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39B1 - 자살방지용 펜스 - Google Patents

자살방지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39B1
KR101523739B1 KR1020140175711A KR20140175711A KR101523739B1 KR 101523739 B1 KR101523739 B1 KR 101523739B1 KR 1020140175711 A KR1020140175711 A KR 1020140175711A KR 20140175711 A KR20140175711 A KR 20140175711A KR 101523739 B1 KR101523739 B1 KR 101523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ting body
suicide
fen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우
Original Assignee
(주)아루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루미존 filed Critical (주)아루미존
Priority to KR102014017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39B1/ko
Priority to US15/533,672 priority patent/US10550597B2/en
Priority to PCT/KR2015/010697 priority patent/WO20160934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04H17/004Unstable, e.g. rotatory or resiliently mounted fence panels,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살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는,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와, 내부가 중공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의 관통된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회전체를 펜스에 설치하여 월담을 시도하는 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자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살방지용 펜스{FENCE FOR PREVENTING SUICIDE}
본 발명은 자살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난간에 설치되어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이 월담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현재 다리에서의 자살소동은 일종의 해프닝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자살기도 및 소동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다리에서의 자살기도 및 소동은 개인적인 문제에 국한되지않고, 그 자살기도 및 소동을 저지하기 위한 민관의 인력투입으로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교통체증 등과 같은 각종 시민의 불편성과 함께 국가 이미지 실추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0457호(2012. 5. 29 공고)는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제1,2펜스조립체와 연결바, 이탈감지센서, 제어부, 경광등 및 송신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교량상판 또는 제2교량상판을 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교량을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교량관리사무소에 상주하는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려 줌으로서, 상판의 이탈에 따른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현장상황을 예의주시할 수 있어 만일에 있을지 모를 사고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의 경우 원통형의 가이드레일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이 손으로 가이드레일을 파지할 수 있으며 오히려 가이드레일이 회전함을 이용하여 훨씬 쉽게 교량난간을 넘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이 난간을 파지하지 못하게 하여 자살시도의지를 사전에 꺾을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전체를 펜스에 설치하여 월담을 시도하는 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지 못하도록 하며, 회전체에 회전로프를 감아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로프를 잡아당겨도 제자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며, 월담을 시도하는 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알람신호를 발생하며, 바람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살방지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는,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와, 내부가 중공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의 관통된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볼트는 일측이 상기 회전체의 관통된 영역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회전체 간에는 상기 회전볼트의 톱니결합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중앙에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회전체 중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체들의 상기 끼움홈에 연결되는 회전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가 가압되는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를 펜스에 설치하여 월담을 시도하는 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자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에 회전로프를 감아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로프를 잡아당겨도 제자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자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월담을 시도하는 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알람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자살 시도시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A부터 A'까지에 대한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알람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회전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A부터 A'까지에 대한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100)는 지주부(110), 연결부(120) 및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주부(110)는 자살방지용 펜스(1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복수의 지주부(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된다. 복수의 지주부(110)는 측면에 후술하는 복수의 연결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10) 중 지중에 매립되는 영역은 지중에 매립된 지지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주부(110)의 단면은 'H'자, 'T'자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10)는 직선 형태 또는 상향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향 굴곡진 형태의 경우 사람이 지주부(110)에 연결된 연결부(120)를 타고 월담을 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지주부(110)의 일 면에는 삼각형(△) 형태의 방범판(111)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람이 지주부(110)를 잡고 월담을 시도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1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주부(1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다. 연결부(120)는 복수의 지주부(110) 사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에는 후술하는 회전부(130)가 외주면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연결부(120)는 복수의 회전부(130)가 외주면으로 끼워짐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연결부(120)는 회전부(130)와 베어링(132)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부(120)는 회전부(130)가 연결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130)는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연결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회전부(130)는 사람이 월담하기 위해 자살방지용 펜스(100)를 파지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람이 복수의 회전부(130)를 잡고 월담을 시도하는 경우 회전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월담을 포기하도록 한다. 이 경우, 회전부(130)는 중심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회전부(130) 간의 중심부 간격(W)은 평균적인 사람의 손이 들어가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 간격(W) 1cm 내지 10 c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회전부(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30)는 회전체(131), 베어링(132) 및 회전볼트(133)를 포한한다. 회전체(131)는 내부가 중공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회전체(131)의 중공된 내부에는 후술하는 베어링(132)이 위치하고, 회전체(131)의 양 측면의 중공된 양 측에는 후술하는 회전볼트(133)가 각각 삽입된다. 회전체(131)의 폭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어렵게 하도록 사용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회전체(131)를 통해 중심부의 외경이 양 측면부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베어링(132)은 회전체(131)의 중공된 영역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이 경우, 회전체(131)의 중앙을 분리하여 내부에 베어링(132)을 위치시킨 후, 회전체(131)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베어링(132)은 회전체(131)가 연결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132)이 회전체(131)의 내부 중앙에 위치한 경우, 후술하는 회전볼트(133)가 회전체(131)의 양 측면을 폐쇄시킴으로써 내부의 베어링(132)을 고정시키게 된다.
회전볼트(133)는 연결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회전체(131)의 양 측면의 관통된 영역으로 삽입되어 회전체(131)와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어, 회전체(131)의 중공된 영역의 단면이 육각형인 경우, 회전볼트(133)의 일측은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볼트(133)의 타측에는 톱니 형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볼트(133)는 연결부(120)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체(131) 간에는 회전볼트(133)의 톱니결합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다. 어느 하나의 회전체(131)가 회전하는 경우 해당 연결부(120)에 설치된 모든 회전체(131)가 회전볼트(133)의 톱니가 맞물려 같이 회전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100)는 알람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연결부(1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연결부(120)가 가압되는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알람부(140)는 연결부(120)에 가압되는 경우 하중을 감지하여 월담을 시도하는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알림신호를 생성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알람부(1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알람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알람부(140)는 지주부(110)에 삽입되어 연결부(120)의 일단 하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연결부(120)는 스프링(141)에 의해 지주부(110) 사이에 지지되어 위치하게 된다. 연결부(12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단이 지주부(110)에 삽입되어, 지주부(110)에 형성된 스프링(141)에 의해 알람부(140)와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연결부(1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120)가 하부로 가압되면서 스프링(141)이 압축되고 알람부(140)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141)은 기 설정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람부(140)는 압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되는 하중을 전기신호로 생성하여 자살방지용 펜스(100)에 설치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또는 경광등(도시하지 않음)으로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자살방지용 펜스(100)에 설치된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관리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100)는 타공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공판(150)은 복수의 지주부(110)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판이다. 복수의 지주부(110) 상부측에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타공판(15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연결부(120)를 발로 밟고 도약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높이까지 타공판(15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500)는 지주부(510), 연결부(520), 회전부(530) 및 회전로프(5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주부(510), 연결부(520) 및 회전부(530)에 대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지주부(110), 연결부(120) 및 회전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회전부(530)는 회전체(531), 베어링(532) 및 회전볼트(533)로 구성되며, 회전체(531)의 중앙에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홈(534)이 형성된다. 끼움홈(534)은 후술하는 회전로프(540)가 수용될 수 있는 'U'자형 홈이다. 회전부(530)는 회전체(531)가 베어링(532)과 회전볼트(533)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으며, 회전로프(5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530)는 복수의 지주부(510) 사이에 복수의 연결부(5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상단의 회전부(530)와 최하단의 회전부(530)의 회전체(531)에만 끼움홈(53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로프(540)는 회전부(530)의 회전체(531)에 형성되는 'U'자형 끼움홈(534)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이다. 예를 들어, 회전로프(540)는 서로 다른 연결부(520)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체(531) 중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체(531)들의 끼움홈(53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로프(540)는 최상단의 회전체(531)와 최하단의 회전체(531)의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인처럼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로프(540)를 하부로 잡아당기는 경우 회전체(531)와 함께 회전하여 미끄러지게 되므로 자살방지용 펜스(500)를 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500)는 타공판(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공판(550)은 복수의 지주부(510)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판이다. 타공판(550)은 도 1에서 설명한 타공판(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500)는 도 1에서 설명한 알람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 중 회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600)는 지주부(610), 연결부(620), 회전부(630), 회전날개(640) 및 발전부(6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주부(610), 연결부(620) 및 회전부(630)에 대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지주부(110), 연결부(120) 및 회전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회전날개(640)는 회전부(630) 중 회전체(631)의 외주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이 경우, 회전날개(640)는 바람에 영향을 받기 위해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날개(640)는 회전체(63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날개(640)는 회전체(631)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거나,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620)에 설치된 베어링(532)에 의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체(631)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날개(640)가 바람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회전볼트(533)도 함께 회전하고, 후술하는 발전부(650)에 의해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전부(650)는 회전날개(640)가 회전함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발전부(650)는 지주부(610)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볼트(533)와 연결된 제1 극성의 제1 자성체(651)와,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제2 극성의 제2 자성체(652)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651)가 회전볼트(533)에 의해 회전하면서, 고정된 제2 자성체(652)와 자기장의 변화를 유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전기는 내부전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경광등(도시하지 않음), 통신부(도시하지 않음)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600)는 태양전지판(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660)은 지주부(6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태양전지판(660)은 전기에너지를 내부전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여,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경광등(도시하지 않음), 통신부(도시하지 않음)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600)는 타공판(6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공판(670)은 복수의 지주부(610)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판이다. 타공판(670)은 도 1에서 설명한 타공판(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용 펜스(600)는 도 1에서 설명한 알람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자살방지용 펜스 110 : 지주부
111 : 방범판 120 : 연결부
130 : 회전부 131 : 회전체
132 : 베어링 133 : 회전볼트
140 : 알람부 141 : 스프링
150 : 타공판
500 : 자살방지용 펜스 510 : 지주부
520 : 연결부 530 : 회전부
531 : 회전체 532 : 베어링
533 : 회전볼트 534 : 끼움홈
540 : 회전로프 550 : 타공판
600 : 자살방지용 펜스 610 : 지주부
620 : 연결부 630 : 회전부
631 : 회전체 632 : 베어링
633 : 회전볼트 640 : 회전날개
650 : 발전부 651 : 제1 자성체
652 : 제2 자성체 660 : 태양전지판
670 : 타공판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 및
    내부가 중공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의 관통된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볼트는
    일측이 상기 회전체의 관통된 영역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회전체 간에는 상기 회전볼트의 톱니결합에 의해 회전하는 자살방지용 펜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중앙에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회전체 중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회전체들의 상기 끼움홈에 연결되는 회전로프를 더 포함하는 자살방지용 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자살방지용 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가 가압되는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자살방지용 펜스.
KR1020140175711A 2014-12-09 2014-12-09 자살방지용 펜스 KR10152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11A KR101523739B1 (ko) 2014-12-09 2014-12-09 자살방지용 펜스
US15/533,672 US10550597B2 (en) 2014-12-09 2015-10-11 Suicide-preventing fence
PCT/KR2015/010697 WO2016093480A1 (ko) 2014-12-09 2015-10-11 자살방지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11A KR101523739B1 (ko) 2014-12-09 2014-12-09 자살방지용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739B1 true KR101523739B1 (ko) 2015-06-04

Family

ID=5349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11A KR101523739B1 (ko) 2014-12-09 2014-12-09 자살방지용 펜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50597B2 (ko)
KR (1) KR101523739B1 (ko)
WO (1) WO2016093480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13B1 (ko) * 2015-11-30 2016-06-24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20160139069A (ko) * 2015-05-26 2016-12-07 이근우 월담 방지장치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KR102100897B1 (ko) * 2019-09-03 2020-04-14 대산산업(주)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KR20200045199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안전 난간
KR102277634B1 (ko) 2020-01-15 2021-07-14 신광출 교량용 투신방지장치
KR102343819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대양건설 회전횡대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KR102343814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원탑 회전횡대가 구비된 증설용 추락방지 안전난간
KR20220124976A (ko) 2021-03-04 2022-09-14 주용산업주식회사 휀스 안전 장치
KR20220145523A (ko) * 2021-04-22 2022-10-3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KR102470259B1 (ko)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KR102615390B1 (ko) * 2023-06-05 2023-12-19 선광건업 주식회사 투신 자살 방지용 난간 구조
KR102642817B1 (ko) * 2023-12-01 2024-03-04 주식회사 웰콘 난간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2829B2 (en) * 2016-10-05 2019-08-27 Peter Lakmanaswamy-Bakthan Smart fence
CN106917370B (zh) * 2017-03-21 2019-05-28 安徽卓航展示用品有限公司 防撞护栏
CN110219245A (zh) * 2019-06-05 2019-09-10 中旭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建筑临时搭建伸缩式护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1045A (ja) * 2001-07-09 2003-01-24 Sanyo Electric Co Ltd 風力発電装置
KR20040095588A (ko) * 2003-08-29 2004-11-15 이근석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100584667B1 (ko) * 2005-12-23 2006-05-29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건축단지용 가변식 방범 울타리 구조
KR101278223B1 (ko) * 2013-01-07 2013-06-24 페이브텍 주식회사 롤러 타입의 방호용 펜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8718D0 (en) * 1986-04-10 1986-05-14 Hercules Security Fab Rotary anti-vandal device
US6585233B1 (en) * 2000-12-22 2003-07-01 Roll Guard, Inc. Animal-repelling apparatus
AU2002313678A1 (en) * 2001-07-16 2003-03-03 Douglas J. Wulff Animal guard
FR2879642B1 (fr) * 2004-12-20 2008-04-18 Claude Ydier Systeme anti-franchissement rotatif d'une enceinte
KR20110101634A (ko) 2010-03-09 2011-09-16 (주)일도산업 롤러형 방호 울타리
US20130062584A1 (en) * 2011-09-13 2013-03-14 Larry Chrtis Edmondson Active security system
GB2502042B (en) * 2012-03-16 2017-11-15 Peter Waite David Barrier with rotatable units for deterring intrud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1045A (ja) * 2001-07-09 2003-01-24 Sanyo Electric Co Ltd 風力発電装置
KR20040095588A (ko) * 2003-08-29 2004-11-15 이근석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작동기구
KR100584667B1 (ko) * 2005-12-23 2006-05-29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건축단지용 가변식 방범 울타리 구조
KR101278223B1 (ko) * 2013-01-07 2013-06-24 페이브텍 주식회사 롤러 타입의 방호용 펜스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69A (ko) * 2015-05-26 2016-12-07 이근우 월담 방지장치
KR101713123B1 (ko) * 2015-05-26 2017-03-08 이근우 월담 방지장치
KR101631813B1 (ko) * 2015-11-30 2016-06-24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WO2017094999A1 (ko) * 2015-11-30 2017-06-08 김광석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KR20200045199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안전 난간
KR102147107B1 (ko) * 2018-10-22 2020-08-24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안전 난간
KR102100897B1 (ko) * 2019-09-03 2020-04-14 대산산업(주)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KR102277634B1 (ko) 2020-01-15 2021-07-14 신광출 교량용 투신방지장치
KR102343819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대양건설 회전횡대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KR102343814B1 (ko) * 2020-10-23 2021-12-28 주식회사 원탑 회전횡대가 구비된 증설용 추락방지 안전난간
KR20220124976A (ko) 2021-03-04 2022-09-14 주용산업주식회사 휀스 안전 장치
KR20220145523A (ko) * 2021-04-22 2022-10-3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KR102477828B1 (ko) 2021-04-22 2022-12-1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KR102470259B1 (ko)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KR102615390B1 (ko) * 2023-06-05 2023-12-19 선광건업 주식회사 투신 자살 방지용 난간 구조
KR102642817B1 (ko) * 2023-12-01 2024-03-04 주식회사 웰콘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1447A1 (en) 2017-11-09
WO2016093480A1 (ko) 2016-06-16
US10550597B2 (en)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39B1 (ko) 자살방지용 펜스
JP6836555B2 (ja) 墜落防止及び飛び降り自殺防御回転体システム
CN107461068B (zh) 一种防误爬电力线杆的装置及使用方法
MX2013000074A (es) Barrera de seguridad para carreteras.
US20190075783A1 (en) Component
KR200471515Y1 (ko) 차단 벨트 교체가 용이한 안전 차단봉
KR101506953B1 (ko)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
US20130062584A1 (en) Active security system
CN103679998A (zh) 一种以手机为控制终端的联程报警安防围栏
CN203081008U (zh) 输电线路防误登杆塔红外感应闭锁装置
KR101886249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CN205476833U (zh) 一种长度可调的移动式便携安全警示围栏
CN103839353A (zh) 一种便携式声光报警电子围杆
GB2502042A (en) Barrier with rotatable unit capable of rotating in one direction only
CN101853720A (zh) 一种用于电子围栏终端杆的复合终端子
CN106639853B (zh) 电力检修梯及电力抢修设备
CN204459669U (zh) 监控摄像机用安装装置
CN202810224U (zh) 一种用于高层楼房建筑中的电梯井防护栏
JP4583504B1 (ja) 縦樋用防犯具、当該防犯具用取付アダプタ及び縦樋並びに縦樋用防犯具の設置方法
EP2642184B1 (en) Illumination post with a high-security concealment base housing unit having improved protection
KR20200034049A (ko)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WO2019164587A1 (en) Locking device
CN113212599B (zh) 一种基于大数据的校园安全风险智能防控装置
CN203763711U (zh) 带末端锁的高强度复合式防坠落轨道
CN201796659U (zh) 一种用于电子围栏终端杆的复合终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