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60B1 - 의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60B1
KR101691860B1 KR1020160035830A KR20160035830A KR101691860B1 KR 101691860 B1 KR101691860 B1 KR 101691860B1 KR 1020160035830 A KR1020160035830 A KR 1020160035830A KR 20160035830 A KR20160035830 A KR 20160035830A KR 101691860 B1 KR101691860 B1 KR 10169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shaft
block
bottom plat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주식회사 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주식회사 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102016003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60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20 priority patent/WO20171644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3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6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에 연동하여 좌판이 상승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과 착석자의 체중에 대응하는 하중력이 합산된 합력에 대응하는 힘을 가해야만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틸팅될 수 있으므로, 착석자의 체중에 감응하여 틸틸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틸팅각도 조절단계를 세부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는, 프레임바디;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밑판브라켓; 상기 프레임바디의 후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기 밑판브라켓에 연결되며, 후단부에 등판이 구비되고,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밑판브라켓을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등판연결대; 상기 등판연결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밑판브라켓 또는 상기 밑판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된 구성요소의 이동범위 제한을 통해 상기 밑판브라켓이 후방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동량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판연결대의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자 어셈블리{CHAIR ASSEMBLY}
본 발명은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에 연동하여 좌판이 상승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과 착석자의 체중에 대응하는 하중력이 합산된 합력에 대응하는 힘을 가해야만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틸팅될 수 있으므로, 착석자의 체중에 감응하여 틸틸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틸팅각도 조절단계를 세부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자 어셈블리(1)는, 상부하우징(3), 하부하우징(4), 상기 하부하우징(4)의 일측 저부에 설치되는 가스실린더(5), 상기 가스실린더(5)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6), 다리(6)에 각각 구비된 캐스터(7), 상기 상부하우징(3)의 상부에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 연결대(8), 상기 등받이 프레임 연결대(8) 및 상기 상부하우징(3)의 양측에 축설치되는 한 쌍의 좌판 프레임(9), 상기 좌판 프레임(9)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좌판(11), 상기 등받이 프레임 연결대(8)의 일측에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12)을 통하여 설치되는 등판(13), 상기 하우징(3, 4)의 양측에 설치되고 좌판(5)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팔걸이(14)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자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스트레칭 등을 위하여 등을 뒤로 젖히면 틸팅 메카니즘에 의해 등판이 뒤로 틸팅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의자들은 등판과 좌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동시에 틸팅되도록 구성되거나, 등판과 좌판이 분리 구성되어 각각 틸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틸팅 메카니즘은, 사용자층(남녀노소)이 다양함을 고려하여 등판의 틸팅 강도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조작할 수 있는 틸팅 강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좌판 프레임에 하부에 설치된 조절볼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코일 스프링의 탄성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등판 틸팅 강도를 조작하고 있어서 조작이 힘들고 불편할 뿐 아니라, 틸팅 강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강도로 맞추기 어려워 강도 조절의 신뢰성이 낮고, 코일스프링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679152호(2007. 02. 06.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655호(2010. 10. 20.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0030호(2005. 07. 18. 등록공고)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에 연동하여 좌판이 상승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과 착석자의 체중에 대응하는 하중력이 합산된 합력에 대응하는 힘을 가해야만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틸팅될 수 있으므로, 착석자의 체중에 감응하여 틸틸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틸팅각도 조절단계를 세부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는, 프레임바디;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밑판브라켓; 상기 프레임바디의 후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기 밑판브라켓에 연결되며, 후단부에 등판이 구비되고,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밑판브라켓을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등판연결대; 상기 등판연결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밑판브라켓 또는 상기 밑판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된 구성요소의 이동범위 제한을 통해 상기 밑판브라켓이 후방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동량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판연결대의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제한부는, 측방으로 연장된 리미트 레버축;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고, 일측에는 작동경사면이 구비된 리미트 작동블록; 상기 작동경사면에 대응하는 지지경사면이 구비된 지지블록; 및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을 수용하도록 상기 프레임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경사면이 상기 지지경사면을 가압 시 상기 지지블록이 전방측으로 밀려나오도록 안내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판브라켓 또는 상기 밑판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된 구성요소가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측에 맞닿아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일측면에는 작동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주름부에 대응하는 격벽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경사면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일측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돌출부 상단에는 상기 지지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은, 상기 리미트 레버축에 축삽입된 스크류부시; 상기 스크류부시의 외측을 감싸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리미트 작동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시는 길이방향을 따라 트위스트 형성된 트위스트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레버축에는 상기 트위스트 슬릿에 삽입되는 돌출핀이 구비되며,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회전 시 상기 돌출핀이 상기 트위스트 슬릿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부시가 왕복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류부시의 일측에는 상기 리미트 작동대의 중공부의 내부 일측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작동대는 상기 탄성돌출편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가압됨과 함께 그 반대측으로는 탄성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미트 작동대를 관통하는 결합핀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시에는 상기 결합핀이 내삽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리미트 작동대의 탄성가압 방향 또는 탄성적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핀에 대해 유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형성된 복수의 기어홈이 형성된 리미트기어가 축결합되어 상기 리미트 레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어홈에 대응하는 프레임바디의 대응부에는 상기 복수의 기어홈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판스프링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바디는,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샤프트가 관통하는 작동슬릿, 전방하측에서 후방상측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샤프트가 관통하는 가이드슬릿, 축회전을 위한 축샤프트가 관통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판연결대는, 상기 축샤프트에 힌지결합되어 축회전이 가능하고, 선단부에 상기 작동샤프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밑판브라켓은, 선단부에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관통하는 밑판홀이 구비되고, 전방상측에서 후방하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작동샤프트가 관통하는 경사슬릿, 전방하측에서 후방상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축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슬릿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측에 맞닿아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밑판브라켓은 상기 이탈방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연결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에 연동하여 좌판이 상승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과 착석자의 체중에 대응하는 하중력이 합산된 합력에 대응하는 힘을 가해야만 등판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틸팅될 수 있으므로, 착석자의 체중에 감응하여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의자의 좌판 하면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의자의 좌판에 장착하여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석자의 체중에 감응하여 틸팅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됨과 동시에 등판의 틸팅각도를 착석자가 원하는 범위로 다양하게 세분화하여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판에 결합되는 좌판결합부가 좌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위치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착석자의 신체에 최적화된 좌판 위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 어셈블리가 의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의 제1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의 제2동작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의 제3동작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리미트 작동블록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좌판(11)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바디(100), 밑판브라켓(200), 등판연결대(300), 탄성력 제공부(400), 각도제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레임바디(100), 밑판브라켓(200), 등판연결대(300)의 상호 간 작동 연결을 위한 작동샤프트(sh1), 가이드샤프트(sh2), 축샤프트(sh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바디(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바디(100)는 가스실린더(도 2의 '5')의 상부에 조립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스실린더와 조립을 위한 가스실린더 삽입구(도 5a의 '100GH')가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디(100)는 상기 밑판브라켓(200) 및 등판연결대(300)와 연결 및 연동을 위한 작동슬릿(100S1), 가이드슬릿(100S2), 축홀(100h)이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슬릿(100S1), 가이드슬릿(100S2), 축홀(100h)은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양측 상방으로 서로 마주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판 형상의 연장부(110)에 형성되며, 양측의 구성요소가 각각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중앙부 양측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샤프트(sh1)가 관통하는 한 쌍의 작동슬릿(100S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전방부 양측에는 전방하측에서 후방상측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되는 가이드샤프트(sh2)가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릿(100S2)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후방부 양측에는 축회전을 위한 축샤프트(sh3)가 관통하는 한 쌍의 축홀(100h)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작동슬릿(100S1)은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샤프트(sh1)가 관통하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천공된 형태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반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릿(100S2)은 상기 밑판브라켓(200)이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의자의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직선 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축홀(100h)은 상기 축샤프트(sh3)가 관통하여 축삽입되도록 상기 축샤프트(sh3)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내부 저면,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실린더 삽입구(110)가 형성된 부분의 앞측으로 전방측과 상방측이 개구된 격벽부(5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540)의 내측에는 각도제한부(500)를 구성하는 리미트 작동블록(520)과 상기 지지블록(530)가 수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각도제한부(500)에 대한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슬릿(100S1), 가이드슬릿(100S2), 축홀(100h)에는 상기 작동샤프트(sh1) 및 가이드샤프트(sh2)의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과 소음 방지를 위하여 슬라이드 부시가 각각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상부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슬롯(117)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11)의 하면에는 상기 장공슬롯(117)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돌출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장공슬롯(117)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체결됨에 따라 상기 의자 어셈블리에 대해 좌판(11)을 포함한 의자의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조절 또는 위치고정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장공슬롯(117)의 형성방향을 따라 복수의 전후결정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좌판(11)의 하면에 상기 복수의 전후결정홈(11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좌판(11)의 하면에 구비된 탄성삽입돌기부(미도시)가 상기 복수의 전후결정홈(11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의자 어셈블리에 대해 좌판(11)이 전후 방향으로 따라 상대이동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등판연결대(300)와 탄성력 제공부(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연결대(300)는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축홀(100h)에 삽입된 축샤프트(sh3)를 기준으로 회동(틸팅)가능하게 구비되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상기 작동샤프트(sh1)를 개재해서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작동슬릿(100S1)과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경사슬릿(200S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중앙 부분이 상기 축샤프트(sh3)를 기준으로 틸틸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선단부에 일체로 조립된 작동샤프트(sh1)가 상기 작동슬릿(100S1)과 경사슬릿(200S1)을 동시에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샤프트(sh1)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 범위, 즉,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상기 작동슬릿(100S1)의 최상단 부분과 최하단 부분을 왕복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후단부분이 틸팅 가능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밑판브라켓(200)을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후단부에는 의자의 등판(도 2의 '13' 참조)이 조립되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후단부에 구비된 등판(13)의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상기 작동슬릿(100S1)과 경사슬릿(200S1)을 동시에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등판연결대(300)는 상기 등판(13)의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밑판브라켓(200)을 수평한 상태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기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밑판브라켓(200)에 대한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400)는 상기 등판연결대(3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코일 형태의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력 제공부(400)는 상기 축샤프트(sh3)에 감겨진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력 제공부(400)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일부분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400)의 타측이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후방 부분에 구비된 걸림샤프트(410)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밑판브라켓(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밑판브라켓(20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밑판브라켓(200)은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브라켓(200)은 상기 프레임바디(100) 및 등판연결대(300)와 연결 및 연동을 위한 밑판홀(200h), 경사슬릿(200S1), 샤프트슬릿(200S2)이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밑판홀(200h), 경사슬릿(200S1), 샤프트슬릿(200S2)은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양측 하방으로 서로 마주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판 형상의 연장부(210)에 형성되며, 양측의 구성요소가 각각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선단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샤프트(sh2)가 관통하여 축삽입되는 밑판홀(200h)이 형성되고,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중앙부 양측에는 전방상측에서 후방하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관통하는 경사슬릿(200S1)이 형성되며,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후단부에는 전방하측에서 후방상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축샤프트(sh3)가 관통하는 샤프트슬릿(200S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밑판홀(200h)은 상기 가이드샤프트(sh2)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슬릿(200S1)은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상기 작동슬릿(100S1)의 최하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슬릿(200S1)의 최하단 위치에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위치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상기 작동슬릿(100S1)의 최상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슬릿(200S1)의 최상단 위치에 상기 작동샤프트(sh1)가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경사슬릿(200S1)은 전방상측에서 후방하측을 따라 반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슬릿(100S1)의 형상, 상기 경사슬릿(200S1)의 형상 및 상기 작동샤프트(sh1)의 상호 연동에 의해 상기 밑판브라켓(200)이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게 될 이탈방지판(5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연결대(201)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샤프트(sh1), 가이드샤프트(sh2), 축샤프트(sh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프레임바디(100), 밑판브라켓(200), 등판연결대(300)의 연동작동에 대해 틸팅각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틸팅이 이뤄지진 않은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틸팅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는 틸팅각도가 0°인 상태로서, 착석자가 등판을 가압하지 않아 틸팅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등판의 틸팅된 각도가 0°인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바디(100), 밑판브라켓(200), 등판연결대(300)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작동샤프트(sh1)는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작동슬릿(100S1)과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경사슬릿(200S1)에 동시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샤프트(sh1)는 상기 작동슬릿(100S1)의 최하단과 상기 경사슬릿(200S1)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 가이드샤프트(sh2)는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가이드슬릿(100S2)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샤프트(sh2)는 상기 가이드슬릿(100S2)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축샤프트(sh3)는 상기 샤프트슬릿(200S2)의 전방 하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최대각도로 틸팅이 이뤄진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최대각도로 틸팅이 이뤄진 상태는 착석자가 등판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최대각도로 틸팅시킨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400)의 탄성력 및 상기 착석자의 하중을 합산한 힘보다 큰 힘으로 착석자가 등판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최대각도로 틸팅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상기 프레임바디(100), 등판연결대(300), 밑판브라켓(200)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작동샤프트(sh1)는 상기 작동슬릿(100S1)의 최상단과 상기 경사슬릿(200S1)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 가이드샤프트(sh2)는 상기 가이드슬릿(100S2)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축샤프트(sh3)는 상기 샤프트슬릿(200S2)의 후방 상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샤프트(sh1), 가이드샤프트(sh2), 축샤프트(sh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프레임바디(100), 밑판브라켓(200), 등판연결대(300)의 연동작동에 의해 등판이 0°내지 최대각도(예를 들어, 20°)의 범위 내에서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등판의 틸팅이 가능한 범위는 후술하는 각도제한부(500)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단 내지 9단으로 틸팅 범위가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제한부(500)는 상기 밑판브라켓(200) 또는 상기 밑판브라켓(200)과 일체로 결합된 구성요소의 이동범위 제한을 통해 상기 밑판브라켓(200)이 후방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동량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판연결대(300)의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제한부(500)는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이동범위를 제한함에 따라 상기 밑판브라켓(200)이 후방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제한부(500)는 리미트 레버축(510), 리미트 작동블록(520), 지지블록(530) 및 격벽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은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측방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타단은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타단 외측에는 리미트 레버(515)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은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고, 일측에는 작동경사면(523)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은,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에 축삽입된 스크류부시(520A)와, 상기 스크류부시(520A)의 외측을 감싸도록 중공부(520B-s)가 형성된 리미트 작동대(5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부시(520A)는 길이방향을 따라 트위스트 형성된 트위스트 슬릿(520A-1)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에는 상기 트위스트 슬릿(520A-1)에 삽입되는 돌출핀(P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회전 시 상기 돌출핀(P1)이 상기 트위스트 슬릿(520A-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부시(520A)가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부시(520A)의 일측에는 상기 리미트 작동대(520B)의 중공부(520B-s)의 내부 일측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돌출편(520A-2)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작동대(520B)는 상기 탄성돌출편(520A-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가압됨과 함께 그 반대측으로는 탄성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리미트 작동대(520B)의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핀(P2)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부시(520A)에는 상기 결합핀(P2)이 내삽되는 홈부(520A-3)가 형성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520A-3)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리미트 작동대(520B)의 탄성가압 방향 또는 탄성적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핀(P2)에 대해 유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의 일측면에는 작동주름부(525)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540)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주름부(525)에 대응하는 격벽주름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주름부(525)가 상기 격벽주름부(541)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일지점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상기 격벽주름부(541)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됨과 함께 상기 홈부(520A-3)와 상기 결합핀(P2)이 서로 유격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을 상기 스크류부시(520A)의 탄성돌출편(520A-2)의 탄성가압력보다 큰 힘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탄성돌출편(520A-2)이 압축되면서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격벽주름부(541)의 반대측으로 탄성적으로 반복 이동하면서 격벽주름부(54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블록(530)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의 작동경사면(523)에 대응하는 지지경사면(531)이 구비되며,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함에 따른 상기 작동경사면(523)의 가압 작동에 따라 상기 격벽부(540)의 외부(전방측)로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530)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경사면(523)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의 일측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521)에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의 돌출부(521) 상단에는 상기 지지블록(5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550)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판(550)은 상기 밑판브라켓(200)의 중앙연결대(201)에 걸리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530)과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격벽부(5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내부에 상기 프레임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과 상기 지지블록(530)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경사면(523)이 상기 지지경사면(531)을 가압 시 상기 지지블록(530)이 전방측으로 밀려나오도록 안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부(540)는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지지블록(530)이 상기 격벽부(540)의 외부배출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록(530)의 최장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530)의 최장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블록(530)이 상기 격벽부(54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가이드편(53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상기 격벽부(540)의 내부 일측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블록(530)이 격벽부(540)의 내부로 최대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상기 격벽부(540)의 내부 타측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블록(530)이 격벽부(540)의 외부로 최대 배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530)이 다시 상기 격벽부(540)의 내부부(후방측)로 삽입되는 것은 등판(13)의 틸팅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가압에 의해 눌려지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지지블록(530)이 격벽부(540)의 외부로 최대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회전에 의해 틸팅각도 범위가 변경되어 상기 지지블록(530)이 격벽부(5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가압에 의해 눌려지면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샤프트(sh2)는 상기 지지블록(530)의 선단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며, 상기 지지블록(530)의 배출된 정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지지블록(530)의 선단부에 맞닿아 이동범위가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블록(530)이 격벽부(540)의 내부로 최대 삽입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이동범위가 최대가 되고, 상기 지지블록(530)이 격벽부(540)의 외부로 최대 배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이동범위가 최소가 된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530)의 배출정도를 단계적으로, 예를 들어, 1단 내지 9단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이동범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형성된 9개의 기어홈(561g)이 형성된 리미트기어(561)가 축결합되어 상기 리미트 레버축(51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어홈(561g)에 대응하는 프레임바디(100)의 대응부에는 상기 복수의 기어홈(561g)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판스프링 돌기(56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9개의 기어홈(561g)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판스프링 돌기(563)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1단 내지 9단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조절되며, 이러한 단계 조절 정도에 따라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520)이 상기 지지블록(530)을 외부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sh2)의 이동범위가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등판의 틸팅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프레임바디 100S1:작동슬릿
100S2:가이드슬릿 100h:축홀
100GH:가스실린더 삽입구 110:연장부
115:전후결정홈 117:장공슬롯
200:밑판브라켓 200S1:경사슬릿
200S2:샤프트슬릿 200h:밑판홀
201:중앙연결대 300:등판연결대
400:탄성력 제공부 500:각도제한부
510:리미트 레버축 515:리미트 레버
520:리미트 작동블록 520A:스크류부시
520A-1:트위스트 슬릿 520A-2:탄성돌출편
520A-3:홈부 520B:리미트 작동대
520B-s:중공부 521:돌출부
523:작동경사면 525:작동주름부
530:지지블록 531:지지경사면
533:가이드편 540:격벽
541:격벽주름부 550:이탈방지판
561:리미트기어 561g:기어홈
563:판스프링 돌기 sh1:작동샤프트
sh2:가이드샤프트 sh3:축샤프트
P1:돌출핀 P2:결합핀
13:등판

Claims (10)

  1. 프레임바디;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밑판브라켓;
    상기 프레임바디의 후단부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기 밑판브라켓에 연결되며, 후단부에 등판이 구비되고, 틸팅각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밑판브라켓을 후측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등판연결대;
    상기 등판연결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밑판브라켓 또는 상기 밑판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된 구성요소의 이동범위 제한을 통해 상기 밑판브라켓이 후방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동량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판연결대의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제한부는,
    측방으로 연장된 리미트 레버축;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고, 일측에는 작동경사면이 구비된 리미트 작동블록;
    상기 작동경사면에 대응하는 지지경사면이 구비된 지지블록; 및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을 수용하도록 상기 프레임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경사면이 상기 지지경사면을 가압 시 상기 지지블록이 전방측으로 밀려나오도록 안내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판브라켓 또는 상기 밑판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된 구성요소가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측에 맞닿아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일측면에는 작동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주름부에 대응하는 격벽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경사면은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일측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의 돌출부 상단에는 상기 지지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이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작동블록은,
    상기 리미트 레버축에 축삽입된 스크류부시;
    상기 스크류부시의 외측을 감싸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리미트 작동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시는 길이방향을 따라 트위스트 형성된 트위스트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레버축에는 상기 트위스트 슬릿에 삽입되는 돌출핀이 구비되며,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회전 시 상기 돌출핀이 상기 트위스트 슬릿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부시가 왕복이동하게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시의 일측에는 상기 리미트 작동대의 중공부의 내부 일측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 작동대는 상기 탄성돌출편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가압됨과 함께 그 반대측으로는 탄성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작동대를 관통하는 결합핀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시에는 상기 결합핀이 내삽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리미트 작동대의 탄성가압 방향 또는 탄성적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핀에 대해 유격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레버축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형성된 복수의 기어홈이 형성된 리미트기어가 축결합되어 상기 리미트 레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어홈에 대응하는 프레임바디의 대응부에는 상기 복수의 기어홈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판스프링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디는,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샤프트가 관통하는 작동슬릿, 전방하측에서 후방상측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샤프트가 관통하는 가이드슬릿, 축회전을 위한 축샤프트가 관통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판연결대는, 상기 축샤프트에 힌지결합되어 축회전이 가능하고, 선단부에 상기 작동샤프트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밑판브라켓은, 선단부에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관통하는 밑판홀이 구비되고, 전방상측에서 후방하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작동샤프트가 관통하는 경사슬릿, 전방하측에서 후방상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축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슬릿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지지블록의 전방측에 맞닿아 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브라켓은 상기 이탈방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연결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KR1020160035830A 2016-03-25 2016-03-25 의자 어셈블리 KR10169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30A KR101691860B1 (ko) 2016-03-25 2016-03-25 의자 어셈블리
PCT/KR2017/000320 WO2017164497A1 (ko) 2016-03-25 2017-01-10 의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30A KR101691860B1 (ko) 2016-03-25 2016-03-25 의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860B1 true KR101691860B1 (ko) 2017-01-04

Family

ID=5783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830A KR101691860B1 (ko) 2016-03-25 2016-03-25 의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1860B1 (ko)
WO (1) WO201716449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15B1 (ko) * 2019-05-15 2019-12-0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2100623B1 (ko) * 2019-11-22 2020-04-16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체중 연동형 의자
KR102468081B1 (ko) * 2022-07-21 2022-11-18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 어셈블리
KR20220160460A (ko) * 2021-05-27 2022-12-06 컴포트 오피스 퍼니처 컴퍼니 리미티드 광둥 시트 새시 및 시트
KR102626674B1 (ko) * 2023-09-27 2024-01-18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등판 틸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797B (zh) * 2018-10-22 2024-04-12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一种就坐自适应可调节椅座结构
CN109998309A (zh) * 2019-04-15 2019-07-12 中山市佳居家具有限公司 一种转动座椅用的限位转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30Y1 (ko) 2005-04-23 2005-07-1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틸팅장치
KR100679152B1 (ko) 2006-06-13 2007-02-06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어셈블리
JP2008212622A (ja) * 2007-02-05 2008-09-18 Takano Co Ltd 椅子
KR200450655Y1 (ko) 2008-10-28 2010-10-20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틸팅장치
EP2409602A2 (en) * 2010-07-20 2012-01-25 Hangzhou Zhongtai Co. Ltd. Rolling axis adjusted tilt chair mechanism
KR101623817B1 (ko) * 2015-11-25 2016-05-25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16B1 (ko) * 2007-06-25 2007-10-30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209211B1 (ko) * 2011-09-09 2012-12-06 주식회사 리바트 등판부가 텐션가능한 의자
KR101528509B1 (ko) * 2014-06-02 2015-06-15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30Y1 (ko) 2005-04-23 2005-07-1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틸팅장치
KR100679152B1 (ko) 2006-06-13 2007-02-06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어셈블리
JP2008212622A (ja) * 2007-02-05 2008-09-18 Takano Co Ltd 椅子
KR200450655Y1 (ko) 2008-10-28 2010-10-20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틸팅장치
EP2409602A2 (en) * 2010-07-20 2012-01-25 Hangzhou Zhongtai Co. Ltd. Rolling axis adjusted tilt chair mechanism
KR101623817B1 (ko) * 2015-11-25 2016-05-25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315B1 (ko) * 2019-05-15 2019-12-0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2100623B1 (ko) * 2019-11-22 2020-04-16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체중 연동형 의자
KR20220160460A (ko) * 2021-05-27 2022-12-06 컴포트 오피스 퍼니처 컴퍼니 리미티드 광둥 시트 새시 및 시트
KR102632981B1 (ko) 2021-05-27 2024-02-01 컴포트 오피스 퍼니처 컴퍼니 리미티드 광둥 시트 새시 및 시트
KR102468081B1 (ko) * 2022-07-21 2022-11-18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 어셈블리
KR102626674B1 (ko) * 2023-09-27 2024-01-18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등판 틸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4497A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60B1 (ko) 의자 어셈블리
US10835041B2 (en) Chair arm assembly
AU2017203401B2 (en)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AU2013318083B2 (en) Chair arm assembly
KR101398686B1 (ko) 틸팅 타입 의자
US20070246988A1 (en) Adjustment structure of chair backrests
US20220369817A1 (en) Chair arm assembly
NZ565884A (en) Multiple position leg rest mechanism with an elastic element that helps reduce wear and noise
KR101528509B1 (ko) 의자 어셈블리
US9706845B2 (en) Chair assembly
KR101691858B1 (ko) 의자 어셈블리
JP3359862B2 (ja) ロッキング装置
JP4848099B2 (ja) 椅子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2051315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2292332B1 (ko) 포워드 기능을 갖는 등판이 구비된 의자
JP2011115570A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1883622B1 (ko) 옷걸이 기능이 구비된 의자
JP4638623B2 (ja) 椅子
CN113080643A (zh) 一种休闲椅
WO2023171795A1 (ja) 椅子
KR102232904B1 (ko) 슬라이딩 좌판을 갖는 접이식 의자
JP3140382B2 (ja) 椅 子
KR20190087824A (ko) 등받이 틸팅조정가능한 의자
KR20110066652A (ko) 의자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