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97B1 -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 Google Patents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97B1
KR102100897B1 KR1020190108920A KR20190108920A KR102100897B1 KR 102100897 B1 KR102100897 B1 KR 102100897B1 KR 1020190108920 A KR1020190108920 A KR 1020190108920A KR 20190108920 A KR20190108920 A KR 20190108920A KR 102100897 B1 KR102100897 B1 KR 102100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intrusion prevention
fixing
parts
animal in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철
Original Assignee
대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산업(주) filed Critical 대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10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수직 지지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 수직 지지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수직 지지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제1 수직 지지대 및 제2 수직 지지대 각각과 고정된 수평 지지대, 및 수평 지지대에 설치되고,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동물 침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수평 지지대에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부들,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따라 수평 지지대를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본체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APPARATUS AND FACILITIES FOR PREVENTING TRESSPASS OF ANIMAL}
본 발명은 경작지 또는 주거지 등으로 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생 동물들, 예를 들어, 멧돼지, 고라니 등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야생 동물들이 주거지 또는 경작지로 침입하여, 인명 피해를 일으키거나 또는 많은 재산 피해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야생 동물들이 주거지 또는 경작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이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서, 주거지 또는 경작지 주변에 동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울타리 형태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울타리형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멧돼지와 같은 대형 야생 동물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25612호는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편, 전류를 사용한 울타리가 있으나, 이러한 울타리는 설치 비용이 비싸며, 유지 관리가 어렵고, 사람에게 또한 위험한 시설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한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수직 지지대;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수직 지지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각각과 고정된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동물 침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부들;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따라 상기 수평 지지대를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본체부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결속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들을 서로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결속부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들은 상기 수평 지지대와 소정의 공극만큼 이격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들과 밀착된 복수의 베어링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제1 및 제2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이 철제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속부; 상기 철제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회전부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을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결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에 부착된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은 상기 철제 구조물을 중심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한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의 전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의 측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 중 하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의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b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3의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3의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의 전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동물 칩임 방지 시설(10)은 제1 수직 지지대(11), 제2 수직 지지대(12), 복수의 수평 지지대(13), 지지대 클램프(14), 및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제2 수직 지지대(12)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철제 구조물 또는 철제 파이프일 수 있다. 복수의 수평 지지대들(13) 각각은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제2 수직 지지대(12) 사이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철제 구조물 또는 철제 파이프일 수 있다. 복수의 수평 지지대들(13) 각각은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제2 수직 지지대(12)와 지지대 클램프(14)를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지지대들(13)에는,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은 복수의 수평 지지대들(13) 각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동물 침입 방지 시설(10)을 반복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 각각은 다양한 동물들이 동물 침입 방지 시설(10)로 접근하거나 또는 동물 칩임 방지 시설(10)을 통과하여 동물들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 각각은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핀들은 끝부분이 날카로운 침 형태의 철제 구조물일 수 있다. 복수의 칩임 방지 장치들(100) 각각은 수평 지지대(13)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물이 동물 침입 방지 시설(10)로 접근하거나 또는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을 건드리는 경우,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 각각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하여, 복수의 핀들은 동물들의 신체를 찌르거나 또는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들이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로 접근하지 않을 것이다. 동물들의 접근이 방지됨에 따라,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 또는 침입 방지 시설(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 각각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의 측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수평 지지대(13)가 지지대 클램프(14)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은 복수의 수평 지지대들(1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 각각은 수평 지지대(13)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복수의 핀들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핀들의 움직임은 동물 침입 방지 시설(10)로 접근하거나 또는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100)에 접촉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 중 하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의 개념적인 구성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 또한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는 제1 고정부(111), 제2 고정부(112), 제1 본체부(121), 제2 본체부(122), 및 복수의 결속부들(BT1, BT2, BT3, BT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제1 결속부(BT1) 및 제2 결속부(BT2)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에 밀착되도록 결속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제3 결속부(BT3) 및 제4 결속부(BT4)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 상에서 결속될 수 있다.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수평 지지대(13)와의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수평 지지대(13)와 밀착되지 않거나 또는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되지 않을 것이다. 즉,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수평 지지대(13)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4 결속부들(BT1~BT4) 각각은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복수의 쌍의 부속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를 둘러싸도록 결속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에 대한 이동 레일 또는 회전 레일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 또는 가이드 또는 레일을 따라 동작, 또는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의 좀 더 상세한 구조가 설명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의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평 지지대(13)는 원통형 철제 구조물 또는 원형 파이프인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지지대(13)의 형태에 따라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1 결속부(BT1) 및 제2 결속부(BT2)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제1 결속부(BT1) 및 제2 결속부(BT2)에 의해 결속된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에 밀착되어, 수평 지지대(13)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를 제1 방향을 따라 바라본 측면도는 도 4b와 같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2 고정부(112)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바라본 측면도 또한 도 4b와 유사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를 제2 방향을 따라 바라본 측면도는 도 4c와 같다. 즉,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제1 결속부(BT1) 및 제2 결속부(BT2) 각각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결속부(BT1) 및 제2 결속부(BT2)에 의해 결속된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의 외경은 수평 지지대(13)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수평 지지대(13)에 결속됨으로써,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에 대한 회전 가이드, 회전 레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좀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대(13)에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가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이며, 수평 지지대,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21)는 제1 및 제2 핀들(PN1, PN2) 및 제1 회전부(R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핀들(PN1, PN2)은 끝부분이 날카로운 금속, 플라스틱, 또는 다른 단단한 물질로 형성된 구조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핀들(PN1, PN2)은 제1 회전부(RT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회전부(RT1)는 수평 지지대(13)와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을 반원 형태로 감싸는 구조체일 수 있다.
제2 본체부(122)는 제3 및 제4 핀들(PN3, PN4) 및 제2 회전부(R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핀들(PN3, PN4)은 끝부분이 날카로운 금속, 플라스틱, 또는 다른 단단한 물질로 형성된 구조체일 수 있다. 제3 및 제4 핀들(PN3, PN4)은 제2 회전부(RT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회전부(RT2)는 수평 지지대(13)와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을 반원 형태로 감싸는 구조체일 수 있다.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제3 결속부(BT3) 및 제4 결속부(BT4)를 통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을 감싸도록 결속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4 핀들(PN1~PN4)은 제3 및 제4 결속부들(BT3, BT4)을 통해 결속된 제1 및 제2 회전부들(RT1, RT2)의 외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4개의 핀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들(121, 122)에 포함된 핀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가 수평 지지대(1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레일 또는 회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및 제4 결속부들(BT3, BT4)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된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은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이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한 경우,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은 도 5c와 같은 배치를 가질 것이다. 즉,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은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된 반면에,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은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에 의해 제공된 회전 레일 또는 회전 가이드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중심축들(O1, O2)은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5b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간결성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고정부(111) 및 제1 본체부(121)의 일부 단면도가 예시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111)는 수평 지지대(13)의 표면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는 단면의 형태가 수평 지지대(13)로부터 제1 높이를 갖는 U자형 구조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본체부(121)(특히, 제1 회전부(RT1))는 제1 고정부(111)의 외면(즉, U자형 구조물의 끝부분들)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본체부(121)는 수평 지지대(13)와 소정의 간격 또는 소정의 공극(D)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내경은 수평 지지대(13)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21)는 수평 지지대(13)와 밀착되지 않으며, 수평 지지대(13)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21)는 수평 지지대(13)와 고정된 제1 고정부(111)를 회전 가이드 또는 회전 레일로 사용하여, 수평 지지대(1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에 부착된 핀들(PN1~PN4)이 움직이고, 이러한 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동물들의 침입 또는 접근이 방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술된 제1 및 제2 본체부들(121, 122)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고정부(111)(또는 제2 고정부(112))는 베어링(BR)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BR)은 제1 고정부(111)(또는 제2 고정부(112))의 외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21) 또는 제2 본체부(122)와 접촉하여, 본체부들(121, 122)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a는 도 3의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의 별도의 구조물로 제공되며, 제1 및 제2 결속부들(BT1, BT2)에 의해 결속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도 7a의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부(211)의 일 측 및 제2 고정부(212)의 일 측은 힌지(HG)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고정부(211)의 타 측 및 제2 고정부(212)의 타측은 제1 결속부(BT1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고정부들(211, 212)은 힌지(HG)를 통해 클램프 형식으로 연결되고, 타 측에서 제공되는 제1 결속부(BT11)를 통해 수평 지지대(13)와 견고하게 결속 또는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b는 도 3의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도 5c의 실시 예에서, 제1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2)는 제3 및 제4 결속부들(BT3, BT4)을 통해 서로 결속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도 7b의 실시 예에서, 제1 본체부(221)의 일 측 및 제2 본체부(222)의 일 측은 힌지(HG)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본체부(221)의 타 측 및 제2 본체부(222)의 타 측은 추가 결속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본체부들(221, 222)은 힌지(HG)를 통해 클램프 형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제공되는 추가 결속부를 통해 수평 지지대(13)와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부들(111, 112 또는 211, 212)을 감싸도록 결속될 수 있다. 다른 기능적인 특징들은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에서,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에 포함된 고정부들 및 본체부들은 각각 2개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에 포함된 고정부들 및 본체부들은 각각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복수의 결속부들 또는 다른 결합 장치들을 통해 하나의 수평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본체부들은 복수의 결속부들 또는 다른 결합 장치들을 통해 하나의 수평 지지대와 고정된 복수의 고정부들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면의 간결성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동물 침입 방지 시설(30)은 제1 수직 지지대(11), 제2 수직 지지대(12), 수평 지지대(13),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 및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제2 수직 지지대(12)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철제 구조물 또는 철제 파이프일 수 있다. 복수의 수평 지지대들(13) 각각은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제2 수직 지지대(12) 사이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철제 구조물 또는 철제 파이프일 수 있다. 복수의 수평 지지대들(13) 각각은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제2 수직 지지대(12)와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를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는 수평 지지대(13)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 예들에서, 동물 침입 방지 장치(100)는 수평 지지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즉, 수평 지지대(13)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반면에, 도 8a의 실시 예에서,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는 수평 지지대(13)에 밀착되어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되도록, 즉, 수평 지지대(13)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는 앞서 설명된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에 복수의 핀들(PN)을 연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지지대 클램프(14)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들(11, 12)과 수평 지지대(13)를 결속하거나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나, 도 8a의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들(11, 12) 사이에서, 수평 지지대(13)의 위치(즉, 지면으로부터 높이)만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 지지대(13)는 도 8a의 화살표와 같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가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지지대(13)가 회전할 경우,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가 회전할 경우, 수평 지지대(1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수평 지지대(13)에 연결된 복수의 동물 침입 방지 장치들(30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의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간결성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수평 지지대(13) 사이에 연결된 하나의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가 도시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지지대 회전 클램프들(예를 들어, 제2 수직 지지대(12) 및 수평 지지대(13) 사이의 지지대 회전 클램프) 또한 도 8b의 구성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는 제1 수직 지지대(11) 및 수평 지지대(1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는 제1 수직 고정부(PX11),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 및 제1 및 제2 회전부들(RT11, RT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고정부(PX11)는 제1 수직 지지대(11)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수직 고정부(PX11)는 도 4a 또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고정부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수직 고정부(PX11)는 제1 수직 지지대(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은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은 도 4a 또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고정부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은 수평 지지대(1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부들(RT11, RT12)은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회전부들(RT11, RT12)은 도 5a 또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체부들의 회전부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회전부들(RT11, RT12)은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 레일 또는 회전 가이드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수직 고정부(PX11) 및 제2 회전부(RT12)가 서로 접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직 고정부(PX11)에 의해 제2 회전부(RT12)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및 제2 회전부들(RT11, RT12)이 회전하는 대신에,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이 회전할 것이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수평 고정부들(PX21, PX22)은 수평 지지대(13)와 고정된 상태이므로, 수평 지지대(13) 또한 함께 회전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수평 지지대(11) 및 제2 수평 지지대(12) 사이에서, 수평 지지대(13)가 지지대 회전 클램프(301)를 통해 설치됨으로써, 수평 지지대(13)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대(13)에 고정된 동물 침입 방지 장치(300)가 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동물들의 침입 또는 접근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수평 지지대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동물 침입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핀들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회전에 의해 복수의 핀들이 동물 침입 방지 장치로 접근하는 동물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소된 비용,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갖는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동물 침입 방지 시설이 제공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동물 침입 방지 시설
11, 12: 제1 수직 지지대, 제2 수직 지지대
13: 수평 지지대
14: 클램프
100: 동물 침입 방지 장치
111, 112: 제1 및 제2 고정부들
121, 122: 제1 및 제2 본체부들
BT1~BT4: 결속부들

Claims (5)

  1.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수직 지지대;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수직 지지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각각과 고정된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동물 침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동물 침입 방지 장치는,
    제1 및 제2 고정부들이 상기 수평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속부;
    상기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과 접촉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회전부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을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결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에 부착된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은 상기 수평 지지대로부터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의 외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만큼 상기 수평 지지대와 이격되어 소정의 공극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동물 침입 방지 시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은 단면의 형태가 상기 수평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1 높이를 갖는 U자형 구조물인 동물 침입 방지 시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의 U자형 구조물의 끝부분들에 접촉되는 동물 침입 방지 시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의 U자형 구조물의 끝부분들에서 복수의 베어링들을 통해 접촉되는 동물 침입 방지 시설.
  5. 제1 및 제2 고정부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이 수평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을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속부;
    상기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과 접촉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회전부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을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결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에 부착된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은 상기 수평 지지대로부터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들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의 외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만큼 상기 수평 지지대와 이격되어 소정의 공극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 동물 침입 방지 장치.
KR1020190108920A 2019-09-03 2019-09-03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KR102100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20A KR102100897B1 (ko) 2019-09-03 2019-09-03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20A KR102100897B1 (ko) 2019-09-03 2019-09-03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77A Division KR20210028061A (ko) 2020-04-08 2020-04-08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897B1 true KR102100897B1 (ko) 2020-04-14

Family

ID=7029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920A KR102100897B1 (ko) 2019-09-03 2019-09-03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18B1 (ko) 2020-08-07 2021-06-04 대산산업(주) 침입 방지망을 구비하는 동물침입 방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68Y1 (ko) * 2004-05-07 2004-08-11 이영준 전주의 조류 퇴치장치
KR100730898B1 (ko) * 2006-09-01 2007-06-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조경용 방범울타리구조
JP2008131901A (ja) * 2006-11-28 2008-06-12 Kinki Denki Kk 鳥類の駐留防止器
KR20110101634A (ko) * 2010-03-09 2011-09-16 (주)일도산업 롤러형 방호 울타리
KR101523739B1 (ko) * 2014-12-09 2015-06-04 (주)아루미존 자살방지용 펜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68Y1 (ko) * 2004-05-07 2004-08-11 이영준 전주의 조류 퇴치장치
KR100730898B1 (ko) * 2006-09-01 2007-06-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조경용 방범울타리구조
JP2008131901A (ja) * 2006-11-28 2008-06-12 Kinki Denki Kk 鳥類の駐留防止器
KR20110101634A (ko) * 2010-03-09 2011-09-16 (주)일도산업 롤러형 방호 울타리
KR101523739B1 (ko) * 2014-12-09 2015-06-04 (주)아루미존 자살방지용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18B1 (ko) 2020-08-07 2021-06-04 대산산업(주) 침입 방지망을 구비하는 동물침입 방지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897B1 (ko)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US6571517B2 (en) Animal guard
US20050210769A1 (en) Arm guard for preventing raptor nesting
US7705241B2 (en) Coiled wire armored cable
JP2013143899A (ja) 鳥害防止装置
US20030015330A1 (en) Utility wildlife protector and associated methods
KR20210028061A (ko) 동물 침입 방지 장치 및 시설
JP4892325B2 (ja) 鳥類の駐留防止器
US8162292B2 (en) Animal barrier device
KR101014959B1 (ko) 까치 퇴치 장치
RU201610384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связи от грозовых разрядов
CN108377827B (zh) 一种草原害鼠的持续性控制方法
KR100650064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JP2014223030A (ja) 動物侵入防護柵
DE102021003623A9 (de) Vorrichtung zum Schutz eines Weidezauns gegen Untergraben
US7447414B1 (en) Cable protector apparatus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RU2171569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т грызун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107420B1 (ko) 까치 퇴치 장치
JP4095853B2 (ja) 電線共同溝用中継ボックス
JP2018126022A (ja) 害獣滑落具
CN207353797U (zh) 一种bdcors观测站线路保护装置
KR200451673Y1 (ko) 굴절가능한 펜스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펜스
JPH071472Y2 (ja) 電柱支線への蔓性植物等の登攀防止具
JP3096824U (ja) 放射型鳥害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