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59B1 -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59B1
KR101691859B1 KR1020160045390A KR20160045390A KR101691859B1 KR 101691859 B1 KR101691859 B1 KR 101691859B1 KR 1020160045390 A KR1020160045390 A KR 1020160045390A KR 20160045390 A KR20160045390 A KR 20160045390A KR 101691859 B1 KR101691859 B1 KR 10169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groove portion
insertion hole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102016004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47C1/026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positioned under the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판이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등판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는,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좌판; 상기 의자 프레임의 후방 상단부에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 사이에 탄성회동부를 개재해서 소정각도로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등판 브라켓; 및 상기 등판 브라켓의 회동이 락킹상태 또는 언락상태가 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에 대한 상기 등판 브라켓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무용 의자{OFFICE CHAIR}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이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등판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안락함을 위하여 어느 정도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6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좌판(100), 상기 좌판(10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등받이(2), 팔걸이(4), 좌판(100)의 중앙 양측에 힌지결합된 전방지지다리(32)와 좌판(100)의 후방 양측에 힌지결합된 후방지지다리(34)로 구성된 지지다리(3)로 구성되며 접었을때 좌판(100)이 접혀져 등받이(2)에 밀착되어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로서, 상기 팔걸이(4)와 지지다리(3)의 연결부위에 탄성회동수단(R)이 구비되어 착석시 등받이(2)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사용용 의자의 경우, 등받이가 항상 뒤로 젖혀질 수 있는 상태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등받이가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등받이를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677호(2010년10월04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등판이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등판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무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는,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좌판; 상기 의자 프레임의 후방 상단부에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 사이에 탄성회동부를 개재해서 소정각도로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등판 브라켓; 및 상기 등판 브라켓의 회동이 락킹상태 또는 언락상태가 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에 대한 상기 등판 브라켓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무용 의자.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팔걸이 브라켓과 상기 등판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락킹홈; 및 상기 팔걸이 브라켓과 상기 등판 브라켓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락킹홈에서 배출되는 락킹핀이 구비된 작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체는, 상기 등판 브라켓에 형성된 작동체 삽입홀; 일단부에 작동기어가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일단부에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기어와 연동하는 피동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타측 외부로 돌출 또는 인입되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락킹홈에서 배출되는 락킹핀; 상기 락킹핀을 상기 작동버튼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락킹핀의 외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돌기 중 일부의 가이드돌기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상기 락킹핀의 피동기어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1홈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이웃하여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돌기 중 나머지 일부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상기 락킹핀의 피동기어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내측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단부 경사면이 상기 작동기어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홈부의 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제1홈부의 단부와 상기 제2홈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홈부 측으로 일방향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홈부로 유도되어 삽입되고,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단부 경사면이 상기 작동기어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에서 배출된 후 상기 제1홈부 측으로 일방향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홈부로 유도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킹핀의 내부에는 금속재 샤프트가 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킹핀의 외주면에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외주걸림부;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외측에 형성된 확경부; 및 상기 확경부에 고정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의 돌출과 인입을 안내함과 함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등판이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한 상태 또는 등판이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의자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작동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프레임(10), 좌판(20),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30), 등판 브라켓(40), 탄성회동부(50) 및 잠금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자 프레임(10)은 상기 좌판(20), 팔걸이 브라켓(30), 등판 브라켓(40)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조립하기 위한 의자의 골격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철재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판(20)은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30)은 상기 의자 프레임(10)의 후방 상단부에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걸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등판 브라켓(40)은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30) 사이에 탄성회동부(50)를 개재해서 소정각도로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탄성회동부(50)는 상기 등판 브라켓(40)에 형성된 삽입홈(41), 상기 삽입홈(41)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팔걸이 브라켓(30)에 형성된 돌출부(31), 일단이 상기 삽입홈(4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돌출부(31)에 고정되어 상기 팔걸이 브라켓(30)에 대해 상기 등판 브라켓(40)이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0), 상기 돌출부(31)와 상기 탄성스프링(60)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41)에 삽입되는 힌지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삽입홈(41)에는 소정 각도로 확경되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각도제한홈(41a)이 더욱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에는 상기 각도제한홈(41a)에 대응하여 확경되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각도제한돌기(31a)가 더욱 형성되며, 상기 각도제한홈(41a)은 상기 각도제한돌기(31a)보다 더 넓은 각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제한돌기(31a)가 상기 각도제한홈(41a)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탄성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적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등판 브라켓(40)이 소정 각도로 틸팅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의자 프레임(10), 좌판(20),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30), 등판 브라켓(40)은 종래의 의자에 구성된 구성요소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잠금수단(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수단(100)은 상기 등판 브라켓(40)의 회동이 락킹상태 또는 언락상태가 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30)에 대한 상기 등판 브라켓(40)의 회동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수단(100)은, 상기 팔걸이 브라켓(30)과 상기 등판 브라켓(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락킹홈(110) 및 상기 팔걸이 브라켓(30)과 상기 등판 브라켓(40)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홈(110)에 삽입되거나 상기 락킹홈(110)에서 배출되는 락킹핀(163)이 구비된 작동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100)은 상기 락킹홈(110)은 상기 팔걸이 브라켓(3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작동체(160)는 상기 등판 브라켓(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체(1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 브라켓(40)에 형성된 작동체 삽입홀(161), 일단부에 작동기어(162a)가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돌기(162b)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162), 일단부에 상기 작동버튼(162)의 작동기어(162a)와 연동하는 피동기어(163a)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타측 외부로 돌출 또는 인입되어 상기 락킹홈(110)에 삽입되거나 상기 락킹홈(110)에서 배출되는 락킹핀(163), 상기 락킹핀(163)을 상기 작동버튼(162)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락킹핀(163)의 외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164),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돌기(162b) 중 일부의 가이드돌기(162b)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상기 락킹핀(163)의 피동기어(163a)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163)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1홈부(165) 및 상기 제1홈부(165)와 교번적으로 이웃하여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돌기(162b) 중 나머지 일부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상기 락킹핀(163)의 피동기어(163a)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163)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2홈부(1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락킹핀(163)의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64)의 일단을 지지하는 외주걸림부(163c)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외측에는 확경부(161a)가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61a)에는 이탈방지캡(167)이 고정삽입되어 상기 락킹핀(163)의 돌출과 인입을 안내함과 함께 상기 탄성스프링(164)의 타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체(160)의 구성에 따르면, 도 5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핀(163)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버튼(162)의 눌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163a)의 단부 경사면이 상기 작동기어(162a)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홈부(165)의 내측 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제1홈부(165)의 단부와 상기 제2홈부(166)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도 4의 'sf')을 따라 상기 제2홈부(166) 측으로 일방향 회전 이동함에 따라, 도 6 및 도 7의 (b)와 같이, 상기 락킹핀(163)의 피동기어(163a)가 상기 제2홈부(166)의 내측 걸림부(166a)로 유도되어 걸려질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핀(163)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버튼(162)의 눌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163a)의 단부 경사면이 상기 작동기어(162a)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166)의 내측 걸림부(166a)에서 배출된 후 상기 제1홈부(165) 측으로 일방향 회전 이동함에 따라, 도 7의 (c)와 같이, 이웃하는 다음 번 위치의 제1홈부(165)로 유도되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작동체(160)의 동작은, 예를 들어, 원터치 볼펜과 같이 한 번 누르면 펜심이 돌출되고, 다시 한 번 누리면 펜심이 들어가는 구조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상기 락킹핀(163)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락킹핀(163)의 내부에는 금속재 샤프트(163b)가 내장되어, 상기 락킹핀(163)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16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판을 회동시키려는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락킹핀(163)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의자 프레임 20:좌판
30:팔걸이 브라켓 40:등판 브라켓
50:탄성회동부 100:잠금수단
110:락킹홈 160:작동체
161:작동체 삽입홀 161a:확경부
162:작동버튼 162a:작동기어
162b:가이드돌기 163:락킹핀
163a:피동기어 163b:금속재 샤프트
163c:외주걸림부 164:탄성스프링
165:제1홈부 166:제2홈부
167:이탈방지캡

Claims (5)

  1.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좌판;
    상기 의자 프레임의 후방 상단부에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 사이에 탄성회동부를 개재해서 소정각도로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등판 브라켓; 및
    상기 등판 브라켓의 회동이 락킹상태 또는 언락상태가 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브라켓에 대한 상기 등판 브라켓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팔걸이 브라켓과 상기 등판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락킹홈; 및
    상기 팔걸이 브라켓과 상기 등판 브라켓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락킹홈에서 배출되는 락킹핀이 구비된 작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체는,
    상기 등판 브라켓에 형성된 작동체 삽입홀;
    일단부에 작동기어가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일단부에 상기 작동버튼의 작동기어와 연동하는 피동기어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타측 외부로 돌출 또는 인입되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락킹홈에서 배출되는 락킹핀;
    상기 락킹핀을 상기 작동버튼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락킹핀의 외부에 삽입된 탄성스프링;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돌기 중 일부의 가이드돌기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상기 락킹핀의 피동기어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제1홈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이웃하여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돌기 중 나머지 일부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상기 락킹핀의 피동기어가 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내측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단부 경사면이 상기 작동기어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홈부의 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제1홈부의 단부와 상기 제2홈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홈부 측으로 일방향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홈부로 유도되어 삽입되고,
    상기 락킹핀이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단부 경사면이 상기 작동기어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홈부에서 배출된 후 상기 제1홈부 측으로 일방향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홈부로 유도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의 내부에는 금속재 샤프트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의 외주면에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외주걸림부;
    상기 작동체 삽입홀의 외측에 형성된 확경부; 및
    상기 확경부에 고정삽입되어 상기 락킹핀의 돌출과 인입을 안내함과 함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KR1020160045390A 2016-04-14 2016-04-14 사무용 의자 KR10169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90A KR101691859B1 (ko) 2016-04-14 2016-04-14 사무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90A KR101691859B1 (ko) 2016-04-14 2016-04-14 사무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859B1 true KR101691859B1 (ko) 2017-01-04

Family

ID=5783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390A KR101691859B1 (ko) 2016-04-14 2016-04-14 사무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8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3866A1 (de) * 2017-08-16 2019-02-20 Sedus Stoll AG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rückenlehne und büro- oder konferenzsitzmöbel
KR102516046B1 (ko) 2022-06-24 2023-03-3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틸팅 보조 기능을 갖춘 의자
KR102581249B1 (ko) * 2023-06-23 2023-09-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사무용 의자
KR102666276B1 (ko) * 2024-01-11 2024-05-16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사무용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677A (ko)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523722B1 (ko) * 2014-08-22 2015-06-05 주식회사 대형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KR101588702B1 (ko) * 2015-06-29 2016-01-27 김란순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677A (ko)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523722B1 (ko) * 2014-08-22 2015-06-05 주식회사 대형 등받이 회동 지지 구조를 구비한 의자
KR101588702B1 (ko) * 2015-06-29 2016-01-27 김란순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3866A1 (de) * 2017-08-16 2019-02-20 Sedus Stoll AG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rückenlehne und büro- oder konferenzsitzmöbel
US10610023B2 (en) 2017-08-16 2020-04-07 Sedus Stoll Ag Connection assembly for a backrest and office or conference chair
KR102516046B1 (ko) 2022-06-24 2023-03-3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틸팅 보조 기능을 갖춘 의자
KR102581249B1 (ko) * 2023-06-23 2023-09-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사무용 의자
KR102666276B1 (ko) * 2024-01-11 2024-05-16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사무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59B1 (ko) 사무용 의자
US8201846B2 (en) Backrest recline adjustment device for a stroller
US7566097B2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US7611205B2 (en) Safety seat assembly
JPWO2008146428A1 (ja) モニタヒンジ装置
JP5106831B2 (ja) 椅子
JP2018511010A (ja) 解放式ローラークラッチ及びそれを使用する調整可能なヒンジアセンブリ
JP2011050476A (ja) 肘掛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KR101917582B1 (ko) 텐션 등판이 구비된 의자
US10245989B2 (en) Headrest
JP5697469B2 (ja) 操作装置
JP4836792B2 (ja)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035144B1 (ko) 의자
KR101883622B1 (ko) 옷걸이 기능이 구비된 의자
JP3999454B2 (ja) 折り曲げリンク機構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JP56405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581574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638623B2 (ja) 椅子
JP3637753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CN219227661U (zh) 保护壳及电子组件
JP7121474B2 (ja) 肘掛け装置
JP7294854B2 (ja) 肘掛け及び椅子
JP7118418B2 (ja) レンズフード
JP2000021265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