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437B1 - 분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437B1
KR101523437B1 KR1020130128330A KR20130128330A KR101523437B1 KR 101523437 B1 KR101523437 B1 KR 101523437B1 KR 1020130128330 A KR1020130128330 A KR 1020130128330A KR 20130128330 A KR20130128330 A KR 20130128330A KR 101523437 B1 KR101523437 B1 KR 10152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lider
supply
vibr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382A (ko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김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복 filed Critical 김진복
Priority to KR102013012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4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4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reciprocating conveyors, e.g. jigg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약품이나 전기전자제품 또는 자동차부품 등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원재료 또는 부재료로 사용되는 분말을 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되, 장치 운용 시 소음의 발생을 줄이도록 하는 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 공급장치 {DEVICE FOR FEEDING FIXED-QUANTITY POWDER MATERIAL}
본 발명은 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약품이나 전기전자제품 또는 자동차부품 등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원재료 또는 부재료로 사용되는 분말을 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되, 장치 운용 시 소음의 발생을 줄이도록 하는 분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 공급장치는 의약품이나 전기전자제품, 자동차부품 등을 제조하는 생산라인에 연계되어 금속이나 합성수지 분말로 된 원재료나 부재료를 압축 이송하여 금형 등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의약품을 제조 시 투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약물의 지속시간을 조절하고 약물이 변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분말상태의 약(散劑)을 캡슐형태로 제조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분말 공급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니켈분말 등의 금속분말(metal powder)을 이용하여 콘덴서와 같은 전기장치의 내부전극 형성을 위한 도전선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분말 공급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분말 공급장치는 반도체를 제조 시에도 반도체 패키지를 물리적, 전기적, 화학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몰딩공정에서 분말형 수지를 금형 내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의약품 등을 제조할 때에는 미리 정해진 양으로 정확하게 분말 재료를 공급해야만 하는데, 예컨대 의약품의 경우 정확한 양으로 투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약리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심지어 부작용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량으로 분배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분말 공급장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분말재료가 공급부를 통해 분말수용부로 공급된 후 분말수용부 저면의 구멍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면서 분말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분말의 공급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완성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고,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장치가 운용되는 과정에서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12-0058219호 "분말공급장치" (2012.06.07) 한국 특허등록 제320336호 "분말정량공급장치" (2001.12.27) 한국 특허공개 제1999-37766호 "분말정량공급장치" (1999.05.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분말재료를 이용하여 의약품이나 전기전자부품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말을 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품의 품질을 안정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장치 운용 중에 소음을 경감시키도록 하는 분말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분말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공급조 및 상기 공급조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을 수용 및 이송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공급이송수단;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실린더유닛, 상기 슬라이더에 진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더를 수평방향으로 진동하게 하는 진동부,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트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및진동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송된 정량의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공급이송수단은, 상기 공급조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의 이송을 조정하도록 공급조 및 슬라이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조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조정부재는 종방향으로 분말이 이동하는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이송로는 계단식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이송수단은, 상기 공급조로부터의 분말의 이송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공급조정부재 상에 설치되는 공급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차단부는, 이동공을 가짐과 아울러 소정 각도 회전 작동되어 분말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단로드; 및 상기 차단로드가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공급조정부재 상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및진동수단은, 상기 진동부가 모터부의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되 편심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편심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 진동하는 편심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및진동수단은,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진동부의 회전속도와 회전수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및진동수단은, 상기 커넥트부가 실린더유닛의 왕복운동을 슬라이더 측으로 전달하도록 그 일측이 실린더유닛에 연결된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브래킷, 상기 진동부를 축받침하는 베어링이 장착되고 모터부와 결합된 제2슬라이드브래킷, 및 상기 제1,2슬라이드브래킷에 결합됨과 아울러 진동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슬라이드브래킷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브래킷; 상기 슬라이더와 진동부를 상호 연결하여 모터부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볼조인트; 및 상기 실린더유닛의 왕복운동에 의해 모터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슬라이드브래킷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말 공급장치에 따르면, 분말의 공급이송수단에 인접 설치되는 슬라이딩및진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더의 수용홈 내부에 분말이 일정하게 충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말을 미리 정해진 양으로 균일하고 정확하게 분배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더를 진동하는 수단으로서 편심휠과 서보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소음의 발생 없이 적정량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및진동수단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및진동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말 공급장치는 공급이송수단(10);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 및 배출수단(3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판 프레임(100) 및 포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상판 프레임(100) 및 포스트(20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공급이송수단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이송수단(10)은 분말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공급조(11); 및 상기 공급조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을 수용 및 이송하는 슬라이더(12);를 포함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조(11)는 원통이나 사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가지며, 분말재료(이하 분말이라 함)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tapered)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급조(11)는 분말의 투입을 위하여 상부는 개방됨과 아울러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캡(111)이 구비되고, 투입된 분말의 배출을 위하여 하부에는 배출관(112)이 연장 형성된다. 공급조(11)는 분말의 잔량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조(11) 내에 저장된 분말(P)은 자중에 의하여 배출관(112)을 통해 하부로 이송되며, 후술하는 모터부(22)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공급조를 진동시켜 일정량씩 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는 소정 두께 및 길이를 가진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급조(11)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급조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을 수용 및 후술하는 배출수단(30) 측으로 이송하도록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를 위하여 슬라이더는 상하부가 개방된 소정 크기의 수용홈(121)을 갖는다.
즉, 슬라이더(12)는 후술하는 전후진 실린더유닛(21)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되, 도4A에서와 같이 공급조의 배출관(112)과 수용홈(121)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 조절 시 공급조(11)로부터 유출된 분말이 수용홈(121) 내부로 수용되고, 도4C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수용홈(121)과 배출수단의 배출구(31)가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 조절 시에는 수용홈에 수용된 분말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3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2)가 이탈되지 않고 소정 구간 내에 위치하도록 그 양 측면에는 가이드브래킷(13)이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는 받침대(14)가 설치되어 이들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2)는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13)과 받침대(14) 및 후술하는 공급조정부재(16) 또는 보강플레이트(15)에 의하여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만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4)는 공급이송수단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2 및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의 상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각각 소정 두께로 된 보강플레이트(15)가 추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슬라이더(12)가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작동됨에 따라 그 상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즉, 공급조정부재(16)나 받침대(14)가 마모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15)는 분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로(15a)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며, 하부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는 받침대(14)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강플레이트(15)는 열처리 가공에 의해 강도와 경도 및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 금속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2 및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이송수단(10)은 공급조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의 이송을 조정하도록 공급조(11)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급조정부재(16)를 더 포함한다.
공급조정부재(16)는 소정 높이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으로 이송로(161)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급조(11)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송로(161)는 상하 수직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공급조(11)로부터 다량의 분말이 일시에 이송되지 않도록 이송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도2에서와 같이 계단식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급조정부재(16)는 공급조(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상기 공급조의 배출관(112) 출구가 이송로(161) 입구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162)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양자가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공급조정부재(16)는 공급조(11)와 슬라이더(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매개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아울러, 공급이송수단(10)은 공급조로부터의 분말의 이송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공급조정부재(16) 상에 설치되는 공급차단부(17)를 더 포함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차단부(17)는 이동공(171a)을 가짐과 아울러 소정 각도 회전 작동되어 분말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단로드(171); 및 상기 차단로드가 삽입 수용되도록 공급조정부재 상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172)을 포함한다.
차단로드(171)는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여기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이동공(171a)이 구비되는 것이다.
차단로드(171)는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90도 각도의 회전 작동에 의해 분말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차단로드(171)의 회전 작동에 의해 이동공(171a)의 개구방향이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공급조정부재의 이송로(161)와 서로 연통되거나 어긋나도록 조절됨으로써 분말의 배출을 허여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차단로드(17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일단에 손잡이(17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공(172)은 상기 차단로드(17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차단부(17)에 의해 공급조의 교체나 청소 등을 위하여 분말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가 수월해진다.
[2] 슬라이딩및진동수단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은 슬라이더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실린더유닛(21); 슬라이더에 진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2); 및 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더를 수평방향으로 진동하게 하는 진동부(23);를 포함하며, 이들은 커넥트부(2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도2에서와 같이, 실린더유닛(21)은 유체를 가압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11)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실린더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모터부(22)는 중앙에 샤프트(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지의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부(22)는 슬라이더 뿐만 아니라 공급조 및 공급조정부재를 진동시키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진동부(23)는 모터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고 모터부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말이 수용된 슬라이더(12)를 진동 가압하며, 이러한 진동부는 저소음으로 작동되도록 편심휠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편심휠(23)은 모터 샤프트(221)를 회전축으로 하되 편심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모터부(22)의 구동에 의해 편심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 진동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2)에 수평방향(도면에서는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진동을 일으켜 수용홈(121) 내부의 분말을 진동 압축하면서 분말의 밀도가 높아지도록 함과 아울러 정량을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편심휠(23)은 슬라이더의 수용홈 내부에 분말이 정량으로 충전된 후 후술하는 배출수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때에도 진동 작동되어 상기 수용홈(121) 내부에 분말이 잔존하지 않고 모두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편심휠(23)의 편심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샤프트(221)를 중심으로 대략 0.5㎝ 정도만 편심되도록 연결하여도 원하는 진동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은 모터부 구동에 의한 편심휠의 회전속도와 회전수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미도시)를 가진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모터부(22)에 연결된 편심휠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값에 이르면 동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모터부의 회전 작동수 및 속도 등을 제어함에 따라 슬라이더(12)에 가해지는 진동 및 편심휠(23)의 회전수 등이 정해지며, 이로 인해 슬라이더의 수용홈(121)에 분말이 정량으로 채워진 후 도4B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2)를 일측으로 밀어서 공급조(11)로부터 더 이상 분말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도4C에서와 같이 슬라이더를 더욱 밀어서 슬라이더 내의 수용홈(121)과 후술하는 배출구(31)가 연통되도록 함에 따라 분말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트부(24)는 슬라이더가 전후 슬라이딩 및 진동 작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실린더 및 슬라이더와 모터부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며, 커넥팅로드(241); 슬라이드브래킷(242,243,244); 볼조인트(246); 및 가이드레일부재(247)를 포함한다.
커넥팅로드(241)는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슬라이더 측으로 전달하도록 그 일측이 실린더유닛(21)에 연결된다.
슬라이드브래킷은 상기 커넥팅로드(24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브래킷(242); 상기 모터부와 결합된 제2슬라이드브래킷(243); 및 상기 제1,2슬라이드브래킷에 결합됨과 아울러 진동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슬라이드브래킷(244);을 포함한다.
제1슬라이드브래킷(242)은 소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커넥팅로드(241)로부터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전달받는 역할을 하며, 제1슬라이드브래킷의 소정 위치에는 커넥팅로드의 타측 선단이 결합되도록 결합공(242a)이 관통 형성된다.
제2슬라이드브래킷(243)은 제1슬라이드브래킷과 마찬가지로 소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슬라이드브래킷과 직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모터부의 샤프트(221)에 연결되어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하며, 중앙에는 편심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245)이 장착된다.
제3슬라이드브래킷(244)은 소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제1,2,3슬라이드브래킷(242,243,244)은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242b, 243b, 244b는 제1,2,3슬라이드브래킷(242,243,244)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이다.
또한, 커넥트부(24)는 슬라이더(12)와 진동부(23)를 상호 연결하여 모터부(22)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볼 조인트(246)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와 진동부를 연결하는 부위가 곡면상으로 접촉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매끄럽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볼 조인트(246)는 실린더유닛과 슬라이더를 매개하여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아울러, 도3에 도시되듯이, 커넥트부(24)는 실린더유닛(21)의 왕복운동에 의해 모터부(22)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재(247)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7)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3슬라이드브래킷(244)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모터부 하부를 직접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별도의 레일부재(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급이송수단의 슬라이더(12)와, 슬라이딩및진동수단의 모터부(22) 및 실린더유닛(21)이 커넥트부(24)에 의하여 하나로 결합된 상태에서 연동 작동되는데, 즉, 실린더유닛(21)은 커넥팅로드(241)에 의해 제1슬라이드브래킷(242)에 결합되고, 진동부(23)는 제2슬라이드브래킷(243)에 장착된 베어링(24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부의 샤프트(221)에 연결되며, 슬라이더(12)는 볼 조인트(246)에 의해 진동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1,2,3슬라이드브래킷이 서로 일체로 나사결합된 바, 이에 따라, 실린더유닛(21)의 왕복운동에 의해 볼 조인트(246)에 연결된 슬라이더(12)가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브래킷(242,243,244)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모터부(22)가 가이드레일부재(247)를 따라 전후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작동되는 것이다.
[4] 배출수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수단(30)은 공급이송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정량의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1)를 포함한다.
배출구(31)는 슬라이더(12)의 하부에 수직으로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수용홈(121) 하부 개방부를 통해 이동되는 분말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에서와 같이 수용홈 내부의 분말은 모터부(22)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부(23)가 회전 진동됨에 따라 수용홈 내부에 남아 있지 않고 말끔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31)는 본 발명의 분말 공급장치에 연계되는 성형장치(미도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분말 공급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급조(11) 내부에 분말 원재료 또는 부재료(첨가제 등)를 투입하면 배출관(112)을 통해 하부 측으로 유출되며,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유닛(21)을 작동시켜 배출관과 수용홈(121)이 서로 통하도록 슬라이더(12)를 수평으로 일정한 거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공급조(11)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이 슬라이더의 수용홈(121) 내부로 유입되되, 공급조정부재(16) 내의 계단식 이송로(161)를 따라 조금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모터부(22)를 구동시켜 편심휠(23)을 회전 진동시킴에 따라 분말이 공급조정부재 상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더 측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조(11)로부터 슬라이더의 수용홈(121) 내부로 분말의 유입 시 모터부(22)를 구동시켜 편심휠(23)을 편심되게 회전 진동시킴에 따라 수용홈 내부에 존재하는 분말 사이의 공간을 줄임으로써 밀도를 높임과 아울러 분말의 양을 일정하게 한다.
이때, 제어부에 의해 진동부(23)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수치에 도달하면 도4B에서와 같이 실린더유닛(21)이 왕복운동하면서 슬라이더(12)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더 이상 분말이 수용홈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분말이 정량으로 충전된 후 도4C에서와 같이 실린더유닛(21)의 직선운동으로 슬라이더(12)가 수평으로 더욱 더 이동하여 수용홈(121)과 배출수단의 배출구(31)가 서로 통하도록 한 후 정량의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공급이송수단 11 : 공급조
111 : 상부캡 112 : 배출관
12 : 슬라이더 121 : 수용홈
13 : 가이드브래킷 14 : 받침대
15 : 보강플레이트 15a : 관통로
16 : 공급조정부재 161 : 이송로
162 : 고정브래킷 17 : 공급차단부
171 : 차단로드 171a : 이동공
172 : 회전공 173 : 손잡이
20 : 슬라이딩및진동수단 21 : 실린더유닛
211 : 피스톤 22 : 모터부
221 : 모터 샤프트 23 : 진동부, 편심휠
24 : 커넥트부 241 : 커넥팅로드
242 : 제1슬라이드브래킷 243 : 제2슬라이드브래킷
244 : 제3슬라이드브래킷 245 : 베어링
246 : 볼조인트 247 : 가이드레일부재
30 : 배출수단 31 : 배출구

Claims (8)

  1. 분말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공급조(11), 및 상기 공급조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을 수용 및 이송하는 슬라이더(12)를 포함하는 공급이송수단(10);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실린더유닛(21), 상기 슬라이더에 진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2), 상기 모터부에 의해 슬라이더를 수평방향으로 진동하게 하는 진동부(23),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트부(24)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 및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송된 정량의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1)가 구비된 배출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은,
    상기 커넥트부(24)가 상기 실린더유닛(21)의 왕복운동을 슬라이더(12) 측으로 전달하도록 그 일측이 실린더유닛에 연결된 커넥팅로드(241);
    상기 커넥팅로드(24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브래킷(242), 상기 진동부(23)를 축받침하는 베어링(245)이 장착되고 모터부(22)와 결합된 제2슬라이드브래킷(243), 및 상기 제1,2슬라이드브래킷에 결합됨과 아울러 진동부(2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슬라이드브래킷(244)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브래킷;
    상기 슬라이더(12)와 진동부(23)를 상호 연결하여 모터부(22)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볼조인트(246); 및
    상기 실린더유닛(21)의 왕복운동에 의해 모터부(22)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슬라이드브래킷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재(24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이송수단(10)은, 상기 공급조(11)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의 이송을 조정하도록 공급조 및 슬라이더(12)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조정부재(1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정부재(16)는 종방향으로 분말이 이동하는 이송로(161)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이송로는 계단식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이송수단(10)은, 상기 공급조(11)로부터의 분말의 이송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공급조정부재(16) 상에 설치되는 공급차단부(17)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차단부(17)는, 이동공(171a)을 가짐과 아울러 소정 각도 회전 작동되어 분말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단로드(171); 및 상기 차단로드가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공급조정부재(16) 상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전공(17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은, 상기 진동부(23)가 모터부의 샤프트(221)를 회전축으로 하되 편심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2)의 구동에 의해 편심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 진동하는 편심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및진동수단(20)은, 상기 모터부(22)의 구동에 의한 진동부(23)의 회전속도와 회전수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공급장치.
  8. 삭제
KR1020130128330A 2013-10-28 2013-10-28 분말 공급장치 KR10152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330A KR101523437B1 (ko) 2013-10-28 2013-10-28 분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330A KR101523437B1 (ko) 2013-10-28 2013-10-28 분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82A KR20150048382A (ko) 2015-05-07
KR101523437B1 true KR101523437B1 (ko) 2015-05-27

Family

ID=5338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330A KR101523437B1 (ko) 2013-10-28 2013-10-28 분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2837A4 (en) * 2019-09-20 2023-11-01 Hitachi Zosen Corporation POWDER SUPPL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1132B (zh) * 2021-08-24 2022-11-29 浙江迦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添加物料的缓降落料装置
CN114222236B (zh) * 2021-11-26 2024-01-26 弗埃斯工业技术(苏州)有限公司 扬声器灌粉装置
CN114125689B (zh) * 2021-12-07 2023-09-12 弗埃斯工业技术(苏州)有限公司 灌粉装置
KR102444171B1 (ko) * 2022-04-04 2022-09-19 (주)에스알디코리아 소금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822A (ko) * 1997-11-19 1999-06-05 오세헌 수지물 성형 프레스의 원료공급장치
JP3151791U (ja) * 2009-02-13 2009-07-09 直之 迎井 植物性固形物原料と定量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822A (ko) * 1997-11-19 1999-06-05 오세헌 수지물 성형 프레스의 원료공급장치
JP3151791U (ja) * 2009-02-13 2009-07-09 直之 迎井 植物性固形物原料と定量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2837A4 (en) * 2019-09-20 2023-11-01 Hitachi Zosen Corporation POWD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82A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437B1 (ko) 분말 공급장치
US20150321419A1 (en) Extrusion system for additive manufacturing and 3-d printing
JP2012507991A5 (ko)
JP6857896B2 (ja) 粉体供給装置
JP2009214940A (ja) 少なくとも1つの粉末状製品を容器に充填する装置
CN101461760B (zh) 振动式胶囊自动调头加料机构
CN103605382B (zh) 一种粉料高度自动控制装置
JP2014527796A (ja) 角度付き移送チャンネルにロッド状物品の質量流を充填するためのバルブユニット
JP2020168634A (ja) 粉体を用いる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891666A (zh) 一种制药颗粒分装机
JP6721614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のための処理設備
WO1994002307A1 (en) Powder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packing molding material into die cavity of powder molding machine
KR101074483B1 (ko) 약물 충진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CN111731524A (zh) 一种高分子储料筒
CN113493090B (zh) 一种用于石膏仓的防堵塞滚筒螺旋给料机
CN106827630B (zh) 压片机
EP3263313A1 (en) Laser 3d printer
US10632674B2 (en) Laser 3D printer
JP2014114149A (ja) 粒状原料供給装置
JPH05169431A (ja) 石状物質のスラブを実現するために型を該物質の混合物で充填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装置
JPH11198901A (ja) 粉粒体の充填機
CN207105459U (zh) 一种注塑机分散加料机构
CN207667958U (zh) 橡塑地板撒粒机
KR20210003769A (ko) 스크류 분배기를 사용하여 분말을 이동식 표면 상에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적층 제조 기계
US11648183B2 (en)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te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