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276B1 -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6276B1 KR102666276B1 KR1020240004931A KR20240004931A KR102666276B1 KR 102666276 B1 KR102666276 B1 KR 102666276B1 KR 1020240004931 A KR1020240004931 A KR 1020240004931A KR 20240004931 A KR20240004931 A KR 20240004931A KR 102666276 B1 KR102666276 B1 KR 1026662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rotating part
- locking
- fan
- shaped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판부의 틸팅 각도를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및 폴딩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각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는, 좌판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부 및 좌우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판부를 포함하는 사무용 의자로서,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상대 회전이 소정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는 틸팅수단; 및 상기 회전축선에서 이격되어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는 락킹핀이 구비된 핀작동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는, 좌판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부 및 좌우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판부를 포함하는 사무용 의자로서,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상대 회전이 소정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는 틸팅수단; 및 상기 회전축선에서 이격되어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는 락킹핀이 구비된 핀작동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부의 틸팅 각도를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및 폴딩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각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안락함을 위하여 어느 정도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6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좌판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등받이(2), 팔걸이(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었을 때 좌판이 접혀져 등받이(2)에 밀착되어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의자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접이식 의자는 상기 팔걸이(4)와 지지다리(3)의 연결부위에 탄성 회동수단이 구비되어 착석시 등받이(2)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종래의 사용용 의자는 등받이가 항상 뒤로 젖혀질 수 있는 상태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등받이가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등받이를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677호(2010년 10월 4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등판부의 틸팅 각도를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및 폴딩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각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무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는, 좌판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부 및 좌우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판부를 포함하는 사무용 의자로서,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상대 회전이 소정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는 틸팅수단; 및 상기 회전축선에서 이격되어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는 락킹핀이 구비된 핀작동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핀작동부는, 외측 단부가 상기 팔걸이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락킹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된 작동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가 내삽되고, 상기 작동핀을 외측으로 당김 작동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작동핀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슬로프면이 형성된 회전다이얼; 및 상기 회전다이얼에 의한 상기 작동핀의 당김 작동 해제 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팔걸이부에는 상기 작동핀이 배치되는 원통형의 핀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핀삽입홀의 일측 내부에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부에는 키홀이 형성되며, 상기 락킹핀의 일측은 상기 키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키면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핀의 타측은 상기 락킹핀의 일측과 제2 단차부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락킹핀의 외주부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에 삽입된 작동핀이 상기 슬로프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로프면은, 상기 작동핀을 외측으로 당김 작동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고측면, 상기 작동핀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저측면, 및 상기 고측면과 상기 저측면은 연결하는 슬립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고측면에 위치한 상기 작동핀이 더 이상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제한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측면은 내부로 오목한 그루브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저측면에 위치한 상기 작동핀이 더 이상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강제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가 내삽되도록 형성된 중심홀; 상기 중심홀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핀이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립용 관통슬릿; 및 상기 조립용 관통슬릿에서 상기 저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강제한면과 연결된 조립용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등판부가 기준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등판부가 기준 상태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전방 포워드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회전부는 부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삽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각 제한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제1 부채꼴 돌부, 상기 제2 회전부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 180°를 초과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 제2 부채꼴 돌부 및 제3 부채꼴 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80°를 초과하는 상기 제2 부채꼴 돌부와 상기 제3 부채꼴 돌부의 사이에 상기 제1 부채꼴 돌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가 조립되되, 180°를 초과하는 상기 제2 부채꼴 돌부와 상기 제3 부채꼴 돌부의 사이 각도가 상기 제1 부채꼴 돌부의 형성 각도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에 대해 상기 제1 회전부가 소정 각도 범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채꼴 돌부의 일측이 상기 제2 부채꼴 돌부에 맞닿는 상태가 상기 등판부의 기준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부채꼴 돌부의 타측이 상기 제3 부채꼴 돌부에 맞닿는 상태가 상기 등판부가 전방으로 최대로 접혀진 폴딩 상태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회전부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등판부가 전방 포워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에 구비된 탄성 압입 수단이 삽입되어 정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 및 상기 등판부가 전방으로 접힌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에 구비된 탄성 압입 수단이 삽입되어 정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등판부의 틸팅 각도를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및 폴딩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각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핀작동부의 조립을 간편하고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의자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틸팅수단과 잠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회전다이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잠금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등판부가 기본 상태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등판부가 전방 포워드 상태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등판부가 폴딩 상태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틸팅수단과 잠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회전다이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잠금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등판부가 기본 상태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등판부가 전방 포워드 상태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등판부가 폴딩 상태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구비하다’,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 상기 좌판(10)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부(20), 및 좌우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20)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팔걸이부(20)는 상기 좌판(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팔을 걸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이고, 상기 등판부(30)는 상기 좌판(1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팔걸이부(20)는 상기 좌판(10)의 양측에 하부에 고정되도록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조립되고, 상기 등판부(30)는 의자의 좌우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20) 사이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등판부(30)는 상기 가상의 회전축선(X) 상에 동축으로 구비된 틸팅수단(100)을 통해 소정 각도 범위로 자유롭게 축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등판부(30)는 상기 회전축선(X)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잠금수단(200)의 잠금 해제 작동 시,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폴딩 상태의 각도로 전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 상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과 상기 등판부(30)의 사이 각도가 대략 105° 정도가 되도록 상기 등판부(30)가 틸팅된 상태이다.
상기 전방 포워드 상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과 상기 등판부(30)의 사이 각도가 대략 90° 정도가 되도록 상기 등판부(30)가 틸팅된 상태로서 상기 기준 상태보다 상기 등판부(30)가 전방으로 약간 더 틸팅된 상태이다.
상기 폴딩 상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30)의 상부가 하부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등판부(30)가 틸팅된 상태로서, 상기 폴딩 상태에서는 책상 아래로 의자를 완전하게 넣을 수 있는 상태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사무용 의자(A)의 주요 구성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가상의 회전축선(X)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등판부(30)가 소정 각도 범위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틸팅수단(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틸팅수단(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10), 제2 회전부(120) 및 회전각 제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부(110)는 상기 등판부(30)의 양측 외측 측면부에 상기 회전축선(X)과 동축이 되도록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부(110)는 상기 등판부(30)와 분할되어 별도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30)와 고정파트(30p)가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110)가 상기 고정파트(30p)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판부(30)의 양측 외측 측면부에 장착홈(30h)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장착홈(30h)에 상기 고정파트(30p)가 삽입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고정파트(30p)의 외측면 상부측에 상기 제1 회전부(11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판부(30)와 고정파트(30p)가 분할 구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상기 등판부(30)에 상기 고정파트(30p)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110)의 외주면 하부 일측에는 제1 부채꼴 돌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는 회전각 제한부(130)를 구성하는 요소로 이후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부(110)의 중심 내부에는 메인볼트축(MP)을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H)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인서트 너트(H)에 상기 메인볼트축(M)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부(110)의 중심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부(120)는 상기 제1 회전부(110)와 마주하여 조립되도록 상기 팔걸이부(20)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선(X)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부(120)는 상기 제1 회전부(110)가 내부로 삽입되는 홈 형상으로 각 팔걸이부(2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주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2 부채꼴 돌부(132) 및 제3 부채꼴 돌부(133)가 서로 180°를 초과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채꼴 돌부(132) 및 제3 부채꼴 돌부(133)는 회전각 제한부(130)를 구성하는 요소로 이후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측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메인볼트축(MP)이 관통하는 관통홀(h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볼트축(MP)은 상기 관통홀(h1)을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 너트(H)에 조립되며, 상기 메인볼트축(MP)과 상기 인서트 너트(H)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10)가 상기 제2 회전부(120)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는 상기 제2 부채꼴 돌부(132)와 제3 부채꼴 돌부(133)의 넓은 각도 구간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부(110)와 상기 제2 회전부(120)가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좌판(30)에 고정된 팔걸이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등판부(30)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부 저면에는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120g1)와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120g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부(110)에는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부 저면을 활주하도록 탄성 가압되는 탄성 압입 수단(125)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은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의 중앙부분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부 저면을 직접 가압하는 가압핀(125-1), 상기 제1 회전부(110)의 내부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편(125-2), 상기 가압핀(125-1)과 상기 고정편(15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핀(125-1)이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부 저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12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의 가압핀(125-1)은 상기 가압스프링(125-3)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상기 제2 회전부(120)의 내부 저면을 활주하게 되고, 상기 가압핀(125-1)의 단부가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120g1) 또는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120g2)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압스프링(125-3)에 의해 상기 가압핀(125-1)의 단부가 상기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120g1) 또는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120g2)로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120g1) 또는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120g2)에 상기 가압핀(125-1)이 안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가압핀(125-1)은 상기 가압스프링(125-3)에 의해 여전히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등판부는 회전에 대한 소정의 저항력 또는 정지력을 받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30)가 전방 포워드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의 가압핀(125-1)이 상기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120g1)에 안착되어 등판부(30)의 회전에 대한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30)가 폴딩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의 가압핀(125-1)이 상기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120g2)에 안착되어 등판부(30)의 회전에 대한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에 의해 발생하는 정지력은 등판부(30)의 전방 포워드 상태 또는 폴딩 상태에서 흔들림에 의해 등판부(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정지력 이상의 힘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등판부(30)를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각 제한부(130)는 제1 부채꼴 돌부(131), 제2 부채꼴 돌부(132) 및 제3 부채꼴 돌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 제2 부채꼴 돌부(132) 및 제3 부채꼴 돌부(133)의 상호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10)와 제2 회전부(120)의 상대 회전이 소정 각도로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채꼴 돌부(132)와 상기 제3 부채꼴 돌부(133)의 넓은 구간 사이의 각도(α°)가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의 형성 각도(β°)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120)에 대해 상기 제1 회전부(110)가 소정 각도 범위(α°-β°)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의 일측이 상기 제2 부채꼴 돌부(132)에 맞닿는 상태가 상기 등판부(30)의 기준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의 타측이 상기 제3 부채꼴 돌부(133)에 맞닿는 상태는 상기 등판부(30)가 전방으로 최대로 접혀진 폴딩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틸팅수단(100)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각 제한부(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제1 회전부(110)가 소정 각도 범위로 회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등판부(30)를 소정 각도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등판부(30)의 전방 포워드 상태 또는 폴딩 상태에서 상기 등판부(30)의 회전에 대한 소정의 정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등판부(30)를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폴딩 상태의 각도로 자유롭게 전환하여 사용 가능한 잠금해제 상태와, 상기 등판부(30)를 기준 상태나 전방 포워드 상태로 고정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잠금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잠금수단(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수단(200)은 걸림홈부(210)와 핀작동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판부(30)의 회전을 잠금해제하거나 잠금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걸림홈부(210)는 상기 회전축선(X)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등판부(3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 부분으로서, 상기 핀작동부(220)를 구성하는 락킹핀(221)이 삽입 또는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홈부(210)는 상기 등판부(30)의 기준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221)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홈부(211) 및 상기 등판부(30)의 전방 포워드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221)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홈부(211)와 상기 제2 홈부(212)의 일부분이 중첩되어 오뚜기 형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상기 제1 홈부(211)와 상기 제2 홈부(212)는 각각 개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핀작동부(220)는 락킹핀(221), 작동핀(222), 회전다이얼(223) 및 탄성스프링(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걸림홈부(210)를 구성하는 제1 홈부(211)와 상기 제2 홈부(2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상기 등판부(30)의 회전이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락킹핀(221)은 상기 제1, 2 홈부(211, 2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핀으로서, 외측 단부가 상기 팔걸이부(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부로 연장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팔걸이부(20)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선(X)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조립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핀(222)이 배치되는 상기 팔걸이부(20)의 대응 부분에는 원통형의 핀삽입홀(20h)이 형성되고, 상기 핀삽입홀(20h)의 일측 내부에는 제1 단차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차부(21)에는 키홀(21h)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핀(221)의 일측은 상기 키홀(21h)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키면(2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홀(21h)에 상기 키면(221a)이 서로 맞춰지도록 상기 락킹핀(221)의 일측이 상기 키홀(21h)을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락킹핀(221)은 회전이 방지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락킹핀(221)의 타측은 상기 락킹핀(221)의 일측과 제2 단차부(221b)를 두고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락킹핀(221)의 타측은 상기 제1, 2 홈부(211, 21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핀(222)은 상기 락킹핀(221)의 외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핀(22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핀체결홀(221a-h)에 상기 작동핀(222)이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다이얼(223)은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223c)를 구비하되, 상기 락킹핀(221)의 외측 단부가 내삽되고, 상기 작동핀(222)을 외측으로 당김 작동시켜 상기 락킹핀(221)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1, 2 홈부(211, 212)에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작동핀(222)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핀(221)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1, 2 홈부(211, 212)에 삽입되도록 하는 슬로프면(223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다이얼(223)은 상기 락킹핀(221)의 외측 단부에 삽입된 작동핀(222)이 상기 슬로프면(223a)에 안착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로프면(223a)은 상기 작동핀(222)을 외측으로 당김 작동시켜 상기 락킹핀(221)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210)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고측면(223a-1), 상기 작동핀(222)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핀(221)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210)에 삽입되도록 하는 저측면(223a-2), 및 상기 고측면(223a-1)과 상기 저측면(223a-2)은 연결하는 슬립면(223a-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다이얼(223)을 잠금해제 방향(도 8의 반시계 방향) 또는 잠금 방향(도 8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작동핀(222)이 상기 고측면(223a-1), 슬립면(223a-3), 저측면(223a-2) 상에서 슬립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작동핀(222)의 슬립 이동에 의해 상기 락킹핀(221)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락킹핀(221)의 단부가 상기 제1 홈부(211)와 상기 제2 홈부(2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또는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측면(223a-1)의 일측에는 상기 고측면(223a-1)에 위치한 상기 작동핀(222)이 더 이상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제한면(223a-1L)이 형성되고, 상기 고측면(223a-1)은 내부로 오목한 그루브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목한 그루브의 형상에 의해 상기 작동핀(222)이 상기 고측면(223a-1)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측면(223a-2)의 일측에는 상기 저측면(223a-2)에 위치한 상기 작동핀(222)이 더 이상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강제한면(223a-2L)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다이얼(223)은 상기 락킹핀(221)의 외측 단부가 내삽되도록 형성된 중심홀(223h1), 상기 중심홀(223h1)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핀(222)이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립용 관통슬릿(223h2), 및 상기 조립용 관통슬릿(223h2)에서 상기 저측면(223a-2)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강제한면(223a-2L)과 연결된 조립용 경사면(223b)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조립용 경사면(223b)에 의해 간단하고 쉽게 상기 핀작동부(220)의 조립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a) 상기 락킹핀(221)의 제2 단차부(221b)에 탄성스프링(224)이 걸리도록 삽입, b) 상기 락킹핀(221)의 키면(221a)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핀삽입홀(20h)의 키홀(21h)을 관통하도록 삽입, c) 상기 락킹핀(221)의 외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작동핀(222)을 삽입하여 조립, d) 상기 회전다이얼(223)의 중심홀(223h1)과 조립용 관통슬릿(223h2)을 통해 상기 락킹핀(221)과 작동핀(222)을 상기 회전다이얼(223)의 내부로 삽입, e) 상기 회전다이얼(223)을 서서히 회전시키면(221a)서 상기 작동핀(222)이 상기 조립용 경사면(223b)을 타고 넘어가도록 조립하는 과정으로 조립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e)' 과정에서, 상기 작동핀(222)이 상기 조립용 경사면(223b)을 넘어서 상기 저측면(223a-2)으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핀(222)이 상기 저측면(223a-2)으로 자동적으로 안착되어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회전다이얼(223)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핀작동부(22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조립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224)은 상기 회전다이얼(223)에 의한 상기 작동핀(222)의 당김 작동 해제 시, 상기 락킹핀(221)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2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224)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스프링(224)은 상기 락킹핀(221)의 외주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스프링(224)의 일단이 상기 제1 단차부(21)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24)의 타단이 상기 제2 단차부(221b)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다이얼(223)을 잠금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제1 홈부(211) 또는 상기 제2 홈부(212)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압축된 상기 탄성스프링(2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제1 홈부(211) 또는 상기 제2 홈부(21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다이얼(223)을 잠금해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제1 홈부(211) 또는 상기 제2 홈부(212)에서 배출된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24)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잠금수단(2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등판부(30)를 기준 상태, 전방 포워드 상태, 폴딩 상태의 각도로 자유롭게 전환하여 사용 가능한 잠금해제 상태로 설정하거나, 상기 등판부(30)를 기준 상태나 전방 포워드 상태로 고정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잠금 상태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A)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잠금수단(220)의 회전다이얼(223)을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걸림홈부(210)에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30)가 기준 상태의 각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의 일측이 상기 제2 부채꼴 돌부(132)에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잠금수단(220)의 회전다이얼(223)을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걸림홈부(210)의 제1 홈부(211)에 삽입되도록 조작함에 따라 상기 등판부(30)가 기준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수단(220)의 회전다이얼(223)을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걸림홈부(210)에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30)가 전방 포워드 상태의 각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는 상기 제2 부채꼴 돌부(132)에서 약간 이격되어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등판부(30)의 전방 포워드 상태 전환에 따라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이 상기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120g1)에 안착되어 발생하는 정지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수단(220)의 회전다이얼(223)을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걸림홈부(210)의 제2 홈부(212)에 삽입되도록 조작함에 따라 상기 등판부(30)가 전방 포워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수단(220)의 회전다이얼(223)을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킹핀(221)이 상기 걸림홈부(210)에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30)가 폴딩 상태의 각도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채꼴 돌부(131)의 타측이 상기 제3 부채꼴 돌부(133)에 맞닿는 상태가 되며, 상기 등판부(30)는 전방으로 최대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등판부(30)의 폴딩 상태 전환에 따라 상기 탄성 압입 수단(125)이 상기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120g2)에 안착되어 발생하는 정지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로 사무용 의자를 책상 아래로 완전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좌판 20:팔걸이부
20h:핀삽입홀 21:제1 단차부
21h:키홀 30:등판부
A:사무용 의자 X:회전축선
100:틸팅수단 110:제1 회전부
120:제2 회전부 120g1: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
120g2: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 125:탄성 압입 수단
130:회전각 제한부 131:제1 부채꼴 돌부
132:제2 부채꼴 돌부 133:제3 부채꼴 돌부
200:잠금수단 210:걸림홈부
211:제1 홈부 212:제2 홈부
220:핀작동부 221:락킹핀
221a:키면 221b:제2 단차부
222:작동핀 223:회전다이얼
223h1:중심홀 223h2:관통슬릿
223a:슬로프면 223a-1:고측면
223a-1L:상승제한면 223a-2:저측면
223a-2L:하강제한면 223a-3:슬립면
223b:조립용 경사면 224:탄성스프링
20h:핀삽입홀 21:제1 단차부
21h:키홀 30:등판부
A:사무용 의자 X:회전축선
100:틸팅수단 110:제1 회전부
120:제2 회전부 120g1: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
120g2: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 125:탄성 압입 수단
130:회전각 제한부 131:제1 부채꼴 돌부
132:제2 부채꼴 돌부 133:제3 부채꼴 돌부
200:잠금수단 210:걸림홈부
211:제1 홈부 212:제2 홈부
220:핀작동부 221:락킹핀
221a:키면 221b:제2 단차부
222:작동핀 223:회전다이얼
223h1:중심홀 223h2:관통슬릿
223a:슬로프면 223a-1:고측면
223a-1L:상승제한면 223a-2:저측면
223a-2L:하강제한면 223a-3:슬립면
223b:조립용 경사면 224:탄성스프링
Claims (10)
- 좌판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팔걸이부 및 좌우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판부를 포함하는 사무용 의자로서,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비된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상대 회전이 소정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는 틸팅수단; 및
상기 회전축선에서 이격되어 상기 등판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는 락킹핀이 구비된 핀작동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핀작동부는,
외측 단부가 상기 팔걸이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락킹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된 작동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가 내삽되고, 상기 작동핀을 외측으로 당김 작동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작동핀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슬로프면이 형성된 회전다이얼; 및
상기 회전다이얼에 의한 상기 작동핀의 당김 작동 해제 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에는 상기 작동핀이 배치되는 원통형의 핀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핀삽입홀의 일측 내부에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차부에는 키홀이 형성되며,
상기 락킹핀의 일측은 상기 키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키면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핀의 타측은 상기 락킹핀의 일측과 제2 단차부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락킹핀의 외주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에 삽입된 작동핀이 상기 슬로프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로프면은,
상기 작동핀을 외측으로 당김 작동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고측면, 상기 작동핀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락킹핀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저측면, 및 상기 고측면과 상기 저측면을 연결하는 슬립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고측면에 위치한 상기 작동핀이 더 이상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제한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측면은 내부로 오목한 그루브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저측면에 위치한 상기 작동핀이 더 이상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강제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락킹핀의 외측 단부가 내삽되도록 형성된 중심홀;
상기 중심홀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핀이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립용 관통슬릿; 및
상기 조립용 관통슬릿에서 상기 저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강제한면과 연결된 조립용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등판부가 기준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등판부가 기준 상태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전방 포워드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삽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각 제한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제1 부채꼴 돌부, 상기 제2 회전부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 180°를 초과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 제2 부채꼴 돌부 및 제3 부채꼴 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80°를 초과하는 상기 제2 부채꼴 돌부와 상기 제3 부채꼴 돌부의 사이에 상기 제1 부채꼴 돌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가 조립되되,
180°를 초과하는 상기 제2 부채꼴 돌부와 상기 제3 부채꼴 돌부의 사이 각도가 상기 제1 부채꼴 돌부의 형성 각도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에 대해 상기 제1 회전부가 소정 각도 범위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채꼴 돌부의 일측이 상기 제2 부채꼴 돌부에 맞닿는 상태가 상기 등판부의 기준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부채꼴 돌부의 타측이 상기 제3 부채꼴 돌부에 맞닿는 상태가 상기 등판부가 전방으로 최대로 접혀진 폴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등판부가 전방 포워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에 구비된 탄성 압입 수단이 삽입되어 정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전방 포워드 상태 정지 그루브; 및
상기 등판부가 전방으로 접힌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에 구비된 탄성 압입 수단이 삽입되어 정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폴딩 상태 정지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4931A KR102666276B1 (ko) | 2024-01-11 | 2024-01-11 | 사무용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4931A KR102666276B1 (ko) | 2024-01-11 | 2024-01-11 | 사무용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6276B1 true KR102666276B1 (ko) | 2024-05-16 |
Family
ID=9127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04931A KR102666276B1 (ko) | 2024-01-11 | 2024-01-11 | 사무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627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6677A (ko) | 2009-03-24 | 2010-10-04 | 김현곤 |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
KR101691859B1 (ko) * | 2016-04-14 | 2017-01-04 | 주식회사 대하정공 | 사무용 의자 |
KR102581249B1 (ko) * | 2023-06-23 | 2023-09-21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
2024
- 2024-01-11 KR KR1020240004931A patent/KR1026662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6677A (ko) | 2009-03-24 | 2010-10-04 | 김현곤 |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
KR101691859B1 (ko) * | 2016-04-14 | 2017-01-04 | 주식회사 대하정공 | 사무용 의자 |
KR102581249B1 (ko) * | 2023-06-23 | 2023-09-21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33071B2 (en) | Self-locking rocker recliner chair | |
US6139103A (en) | Synchronized chair seat and backrest tilt control mechanism | |
US7350469B2 (en) | Folding leg latch assembly | |
CA2123237C (en) | Chair with tilting backrest | |
CA2690507C (en) | Collapsible chair | |
JP5180964B2 (ja) | オフィス椅子の同期デバイス | |
KR100195834B1 (ko) | 의자시트 장착기구 | |
US20090146468A1 (en) | Reclining Lounge Chair | |
EP2037776A2 (en) | Furniture mechanism with tilt cam for multiple position tilt | |
KR102666276B1 (ko) | 사무용 의자 | |
KR102581249B1 (ko) | 사무용 의자 | |
JP6902164B2 (ja) | シートモジュール | |
KR101623726B1 (ko) | 좌판 접힘 의자 | |
JP4908826B2 (ja) | リクライニング椅子 | |
CN108887973B (zh) | 一种折叠座椅 | |
WO2022091214A1 (ja) | 椅子 | |
CN218355235U (zh) | 一种可联动折叠的座椅 | |
CN113080643A (zh) | 一种休闲椅 | |
KR200427731Y1 (ko) |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 |
KR102581250B1 (ko) | 사무용 의자 | |
JP2007151738A (ja) | 椅子 | |
EP4289314B1 (en) | Oscillating damping system for the backrest of an item of seating furniture | |
CN218869841U (zh) | 一种多功能座椅 | |
US20240239246A1 (en) | Vehicle seat | |
CN220069260U (zh) | 一种座椅腿撑调节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