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22B1 -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22B1
KR101523722B1 KR1020140109592A KR20140109592A KR101523722B1 KR 101523722 B1 KR101523722 B1 KR 101523722B1 KR 1020140109592 A KR1020140109592 A KR 1020140109592A KR 20140109592 A KR20140109592 A KR 20140109592A KR 101523722 B1 KR101523722 B1 KR 10152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
support
leg
sp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형
Priority to KR102014010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10); 상기 시트(10)에 구비된 레그(20); 상기 시트(10)의 후방에 등받이(42)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레그(20)에 연결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레그(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된 스프링 하우징(30);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에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을 매개로 상기 레그(20)와 상기 등받이(4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Chair with rotation shift back}
본 발명은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회동 상태에서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주요부인 레그와 등받이 등이 분리된 상태에서 운송이 가능하여 물류비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의 저면에 일단부가 고정된 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등받이가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자는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는 관계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허리가 위치되는 부분이 없어지게 되므로 오히려 더 불편하게 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의자의 등받이의 허리 부분에 보조쿠션을 넣어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2981호의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가 안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는, 의자의 팔걸이와 등받이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기대면 가압에 의해 등받이가 회전되도록 회전 작동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등받이가 곧바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소재로된 탄성체가 사용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난해하게 되고 고무 또는 우레탄소재로된 탄성체가 등받이의 잦은 작동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회전장치의 원할한 작동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파손된 탄성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의자의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등받이를 회동 연결부에 의해 뒤로 제껴질 수 있도록 연결하고, 등받이가 뒤로 제껴진 상태에서는 등받이가 원위치로 회동 복귀되도록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제품이 있다. 이때, 두꺼운 코일 스프링을 쓰게 될 경우 구부려서 걸어주는 부분(이하, 걸이부라 칭함)을 형성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기존에는 두께가 얇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게 된다. 두꺼운 코일 스프링의 끝을 구부려서 걸이부를 만들기가 쉽지 않은 것이며, 결과적으로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의 의자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에 등받이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앞으로 다시 원상 복귀(원위치 회동)되도록 얇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등받이 회동식 의자의 경우 등받이가 반복적으로 뒤로 젖혀졌다가 앞으로 다시 원상 회동되는 작용이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코일 스프링이 늘어 낮다가 원위치로 줄어드는 탄성 작용이 누적되다 보면 코일 스프링 자체의 단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어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제대로 회동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의자의 각 부분인 레그와 등받이 및 시트가 조립된 상태로 운송을 해야 하므로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의자의 각 부분이 조립되지 않고 콤팩트하게 분해된 상태에서 의자의 운송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의자를 실어서 나르는 트럭의 운행 대수 또는 운행 횟수를 많이 늘려야 되므로 물류비가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83775호(2010.09.16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355473호(2014.01.20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12406호(2014.06.1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가 뒤로 제껴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는 일이 없어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제대로 회동 복귀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주요 부분이 콤팩트하게 분리되어 운송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조립해서 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물류비 절감 등에 아주 유리한 새로운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 상기 시트에 구비된 레그; 상기 시트의 후방에 등받이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레그에 연결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레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스프링 결합 지지홈이 구비된 스프링 하우징;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을 매개로 상기 레그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는, 상기 시트의 양쪽 사이드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좌측 레그와 우측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나선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하우징은 내부에 코어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블록의 주위에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은, 상기 코어블록의 주위에 배치된 원형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의 상기 코일 스프링부가 안착되는 코어 지지홈부; 상기 코어 지지홈부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은, 상기 레그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등받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스프링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어블록은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에 구비된 고정 코어블록과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에 구비된 가동 코어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은, 상기 고정 코어블록의 주위에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 코어 지지홈부와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와, 상기 가동 코어블록의 주위에 구비되도록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가동 코어 지지홈부와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상기 코일 스프링부가 상기 고정 코어블록과 상기 가동 코어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코어 지지홈부와 상기 가동 코어 지지홈부에 안착되고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 중에서 하나의 직선형 스프링부는 상기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에 삽입 결합되고 다른 직선형 스프링부는 상기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코어블록과 상기 가동 코어블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에는 보스 결합홀이 내외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코어블록에는 상기 보스 결합홀에 끼워지는 보스가 구비되며, 상기 보스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의자의 측면(상기 시트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등받이 서포트 바아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서포트 바아에는 팔걸이대 결합바아를 구비한 프론트 레그부; 상기 프론트 레그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레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레그부의 상기 등받이 서포트 바아에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레그와 상기 우측 레그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시트 결합 지지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에는 바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에는 상기 시트 결합 지지블록에 끼워지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바텀 프레임에 상기 시트가 힌지부에 의해 상향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레그와 상기 우측 레그에 양쪽 사이드부가 결합되는 상기 바텀 프레임에는 서포트 바아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의 저면에는 서포트 지지홈을 구비한 시트 바텀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쳐질 때에 상기 시트 바텀블록의 상기 서포트 지지홈이 상기 서포트 바아에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시트의 상기 시트 바텀블록에 결합된 서포트 바아와, 상기 서포트 바아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된 바아 형상의 시트 걸침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레그와 상기 우측 레그에는 시트 결합 지지블록 주위에 상기 시트 걸침바아가 끼어 들어가는 인서트홈을 형성하는 인서트 지지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의자의 측면(상기 시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등받이 서포트 바아를 구비한 프론트 레그부; 상기 프론트 레그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레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레그부의 상기 등받이 서포트 바아에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레그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레그부재가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하측 레그; 상기 하측 레그의 중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시트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시트 바텀 프레임;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의 양쪽 사이드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의 양쪽 사이드에 회동 지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상측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레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스프링 결합 지지홈이 구비된 스프링 하우징;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을 매개로 상기 레그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레그는, 상기 시트의 양쪽 사이드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좌측 레그와 우측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부; 상기 코일 스프링부의 나선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하우징은 내부에 코어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블록의 주위에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은, 상기 코어블록의 주위에 배치된 원형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의 상기 코일 스프링부가 안착되는 코어 지지홈부; 상기 코어 지지홈부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에 상기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의 양쪽 사이드가 상기 좌측 레그와 상기 우측 레그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레그와 상기 우측 레그에 상기 회동 지지부를 매개로 상기 등받이가 연결된 시트 등받이 조립체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 등받이 조립체는 상기 하측 레그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가 뒤로 제껴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는 주요부인 스프링이 충분한 두께(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반복된 등받이의 전후 회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탄성 복원력 보유와 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는 일이 없으므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제대로 회동 복귀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요부인 레그와 시트 및 등받이를 전술한 사용자측에서 자체 조립하여 쓸 수 있는 방식(DIY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의자의 각 부분인 레그와 등받이 및 시트가 조립된 상태로 운송하지 않고 콤팩트하게 분리한 상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고정 스프링 하우징에 스프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가동 스프링 하우징에 스프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시트(10)와, 이 시트(10)에 결합된 레그(20)와, 상기 시트(10)의 후방에 등받이(42)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레그(20)에 연결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스프링 하우징(30)에 스프링(40)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트(10)의 저면에는 시트 바텀블록(12)이 구비된다. 시트 바텀블록(12)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시트(10)의 저면에 고정된다. 시트 바텀블록(12)은 바아 결합홈(12a)을 구비한다. 시트(10)의 저면과 마주하는 시트 바텀블록(12)의 상면에 바아 결합홈(12a)이 구비된다. 이때, 바아 결합홈(12a)은 시트 바텀블록(12)의 양쪽 측면으로 관통되어 있다. 시트(10)의 저면에 두 개의 시트 바텀블록(12)이 서로 나란하게 양옆으로 배치되어 있다. 시트 바텀블록(12)은 시트(10)의 저면에 두 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 바텀블록(12)의 저면에는 서포트 지지홈(13)이 구비된다. 서포트 지지홈(13)은 시트 바텀블록(12)의 옆에서 볼 때에 아래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대략 삼각형 홈 형태를 가진다.
상기 시트(10)의 저면에는 바텀 프레임(15)이 구비된다. 이때, 바텀 프레임(15)은 힌지부에 의해 시트(10) 저면의 시트 바텀블록(12)에 결합된 서포트 바아(16)와, 이 서포트 바아(16)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된 바아 형상의 시트 걸침바아(17)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바아(16)는 시트(1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일정 길이의 수평 바아(16a)와, 이 수평 바아(16a)의 양단부에서 시트(10)의 저면과 멀어지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하향 바아(16b)를 포함한다. 서포트 바아(16)는 힌지부에 의해 시트(10) 저면의 시트 바텀블록(12)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시트 바텀블록(12)의 바아 결합홈(12a)이 시트(1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시트 바텀블록(12)과 시트(10)의 저면 사이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서포트 바아(16)를 구성하는 수평 바아(16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시트(10) 저면과 시트 바텀블록(12)의 바아 결합홈(12a)이 서포트 바아(16)의 회동 기준점이 되는 힌지부가 된다. 상기 시트(10)의 앞에서 볼 때에 서포트 바아(16)가 대략 역 디귿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 걸침바아(17)는 단면 사각형의 바아 형태로서, 시트 걸침바아(17)의 네 군데 외표면 중에서 한 군데의 외표면에 서포트 바아(16)의 한 쌍의 하향 바아 하단부가연결된다. 하향 바아의 하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시트 걸침바아(17)의 한 군데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 걸침바아(17)가 중공의 단면 사각 바아 구조라서 시트 바텀 프레임(16)의 양단부에 홀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바아(16)의 양단부가 후술하는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에 결합(정확하게는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으로 돌출 형성된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바텀 프레임(15)이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트(1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가 의자를 사용하는 장소의 지면에 하단부가 닿아서 지지된 상태이면 상기 시트(10)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바텀 프레임(15) 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10)에는 레그(20)가 구비된다. 레그(20)는 시트(10)의 양쪽 사이드에 배치되는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편의상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를 통일하여 레그(20)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레그(20)는 프론트 레그부(22)와 리어 레그부(25), 등받이 지지바아(23)와 팔걸이대 결합바아(24) 및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부(22)는 의자의 측면(시트(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바아 형태이다. 프론트 레그부(22)의 후단에는 등받이 지지바아(23)가 구비되고, 등받이 지지바아(23)는 상향 연장되어 있다. 서포트 바아(16)는 측면에서 볼 때에 수직선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 지지바아(23)의 상단부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팔걸이대 결합바아(24)가 구비된다. 이 팔걸이대 결합바아(24)에 플라스틱 재질의 팔걸이대가 결합된다. 팔걸이대(24A)의 저면에 구비된 오목홈에 팔걸이대 결합바아(24)가 안착된 상태에서 팔걸이대 결합바아(24)의 상하면으로 관통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끼워서 팔걸이대(24A)에 조여줌으로써 팔걸이대 결합바아(24)에 팔걸이대(24A)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레그부(25)는 프론트 레그부(22)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의자의 측면에서 볼 때에 프론트 레그부(22)는 앞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리어 레그부(25)는 뒤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프론트 레그부(22)와 리어 레그부(25)가 대략 삼각형 다리 구조를 이룬다. 상기 프론트 레그부(22)와 리어 레그부(25)의 하단부에는 캐스터가 구비된다. 또한, 프론트 레그부(22)와 리어 레그부(25)의 양면에는 오목홈(살빼기 홈)이 구비된다. 상기 오목홈에 의해 레그(25)의 성형에 필요한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그(20) 안쪽면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이 구비된다.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은 프론트 레그부(22)의 안쪽면 중에서 리어 레그부(25)가 분기되는 지점과 인접한 안쪽면에 구비된다. 또한, 레그(20)는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인서트 지지보스(27)가 구비되는데, 인서트 지지보스(27)는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의 주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시트 결합 지지블록(26) 주위에 상기 시트 걸침바아(17)가 끼어 들어가는 인서트홈을 형성한다. 즉,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의 외표면과 상기 인서트 지지보스(27)의 내측면 사이에 인서트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시트(10) 아래의 바텀 프레임(15)을 형성하는 시트 걸침바아(17)가 삽입되고, 인서트홈에 시트 걸침바아(17)가 개재된 구조를 이룬다. 인서트 지지보스(27)는 시트 걸침바아(17)의 외표면을 지지하므로, 상기 시트 걸침바아(17)가 한 쌍의 레그(20)에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때, 상기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는 상하면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구 결합홀(CH)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 걸침바아(17)의 내외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가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의 체결구 결합홀(CH)에 조여지게 된다. 체결구에 의해 시트 걸침바아(17)가 한 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레그(20)의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지지바아(23)에는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이 구비된다. 레그(20)는 다이캐스팅 방식에 의해 프론트 레그부(22)와 리어 레그부(25), 등받이 지지바아(23)와 팔걸이대 결합바아(24) 및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이 한꺼번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된다.
본 발명은 스프링 하우징(30)을 구비한다. 스프링 하우징(30)은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스프링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코어블록(33)과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된다. 코어블록(33)은 고정 코어블록(34)과 가동 코어블록(35)을 포함하고,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 및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와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 및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은 등받이(42)가 스프링(40)에 의해 회동되도록 레그(20)에 지지하는 등받이(42)의 회동 지지부의 주요 구성으로서, 이러한 스프링 하우징(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등받이 지지바아(23)에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이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은 외측 테두리부(31PF)를 구비하고, 외측 테두리부(31PF) 안쪽에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내부에 고정 코어블록(34)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에 고정 코어블록(34)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고정 코어블록(34)은 단면 원형의 블록 형상으로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중심부에 고정 코어블록(34)이 동축적으로 구비된다. 고정 코어블록(34)의 중심부에는 내외측단으로 연통된 보스 결합홀이 구비된다. 또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은 외측 테두리부(31PF)의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내측 테두리부(31IF)를 구비한다. 내측 테두리부(31IF)의 내측단은 외측 테두리부(31PF)의 내측단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구조이다. 내측 테두리부(31IF)는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루는데, 내측 테두리부(31IF)의 일부에는 원주형 스톱퍼홈(31SG)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고정 코어블록(34)의 주위에 구비된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와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를 포함한다.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는 대략 원형의 홈 형태이고,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는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된 홈 형태이다. 이때, 상기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는 원형의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의 법선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는 상기 내측 테두리부(31IF)의 내주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일정 깊이 더 연장된 홈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은 안쪽면에 대략 환형의 가이드 테두리부(32GF)를 구비한다. 환형의 가이드 테두리부(32GF)의 내측단은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안쪽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 테두리부(32GF)의 내측단 일부에는 스톱퍼(32SP)가 돌출되어 있다. 스톱퍼(32SP)는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에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스톱퍼홈(31SG)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은 가이드 테두리부(32GF) 안쪽에 스프링 수용홈이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프링 수용홈의 내부에 가동 코어블록(35)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수용홈의 중심부에 가동 코어블록(35)이 구비되어 있다. 즉, 가동 코어블록(35)은 단면 원형의 블록 형상으로서,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중심부에 가동 코어블록(35)이 동축적으로 구비된다. 가동 코어블록(35)의 내측단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보스 결합홀에 끼워지는 보스(BS)가 구비된다. 보스(BS)는 내부에 체결구 결합홀(CH)이 구비된 대략 단면 원형관 구조이다. 보스(BS)의 체결구 결합홀(CH)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가동 코어블록(35)의 주위에 구비된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와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를 포함한다.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는 대략 원형의 홈 형태이고,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는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된 홈 형태이다. 이때, 상기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는 원형의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의 법선 방향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다.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는 상기 가이드 테두리부(32GF)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 깊이 더 연장된 홈을 구비한 구조를 취한다. 한편,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 하우징(30)을 구성하는데,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의 외측면에서 볼 때에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는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와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스프링 하우징(30)의 중싱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가 배치된다면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는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와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가 스프링 하우징(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바깥면에는 고정 지지편(32FC)이 구비된다. 고정 지지편(32FC)은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바깥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또한, 고정 지지편(32FC)의 한쪽 면에는 체결구 결합보스가 구비되며, 체결구 결합보스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다. 체결구 결합보스는 고정 지지편(32FC)의 한쪽 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구 결합보스(32BS)가 고정 지지편(32FC)의 한쪽 면(등받이(42)의 배면과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은 등받이(42)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등받이(42)는 대략 사각틀 형태의 등받이 프레임(42A)에 등받침 부재(42B)가 결합된 구조를 취하는데, 등받이 프레임(42A)의 양쪽 사이드에 인접한 배면에 홈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고정 지지편(32FC)이 등받이 프레임(42A)의 양쪽 사이드의 배면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42A)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상기 고정 지지편(32FC)에 돌출되어 있는 체결구 결합보스(32BS)에 결합하여 한 쌍의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등받이(42)의 양쪽 사이드측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지지편(32FC)의 체결구 결합보스(32BS)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등받이 프레임(42A)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등받이(42)의 양쪽 사이드측에 좌우 하나씩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 하우징(30)에 내장되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스프링 하우징(30)을 매개로 레그(20)와 등받이(4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40)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부(42)와, 이 코일 스프링부(42)의 나선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를 포함한다. 즉, 스프링(40)에서 직선형 스프링부(44)가 나선형 코일 스프링부(42)에서 절곡이 되지 않고 법선 방향으로 그대로 연장된 일자형 와이어 구조를 이룬다.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와 직선형 스프링부(44)는 단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40)의 직경은 대략 4mm에서 6mm 정도로서 비교적 직경이 두꺼운 스프링(40)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40)이 코일 스프링부(42)에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를 구비하고 직선 스프링(40)부는 코일 스프링부(42)에서 법선 방향으로 그대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달리 스프링(40)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구조를 탈피하고 스프링(40)의 직경은 기존에 비하여 더욱 두껍게 구성한 것이 중요하다.
상기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의 안쪽에 스프링 하우징(30) 내부의 코어블록(33)이 결합되고,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는 스프링 하우징(30)의 코어블록(33) 외측의 코어 지지홈부(37)에 안착되고, 스프링(40)의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는 스프링 하우징(30)의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38)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가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코어블록(34)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코어블록(35)에 결합되어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와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에 안착되고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 중에서 하나의 직선형 스프링부(44)는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에 삽입 결합되고 다른 직선형 스프링부(44)는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환형 가이드 테두리부(32GF)를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둘레부에 구비된 테두리부 내주면에 끼우고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코어블록(35) 내측단에 돌출된 보스(BS)를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코어블록(34)에 형성된 보스 결합홀(BH)에 끼우면, 상기 고정 코어블록(34)의 전후단으로 연통된 보스 결합홀(BH)과 상기 보스(BS) 내부의 체결구 결합홀(CH)이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이드 테두리부(32GF)에 돌출된 스톱퍼(32SP)는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내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스톱퍼홈(31SG)에 수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 코어블록(34)의 보스 결합홀(BH)에 끼워진 볼트 등의 체결구를 가동 코어블록(35)에 구비된 보스(BS)에 체결하여 조여주면,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두 개의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는 안쪽 공간부에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의 가동 코어블록(35)과 고정 코어블록(34)이 결합되고 코일 스프링부(42) 자체는 스프링 하우징(30)의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와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에 안착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는 각각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와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스프링(40)의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각각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에 걸려져 있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대해 회전할 때에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벌려지거나 좁혀지고 동시에 코일 스프링부(42)의 안쪽 내경이 줄어들거나 확대되어 탄성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생산자측에서 조립하여 제공하는 것보다는 의자 사용처에서 바로바로 조립하여 쓸 수 있는 제품(DIY : Do it youself)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한 데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이러한 DIY 조립 방식으로 설계된 본 발명의 의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그(20)를 좌우측 두 개 준비하여 각 레그(20)의 안쪽면에 구비된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시트(1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바텀 프레임(15)의 시트 걸침바아(17) 양단부를 끼워준다. 다음, 상기 시트 걸침바아(17)에 형성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과시켜서 상기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체결함으로써 좌우측 한 쌍의 레그(20)를 시트(10)의 양쪽 사이드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시트(10) 아래에 구비된 바텀 프레임(15)의 서포트 바아(16)에 힌지부를 기준으로 시트(1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시트(10)가 좌우 양쪽 레그(20) 사이에서 바텀 프레임(15) 위에서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여 세워지고,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바텀 프레임(15) 위로 다시 펼쳐져 내려올 수 있게 된다. 시트(10)가 바텀 프레임(15) 위로 펼쳐젼 내려온 상태가 착석자가 둔부를 시트(10)에 얹어놓고 앉을 수 있는 상태이다.
다음, 상기 레그(20)의 내측면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등받이(42)의 양쪽 사이드측에 구비된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을 끼워준다. 물론,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내부에 형성된 코어 지지홈부(37)와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38)에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와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결합된 상태이다.
이어서,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코어블록(34) 내외측단으로 연통된 보스 결합홀(BH)에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외측단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를 끼우고, 상기 체결구는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코어블록(35)에 형성된 보스(BS)의 체결구 결합홀(CH)에 조여줌으로써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을 매개로 등받이(42)가 좌우 양쪽 레그(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보스 결합홀(BH)에 상기 체결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동시에 체결구에서 직경이 더 큰 헤드가 상기 보스 결합홀(BH)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코어블록(35)의 체결구 결합홀(CH)에는 상기 체결구가 조여져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등받이(42)의 양쪽 사이드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레그(20)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 등받이(42)도 세워진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레그(20)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을 기준으로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회전하고 동시에 등받이(42)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10)를 레그(20)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을 기준으로 바텀 프레임(15)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펼쳐 놓으면, 상기 시트(10)의 저면에 구비된 서포트 지지홈(13)이 바텀 프레임(15)의 서포트 바아(16)에 안착 결합된다. 즉, 시트(10) 저면에 서포트 지지홈(13)을 구비한 시트 바텀블록(12)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10)가 힌지부(즉, 시트(10)를 바텀 프레임(15)에 연결한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칠 때에 상기 시트 바텀블록(12)의 서포트 지지홈(13)이 바텀 프레임(15)을 구성하는 서포트 바아(16)에 안착 결합된다.
상기 시트(10)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의자 사용자가 둔부를 시트(10)에 얹어서 앉게 되는데, 의자 사용중에 등받이(42)를 뒤로 제껴지도록 등을 뒤로 제끼면, 상기 레그(20)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을 기준으로 등받이(42)에 구비된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이 회전하는데,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와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에 스프링(40)의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서로 좁혀지는 작동을 하고,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서로 벌어지거나 서로 좁혀질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부(42)는 나선 방향을 따라 벌려지거나 좁혀지는 작동이 일어나면서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42)도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된다. 이때,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에 구비된 스톱퍼(32SP)는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구비된 스톱퍼홈(31SG)의 한쪽 스톱핑 단부에 걸려지므로, 상기 등받이(42)가 과도하게 뒤로 제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시트(10)에 앉은 사용자가 뒤로 제껴놓은 자신의 등을 앞으로 다시 굽히면, 뒤로 제껴져 있던 등받이(42)가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앞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에 구비된 스톱퍼(32SP)는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구비된 스톱퍼홈(31SG)의 다른 쪽 스톱핑 단부에 걸려지므로, 상기 등받이(42)가 과도하게 앞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스톱퍼(32SP)와 스톱핑홈(31SG)은 등받이(42)가 과도하게 뒤로 제껴지거나 과도하게 앞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등받이(42)의 회동 각도 범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42)가 뒤로 제껴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는 주요부인 스프링(40)이 충분한 두께(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이 반복된 등받이(42)의 전후 회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탄성 복원력 보유와 해지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는 일이 없으므로, 등받이(42)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제대로 회동 복귀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스프링(40)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부(42)의 나선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를 구비하고, 스프링 하우징(30) 내부의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코어블록(33)의 주위에 배치된 원형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링(40)의 코일 스프링부(42)가 안착되는 코어 지지홈부(37)와, 이러한 코어 지지홈부(37)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결합되는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38)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프링(40)을 탄성 복원력 작용을 위하여 걸어주는 부분을 절곡 성형할 필요가 없고, 이처럼 스프링(40)의 걸림 절곡부 가공 작업이 필요치 않아서 스프링(40) 자체의 직경(두께)을 기존에 비하여 훨씬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등받이(42)의 반복적인 회동 작용에 의해 스프링(40)이 피로 응력에 의해 자체 탄성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등받이(42)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탄성력을 상실한 스프링(40) 때문에 등받이(42)가 원위치로 제대로 회동 복귀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의자의 제품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두꺼운 코일 스프링(40)의 끝을 구부려서 걸이부를 만들어줄 필요가 없고 코일 스프링부(42)에서 법선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뻗어나오는 직선형 스프링부(44)를 형성하기만 하면 되므로, 결과적으로 등받이(42) 회동 지지 구조의 의자를 만들기가 보다 쉽다. 즉, 본 발명은 두꺼운 스프링(40)의 절곡 작업에 의해 걸이부를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의자 제작이 기존에 비하여 훨씬 더 쉬워질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아주 크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레그(20)와 시트(10) 및 등받이(42)를 전술한 DIY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의자의 각 부분인 레그(20)와 등받이(42) 및 시트(10)가 조립된 상태로 운송하지 않고 콤팩트하게 분리한 상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 의자의 각 부분이 조립되지 않고 콤팩트하게 분해된 상태에서 의자의 운송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의자를 실어서 나르는 트럭의 운행 대수 또는 운행 횟수를 많이 늘려야 되므로 물류비가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주요부를 모두 분해하여 콤팩트하게 다량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으므로, 트럭의 운행 대수나 운행 횟수를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류비가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시트(10)를 레그(20)에 연결되어 있는 바텀 프레임(15) 쪽으로 하향 회동시키면 상기 시트(10) 저면의 서포트 지지홈(13)이 상기 바텀 프레임(15)을 구성하는 서포트 바아(16)에 안착 결합되므로, 시트(1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구조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레그(20)의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레그(20)가 의자의 측면(상기 시트(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등받이 지지바아(23)를 구비한 프론트 레그부(22)와, 이러한 프론트 레그부(22)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레그부(25)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팔걸이대 결합바아(24)가 생략된 구조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팔걸이대가 없는 의자 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그(2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레그부재(122)가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하측 레그(120)와, 이러한 하측 레그(120)의 중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시트(1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시트 바텀 프레임(15)과, 이러한 시트 바텀 프레임(15)의 양쪽 사이드에 결합됨과 동시에 등받이(42)의 양쪽 사이드에 회동 지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상측 레그(140)를 포함한다. 각각의 베이스 레그부재(122)에는 캐스터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지지부는 전술한 실시예의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 및 스프링(40)에 해당하며,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15)도 전술한 실시예들의 바텀 프레임(15)과 동일 유사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좌우 양쪽 상측 레그(120)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트 결합 지지블록(26)과 마찬가지로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이 구비된다. 따라서, 시트 바텀 프레임(15)에 시트(10)가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우 양쪽 상측 레그(120)에 구비된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시트 바텀 프레임(15)을 구성하는 서포트 바아(16)의 양단부가 끼워지고 상기 회동 지지부인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가동 스프링 하우징(32) 및 스프링(40)에 의해 상측 레그(120)에 등받이(42)가 연결되어 시트 등받이 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시트 등받이 조립체의 서포트 바아(16)에는 연결 지지판(142)이 구비된다. 연결 지지판(142)은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포트 바아(16)의 하부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하측 레그(20)의 중심부에 구비된 기둥부재(124)의 상단부에 고정판(125)이 구비된다. 이때, 기둥부재(124)는 하단부가 하측 레그(20)의 중심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단부로는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부재(124)의 상단부에 고정판(125)이 구비된다. 기둥부재(124)가 실린더일 경우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 고정판(125)이 구비된다.
상기 시트 등받이 조립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 지지판(142)이 상기 하측 레그(20)의 기둥부재(124)에 구비된 고정판(125)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연결 지지판(142)이 하측 레그(20)의 기둥부재(124)에 구비된 고정판(125)에 볼트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시트 등받이 조립체가 하측 레그(20) 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 등받이 조립체를 필요시 하측 레그(2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역시 아래의 하측 레그(20)와 위쪽의 시트 등받이 조립체로 구성된 것 이외에는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며, 그로 인한 기능 내지 효과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 내지 효과와 동일 유사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시트 12. 시트 바텀블록
13. 서포트 지지홈 15. 바텀 프레임
16. 서포트 바아 17. 시트 걸침바아
20. 레그 22. 프론트 레그부
23. 등받이 지지바아 24. 팔걸이대 결합바아
25. 리어 레그부 26. 시트 결합 지지블록
27. 인서트 지지보스 30. 스프링 하우징
31. 고정 스프링 하우징 32. 가동 스프링 하우징
33. 코어 블록 34. 고정 코어블록
35. 가동 코어블록 36. 스프링 결합 지지홈
37. 코어 지지홈부 37a. 고정 코어 지지홈부
37b. 가동 코어 지지홈부 38. 직선형 지지홈부
38a.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 38b.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
40. 스프링 42. 코일 스프링부
44. 직선형 스프링부 120. 하측 레그
140. 상측 레그

Claims (12)

  1. 시트(10);
    상기 시트(10)에 구비된 레그(20);
    상기 시트(10)의 후방에 등받이(42)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레그(20)에 연결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레그(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된 스프링 하우징(30);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에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을 매개로 상기 레그(20)와 상기 등받이(4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그(20)는, 상기 시트(10)의 양쪽 사이드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40)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부(42);
    상기 코일 스프링부(42)의 나선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은 내부에 코어블록(33)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블록(33)의 주위에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상기 코어블록(33)의 주위에 배치된 원형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40)의 상기 코일 스프링부(42)가 안착되는 코어 지지홈부(37);
    상기 코어 지지홈부(37)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결합되는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은, 상기 레그(20)에 구비된 고정 스프링 하우징(31)과, 상기 등받이(4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어블록(33)은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에 구비된 고정 코어블록(34)과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에 구비된 가동 코어블록(35)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상기 고정 코어블록(34)의 주위에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와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와, 상기 가동 코어블록(35)의 주위에 구비되도록 상기 가동 스프링 하우징(32)의 내부에 구비된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와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40)의 상기 코일 스프링부(42)가 상기 고정 코어블록(34)과 상기 가동 코어블록(35)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코어 지지홈부(37a)와 상기 가동 코어 지지홈부(37b)에 안착되고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 중에서 하나의 직선형 스프링부(44)는 상기 고정 직선형 지지홈부(38a)에 삽입 결합되고 다른 직선형 스프링부(44)는 상기 가동 직선형 지지홈부(38b)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어블록(34)과 상기 가동 코어블록(3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어블록(33)에는 보스 결합홀(BH)이 내외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코어블록(33)에는 상기 보스 결합홀(BH)에 끼워지는 보스(BS)가 구비되며, 상기 보스(BS)에는 체결구 결합홀(C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20)는,
    의자의 측면(상기 시트(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등받이 지지바아(23)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 지지바아(23)에는 팔걸이대 결합바아(24)를 구비한 프론트 레그부(22);
    상기 프론트 레그부(22)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레그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레그부(22)의 상기 등받이 지지바아(23)에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레그(20)와 상기 우측 레그(20)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10)에는 바텀 프레임(15)이 구비되고, 상기 바텀 프레임(15)에는 상기 시트 결합 지지블록(26)에 끼워지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바텀 프레임(15)에 상기 시트(10)가 힌지부에 의해 상향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레그(20)와 상기 우측 레그(20)에 양쪽 사이드부가 결합되는 상기 바텀 프레임(15)에는 서포트 바아(16)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0)의 저면에는 서포트 지지홈(13)을 구비한 시트 바텀블록(12)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10)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쳐질 때에 상기 시트 바텀블록(12)의 상기 서포트 지지홈(13)이 상기 서포트 바아(16)에 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15)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시트(10)의 상기 시트 바텀블록(12)에 결합된 서포트 바아(16)와, 상기 서포트 바아(16)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된 바아 형상의 시트 걸침바아(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레그(20)와 상기 우측 레그(20)에는 시트 결합 지지블록(26) 주위에 상기 시트 걸침바아(17)가 끼어 들어가는 인서트홈을 형성하는 인서트 지지보스(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20)는,
    의자의 측면(상기 시트(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등받이 지지바아(23)를 구비한 프론트 레그부(22);
    상기 프론트 레그부(22)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레그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레그부(22)의 상기 등받이 지지바아(23)에 상기 고정 스프링 하우징(31)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10. 시트(10);
    상기 시트(10)에 구비된 레그(20);
    상기 시트(10)의 후방에 등받이(42)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레그(20)에 연결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레그(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된 스프링 하우징(30);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에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을 매개로 상기 레그(20)와 상기 등받이(4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그(2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레그부재(122)재가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하측 레그(20);
    상기 하측 레그(20)의 중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시트(1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시트 바텀 프레임(15);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15)의 양쪽 사이드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42)의 양쪽 사이드에 회동 지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상측 레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레그(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된 스프링 하우징(30);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에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에 삽입 결합된 양단부는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을 매개로 상기 레그(20)와 상기 등받이(4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레그(120)는, 상기 시트(10)의 양쪽 사이드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좌측 레그(20)와 우측 레그(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40)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부(42);
    상기 코일 스프링부(42)의 나선 방향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하우징(30)은 내부에 코어블록(33)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블록(33)의 주위에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 지지홈(36)은,
    상기 코어블록(33)의 주위에 배치된 원형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40)의 상기 코일 스프링부(42)가 안착되는 코어 지지홈부(37);
    상기 코어 지지홈부(37)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직선형 스프링부(44)가 결합되는 한 쌍의 직선형 지지홈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15)에 상기 시트(1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바텀 프레임(15)의 양쪽 사이드가 상기 좌측 레그(20)와 상기 우측 레그(20)에 결합되며 상기 좌측 레그(20)와 상기 우측 레그(20)에 상기 회동 지지부를 매개로 상기 등받이(42)가 연결된 시트 등받이 조립체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 등받이 조립체는 상기 하측 레그(20)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KR1020140109592A 2014-08-22 2014-08-22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KR10152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92A KR101523722B1 (ko) 2014-08-22 2014-08-22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592A KR101523722B1 (ko) 2014-08-22 2014-08-22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722B1 true KR101523722B1 (ko) 2015-06-05

Family

ID=5350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592A KR101523722B1 (ko) 2014-08-22 2014-08-22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7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859B1 (ko) * 2016-04-14 2017-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사무용 의자
KR102072327B1 (ko) * 2019-04-16 2020-01-31 정윤산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KR20200123568A (ko) * 2019-04-22 2020-10-30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CN111867427A (zh) * 2018-02-21 2020-10-30 F·斯米特控股有限公司 座椅的可分割壳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677A (ko) *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677A (ko) *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859B1 (ko) * 2016-04-14 2017-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사무용 의자
CN111867427A (zh) * 2018-02-21 2020-10-30 F·斯米特控股有限公司 座椅的可分割壳体
KR102072327B1 (ko) * 2019-04-16 2020-01-31 정윤산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KR20200123568A (ko) * 2019-04-22 2020-10-30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KR102258321B1 (ko) * 2019-04-22 2021-05-28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22B1 (ko)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WO2011155557A1 (ja) 椅子
EP1537806B1 (en) A chair with a writing tablet
KR101490435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JP6382501B2 (ja) 椅子
JP6172988B2 (ja) 椅子
JP5567402B2 (ja) 椅子
RU2739022C1 (ru) Модуль сиденья
JP5917926B2 (ja) 操作レバ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椅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JP6279883B2 (ja) 椅子における表装部材の取付構造
KR102072327B1 (ko) 이중 틸팅수단을 갖는 의자
JP2011212377A (ja) 椅子
JP7355576B2 (ja) 椅子
JP5616134B2 (ja) 椅子
JP5989999B2 (ja) 椅子
JP6382500B2 (ja) 椅子
KR200284313Y1 (ko)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의자 프레임
JP5576187B2 (ja) 椅子
JPH077545U (ja) 折り畳み椅子
JP2021052978A (ja) 椅子
JP2021052979A (ja) 椅子
JP5576186B2 (ja) 椅子
JP2022026374A (ja) 椅子
JP6367536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