릴, 슬로우쿠커, 열판, 튀김기, 프라이팬, 칼갈이, 살균기, 주전자, 냄비, 카세트 플레이어, DC 플레이어, 전기병따개, 팝콘 메이커 또는 자기교반기가 있다.
또, 전기부하에 유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도전력 콘센트가 전기기기에 설치되거나, 유도전력 수신기가 가구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런 가구로는 의자, 테이블, 작업대, 벽장 또는 식기장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공간의 경계면을 통해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부하에 유선연결된 2차인덕터에 유도결합하는 1차인덕터를 갖춘 유도전력 공급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을 경계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인덕터를 드라이버를 통해 전원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1차인덕터에 발진전압을 제공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을 경계면에 부착할 때, 벽면패널을 골조에 붙인 다음; 도체들이 서로 절연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이들 도체에 1차인덕터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접착성 전력콘센트 테이프를 벽면패널들 사이의 이음매에 붙이고; 1차인덕터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전력 콘센트에서 유도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력 콘센트는 넓은 표면 뒤에 위치한 1차인덕터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전력 수신기는 2차인덕터를 구비하며; 1차인덕터를 움직이기 위한 이동기구가 상기 넓은 표면 뒤에 위치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도 제공한다.
이런 유도전력 공급장치는 아래의 특징을 적어도 하나 갖는다:
a. 상기 이동기구가 운반대를 구비함;
b. 상기 1차인덕터가 롤러, 바퀴, 스키 또는 부양자석 위에 설치됨;
c. 상기 1차인덕터가 안내케이블에 부착됨;
d. 상기 이동기구가 모터로 작동됨;
e. 상기 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됨;
f. 상기 1차인덕터가 첫번째 자석에 부착되며, 이 자석은 두번째 자석에 의해 당겨짐;
g. 상기 이동기구가 넓은 표면의 뒷면에 1차코일을 결하하기 위한 클러치를 더 포함함;
h. 상기 이동기구가 넓은 표면의 뒷면에서 1차인덕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를 더 포함함.
또, 이동기구가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1차인덕터가 레일위에서 미끄럼운동할 수도 있는데, 이때 레일은 궤도나 풀리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1차코일이 불투명층 뒤에 가려져 있고; 1차인덕터의 위치가 표시기에 의해 표시되기도 하는데, 이때 유도전력 공급장치는 아래의 특징들을 적어도 하나 갖는다:
a. 상기 표시기가 상기 넓은 표면 안에 설치됨;
b. 상기 표시기가 1차인덕터의 위치를 나타낸 상기 표면의 지도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함;
c. 상기 표시기가 1차인덕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반을 더 포함하고, 1차인덕터의 위치가 이 제어반에 표시됨;
d. 상기 표시기가 원격으로 감지되는 위치빔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
e. 상기 1차인덕터의 위치가 외부 센서에 의해 결정됨;
f. 상기 1차인덕터의 위치가 근접센서, 볼륨센서,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자기센서, 홀센서, 유도센서 및 용량센서 중에서 선택된 외부 센서에 의해 결정됨.
또, 표시기가 불투명층의 정면에서의 감지를 위해 불투명층을 투과하는 강도를 갖는 방사선 방출기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때 유도전력 공급장치는 아래의 특징들을 적어도 하나 갖는다:
a. 상기 방출기가 1차인덕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선은 불투명층을 투과하는 것으로 선택됨;
b. 상기 방출기가 LED임;
c. 상기 방출기가 1차인덕터를 포함함;
d. 상기 방사선이 광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됨;
e. 상기 방사선이 전자기파, 음파 또는 초음파임;
f. 상기 방사선이 디지탈카메라에 의해 감지되는 적외선임;
g. 상기 1차인덕터의 위치가 위치신호로 암호화되고, 이 위치신호는 상기 방사선에 의해 전송됨.
본 발명은 또한, 전기부하가 없을 때 유도전력 공급장치가 전력을 전송하지 못하게 하도록, 1차인덕터와 전원의 연결이 회로차단기에 의해 끊어지는 보호장치도 제공한다. 이 경우, a. 상기 1차인덕터에 의해 전송된 전력을 감지하기 위한 1차디텍터; b. 상기 1차인덕터에 2차인덕터가 유도결합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2차디텍터; 및 c. 상기 1차디텍터와 2차디텍터 둘다와 연결되어 회로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부하가 없을 때 유도전력 공급장치가 전력을 전송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1차인덕터가 2차인덕터에 전력을 전송하고; 1차인덕터와 전원 사이의 연결이 회로차단기에 의해 끊어지는 보호장치도 제공한다. 이런 보호장치는, a. 상기 1차인덕터에 의해 전송된 전력을 감지하기 위한 1차디텍터; b. 상기 1차인덕터에 2차인덕터가 유도결합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2차디텍터; 및 c. 상기 1차디텍터와 2차디텍터 둘다와 연결되어 회로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1차디텍터가 자기센서, 열센서, 전자기센서 또는 홀센서이거나; 1차인덕터가 특성주파수 f의 방사선을 내고, 1차디텍터는 이 방사선을 감지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2차인덕터가 1차인덕터에 유도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로 방사선을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고, 2차디텍터는 상기 방사선을 복조하여 2차신호를 분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1차인덕터를 확인하는 1차신호로 방사선을 변조하는 변조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원에 유선연결된 1차인덕터가 전기부하에 유선연결된 2차인덕터와 유도결합하는 유도전력 콘센트가 전기부하가 없을 때는 전력을 전송하지 못하게 하는 전력전송 방지방법에 있어서: a. 상기 1차인덕터가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b. 1차인덕터가 전력을 전송한다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c. 1차인덕터가 2차인덕터와 유도결합상태인지 점검하는 단계; 및 d. 2차인덕터가 감지되지 않으면 1차인덕터와 전원의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전송 방지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b 단계에서, 1차인덕터에서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거나, 1차인덕터에서 나오는 방사선을 감지하고; c 단계에서, 2차인덕터에서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거나, 1차인덕터에서 나오는 방사선 내부의 2차신호를 암호화하거나, 1차인덕터 부근의 온도를 감시하여 온도상승 여부를 점검하며; d 단계에서, 2차인덕터가 없는데도 1차인덕터가 전력을 전송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컨트롤러에 보낸 다음, 전원과 1차인덕터 사이에 연결된 회로차단기에 작동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1차코일과 배선을 갖춘 석고보드를 부착한 방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석고보드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석고보드를 붙인 벽의 개략도;
도 4는 주전선에 연결할 1차코일과 배선을 갖춘 벽지의 사시도;
도 5는 이 벽지를 붙인 벽의 개략도;
도 6은 1차코일이 컨트롤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벽면의 사시도;
도 7은 벽 안에 매립된 전기소자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전력콘센트 테이프 두루마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테이프를 붙인 벽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은 전력콘센트 테이프의 여러 전자소자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닥밑 전력공급장치의 개략도;
도 12는 유도전력 콘센트에서 전력을 받는 2차코일이 달린 각종 전기기기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13은 유도전력 콘센트에서 전력을 받는 다른 전기기기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14는 이동기구에 전력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15는 걸레받이 뒤에 설치된 레일에서 이동기구가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6은 이동식 유도전력 콘센트의 클러치 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전력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들;
도 18은 휴대폰 카메라로 위치빔을 전송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와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전력누설 방지장치의 블록도;
도 20은 전력누설 방지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유도전력 콘센트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21은 원격 누설방지장치로 보호되는 다수의 유도전력 콘센트의 개략도;
도 22는 전기부하가 없을 때 전력전송을 방지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력 공급장치의 개략도이다. 방의 벽(2a,2b)과 천정(2c)과 바닥(2d)에 TV(4a), 전구(4b)와 같은 다양한 전기기기(4)가 설치되고, 이런 전기기기는 유도전력 콘센트(6)를 통해 전력을 받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런 유도전력 콘센트들을 벽이나 천정이나 바닥면을 포함한 경계면(2)에 설치하는 것이다.
전원과 전기부하 사이에 도선연결 없이도 유도결합으로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원은 1차인덕터에 유선연결되고, 발진자기장을 일으키는 1차인덕터를 통해 발진전압이 인가된다. 발진자기장은 1차인덕터 부근의 2차인덕터에 발진전류를 유도한다. 이런 식으로, 전자기 유도에 의해 1차인덕터에서 2차인덕터로 유선연결 없이도 전자기유도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전송될 수 있다. 전기에너지가 전송될 때 1, 2차 인덕터 쌍이 유도결합되었다고 한다. 2차인덕터에 직렬로 유선연결된 전기부하는 인덕터들 사이에 유도결합이 있을 때 전원에서 에너지를 끌어올 수 있다.
유도전력 콘센트(6)에서 송전선과 같은 전원에 컨트롤러를 통해 1차인덕터(7)가 유선연결된다. 컨트롤러는 1차코일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회로를 제공한다. 이런 전자회로에는 1차인덕터에 고주파 발진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치가 포함된다.
전기기기(4)는 유도전력 콘센트(6)의 1차인덕터(7)에 유도결합된 2차인덕터(5)를 통해 전력을 받는다.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전기기기(4)에 유선연결된 기기 안에 2차인덕터(5)를 따로 설치하거나, 전기기기 자체에 2차인덕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전력 콘센트를 건자재에 미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이, 석고보드(100)는 석고와 같은 건자재층(102) 양쪽에 주로 종이로 된 벽지(104,106)를 붙인 것이 일반적이다. 여러개의 1차인덕터(108a-f)와 연결선(110,112)을 석고보드(100)에 설치하는데, 연결선들은 석고보드의 가장자리까지 이어져 전원(도시 안됨)에 연결될 수 있다.
1차인덕터(108a-f)가 건자재층(102) 안에 매립될 수도 있지만, 코일 형태로 비교적 얇은 1차인덕터라면 겉면의 벽지에 간단히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런 1차인덕터는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된 전선이나 금속호일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1차인덕터(108a-f)와 연결선(110,112)이 도전잉크를 이용해 벽지(104)에 인쇄되거나 칠해질 수도 있다.
1차코일(108)과 2차코일(602 사이의 전자기결합은 자속안내코어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자성체나 비정질 강자성체와 같은 자속안내코어는 1차코일과 연계되어 벽속에 매립된다. 강자성체 차폐판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석고보드(100)를 벽(200)에 설치한 것으로, 석고보드 패널들(202)을 골조(204)에 설치한다. 욕실에 사용되는 석고보드(100)는 방수성을 갖는 것이 좋다. 참고로 석고보드란 일반적인 석고보드는 물론, 각종 벽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에는 두루마리형 벽지(300)가 보인다. 이 벽지(300)는 종이나 직물로 된 유연한 시트(302)를 포함하는데, 시트의 겉면(302)에 인쇄나 무늬가 새겨진다. 시트(302)의 뒷면에 다수의 1차코일(308)이 배치된다. 1차코일은 금속호일로 이루어지거나 시트(302)에 접착된 것이거나, 실크인쇄와 같은 방법으로 시트 표면에 인쇄된 도전잉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의 벽지(300)는 벽(400)의 표면에 부착된다. 1차코일(308)은 2차코일(602)과 유도결합된다(도 6 참조). 이런 2차코일(602)은 벽(400)의 표면(402)에 부착된 전원콘센트로 사용되는 어댑터(420)에 설치되고, 2차코일은 전등(460)이나 TV(480)와 같은 전기기기에 유선연결되거나, 테이블 위의 가구에 배치된 전기기기에 유선연결된다.
어댑터(420)는 접착제나 나사나 볼트로 벽(400)에 고정되거나, 자체와 벽면의 자석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지만, 추가 배선 없이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를 TV(480)나 음악시스템과 같은 기기 안에 직접 설치하기도 한다. TV(480)와 같은 기기는 하나의 1차코일(308)보다 간격이 넓을 수 있으므로, 1군데 이상의 여러곳에서 전원에 연결되기도 한데, 이는 필요한 전력이 한군데의 1차코일(308)에서 공급되는 전력보다 큰 경우 유용할 것이다.
도 4의 시트(302)의 재료는 1차코일(308)이나 도전 스트립(310,312)과 같은 전기소자들을 숨기는 무늬나 조직을 갖기에 유리한 것이 좋다.
한편, 벽지(300)의 뒷면(306)은 벽(400)에 붙기 쉽게 접착면(306)을 가질 수 있다. 자가접착이나 기존의 여러가지 접착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박리층(307)을 접착면(306)에 붙여두었다가, 박리층을 벗겨 벽지(300)의 접착면(306)을 벽면에 붙일 수 있다. 한편, 앞면(301)에 박리코팅을 입혀두고, 접촉면(306)을 쉽게 드러낼 수도 있다. 물론, 다른 방식을 채탤할 수도 있다.
도 6에 의하면, 컨트롤박스(500)를 회로차단기(540)에 연결하여 1차코일(508)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회로를 벽(510)에 매립하거나 부착한다. 구동회로로는 고주파 발진전압을 일으키는 스위치와, 전력콘센트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가 있다. 컨트롤박스(500)는 PCB 커넥터와 같은 커넥터(520)에 의해 1차코일(508)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1차코일이 전혀 없는 테이프(560)를 사용해 벽(510)과 컨트롤박스(500)를 연결하기도 한다.
어댑터(600)에 2차코일(602)을 설치하고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파워잭(604)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2차코일(602)이 전등(460)과 같은 전기부하에 직접 연결되기도 한다. 어댑터(600)내의 2차코일(602)이 벽(510) 안의 1차코일(508)과 정렬되면, 양쪽 코일 사이에 전력이 유도전송되어 부하에 공급된다.
도 7의 구성에서는 기둥 안의 1차코일(708) 전체가 공통의 도전스트립(710)으로 연결된다. 제어스트립(712)을 구성하는 전선 다발의 전선마다 1차코일(708) 하나씩 연결된다. 벽이 절단되는 곳마다, 도전스트립(710)과 제어스트립(712)이 컨트롤박스(500)에 연결된다(도 5 참조). 제어스트립(712)은 따라서 1차코일을 제각기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수단이 된다. 이상 설명한 전기소자들의 구성에 의해 각각의 1차코일이 제어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석고보드를 벽에 붙이기 전에 석고보드의 이음매에 석고테이프를 붙이는데, 이렇게 하면 표면이 매끈해져 이음매에 균열이 생길 위험이 줄어든다.
자가접착 석고테이프가 미국특허 5,486,394에 소개되었다. 이 테이프는 벽체 사이의 이음매를 신속히 가리는데 사용되고, 두루마리 형태로 판매된다. 이 테이프는 유연한 종이 안쪽면에 감압접착제가 발라져있는 제1 층과, 그 위에 덮여있는 강화직물로 된 제2 층과, 제1 층과 제2 층 사이의 섬유질을 둘러싸도록 직물층을 덮는 유연한 재질의 제3 층으로 이루어진다. 제3 층 바깥면에는 박리코팅이 되어 있어, 말려있는 테이프를 손으로 벗어내기 쉽도록 제1 층이 제3층과 박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테이프를 벽면 모서리에 쉽게 붙일 수 있도록 테이프 중앙선을 따라 주름이 혀엉된다. 테이프의 자가박리성질 때문에 뒷면을 제거하지 않고도 테이프를 쉽게 붙일 수 있다. 벽면을 덮는 진흙층으로 테이프가 축축해져도 접착력이 유지된다. 또, 제3 층의 박리코팅 때문에 진흙벽에 화합물이나 석고등을 붙일 수 있다.
도 8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력 콘센트(842)를 설치한 전력콘센트 테이프(800)의 두루마리가 도시되어 있다. 이 테이프(800)는 3층으로 이루어진다. 제1 층(820)는 감압 접착면(822)을 갖고, 이 접착면이 벽면에 붙는다. 제2 층(840)은 전력콘센트 역할을 하는 1차코일(842)과 도전스트립(844,846)을 포함한 전기소자들을 갖는다. 제3 층(860)은 제2 층(840)을 덮어 전기소자들을 보호한다. 제2 층(840)의 1차코일(842)은 벽면의 콘센트로 사용되는 전력어댑터의 2차코일과 유도결합한다.
제3층(860)의 바깥면(86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박리제로 코팅하여, 제1층의 접착면(822)을 당기면 제3층(860)의 바깥면(862)에서 손으로 쉽게 벗겨지도록 한다. 박리제로 덮인 박리커버(도시 안됨)를 접착면(822)에 붙여 접착면에 먼지가 붙지 않도록 하고 테이프(800)가 물체에 미리 붙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b의 다른 전력콘센트 테이프(800')는 1차코일(842')이 2차원 배열(840')로 되어있다. 3열의 1차코일 각각에 도전스트립(844'a-c,846'a-c)이 쌍으로 있다. 이런 롤테이프(800')는 테이블, 작업대와 같이 큰 면적을 덮는데 유용하다.
도 9a의 테이프(800)는 벽(900)에 붙이는 것이다. 석고보드(920)를 골조(940)에 설치하고, 석고보드 사이의 이음매(960)를 없애기 위해 테이프(800)를 이음매에 붙인다. 석고보드(920) 사이의 이음매(960)를 테이프로 덮어 석고(980)를 바를 수 있는 매끈한 표면이 생긴다. 강자성체가 들어있는 석고(980)는 유도결합에 대한 추가 자속안내를 한다. 물론 종이나 천이나 마로 된 다른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테이프의 구간 양단부에 PCB 커넥터와 같은 커넥터(520)를 사용해 컨트롤박스(500)를 연결할 수 있다. 테이프에 아무런 1차코일이 없고 테이프(800)와 컨트롤박스(500)를 연결하는 도전스트립만 있을 수도 있다.
전선(540)에 연결된 컨트롤박스(500)는 1차코일(842)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발진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나, 구동할 전력콘센트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제공한다.
유도전력 어댑터는 도 9b~c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된다. 도 9b의 석고 벽(950)에는 2개의 전력콘센트 테이프(810a,b)가 숨겨져 있는데, 테이프마다 5군데의 전력공급 지점이 있고, 각 지점에 1차코일(842a-j)이 있다. 각각의 테이프(810a,b)는 전선(540)에 연결된 컨트롤박스(500a,b)에 연결된다. 벽면 기기는 다양하지만, 예를 들면 싱글 파워잭 어댑터(420), 더블 파워잭 어댑터(440), 전등 어댑터(460), 벽걸이 TV(480) 등이 있다. 이들 어댑터(420,440,460)는 접착제나 나사 등으로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이지만, 자석을 이용해 고정될 수도 있고, 배선을 추가하지 않고도 전력공급 지점들 사이를 쉽게 옮겨다닐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어댑터를 전기기기 안에 내장할 수도 있다. 도 9b와 같이, TV(480)가 2개의 1차코일(842g,h)에 걸쳐있으면, 하나의 1차코일(842)에서 공급되는 전력보다 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9c의 유도전력 어댑터(600)는 컨트롤박스(500)에 연결된 전력콘센트 테이프(810)를 따라 전력공급 지점(842)에 결합된다. 어댑터(600)의 2차코일(602)은 파워잭(604)에 유선연결되고, 파워잭은 기존의 파워플러그에 결합된다. 한편, 2차코일(602)이 전기부하에 직접 유선연결될 수도 있다. 2차코일(602)이 테이프(800)의 1차코일(842)과 정렬될 때 양쪽 코일 사이에 전력의 전송이 일어난다.
도 10a에서는 공통의 도전스트립(844)이 테이프를 따라 모든 1차코일(842)과 연결되도록 전기소자(840)를 배치한다. 제어스트립(846)을 이루는 도전선 각각은 1차코일(842)에 하나씩 연결된다.
전력콘센트 테이프를 두루마리 뭉치에서 손으로 일정 길이씩 찢거나 가위나 칼을 사용해 잘라낸다. 테이프를 잘라낸 뒤, 공통의 도전스트립(844)과 제어스트립(846)이 컨트롤박스(500)에 연결된다. 제어스트립(846)은 1차코일(842)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도 10b의 테이프의 전기소자(640)에서는 각각의 1차코일(642)에 자체의 전용 도전스트립(644,646)에 연결된다. 1차코일(642) 각각의 도전스트립은 테이프를 따라 뻗어있어, 충분한 길이로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예컨대 A 라인을 따라 테이프를 자르면, 도전스트립(644b-d,646b-d)에 대한 접점이 생겨, 3개의 1차코일(642b~d)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C 라인에서 테이프를 절단하면, 도전스트립(644d-f,646d-f)에 접점이 생겨, 다음 3개의 1차코일(642d~f) 각각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테이프에서 3개의 1차코일만 개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도전스트립(644,646)의 길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1차코일의 수도 바뀔 수 있다. 즉, 테이프의 길이가 도체의 연장길이를 변화시키고, 이는 통제가능한 1차코일의 수도 변화시킨다.
Reichelt의 미국특허 6,444,962에서 소개한 히터기는 평평한 형태의 히터로 이루어지고, 이런 히터는 2개의 도체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전자기파를 일으키는 코팅물질이 배치되며, 코팅물질은 결합제, 절연제, 분산제, 물 및 흑연으로 이루어진다. 이 히터기에 달린 컨트롤러가 갖춘 고조파 발생기의 전기소자는 급속한 전류상승을 일으키고 고조파를 일으킨다. 고조파 발생기는 히터의 도체에 결합되어 자연 분자주파수 범위의 진동스펙트럼을 방출한다. 따라서, 벽지와 비슷하게 평판 형태의 저렴하고 고효율인 히터기가 제공된다. 이런 평평한 벽걸이 히터는 기존의 벽지 안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면, 유도코일이나 내부저항이 높은 강자성체 실드가 있어서, 전류를 유도하는 외에도, 전류가 진동을 하여 발열효과를 더 낸다는 놀라운 장점이 밝혀졌다. 이런 가열효과는 방(1) 안을 가열하는 히터에 이용되고, 저항이 높은 유도코일을 바닥(2d)이나 창문 밑에 배치하면, 실내의 대류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사무실이나 공장이나 전시장이나 창고와 같은 지역에서는 벽면에서 떨어진 곳에서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해야할 경우가 많다. 귀찮은 전선을 피하기 위해 바닥이나 천정에 설치된 소켓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지만, 둘다 문제가 있다. 종래의 바닥설치 플러그와 케이블은 발에 채여 연결부에 손상을 주거나 주변 사람에게 상처를 주기도 했으며, 많은 경우 소켓과 전선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해야만 한다. 천정 설비는 천정에서 케이블이 늘어져 보기가 좋지 않으며 대형 홀이나 극장과 같이 천정이 높은 곳이나 천정이 없는 야외에서는 쓸모가 없다.
도 11에는 위의 문제의 해결책이 제시되었는데, 여기서는 바닥에 설치된 유도전력 콘센트(1200)이 하부 배선(1220)을 통해 전원(도시 안됨)에 직접 연결되거나 컨트롤러를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1차코일(1200)은 상부의 2차코일(1300)과 유도결합되고, 2차코일 자체는 전기부하(1320,1325)에 유선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개방된 바닥 소켓들을 피할 수 있다. 이 장치(1100)는 러그, 카펫, 마루, 리놀륨, 타일 등이 깔린 모든 바닥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탠드(1320a)나복사기(1320b)와 같이 바닥에 2차코일(1300)이 있는 바닥설치 기기(1320)는 바닥면 1차코일(1200) 바로 위에 위치한다. 책상(1325a)이나 의자(1325b)와 같이 2차코일(1300)을 갖춘 가구(1325)는 1차코일(1200) 위에 위치하면, 그 위에 배치된 독서등(1340a)이나 랩탑컴퓨터(1340b)나 물을 가열하는 커피머그(1340c)와 같은 전기기기(1340)에 전력을 공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이런 전기기기(1340)는 소켓에 플러그를 끼우는 방식으로 가구(1325)에 유선연결되거나, 자체 내장된 2차코일(1500)이 가구 윗면(1326)의 1차코일(1400)에 유도결합한다.
시스템(1100)의 1차코일(1200)과 정렬하는 2차코일(1200)을 갖춘 다른 전기기기로는 스탠드, TV, 오디오장치, 비디오장치, DVD, 식기세척기, 건조기는 물론, 오븐, 쿠커, 냉장고, 냉동고 등도 포함된다. 작업대에서 시스템(1100)은 세절기, 선풍기, 복사기,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가구(1325)에 1차코일(1400)을 설치하고 작업대의 기기와 연결된 2차코일(1500)과 1차코일이 유도결합을 할 수도 있다. 이런 1차코일이 설치된 가구로는 의자, 식탁, 작업대, 파티션, 식기장 등이 있다.
작업대 윗면(1326)에 설치된 1차코일(1400)과 정렬되는 2차코일(1500)을 내장한 기기로는 탁상등, 조명기기, 선풍기, 무선전화기, 스피커, 스피커폰, 회의용 전화기, 전자펜, 전자 스테이플러, 디스플레이 기기, VDU, 프로젝터, TV, 비디오, 오디오장치, 컴퓨터, 계산기, 스캐너, 프린터, 팩스머신, 복사기, 세절기, 가열판, 전기가열 머그, 휴대폰 등이 있다.
욕실에서 사용되는 개인위생을 위한 전기기기도 많은데, 예를 들면, 면도기, 칫솔, 헤어드라이어, 헤어컬러 등이 있으며, 욕실에서 사용되는 다른 전기기기로는 히터와 전등이 있다. 그러나, 물과 전기는 절대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욕실에서의 감전은 아주 위험하며, 전등스위치는 대부분 욕실 바깥에 위치한다. 이런 문제는 1회용 건전지나 충전식 배터리로 작동되는 전기기기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1회용 건전지는 고가이고 환경파괴를 한다.
욕실의 벽면은 세라믹 타일로 덮이고 세면기와 그 주변은 천연이나 인조 대리석,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아크릴 등으로 만들어 청소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전을 위해, 욕실내 전기소켓은 보통 방수커버로 덮인다. 전력콘센트 소켓은 플러그를 꽂는 구멍이 있어서 작업면보다 청소하기가 쉽지 않으며, 스위치는 단락이나 마모나 감전방지를 위해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유도결합으로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면, 욕실내의 감전의 위험이 최소화되어 욕실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2a의 오디오기기와 같은 전기기기(2010)는 콘센트의 소켓에 플러그를 꽂는 방식이 아니라, 바닥(2014)에 2차코일(2012)을 내장한 것이다. 이 전기기기(2010)는 세면대 주변의 표면(2016)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데, 표면에는 1차코일(2018)이 설치되고, 2차코일(2012)이 1차코일(2018)과 정렬된다. 1차코일(2018)은 드라이버(2017)를 통해 전원(2019)에 유선연결되고, 드라이버는 1차코일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회로를 제공한다. 전자회로에는 고주파 발진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가 있다.
오디오기기 외에도, 헤어드라이어, 면도기, 히터, 헤어컬러, 수염다듬이, TV, 라디오, 체중기와 같은 다른 전기기기도 사용할 수 있다. 세면기나 벽면 타일과 같은 욕실내 표면층(2015 뒤에 1차코일을 숨길 수도 있다. 1차코일은 욕실장의 문이나 벽안에 숨길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러그, 카펫, 리놀륨, 타일 등의 바닥면 뒤에 1차코일을 숨기고, 전선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심지어는 1차코일이 세라믹이나 아크릴로 된 세면기나 욕조 안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2b의 전기기기(2210)의 2차코일(2212)는 전선(2211)을 통해 연결되고, 진공흡착기(2213)을 이용해 2차코일(2212)이 표면(2026)에 부착되며, 그 밑에 1차코일(2218)이 위치한다. 1차코일(2218)은 드라이버(2217)를 통해 전원(2219)에 연결된다. 욕실 표면은 청소가 쉽도록 매끄러운 것이 좋다. 이런 특징 때문에 경량 물체를 욕실 표면(2216)에 임시로 붙이는데 흡착기(2213)를 이용할 수 있다. 흡착기(2213)를 2차코일(2212) 부근에 배치하여, 1차코일(2218) 위에 2차코일(2212)을 부착한다.
도 12c에서는 샤워기의 물줄기가 어쩌다 전구(2310)를 향하고 있고, 전구에 불이 들어왔으면 이때 감전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욕실내 전구는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구(2310)가 유전체(2304)에 의해 전원(2302)에서 완전히 절연되어 있고, 2차코일(2312)을 갖추고 있다. 1차코일(2318)은 방수 석고보드(2320) 안에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욕실내 안전대책이 마련된다.
도 12d에 도시된 욕실장(2405)의 서랍(2400) 안에 1차코일(2418)이 설치된다. 심지어는 서랍 바닥(2404)을 대형의 직사각형 1차코일(2418)로 덮고, 1차코일을 전원에 연결할 수도 있다. 전동칫솔(2424), 헤어드라이어(2426), 면도기(2428)과 같은 충전식 전기기기에 2차코일을 설치하고 이들을 서랍(2400) 안에 두기만해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e에서는 전용 스탠드(2500)에 1차코일(2518)이 설치되고, 이를 이용해 전기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를 칫솔홀더로 사용하여 2차코일(2512)을 내장한 전동칫솔(2524)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2f에서는 욕실용 체중계(2600)에 2차코일(2612)을 설치하고, 바닥(2620)에 내장된 1차코일(2618) 위에 놓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의 청소를 어렵게 하고 감전의 위험을 초래하는 기존의 전력콘센트 소켓을 없앨 수 있다.
냉장고, 냉동고, 스토브, 식기세척기와 같은 기기는 전력이 많이 필요한 대형장치로서, 소켓에 플러그를 끼워야 하는 것이고 움직이기가 힘들며, 하부 부분을 청소하기도 힘들다. 이런 기기는 보통 도전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에그비터, 제빵기, 믹서, 주서, 녹즙기, 음식물처리기, 전동칼, 토스터, 살균기, 팝콘메이커, 자석교반기, 와플메이커, 전기 바베큐그릴, 슬로우쿠커, 가열판, 튀김기, 프라이팬, 칼갈이, 전동식 깡통따개 등등의 주방기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 식기장에 보관된다. 이런 기기는 개수대나 조리대나 식탁을 포함한 모든 작업면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주방에서는 이런 작업면 위에 2구짜리 소켓을 설치하고, 이곳에 플러그를 꽂아 주방기기를 사용하곤 했다.
음식을 조리하는 주방은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벽면에는 타일을 붙이고 조리대는 연마석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포미카를 깔아 청소하기 쉽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기존의 전원소켓은 구멍이 있어서 이런 작업면보다 청소하기가 어렵고, 단락이나 마모나 감전방지를 위해 스위치는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주기적으로 물을 채워야 하는 주전자는 안전을 위해 전원과의 연결을 끊어야만 하고, 제대로 설계된 주방이라면 소켓이 싱크대 가까이 있지 않고 주전자의 전선은 보통 짧다. 플러그 달린 전선이 싱크대에 닿으면 위험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주전자의 전선은 보통 접속점에서 연결을 끊는다. 그러나 이런 접속점이 물에 젖으면, 단락이 일어나 퓨즈가 끊어질 위험이 있어 불편을 초래하며, 심지어는 감전이 될 위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1회용이나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해 이 문제를 풀 수 있지만, 1회용 배터리는 비싸고 환경에도 유해하다. 또, 이런 배터리는 특히 고전력이 요구되는 전기주전자나 튀김기에 사용할 때는 작동 도중에 전력이 완전히 소비될 위험도 있다.
도 13a의 전기기기(3120)는 토스터로서, 종래와 같이 소켓에 플러그를 꽂지 않고, 기기 바닥(3122)에 2차코일(3124)를 설치한다. 1차코일(3144)을 설치한 작업면(3140) 위에 전기기기(3120)를 놓으면 2차코일(3124)과 1차코일(3144)이 정렬된다. 여기서는 토스터를 예로 들었지만, 에그비터, 제빵기 등등의 전술한 어떤 기기도 이용할 수 있다.
1차코일(3144)은 드라이버(3180)를 통해 전원(3160)에 유선연결되고, 드라이버는 1차코일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회로를 제공한다. 전자회로에는 고주파 발진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가 있다.
1차코일(3144)를 주방조리대의 표면층(3142) 밑에 숨길 수도 있다. 표면층은 플라스틱, 비닐, 포미카, 베니어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러그나, 카펫이나, 리놀륨이나 바닥타일 등의 밑에 1차코일을 숨기고 바닥 위에 가전기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인조대리석, Corian®이나 Caesar®과 같은 빌딩 표면재로서의 폴리머 매트릭스 복합체인 수지 안에 1차코일을 설치할 수도 있다. Caesar 스톤은 세면대나 개수대로 만들 수 있다. 1차코일을 표면 밑에 설치하려면 뒷쪽에서 구멍을 뚫어야 하는 자연석과는 달리, Caesar 스톤과 같은 복합재는 유도코일이나 연결선과 같은 금속물체 둘레에 주조할 수 있다.
도 13b의 전기기기(3120)는 2차코일(3124)가 전선(3126)에 연결되어 있는 토스터이고, 진공흡착기(3128)를 이용해 2차코일(3124)이 1차코일(3144) 위의 작업면(3140)에 부착된다. 도 13a와 마찬가지로, 1차코일(3144)은 조리대와 같은 작업면(3140) 안에 설치된다. 1차코일이 건물의 벽면이나 벽장 안에 설치될 수도 있다.
주방의 표면은 청소하기 쉽도록 매끄러운 것이 좋다. 이 경우 흡착기를 사용해 전등을 주방 표면에 일시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2차코일을 1차코일 위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흡착기(3129)는 여러개일 수도 있다.
도 13a~b의 기기에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켓과 플러그를 이용해 유선으로 전원에 연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3c의 신축코드(3123)은 기기(3120c)의 베이스(3122) 안에 감길 수 있다. 도 13a~b의 기기(3120a,b)에도 적용될 수 있는 축전기(3125)를 이용해, 유도결합이나 도전 전력공급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기기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기기를 휴대형으로 만들어 어떤 작업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는 납축전지는 높은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고, 충전식 배터리는 휴대폰이나 랩탑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기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십초에서 2~3시간 동안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패시터나 전기화학 축전기를 포함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처리기, 토스터, 전기주전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3d의 보관소(3000)는 바닥에 1차코일(3121)이 설치된 서랍이나 식기장 같은 것으로, 도 13c의 축전기(3125)가 달린 기기를 저장했다가 꺼내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곳에서는 축전기(3125)를 필요할 때 완전히 충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장치에서, 전력 콘센트는 대개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움직일 수도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력콘센트(4100)는 컴퓨터(4182)와 같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표면층(4140)의 뒷면(4142) 가까이 있는 1차코일(4120)은 이동기구(4160)에 고정되고 컴퓨터(4182)에 유선연결된 2차코일(4180)과 유도결합된다. 이동기구(4160)는 표면층(4140) 뒤에서 1차코일(4120)을 움직이기 위한 것이다.
1차코일(4120)은 1차코일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회로, 예컨대 고주파 발진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컨트롤러(도시 안됨)를 통해 전원에 유선연결된다. 콘센트(4100)를 벽면이나 벽장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1차코일(4120)은 벽지나 벽판의 표면층(4140) 뒤에서 움직일 것이다. 콘센트(4100)를 책상이나 조리대나 회의용 탁자나 작업대와 같은 수평 플랫폼의 표면층 뒤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1차코일(4120)이 러그나 카펫이나 리놀륨이나 바닥타일과 같은 바닥면 밑에서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도 14b에 의하면, 표면층(4120)과 바닥층(4162) 사이에 배치된 1차코일(4120)이 롤러(4163)가 달린 운반대(4161)에 고정되어 바닥층(4162) 위를 움직인다. 철이나 강철이나 영구자석과 같은 자석(4166)이 운반대(4161)에 부착되어, 표면층(4140)의 윗면(4144)에 배치된 자석(4168)에 의해 당겨진다. 자석(4168)이 움직이면 자석(4166)을 당겨, 1차코일(4120)도 움직이므로, 필요한 곳에 1차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롤러(4163) 대신에 바퀴나 스키나 부양 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Teflon과 같은 저마찰재를 표면에 바르면 이동기구(4160)가 움직이는데 도움이 된다.
도 15a의 다른 이동기구(5160)에서는 1차코일(5120)이 레일(5162)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일(5162)은 벽(5140)의 걸레받이(5141) 뒤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1차코일(5120)은 레일(5162)을 따라 움직인다. 전술한 것처럼, 1차코일을 자석을 이용해 수동으로 당기거나, 전동 바퀴(5164)를 달아 레일(5162)에서 자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레일(5162)은 곡선일 수도 있는데, 심지어는 도 15b와 같이 벽(5140)의 표면 전체에 걸쳐 뱀처럼 앞뒤로 구불구불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수의 1차코일(5120b)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같이 움직이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5c에서는, 1차코일(5120)이 설치된 이동기구(5160c)이레일(5162)에서 미끄러지는데, 이 레일은 한쌍의 지지궤도(5164)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배치되어 지지궤도를 타고 움직일 수 있다. 레일과 지지궤도가 H-프레임(5165)을 형성한다. 따라서, 1차코일(5120)이 표면층(5140) 뒤에서 움직일 수 있다.
벽과 같은 수직 표면층(5140) 뒤에서 이동기구(5160)가 수직으로 위치할 경우, 지지궤도(5164)를 풀리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런 풀리는 레일(5163)을 지지하면서 수동으로나 자동으로 레일을 승강시킨다. 한편, 벽의 폭을 가로질러 고정된 갠트리빔을 따라 수평으로 움직이는 크롤리에 설치된 풀리에 1차코일(5120)이 달려있을 수도 있다.
또, 도 15d와 같이 4개의 안내케이블(5162a-d)에 1차코일(5120)을 고정한 운반기구(5160)도 있다. 안내케이블의 길이는 풀리(5164a-d)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풀리는 사각형(5166)의 4 모서리에 위치한다. 1차코일(5120)은 풀리(5164)에 의해 사각형(5166)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1차코일(5120)을 조작하는데 3개 이상의 풀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개나 한개의 풀리만을 사용해 1차코일을 직선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도 16a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차코일(6120)이 표면층(6140)의 뒷면(6142) 가까이 위치하고 표면층의 앞면(6142) 위에 있는 2차코일(6180)과 유도결합한다. 2차코일(6180)은 전등(6184)과 같은 전기기구에 유선연결된다.
1차코일(6120)과 2차코일(6180) 사이의 유도결합을 최대화하려면, 간격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1차코일(6120)을 표면층(6140)의 뒷면(6142)에 타이트하게 압착하는 것이 좋고, 이를 위해 압축스프링(6122)으로 1차코일(6120)을 뒷면(6142)에 밀어준다. 한편, 뒷면(6142)에 홈(6146)을 파고, 이곳에 1차코일을 설치하면 1차코일과 2차코일 사이의 간격을 더 줄일 수 있다.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속안내코어(6124)를 1차코일(6120)과 표면층(6140) 내부의 2차코일(6180)에도 설치하면, 유도결합을 더 좋게할 수 있다.
그러나, 뒷면(6142)에 1차코일(6120)을 누르면 마찰이 커져 1차코일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때문에, 뒷면(6142)에서 1차코일(6120)을 분리하는 분리기(613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운반대(6126)에 고정된 지점(P)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레버(6132)의 한쪽 단부에 1차코일(6120)을 부착하고, 레버의 타단부에는 표면층(6140)의 뒷면(6142) 가까이로 영구자석(6134)을 부착한다.
도 16b의 분리기(6130)에서는, 표면층(6140)의 앞면(6144)에 있는 두번째 자석(6136)이 첫번째 자석(6134) 가까이 배치된다. 첫번째 자석(6134)이 두번째 자석(6136)에 의해 뒷면(6142)쪽으로 당겨지면, 레버(6132)가 움직이면서 스프링(6122)을 누르고 1차코일(6120)이 뒷면(6142)에서 떨어진다. 운반대(6126)는 자유롭게 1차코일(6120)을 새 위치로 옮길 수 있다. 이들 자석(6134,6136)이 도 14b와 같은 이동기구(6160)를 제공하기도 한다.
자동화를 위해, 분리기(6130)에서 표면층(6140) 뒷쪽의 운반대(6126)에 전자석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전자석은 뒷면(6142)에서 1차코일(6120)을 분리하여 전술한 자석(6134,6136)의 기능을 하는데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유도전력 콘센트는 플러그 핀을 꽂을 구멍이 필요 없어서, 기존의 콘센트보다 효과적이고 방해물도 되지 않는다. 소켓이 없는 콘센트는 방해물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이지만, 기존의 것에 비해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고 새로이 해결해야할 문제점이다. 사용자는 사용하기 전에 감춰진 콘센트가 어디있는지 찾아야 한다.
이런 콘센트를 찾는 문제는 책상이나 벽면 안에 가려져있거나 이동기구에 설치되었을 때 특히 문제가 된다. 전력콘센트를 궤도나 아암에 설치하고, 이들을 가린 표면에 위치를 표시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라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전력 콘센트(7100)를 보여주는데, 이 콘센트(7100)에서 벽면이나 작업면과 같은 표면(7140)에 디스플레이(7110)를 설치하여, 표면(7140)에 가려진 1차코일(7120)의 위치를 나타낸다.
1차코일(7120)은 1차코일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회로, 예컨대 고주파 발진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컨트롤러(도시 안됨)를 통해 전원에 유선연결된다. 이런 1차코일(7120)은 벽면이나 벽장 안에 가려지거나, 벽지의 표면(7140)에 가려지거나, 책상이나 조리대나 작업대와 같은 수평면 뒤에 가려지거나, 러그나 카펫이나 리놀륨이나 바닥타일 밑에 가려질 수 있다.
도 17b와 같이, 1차코일(7120)의 위치가 알려지면, 2차코일(7180)을 1차코일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정렬된 1차코일(7120)은 2차코일과 유도결합하여, 컴퓨터(7182)와 같이 2차코일에 유선연결된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숨겨진 1차코일(7120)의 위치가 표면(714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7110)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1차코일(7120)의 위치(7114)가 표시된 표면(7140)의 지도(7112)가 디스플레이(7110)에 나타난다.
도 17c에서는, 본 발명의 콘센트(7101)의 1차코일(7121)이 H-프레임(7161)에 설치되어, 벽 뒤에 가려져있다. 1차코일(7121)은 제어반(7111)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고, 제어반에 나타난 지도(7123)상의 마커(7125)의 위치가 1차코일(7121)의 위치이다.
제어반(7111)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마커(7125)는 커서로서 움직일 것이다. 마커(7125)는 1차코일(7121)의 위치를 나타내면서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반(7111)이 이동식 기계적 스위치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스위치의 위치가 1차코일(7121)의 위치를 표시한다. H-프레임(7161)을 예로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이동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8a의 다른 전력콘센트(8100)의 숨겨진 1차코일(8120)은 송신기로서 LED(8110)를 달고있어, 1차코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빔(L)을 LED에서 낸다. 표면(8140)은 LED에서 나오는 파장을 투과시키므로, 위치빔(L)은 이 파장에 반응하는 광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된다. 0.8mm 두께의 포미카 시트 뒷쪽의 LED에서 나온 적외선은 현대의 많은 휴대폰(8200)에 설치된 디지탈카메라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플라스틱, 카드보드, 포미카, 종이와 같은 많은 재료로 된 박막(8140)은 적외선을 투과한다. LED(8110)에서 나오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 영역의 빛은 인간의 눈에는 안보이지만, 디지탈카메라에는 쉽게 감지되고, 이런 적외선 LED를 1차코일(8120)에 설치하면, 카메라가 달린 휴대폰으로 1차코일(812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박막(8140)의 두께와 LED의 파장을 투과하는 재질을 선택한다면 육안으로도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외선, 마이크로파, 무선파는 물론 X선이나 더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도 감지할 수 있는 디텍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아주 많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류의 방사선이나 가청범위나 이를 벗어난 초음파와 같은 기계적 진동을 포함한 다른 종류의 신호를 보내는 송신기를 사용해 1차코일을 찾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b는 다른 전력콘센트(8101)의 블록도이다. 1차코일(8121)은 자체 위치를 식별하는 암화 위치신호(S)를 띠는 위치빔(L)을 송신한다. 이동식 1차코일(8121)은 스위치(8114)와 마이크로컨트롤러(8116)를 통해 전원(8112)에 연결된다. 스위치(8114)는 비트율 주파수(f)로 전원(8112)을 1차코일(8121)에 단속적으로 연결한다. 위치확인 모니터(8118)는 1차코일(8121)의 위치를 모니터하고 위치신호(S)를 마이크로컨트롤러(8116)에 보낸다. 마이크로컨트롤러(8116)는 이 위치신호(S)를 변조한다. 1차코일(8121)에 걸린 전압은 위치신호(S)를 띤 주파수 f의 변조된 가변전압이고, 이 전압은 주파수 f의 무선파를 내며, 이 무선파가 위치빔(L)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위치빔(L)이 1차코일(8121)과는 별도의 전용 송신기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수신기(8221)가 달린 수신장치(8201)를 이용할 수 있다. 수신기(8221)는 주파수 f의 위치빔(L)을 받으며, 수신된 위치빔(L)은 주파수 f의 기준신호와 상관되어 위치신호(S)를 분리한다. 1차코일(8121)의 위치가 이렇게 원격 수신장치(8201)로 전송되어, 1차코일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게 된다.
이상 디지탈 비트율 변조 위치빔(L)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런 위치빔(L)은 아날로그/디지탈 주파수변조나 진폭변조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변조될 수도 있다.
위치확인 모니터(8118)는 몇몇 기준점에서 1차코일(8121)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1차코일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감시할 수도 있다. 적외선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자기 센서(예; 홀센서), 유도센서, 용량센서 등의 다른 외부센서를 이용해 삼각측량법으로 1차코일(8121)의 움직임을 간접적으로 감시할 수도 있다.
하이파워 유도전력 콘센트가 작동되면 큰 자기장을 일으킨다. 2차인덕터가 1차인덕터에 유도결합되는 곳에 생긴 자속결합에 의해 2차인덕터에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을 받을 2차인덕터가 없으면, 발진 자기장에 의해 고에너지 전자기파가 전송되는데, 이 전자기파는 주변 사람들에게 유해하다. 또, 저전력 장치에서는 과잉 열이 쉽게 분산되지만, 결합되지 않은 고전력 1차코일이나 그 주변은 고온으로 위험해진다.
도 19는 온/오프 스위칭되는 유도전력 콘센트(9200)의 전력누설 방지시스템(900)의 블록도로서, 2차코일(9260)이 1차코일(9220)에서 에너지를 받을 수 있는 곳에서만 1차코일이 교류자기장을 일으킨다.
유도전력 콘센트(9200)의 1차코일(9220)은 전원(9240)에 유선연결되고, 전기부하(9264)에 유선연결된 2차코일(9260)과 유도결합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중요 특징은, 회로차단기(9280)가 전원과 1차코일(9220)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작동되었을 때 전원과 1차코일의 연결을 끊는데 있다.
1차코일(9220)은 드라이버(9230)를 통해 전원(9240)에 유선연결되고, 드라이버는 고주파 발진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치와 같은 회로를 제공한다. 콘센트(9200)의 1차코일(9220)이 다수이면, 드라이버(9230)는 어느 1차코일을 작동시킬지 선택하는 셀렉터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차단기(9280)가 드라이버(9230)와 1차코일(9220) 사이에 배치되면, 회로차단기는 1차코일(9220)의 연결만을 끊는다. 한편, 회로차단기가 전원(9240)과 드라이버(9230) 사이에 연결될 경우에는 1차코일(9220)과 함께 드라이버(9230) 자체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회로차단기(9280)는 컨트롤러(9400)의 제어를 받고, 컨트롤러는 1차코일(9220)이 전력을 전송함을 나타내는 1차신호(P)와, 2차코일(9260)이 1차코일(9220)에 유도결합되어 전력을 받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S)를 받는다. 컨트롤러(9400)가 1차신(P)만 받고 2차신호(S)를 받지 않았을 때는 회로차단기(9280)를 작동시켜 1차코일(9220)과 전원(9240)의 연결을 끊는다.
도 20은 유도전력 콘센트(9201)를 국부 누설방지시스템(9001)로 보호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0a의 1차코일(9221)은 책상, 조리대, 회의테이블, 작업대와 같은 수평 플랫폼(9641)의 표면층 뒤에 숨겨져 있다. 이런 플랫폼은 운모, 포미카, 베니어판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바와 마찬가지로, 1차코일(9221)이 바닥면 밑이나, 벽면이나 벽장 뒤에 숨겨질 수도 있다.
1차코일(9221)은 2차코일(9261)에 연결된 컴퓨터(9262)와 같은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데; 컴퓨터(9262)는 플랫폼(9641) 위에 있고, 컴퓨터(9262)에 결합된 2차코일(9261)이 플랫폼 안에 숨겨진 1차코일(9221)과 정렬된다.
본 발명에서, 1차디텍터(9421)이 1차코일(9221) 부근에 위치하면서 1차코일(9221)에서 생긴 자기장을 감지한다. 디텍터(9421)는 자기센서이거나 열센서, 전자기센서일 수 있다.
2차코일(9261)의 존재나 동작을 감지하는 2차디텍터(9441)를 설치할 수도 있다. 2차디텍터(9441)는 2차코일(9261)의 신호나 1차코일의 신호를 감지하거나 1차코일과 유도결합된 2차코일의 존재를 직간접적으로 표시하는 신호를 감지하기도 한다. 2차디텍터는 1차코일(9221) 주변에서 플랫폼의 온도상승을 감지하는 열센서이거나, 자기센서, 홀센서, 전자기센서일 수 있다.
도 20a의 구성에서, 2차코일(9261)이 1차코일(9221)에 유도결합되면, 2kczh일(9261)이 1차코일(9221)로부터 전력을 받아, 전기기기(9262)가 작동된다. 그 결과, 1차디텍터(9421)은 1차코일에서 생긴 자기장을 감지하여, 전력이 전송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1차신호(P)를 컨트롤러(9401)에 보낸다. 전기기기에 전력이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온도를 감지하는 2차디텍터(9441)는 아무런 온도상승을 감지하지 못하고, 전기부하가 1차코일에 유도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S)를 컨트롤러(9401)에 보내거나, 컨트롤러(9401)의 논리프로그램에 따라 같은 표시를 하기도 한다.
컨트롤러(9401)가 1차코일(9221)에 전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1차신호(P)와, 전기부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2차신호(S)를받으면, 회로차단기(9281)는 작동하지 않은채 1차코일(9221)이 계속해서 전원(9241)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한다.
2차코일(9261)이 1차코일(9221)에 유도결합되지 않으면(도 20b 참조), 1차코일(9221)에서 전송된 전력이 플랫폼(9641)에서 열로 분산된다. 이 경우 1차디텍터(9421)가 1차코일(9221)에서 생긴 자기장을 감지하고, 전력이 1차코일에 의해 전송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1차신호(P)를 컨트롤러(9401)에 보낸다. 그러나, 2차디텍터(9441)는 플랫폼에 생긴 열로 인한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전기부하가 1차코일에 유도결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S)를 보낸다. 컨트롤러(9401)는 전력이 발생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1차신호(P)와, 전기부하가 없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S)를 받아, 회로차단기(9281)를 작동시키므로, 1차코일과 전원의 연결이 끊어지고 1차코일에서의 전력전송이 차단된다.
도 21에서는 다수의 유도전력 콘센트(9203)가 원격 누설방지시스템(9003)의 보호를 받는다. 1차코일(9223)은 벽(9643) 안에 설치되고 드라이버(9233)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부근의 전등과 같은 전기기기에 유선연결된 2차코일(9263)과 유도결합하도록 배치된다.
1차코일(9223)이 작동되면, 드라이버(9233)가 특성주파수 f로진동하는 가변전압을 공급하고, 1차코일은 f의 무선파를 송신한다. 원격 누설방지시스템(9003)은 벽(9643) 안에 무선수신기(9423)과 같은 1차디텍터를 구비하는데, 1차디텍터는 특성주파수 f의 무선파를 감지하고, 이런 무선파는 적어도 하나의 1차코일(9223)이 전력을 전송함을 나타낸다.
2차디텍터(9443)는 1차코일(9223)에 유도결합된 2차코일(9263)을 감지한다. 2차코일이 1차코일에 유도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에 의해 전력전송이 변조된다.
1차디텍터(9423)는 2차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파를 복조한다. 2차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1차디텍터(9423)는 2차코일이 없는 상태에서 1차코일이 전력을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제어신호(C)를 컨트롤러(9500)에 보낸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회로차단기를 작동시켜 모든 1차코일(9223)의 연결을 끊는다.
한편, 드라이버(9233)는 무선파를 전송하는 가동 1차코일(9223a-h)을 식별하는 1차신호로 각각의 가동 1차코일의 전력전송을 일으키는 변조기(도시 안됨)를 갖출 수도 있다. 이때, 1차디텍터(9423)는 1차신호를 감지하여, 2차코일이 없는 상태에서 전력을 전송하는 1차코일을 확인한다. 1차디텍터(9423)는 이를 컨트롤러(9500)에 보내 해당 1차코일만의 연결을 끊는다.
본 발명의 유도전력 콘센트가 전기부하 없이는 전력전송을 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a) 1차코일이 전력전송;
b) 1차코일의 전력전송 감지;
c) 2차코일이 1차코일에 유도결합된 2차코일 조사; 및
d) 2차코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1차코일과 전원의 연결 끊음.

Claims (21)

  1. 유도전력 콘센트에서 유도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력 콘센트는 넓은 표면의 뒷면에 위치한 1차인덕터를 구비하고, 발진전압을 공급받기 위해 구동회로를 통해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1차인덕터는 유도전력 수신기와 유도결합하고;
    상기 유도전력 수신기는 2차인덕터를 구비하며;
    1차인덕터를 움직이고,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으며, 모터로 작동되는 이동기구가 상기 넓은 표면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가 상기 넓은 표면의 뒷면에서 1차인덕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인덕터가 불투명층 뒤에 가려져 있고; 1차인덕터의 위치가 표시기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가 1차인덕터의 위치를 나타낸 상기 표면의 지도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가 불투명층의 정면에서의 감지를 위해 불투명층을 투과하는 강도를 갖는 방사선 방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인덕터의 위치가 위치신호로 암호화되고, 이 위치신호는 상기 방사선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부하가 없을 때 상기 1차인덕터가 전력을 전송하지 못하게 하는 보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장치는 1차인덕터와 전원의 연결을 끊는 회로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a. 상기 1차인덕터에 의해 전송된 전력을 감지하기 위한 1차디텍터;
    b. 상기 1차인덕터에 2차인덕터가 유도결합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2차디텍터; 및
    c. 상기 1차디텍터와 2차디텍터 둘다와 연결되어 회로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도전력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디텍터가 자기센서, 열센서, 전자기센서 또는 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인덕터가 특성주파수 f의 방사선을 내고, 1차디텍터는 이 방사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인덕터가 1차인덕터에 유도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2차신호로 상기 방사선을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디텍터는 상기 방사선을 복조하여 2차신호를 분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인덕터를 확인하는 1차신호로 상기 방사선을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력 공급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07010227A 2007-10-09 2008-10-12 이동식 콘센트가 달린 유도전력 공급장치 KR101524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063607P 2007-10-09 2007-10-09
US60/960,636 2007-10-09
US110607P 2007-10-31 2007-10-31
US60/001,106 2007-10-31
US99646007P 2007-11-19 2007-11-19
US60/996,460 2007-11-19
US99659207P 2007-11-27 2007-11-27
US60/996,592 2007-11-27
US99692207P 2007-12-11 2007-12-11
US60/996,922 2007-12-11
US603707P 2007-12-17 2007-12-17
US61/006,037 2007-12-17
US831907P 2007-12-20 2007-12-20
US61/008,319 2007-12-20
US613207P 2007-12-26 2007-12-26
US61/006,132 2007-12-26
US623808P 2008-01-02 2008-01-02
US61/006,238 2008-01-02
PCT/IL2008/001347 WO2009047768A2 (en) 2007-10-09 2008-10-12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20A Division KR20100087712A (ko) 2007-10-09 2008-10-12 유도전력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08A KR20100082008A (ko) 2010-07-15
KR101524892B1 true KR101524892B1 (ko) 2015-06-01

Family

ID=40549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27A KR101524892B1 (ko) 2007-10-09 2008-10-12 이동식 콘센트가 달린 유도전력 공급장치
KR1020107010220A KR20100087712A (ko) 2007-10-09 2008-10-12 유도전력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20A KR20100087712A (ko) 2007-10-09 2008-10-12 유도전력 공급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206129A4 (ko)
JP (2) JP2011501633A (ko)
KR (2) KR101524892B1 (ko)
CN (1) CN102017031A (ko)
AU (2) AU2008309154A1 (ko)
CA (1) CA2702164A1 (ko)
MX (1) MX2010003837A (ko)
WO (1) WO200904776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133A (ko) * 2015-05-22 2018-01-31 레이-지-보이 인코포레이티드 가구 물품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9577B2 (en) 2007-01-29 2014-01-14 Powermat Technologies, Ltd Pinless power coupling
ES2894931T3 (es) 2007-03-22 2022-02-16 Powermat Tech Ltd Monitor de eficiencia para transmisión de energía inductiva
MX2010003273A (es) 2007-09-25 2010-05-13 Powermat Ltd Plataforma de transmision de potencia inductiva de control central.
US10068701B2 (en) 2007-09-25 2018-09-04 Powermat Technologies Ltd. Adjustable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platform
US8624750B2 (en) 2007-10-09 2014-01-0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over an extended surface
US8193769B2 (en) 2007-10-18 2012-06-05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ly chargeable audio devices
US8536737B2 (en) 2007-11-19 2013-09-1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in wet environments
JP5430046B2 (ja) * 2007-12-18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充電台
KR20100094596A (ko) 2007-12-21 2010-08-26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도 전력 전송
JP2009159675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用パネル
JP2009159683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機能付き建造物、および非接触給電アウトレット
US8421407B2 (en) 2008-02-25 2013-04-16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Inductively coupled work surfaces
US8228026B2 (en) 2008-02-25 2012-07-24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Inductively coupled shelving and storage containers
CA2718901C (en) 2008-03-17 2018-10-16 Powermat Ltd. Inductive transmission system
US9960640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US9337902B2 (en) 2008-03-17 2016-05-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US9960642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Embedded interfa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al devices
US9331750B2 (en) 2008-03-17 2016-05-03 Powermat Technologies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host control interface thereof
US8320143B2 (en) 2008-04-15 2012-11-27 Powermat Technologies, Ltd. Bridge synchronous rectifier
US9130407B2 (en) 2008-05-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US8242880B2 (en) 2008-05-29 2012-08-14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Tongue operated magnetic sensor systems and methods
CA2726552A1 (en) 2008-06-02 2009-12-10 Powermat Ltd. Appliance mounted power outlets
US8981598B2 (en) 2008-07-02 2015-03-17 Powermat Technologies Ltd. Energy efficie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8188619B2 (en) 2008-07-02 2012-05-29 Powermat Technologies Ltd Non resona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11979201B2 (en) 2008-07-02 2024-05-0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ded communication signals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s
KR20110043647A (ko) 2008-07-08 2011-04-27 파우워매트 엘티디. 디스플레이 장치
CA2738206A1 (en) 2008-09-23 2010-04-01 Powermat Ltd.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CA2748371A1 (en) 2009-01-06 2010-07-1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 power supply
US9312924B2 (en) 2009-02-10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US20100201312A1 (en) 2009-02-10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enclosures
MY158462A (en) 2009-04-08 2016-10-14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Selectable coil array
JP5642944B2 (ja) * 2009-05-29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電装置
JP5891419B2 (ja) * 2009-06-02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装置
JP5496553B2 (ja) * 2009-06-15 2014-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台
US8482160B2 (en) 2009-09-16 2013-07-09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Inductively coupled power module and circuit
BR112012011503A2 (pt) * 2009-11-16 2019-09-24 300K Entpr Pty Ltd acoplamento para uso com um aparelho operado por uma fonte de alimentação, encaixe de lâmpada, membro de suporte integrado, uso se acoplamento, método de produção de acoplamento para uso com um aparelho operado por uma fonte de alimentação, método aprimorado de instalar um aparelho operado por uma fonte de alimentação, método aprimorado de manutenção de encaixes de lâmpada ou outros aparelhos operados por uma fonte de alimentação, método para prover o controle ativado por proximidade da luminescência em pelo menos uma lâmpada, método para proporcionar controle de acionamento de luminescência por proximidade em pelo menos uma lâmpada, método para prover uma rede de controle e aquisição de dados de supervisão distribuída para controlar aparelhos remotamente, método de operação de um aparelho para indutivamente acoplar o aparelho a uma fonte de alimentação através de um acoplamento e acoplamento industrial não doméstico para uso com um utensílio industrial não doméstico operado por uma fonte de alimentação.
JP4669560B1 (ja) * 2009-12-11 2011-04-13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非接触式の情報管理・充電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非接触式の情報・電力伝送ユニット
JP2011151900A (ja) * 2010-01-19 2011-08-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537168B2 (ja) * 2010-01-19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給電機能付き面状構造物
JP2011147513A (ja) * 2010-01-19 2011-08-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機能付き什器
JP5478326B2 (ja) 2010-03-30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1163544A2 (en) * 2010-06-24 2011-12-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urface integrated circuit for power transmiss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RU2565252C2 (ru) * 2010-07-02 2015-10-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Инду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FR2962696B1 (fr) * 2010-07-16 2016-07-01 Renault Sa Charge sans contact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1050342A1 (de) * 2011-05-13 2012-11-15 Dr. Hah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aktlosen Übertra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zwischen einer Wand und einem an dieser Wand befestigten Flügel
EP2633598A2 (en) * 2010-10-28 2013-09-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electrical power supply unit and arrangement comprising a light transmissive cover and lighting system
GB201019767D0 (en) 2010-11-22 2011-01-05 Bpb Ltd Actu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2649697B1 (en) 2010-12-10 2019-08-14 Hayward Industries, Inc. Power supplies for pool and spa equipment
WO2012083522A1 (zh) * 2010-12-21 2012-06-28 海尔集团公司 无线供电墙
JP5654367B2 (ja) 2011-01-28 2015-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の給電モジュール、非接触給電装置の給電モジュールの使用方法及び非接触給電装置の給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3460554B (zh) * 2011-03-31 2017-06-2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建筑物及其施工方法
JP2013009466A (ja) * 2011-06-22 2013-01-10 Sekisui Chem Co Ltd 磁界共鳴式非接触給電装置
KR101234982B1 (ko) * 2011-07-12 2013-02-20 김완중 전력 및 통신선이 없는 dc 응용기기를 구현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유선 통신이 가능한 dc 응용기기의 직류전원공급장치
KR101238043B1 (ko) * 2011-09-02 2013-02-27 한창수 무선 충전을 이용한 회의 시스템
JP5906456B2 (ja) 2011-09-15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中継器
CN103032798B (zh) * 2011-09-29 2016-09-28 上海美迪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台灯
DE102011118564A1 (de) * 2011-11-15 2013-05-16 Grossenbacher System Ag Kontaktlose Stromversorgung und Signalübertragung durch Verkleidungselement für Gebäudeteile
JP2013118734A (ja) * 2011-12-01 2013-06-13 Panasonic Corp 非接触式電力伝送装置
TW201328104A (zh) * 2011-12-22 2013-07-01 Primax Electronics Ltd 無線充電裝置
JP2013139697A (ja) * 2012-01-05 2013-07-18 Atelier Tekuto:Kk 導電性内装仕上げ材及び電力供給装置
JP5229414B1 (ja) * 2012-05-17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JP2013243792A (ja) * 2012-05-17 2013-12-05 Sharp Corp 充電装置
JP5948676B2 (ja) * 2012-05-18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非接触給電装置、及び被給電装置
US9490649B2 (en) 2012-06-13 2016-11-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JP5999328B2 (ja) * 2012-07-12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914879B2 (ja) * 2012-10-31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可動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給電装置の制御方法
US9935499B2 (en) 2013-03-19 2018-04-03 Pioneer Corporatio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JP6119390B2 (ja) * 2013-04-11 2017-04-26 株式会社Ihi 器具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EP3028363A2 (en) * 2013-07-31 2016-06-08 Kitz Designs Pty Ltd. Display assembly
JP2015035935A (ja) * 2013-08-09 2015-02-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給電方法および建築部材
JP6219104B2 (ja) * 2013-09-19 2017-10-25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壁構造
CN103984265A (zh) * 2014-05-19 2014-08-13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双向控制器
CN106575887A (zh) * 2014-06-25 2017-04-19 Elix无线充电系统公司 无线电力传送系统的自动对准方法和设备
DE102014116767A1 (de) * 2014-11-17 2016-05-19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CN105720700A (zh) * 2014-12-22 2016-06-29 施耐德电气(澳大利亚)有限公司 电源插座中的感应功率传输系统
DK3091528T3 (da) * 2015-05-05 2020-12-07 Harman Professional Denmark Aps Støtteramme til videovæg
NL2016241B1 (en) * 2016-02-09 2017-08-15 Trespa Int Bv A decorative panel
KR102132894B1 (ko) * 2016-10-18 2020-07-10 (주)엘지하우시스 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인조대리석 제품
KR102481864B1 (ko) 2018-01-29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100845B2 (ja) * 2018-05-18 2022-07-14 株式会社レーザーシステム 電力伝送装置、及び電力伝送方法
WO2019246336A1 (en) 2018-06-20 2019-12-26 Hayward Industries, Inc. Power supplies for pool and spa equipment
CN112567592A (zh) * 2018-08-21 2021-03-26 三菱电机株式会社 非接触供电系统、非接触供电用的受电设备以及基于非接触供电用的受电设备的启动信号发送方法
JP7213538B2 (ja) * 2019-03-05 2023-01-27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無線電力伝送シート
IT201900016508A1 (it) * 2019-09-17 2021-03-17 Luce 5 S R L Sistema ad induzione elettromagnetica per l'accensione di un elemento luminoso
DE102019129185A1 (de) * 2019-10-29 2021-04-29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Wand-, Boden-, Deckenflächenelement und Belag
DE102020100075A1 (de) * 2020-01-03 2021-07-08 PUK Group GmbH & Co. KG Versorgungseinrichtung, Energieversorgungssystem sowie Verfahren zur elektrischen Energieversorgung
WO2023218131A1 (en) * 2022-05-13 2023-11-16 T. Morimoto Oy Building board system
EP4312347A1 (en) * 2022-07-27 2024-01-31 Smart Electric Works Co.,Ltd. Magnetic traction moveable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211A (ja) * 1996-02-02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US20070182367A1 (en) * 2006-01-31 2007-08-09 Afshin Partovi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JP2008109762A (ja) * 2006-10-24 2008-05-08 Olympus Imaging Corp 電力伝送装置
JP2009081946A (ja) * 2007-09-26 2009-04-16 Seiko Epson Corp 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6242A (ja) * 1990-10-17 1992-05-28 Sekisui Chem Co Ltd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US5221877A (en) * 1992-03-10 1993-06-22 Davis Controls Corporation Power reduction control for inductive lighting installation
AU8006494A (en) * 1993-10-21 1995-05-08 John Talbot Boys A flux concentrator for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CN2175481Y (zh) * 1993-11-13 1994-08-24 孙文耀 无空耗变压器
US5530435A (en) * 1993-12-09 1996-06-25 Steelcase Inc. Utility distribution system for modular furniture and the like
JPH0736556U (ja) * 1993-12-13 1995-07-04 株式会社ユー・アール・ディー 無結線電力授受装置
US5486394A (en) * 1994-08-26 1996-01-23 E-Z Taping System, Inc. Self-release self-adhesive drywall tape
JP3624453B2 (ja) * 1995-03-24 2005-03-02 松下電工株式会社 分電盤
US6870475B2 (en) * 2002-07-08 2005-03-22 Draeger Medical Systems Inc. Electrically isolated power and data coupling system suitable for portable and other equipment
JP2005110412A (ja) *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6102055A (ja) * 2004-10-04 2006-04-20 Cleanup Corp コードレス電源装置
US7262700B2 (en) * 2005-03-10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Inductive powering surface for powering portable devices
US20080116847A1 (en) * 2006-09-01 2008-05-22 Bio Aim Technologies Holding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JP2010508008A (ja) * 2006-10-26 2010-03-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床の敷物及び誘導電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211A (ja) * 1996-02-02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US20070182367A1 (en) * 2006-01-31 2007-08-09 Afshin Partovi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JP2008109762A (ja) * 2006-10-24 2008-05-08 Olympus Imaging Corp 電力伝送装置
JP2009081946A (ja) * 2007-09-26 2009-04-16 Seiko Epson Corp 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133A (ko) * 2015-05-22 2018-01-31 레이-지-보이 인코포레이티드 가구 물품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92209B1 (ko) 2015-05-22 2020-03-24 레이-지-보이 인코포레이티드 가구 물품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7768A2 (en) 2009-04-16
WO2009047768A3 (en) 2010-03-11
EP2206129A4 (en) 2016-03-09
EP2206129A2 (en) 2010-07-14
KR20100087712A (ko) 2010-08-05
MX2010003837A (es) 2011-08-26
AU2008309154A1 (en) 2009-04-16
CA2702164A1 (en) 2009-04-16
JP2011501633A (ja) 2011-01-06
JP5660434B2 (ja) 2015-01-28
CN102017031A (zh) 2011-04-13
JP2011030418A (ja) 2011-02-10
AU2010202026A1 (en) 2010-06-10
KR20100082008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892B1 (ko) 이동식 콘센트가 달린 유도전력 공급장치
US8283812B2 (en)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having moving outlets
US8536737B2 (en) System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in wet environments
US11114895B2 (en) Pinless power coupling
TWI575838B (zh) 感應式烹調系統及其無線電力裝置
US3740513A (en) Improved consumer oriented combined counter and cooking unit using induction heating
KR101483809B1 (ko) 신호전달장치
US9572424B2 (en) Furniture with wireless power
US20120026724A1 (en) Furniture with wireless power
US20090251113A1 (en) Cordless power transfer
WO2012056365A2 (en) Wireless electrical power supply unit and arrangement comprising a light transmissive cover and lighting system
CA3012546A1 (en) Furniture-mounted electrical charging station
CN202613534U (zh) 一种远红外遥控电磁炉
CN105305176A (zh) 一种智能型安全插线板
CN217338275U (zh) 一种加热底座及烹饪设备
JP2019047546A (ja) 給電システム
CN202234880U (zh) 一种电烤盘发热膜防漏电保护结构
CN206582932U (zh) 一种微波炉储放支架
CN202955748U (zh) 一种语音遥控电陶炉
KR20240072464A (ko) 롤러블 전자기장 차폐장치
JP3158527U (ja) プラグの導体突起部分の受け口となるコンセント開口部形状と同形の穴をデザインとしたパネル
JPH0381990A (ja) 高周波加熱装置
CN105470737A (zh) 一种内置人体感应控制器的安全插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