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588B1 -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 Google Patents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588B1
KR101524588B1 KR1020130150223A KR20130150223A KR101524588B1 KR 101524588 B1 KR101524588 B1 KR 101524588B1 KR 1020130150223 A KR1020130150223 A KR 1020130150223A KR 20130150223 A KR20130150223 A KR 20130150223A KR 101524588 B1 KR101524588 B1 KR 10152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ow
vitrification
radioactiv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만
이병관
김천우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588B1/ko
Priority to PCT/KR2013/012382 priority patent/WO2015083886A1/ko
Priority to US15/101,564 priority patent/US9941026B2/en
Priority to CN201380081453.5A priority patent/CN105813993B/zh
Priority to JP2016557845A priority patent/JP643849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 G21F9/305Glass or glass like matri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의 유리화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화에 적합한 유리조성물로 저방사성 폐기물을 유리화시킴으로서 유리고화체 내에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는 최대한 늦추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VITRIFICATION COMPOSITIONS AND VITRIFICATION METHOD OF LOW-LEVEL RADIOACTIVE WASTES}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의 유리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인 저방사성 폐수지는 시멘트로 고화시키거나 폐기물 드럼에 담아 처리하고 있다. 시멘트 고화체보다 지하수와 접촉했을 때 고화체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이 지하수로 유출되는 속도가 훨씬 느리거나 전혀 유출되지 않는 고화체를 만들어 내는 기술이 필요하며, 처분장 건설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 개의 처분장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각국에서는 방사성폐기물을 유리 매질을 사용하여 유리화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방사성폐기물의 유리화 공정에 관한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68093호(철/인산 유리를 이용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0432450호(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등이 있으나, 고준위 폐기물에 비하여 폐기물의 종류, 발생량, 화학적 조성 등이 달라 고준위 폐기물의 유리화에 관한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음에도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에 관한 것은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유리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조성물을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에 있어서, SiO2, Al2O3, B2O3, CaO, K2O, MgO, Na2O 및 Li2O를 포함하는 저방사성 폐수지용 유리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저방사성 폐수지용 유리조성물은 MnO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성 폐수지용 유리조성물은 SiO2 30 내지 40중량%, Al2O3 6 내지 9중량%, B2O3 9 내지 13중량%, CaO 15 내지 22중량%, K2O 7 내지 9중량%, MgO 2 내지 5중량%, Na2O 4 내지 9중량% 및 Li2O 3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MnO2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저방사성 폐수지용 유리조성물은 SiO2 30 내지 40중량%, Al2O3 6 내지 9중량%, B2O3 9 내지 13중량%, CaO 15 내지 22중량%, K2O 7 내지 9중량%, MgO 2 내지 5중량%, Na2O 4 내지 9중량%, Li2O 3 내지 7중량% 및 MnO2 0.5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융로에 저방사성 폐수지와 SiO2, Al2O3, B2O3, CaO, K2O, MgO, Na2O 및 Li2O를 포함하는 유리조성물을 함께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리조성물은 MnO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조성물은 SiO2 30 내지 40중량%, Al2O3 6 내지 9중량%, B2O3 9 내지 13중량%, CaO 15 내지 22중량%, K2O 7 내지 9중량%, MgO 2 내지 5중량%, Na2O 4 내지 9중량% 및 Li2O 4.57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MnO2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저방사성 폐수지용 유리조성물은 SiO2 30 내지 40중량%, Al2O3 6 내지 9중량%, B2O3 9 내지 13중량%, CaO 15 내지 22중량%, K2O 7 내지 9중량%, MgO 2 내지 5중량%, Na2O 4 내지 9중량%, Li2O 4.57중량% 및 MnO2 0.5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화에 적합한 유리조성물로 저방사성 폐기물을 유리화시킴으로서 유리고화체 내에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늦추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실시예 2.에 의한 후보유리의 점도측정 결과.
도 2 는 실시예 2.에 의한 후보유리의 전기전도도 측정 그래프.
도 3 은 실시예 2.에 의한 후보유리 고화체 SEM 이미지.
도 4 는 유리고체화별 침출률 비교 그래프.
도 5 는 열처리(950℃/20시간) 후 유리고화체 표면 SEM 분석 이미지.
도 6 은 유도가열식 저온 용융로내 유리 및 티타늄 링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7 은 초기점화 및 유리용융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8 는 유리프릿 및 폐수지 폐기물 투입조건을 나타낸 그래프.
도 9 는 실증실험 후 배출된 폐수지 유리 고화체.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조성분석
(1) 발생현황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된 저방사성 폐수지는 연간 약 9톤으로 가연성 잡고체와 혼합하여 유리화 처리되어 왔다. 가연성 잡고체는 지속적인 발생량 감소노력으로 점차 감소되고 있는 반면 저방사성 폐수지의 발생량은 현저하게 줄어들지 않고 있어, 다량 발생되는 저방사성 폐수지를 단독으로 유리화하기 위해 신규 유리조성개발이 요구되었다. 유리조성은 저방사성 폐수지의 화학적 조성 및 농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정확한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고자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된 저방사성 폐수지를 채취하여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2) 분석방법
저방사성 폐수지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기 위해 Closed-vessel Microwave Acid Digestion System을 이용하여 시료별 용해조건을 확립한 후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저방사성 폐수지 드럼에서 약 5g 시료를 (총 4개) 채취하여 105℃에서 5시간 건조 후 질산, 염산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용출 시킨 후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Thermo Jarrell Ash, IRIS-HR)로 성분을 분석하였다.
저방사성 폐수지 실증시험에 사용되는 모의 폐수지의 경우 실폐기물과 유사한 방법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신뢰도를 높이고자 1개의 시료를 사용하여 4개의 용출액을 제조하였다. 그 중 2개의 시료는 질산과 염산으로 나머지 2개의 시료는 질산, 염산, 불산을 혼합한 산으로 Microwave Digestion System을 사용하여 용출시켰다. 사용한 장비는 ICP-AES (Spectro Ciros Vision)를 사용하였다. 화학적 성분 분석을 위하여 산으로 저방사성 폐수지를 용해시켰으나 수지 특성상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그러나 용해되지 않는 잔류 수지의 경우 수지 제조사의 화학적 조성분석표를 고려할 때(Al, Ca, Cu, Fe 등 50ppm 이하, 건조기준) 유리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학적 성분 분석방법을 요약하여 아래에 기술하였다.
ⅰ) 저방사성폐수지(실폐기물)
㉠ 시료량 : 약 5g
㉡ 용해용 산 : 70% HNO3, 37% 염산(HCl)
㉢ Microwave Digestion System 사용 전 저온가열
㉣ Microwave Digestion System 1회 사용
㉤ ICP-AES로 화학적 성분 분석
ⅱ) 모의 폐기물
㉠ 시료량 : 약 5g
㉡ 용해용 산
Figure 112013111228272-pat00001
㉢ Microwave Digestion System 사용 전 저온가열
㉣ Microwave Digestion System 1회 사용
㉤ ICP-AES로 화학적 성분 분석
(3) 분석결과
저방사성 폐수지 주요 무기물 분석결과는 표 1.에 요약하였으며, 실증시험에서 사용된 모의 폐수지와 비교하였다.
[표 1]
Figure 112013111228272-pat00002
저방사성 폐수지의 분석결과를 표준화(Normalization = 100wt%)했을 때 용융 유리의 점도와 저항을 낮추는 알칼리 토금속(Ca)과 알칼리(K)가 약 62.3wt%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처리시 용융로 바닥에 침전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이금속(Fe, Cu)이 13.8wt%, 유리의 구조를 형성하는 Glass Former(Al)가 약 7wt%로 분석되었다. 또 다른 전이금속 중 Mn의 경우 약 1.0wt%로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타 성분은 5wt% 미만으로 유리조성 및 공정에 주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 후보유리 개발(유리조성 시뮬레이션)
저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유리조성을 개발하기 위해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에 사용하는 유리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붕규산 유리를 적용하였다. 붕규산 유리(Borosilicate Glass)는 붕산을 적어도 5% 이상 함유하며, 붕소를 첨가함으로써 팽창계수가 저하하여 화학적 내성, 특히 내산성/내후성이 증대하고, 내열충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저방사성 폐수지에 적합한 유리조성을 위해 화학적 조성을 조절하여 Waste Loading 40%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화학적 조성 조절은 Glass Former인 SiO2, B2O3, Al2O3를 약 52∼55wt%로 하였으며, 전기전도도 조절을 위해 LiO2와 Na2O3를 8∼9wt%로 조절하였다. 유리조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 2.에 기술하였다.
[표 2]
Figure 112013111228272-pat00003
실험예 1. 물리/화학적 특성시험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후보유리에 관한 점도측정, 전기전도도 측정, 표면균질성, 침출특성, 액상온도, 압축강도에 관한 물리/화학적 특성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1) 점도측정
용융 유리의 점도 측정을 위하여 미국 Bookfield사의 DV-∥ Pro 점도계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계 교정은 상온에서 표준 점도물질(4,900∼103,040cp)을 사용하여 교정하였다. 전기로의 온도를 1,150℃까지 상승시킨 후 유리를 내경 28mm Alumina Crucible에 넣고 용융시키고 측정온도를 850∼1,150℃에서 50℃ 단위로 온도를 변화 시킨 후 30분간 안정화시켜 점도를 측정하였다. 스핀들은 Alumina 재질의 외경 10mm를 사용하였으며, 스핀들을 용융 유리에 넣고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토크(Torque)값을 찾아 점도로 환산하였다. 온도범위 800-1,250℃에서 측정한 점도 값을 Vogel-Fulcher-Tammann(VFT) 식(ln η=A/(T-To)+B, 여기서 A와 B, To는 fitting 인자들임)을 이용하여 지정된 구간외의 점도값을 산출하였다. 점도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용융 유리가 저온용융로 하부로 배출시 용이하지 않고 폐기물과 혼합이 어려우며, 반대로 너무 낮은 경우 유리배출 및 폐기물과의 혼합은 용이하나 금속섹터 부식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점도값은 10∼100poise를 유지하여야 한다. 측정된 결과는 도 1.에서 보듯이 저온용융로 운전온도인 1,150℃에서 점도값은 10.22poise이었으며, 배출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전기전도도 측정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해서 전기로의 온도를 1,150℃까지 상승시킨 후 유리를 내경 45mm Alumina Crucible에 넣어 용융시키고 측정온도를 850∼1,150℃에서 50℃ 단위로 온도를 변화 시킨 후 30분간 안정화시켜 측정하였다. 사용된 전극은 Pt-Rh(10%) 전극 2개를 15mm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유리용탕 10mm 깊이까지 삽입하여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는 1kHz, 10mA의 LCR meter(Agilent,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850∼1,150℃ 범위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 값을 표 3.과 도 2.에 나타냈다. 도 2.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후보유리는 1,000℃ 이상에서 0.1S/cm 이상으로 측정되어 전기전도도 기준치를 만족시켰다.
[표 3]
Figure 112013111228272-pat00004
CCIM에서 안정적으로 폐기물을 유리화하기 위해서는 공정변수 중 용융유리의점도 및 전기전도도가 각각 10-100poise와 0.1-1.0S/cm 범위를 만족시켜야 한다. 개발한 용융 유리의 점도 및 전기전도도는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시켰다. 표 4.에서 보듯이 유리화 공정이 이루어지는 1,150℃에서는 GlassForm 1.1 컴퓨터 코드로 계산한 값과 실험실적으로 실측한 값이 비교적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표 4]
Figure 112013111228272-pat00005
(3) 표면균질성
유리고화체의 표면 균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표면을 관찰하였다. 시료를 먼저 시편연마기에서 고르게 연마한 후 시료 표면에 텅스텐 필라멘트 전자총의 전자빔을 주사하여 시료 표면에서 이차전자와 후방산란전자를 검출하여 유리고화체의 표면을 이미지화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후보 유리고화체의 표면은 도 3.과 같이 균질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침출특성
ⅰ) 침출시험 방법
㉠ 유리용융
후보유리의 품질을 실험실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화학약품(raw chemical)을 사용하여 약 600g의 유리 배취(glass batch)를 만들었다. 사용한 화학약품들은 제조회사들이 제공한 순도를 기준하여 사용량이 조절되었으며 98% 이상 순도를 보유한 화학약품들이었다. 유리조성을 위해 사용한 화학약품들은 Al2O3, B2O3, CaCO3, Fe2O3 등이다. 후보유리 조성에 맞게 만들어진 화학약품 배취를 플라스틱 용기에서 골고루 섞은 후 점토 도가니(clay crucible)에 옮겨 담아 MoSi2 발열체 전기로를 이용하여 1,150℃로 가열하고 1,150℃에서 45분간 유지하였다가 꺼내어 석영봉(quartz rod)으로 용융유리를 균질하게 혼합하였고 다시 전기로에 넣어 1,150℃에서 15분 동안 용융한 다음 흑연 몰드에 부어 냉각하였다. 냉각된 유리시료는 각 시험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 PCT(Product Consistency Test)
유리고화체의 화학적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서 US DOE PCT(Product Consistency Test)는 최소 7일 또는 장기간(수백일)동안 유리고화체내 원소들의 침출거동을 기준(benchmark)유리의 침출거동과 비교하는 시험이다. 최소 7일이며, 수행한 후보유리와의 비교검토는 미국 Savannah River 연구소에서 제조한 EA (Environmental Assessment)유리를 사용하였다. 유리고화체로부터 침출되어 나온 원소들의 침출률을 울진 유리화설비 유리고화체와 SRL-EA 기준유리의 침출률과 비교하였다. 침출시험 후 녹아나 온 성분들의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ICP-AES를 이용하였다.
ⅱ) 침출시험 결과
후보유리의 7일 PCT를 수행한 결과를 도 4.에서 보여 주고 있다. 후보유리는 울진 유리화설비 유리고화체 침출 기준치를 만족시켰으며, SRL-EA 기준유리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침출률을 보여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액상온도
유리를 장기적으로 용융시킬 때 결정이 일어나지 않도록 액상온도(liquidus temperature)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용융온도에서 균질의 용융 유리가 생성되면 유리의 정상배출 및 장기운전이 가능하고, 반대로 결정상이 형성되면 침전이 일어나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침적에 의한 유리 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일으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리의 화학적 견고성 즉 침출(leachability)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경험적으로 용융상태온도와 유리의 액상온도 차이는 100℃ 이상 초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액상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수행하였으나 제조된 시편내에 빛의 침투가 어려워 결정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때문에 SEM을 이용한 유리시편의 표면 결정을 확인하는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액상온도를 평가하였다. 도 5.에서 보듯이 SEM 분석결과 후보유리를 950℃/20시간 열처리 하였을 경우 Meniscus와 도가니 경계면 모두에서 결정생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시간 열처리 실험결과 결정이 생성되지 않은 최저 온도를 유리의 액상온도로 정의하는데 이 실험에서 후보유리의 액상온도는 950℃ 이하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유리화 과정에서 용융유리는 결정으로 전이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압축강도
압축강도시험은 제조된 시편에 물리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고화체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시험방법으로 국가별로 시험방법이 다양하고 기준 또한 달리 적용하고 있다. 압축강도시험은 그 자체로도 시험항목이면서 열순환시험, 침수시험, 방사선조사시험 후 시행되어 고화체의 물리적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방법이다. 시험방법은 시편을 시험대에 올려놓고 일정한 속도로 하중을 가하면서 시편이 파괴될 때의 하중값을 측정하고 이 값을 압축강도 계산에 적용한다. 유리 고화체는 운반, 저장 및 처분장에서 처분시 물리적 건전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처분장 인수기준에서는 압축강도 기준값을 경질의 경우 35.2kg/㎠(500psi)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압축강도시험은 수직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하중을 시편에 가하여 시편이 파괴될 때까지 시험이 진행된다. 이때 가해지는 속도는 KS F2405에 규정되어 있는 재하속도를 따르며 시편의 압축강도는 시험에서 얻은 최대하중을 시편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후보유리를 전이온도(498℃)에서부터 분당 2.7℃ 정도 냉각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500 psi 이상으로 측정되어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7) 결론
저온용융로 운전에 있어 중요특성인 후보유리의 점도, 전기전도도에 있어측정결과는 기준치를 만족시켰으며, 액상온도는 기존 개발된 유리와 유사한 950℃ 이하로 나타났다. 침출시험결과 유리고화체 침출률 제한치인 2g/m2 미만으로 측정되어 개발된 후보유리는 실증시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화 공정 실증 시험
ⅰ) 초기점화
대상 폐기물(모의 폐수지)을 용융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 및 실험예 1.을 통해 개발된 조성유리를 저온용융로 바닥에 장전하였다. 도 6.과 같이 용융로에 유리를 장전 한 후 티타늄 링을 상부에 안착하고 도 7.과 같이 초기점화를 시작하였다. 티타늄 링은 고주파발생기를 기동하여 30분부터 가열되기 시작하여 약 1시간 내외가 되자 유리주변이 용융되기 시작하였다. 용융로내 점화 유리를 완전히 용융시키기 위해 고주파발생기 출력을 일정 수치까지 증가시켰으며, 용융 운전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버블러 양을 조절하였다. 초기 기동 2시간 경과 후 안전한 용탕이 유지되었고, 이때부터 폐기물을 투입하기 시작하였다.
ⅱ) 폐기물 투입 및 용융
상기 실시예 2. 및 실험예 1.을 통해 개발된 유리조성과 용융특성에 따라 분석된 폐기물 투입률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폐수지를 시간당 7 kg으로 투입할 경우 유리프릿 투입률은 시간당 0.134kg 미만이며, 용융후 배출되는 유리양은 0.224kg/h로 분석되었다. 폐수지 투입시 용융물 상태는 안정적이었으며 로내 부압도 안정적으로 운전 되었으나 일부 투입되는 양이 많을 경우 부분적인 흄이 발생 하였다. 한편, 용융로 운전의 특이사항(부압의 급격한 변화, swelling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ⅲ) 실증시험 결과
폐기물 투입은 원활하게 되었으며 용탕 건전성 및 용융물 점도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용융물 배출시 자연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졌으며 배출당시 겉보기 점도는 100poise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수지 폐기물을 유리화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9.는 수지를 용융한 후 배출된 유리 고화체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에 있어서,
    SiO2 30 내지 40 중량%, Al2O3 6 내지 9 중량%, B2O3 9 내지 13 중량%, CaO 15 내지 22 중량%, K2O 7 내지 9 중량%, MgO 2 내지 5 중량%, Na2O 4 내지 9 중량%, Li2O 3 내지 7 중량% 및 MnO2 0.5 내지 3 중량% 를 포함하는 저방사성 폐수지용 유리조성물.
  2.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 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융로에 저방사성 폐수지와 SiO2 30 내지 40 중량%, Al2O3 6 내지 9 중량%, B2O3 9 내지 13 중량%, CaO 15 내지 22 중량%, K2O 7 내지 9 중량%, MgO 2 내지 5 중량%, Na2O 4 내지 9 중량%, Li2O 3 내지 7 중량% 및 MnO2 0.5 내지 3 중량% 를 포함하는 유리조성물을 함께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방사성 폐수지 유리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150223A 2013-12-04 2013-12-04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KR10152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223A KR101524588B1 (ko) 2013-12-04 2013-12-04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PCT/KR2013/012382 WO2015083886A1 (ko) 2013-12-04 2013-12-30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US15/101,564 US9941026B2 (en) 2013-12-04 2013-12-30 Glass composition for vitrifying low-level radioactive waste resin
CN201380081453.5A CN105813993B (zh) 2013-12-04 2013-12-30 用于低放射性废树脂玻璃化的玻璃组合物及利用其的低放射性废树脂的玻璃化方法
JP2016557845A JP6438492B2 (ja) 2013-12-04 2013-12-30 低放射性廃樹脂をガラス化するためのガラス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低放射性廃樹脂のガラス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223A KR101524588B1 (ko) 2013-12-04 2013-12-04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588B1 true KR101524588B1 (ko) 2015-06-01

Family

ID=5327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223A KR101524588B1 (ko) 2013-12-04 2013-12-04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41026B2 (ko)
JP (1) JP6438492B2 (ko)
KR (1) KR101524588B1 (ko)
CN (1) CN105813993B (ko)
WO (1) WO2015083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5700B (zh) * 2017-12-20 2020-08-2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放射性废物冷坩埚固化处理的启动方法
CN114199645B (zh) * 2021-12-09 2024-04-16 浙江浙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微波消解-icp-aes分析石膏浆液中镁铝铁硅的方法
CN114790312B (zh) * 2022-05-12 2023-08-01 咸宁南玻光电玻璃有限公司 模拟玻璃黏度特性的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8389A (ja) * 1998-03-10 1999-09-24 Hitachi Ltd 廃塩化物固化体の製造方法
JP2001027694A (ja) * 1999-05-10 2001-01-30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濃縮廃物質の固化体及び該固化体の製造方法
JP2007527005A (ja) * 2004-02-23 2007-09-20 ジオマトリ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性および有害廃棄物のホウケイ酸ガラス固定化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10099785A (ko) * 2008-12-30 2011-09-08 아레바 엔씨 방사성 배출액의 밀폐를 위한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글래스 및 방사성 배출물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5099A (ja) * 1990-02-10 1991-10-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低レベル放射性廃棄物のガラス固化処理用ガラス化材
JPH10167754A (ja) * 1996-12-06 1998-06-23 Toshiba Glass Co Ltd 廃棄物固化用ガラス化材及び廃棄物固化ガラス
US6329563B1 (en) * 1999-07-16 2001-12-11 Westinghouse Savannah River Company Vitrification of ion exchange resins
KR100432450B1 (ko) 2000-12-21 2004-05-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KR100524825B1 (ko) * 2002-08-27 2005-10-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리화 장치 및 공정
US7550645B2 (en) 2004-02-23 2009-06-23 Geomatrix Solutions, Inc.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he immobilization of radioactive and hazardous wastes in borosilicate glass
KR100611358B1 (ko) * 2004-11-24 2006-08-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전이금속 함유 폐수지 유리화 장치 및 방법
FR2888576B1 (fr) * 2005-07-15 2007-09-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nfinement d'une matiere par vitrification
KR100768093B1 (ko) 2006-10-31 2007-10-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철-인산 유리를 이용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방법
JP4406451B2 (ja) * 2007-09-20 2010-01-27 株式会社Ihi 高レベル放射性廃液のガラス溶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8389A (ja) * 1998-03-10 1999-09-24 Hitachi Ltd 廃塩化物固化体の製造方法
JP2001027694A (ja) * 1999-05-10 2001-01-30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濃縮廃物質の固化体及び該固化体の製造方法
JP2007527005A (ja) * 2004-02-23 2007-09-20 ジオマトリ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性および有害廃棄物のホウケイ酸ガラス固定化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10099785A (ko) * 2008-12-30 2011-09-08 아레바 엔씨 방사성 배출액의 밀폐를 위한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글래스 및 방사성 배출물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2859A1 (en) 2017-02-02
WO2015083886A1 (ko) 2015-06-11
JP6438492B2 (ja) 2018-12-12
US9941026B2 (en) 2018-04-10
JP2017505445A (ja) 2017-02-16
CN105813993A (zh) 2016-07-27
CN105813993B (zh)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chet et al. Water and the viscosity of andesite melts
Xu et al. Conversion of nuclear waste to molten glass: cold‐cap reactions in crucible tests
KR101524588B1 (ko) 저방사성 폐수지를 유리화하기 위한 유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방사성 폐수지의 유리화 방법
Huang et al. Vitrification of high chrome oxide nuclear waste in iron phosphate glasses
Yi et al. Chemical stability of Ce-doped zircon ceramics: influence of pH, temperature and their coupling effects
Pinet et al. Glass ceramic for the vitrification of high level waste with a high molybdenum content
McCarthy et al. Rheology of simulated radioactive waste slurry and cold cap during vitrification
Alves et al. Recovery of steelmaking slag and granite waste in the production of rock wool
Jantzen Historical development of glass and ceramic waste forms for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CN106277886A (zh) 一种粉煤灰熔融资源化利用的方法
CN106977095B (zh) 一种无水氧卤碲酸盐玻璃及其制备方法
Li et al. Phase structure evolution and chemical durability studies of Gd 1− x Yb x PO 4 ceramics for immobilization of minor actinides
He et al. A natural granite based glass-ceramics matrix for immobilizing simulated An3+ waste
Jin et al. Melter feed viscosity during conversion to glass: Comparison between low‐activity waste and high‐level waste feeds
Tan Glass-based stabilization/solidification of radioactive waste
Fisher et al. Soda lime zirconia silicate glasses as prospective hosts for zirconia-containing radioactive wastes
KR101507148B1 (ko) 방사성 희토류 폐기물 유리화 방법
Martynov et al. The effect of phosphate melt cooling rate on phase composition and leach resistance of final waste form
Borowski Using Vitrification for Sewage Sludge Combustion Ash Disposal.
Robbins et al. Vitreous materials for nuclear waste immobilisation and IAEA support activities
Day et al. Glass-ceramics in a cold-crucible melter: the optimum combination for greater waste processing efficiency
Lian et al. Effects of Ba (NO3) 2 content on yellow phase formation and chemical durability of vitrified waste glass
Bingham et al. Glass development for vitrification of wet intermediate level waste (WILW) from decommissioning of the Hinkley Point ‘A’site
RU2566084C1 (ru) Содопированное оксидами гадолиния и самария алюмоборосиликатное стекло с повышенной радиацио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Zhang et al. Reuse of air pollution control a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