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772B1 -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772B1
KR101522772B1 KR1020130084074A KR20130084074A KR101522772B1 KR 101522772 B1 KR101522772 B1 KR 101522772B1 KR 1020130084074 A KR1020130084074 A KR 1020130084074A KR 20130084074 A KR20130084074 A KR 20130084074A KR 101522772 B1 KR101522772 B1 KR 10152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teering
lever
resistor
sens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752A (ko
Inventor
박세동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8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7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차량의 조향핸들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폐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향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레버,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전압값을 TCU에 전달하는 가변저항체, 및 상기 회전레버와 상기 가변저항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변저항체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링크수단을 포함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STEERING POSITION SENSOR ASSEMBLY OF TRACKED VEHICLE}
본 발명은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궤도차량의 조향핸들 회전 각도에 따라 무한가변 조향을 구현할 수 있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와 같은 궤도차량의 방향 제어를 위해, 궤도차량의 운전석에는 조향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 조향핸들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궤도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궤도차량의 방향전환은 양측 무한궤도의 회전방향이나 회전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궤도차량 조향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1405호(2007.05.18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차량의 조향장치는 일자형 조향핸들(110)과, 크랭크 축(120)과 전달매체(130)와, 조향핸들 센서(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향핸들(110)의 중심축에 조향용 수직바(111)가 연결된다. 또한, 수직바(111)의 측면에는 크랭크축(128)이 연결되고, 크랭크축(128)은 전달용 수직바(121)에 연결되며, 전달용 수직바(121)는 조향용 전달매체(130)에 연결된다. 이때,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장치(150)는 조향핸들(110)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조향핸들(110)을 회전시키면 조향핸들(110)의 중심축에 고정된 조향용 수직바(111)가 회전하고, 이어서 크랭크축(120)이 조향핸들(1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축(120)의 작동에 의해 전달용 수직바(121)가 회전하게 되며, 전달용 수직바(121)에 연결된 조향용 전달매체(130)의 회전에 의해 궤도차량의 좌우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궤도차량(예를 들어, K-1 계열 전차)용 변속기는 3단 클러치 방식의 기계식 조향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조향핸들(110)을 좌/우로 조작할 경우, 변속기의 조향장치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조향 조정기의 유압 작동 회로에 의해, 좌/우 조향 클러치와 조향 1/2/3단 클러치로 조향 반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조향핸들(110)을 조작하면, 변속기에 부착된 조향 위치 센서(SPS; Steering Position Sensor)에서 좌/우 조향 신호를 마이크로 스위치 2개로 감지하여 그 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자동변속제어장치)에 전달하고, TCU에 전달된 그 신호를 변속기의 조향 제어 신호로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의 조향 위치 센서는 TCU에 조향(좌/우) 상태만을 전달하고 있을 뿐이어서, 조향핸들(110)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는 무한 가변 조향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 TCU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의도하는 조향 반경을 구현하려면, 조향핸들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TCU가 무단 조향 장치의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무한 가변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향핸들의 상태(회전 각도)가 TCU에 정확히 전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아래의 표 1은 전/후진 기어와 조향 1/2/3단 클러치의 조합에 따라 이루어지는 조향 반경(m)의 일 예를 표시한 것이다.
GEAR 반경(RADIUS) 단위
조향 1단 조향 2단 조향 3단
전진 1단(1F) 12.4 7.3 3.8 m
전진 2단(2F) 22.2 13.1 6.8 m
전진 3단(3F) 34.6 20.5 10.7 m
전진 4단(4F) 57.7 34.1 17.8 m
후진 1단(1R) 12.9 7.6 4.0 m
후진 1단(1R) 41.2 24.4 12.7 m
선회(PVT) 21.3 12.6 6.6 sec
KR 10-2007-0051405 A (2007.05.1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궤도차량 운전자의 조향핸들 회전 각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폐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향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레버,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전압값을 TCU에 전달하는 가변저항체, 및 상기 회전레버와 상기 가변저항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변저항체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링크수단을 포함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저항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저항체와, 일단이 상기 기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저항체를 따라 이동하는 접촉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수단은,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레버와, 일측이 상기 연결레버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회전브라켓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접촉자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핀의 일측에 상기 접촉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상기 회전레버와 일체로 회전하는 플랜지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 일측에 캠 디스크가 결합되고, 상기 캠 디스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스위치부재와 대응되는 한 쌍의 캠 홈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에 의하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조향핸들의 회전 각도를 정확히 검출하여 TCU에 전달함으로써 궤도차량의 무한 가변 조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기계식 3단 조향장치를 무한 가변 조향 영역을 가진 무단 조향 장치로 개량하여 궤도차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궤도차량 조향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의 커버를 분리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체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의 커버를 분리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이하, '센서 조립체')(10)는 궤도차량의 변속기(미도시) 일측에 설치되며, 운전수의 조향핸들(110, 도 1 참조) 조작시 조향핸들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자동변속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조립체(10)는,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결합되어 하우징(20)의 공간부(21)를 폐쇄하는 커버(30)와, 커버(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레버(40)와, 회전레버(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체(50)와, 회전레버(40)와 가변저항체(50)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수단(60)을 포함한다.
이때 센서 조립체(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결합되는 커버(3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은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는 함체형으로서, 후술하는 가변저항체(50)가 공간부(21) 일측에 구비된다. 하우징(20)의 타측에는 연결부(2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연결부(22)의 내부에는 공간부(21)와 연통하는 연결홀(23)이 관통 형성되며, 복수의 전선(24)이 이 연결홀(23)을 통해 하우징(20)의 공간부(21)로 인입된다.
커버(30)는 하우징(20)의 개방부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하우징(20)의 공간부(21)를 폐쇄하며, 하우징(20) 내 공간부(21)로 이물질이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레버(40)는 일단이 커버(3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단에는 운전수의 조향핸들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조향용 전달매체(미도시)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즉, 운전수가 궤도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해 조향핸들을 조작하면, 조향용 전달매체를 구성하는 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레버(40)를 당기거나 밀게 되어 회전레버(4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변저항체(50)는 하우징(20)의 공간부(21)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가변저항체(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1)과, 기판(51) 상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저항체(52)와, 저항체(5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접촉자(53)를 포함한다.
가변저항체(50)의 기판(51)은 하우징(20)의 공간부(21)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54)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궤도차량 변속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변형 방지를 위해 내열성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체(52)는 기판(51) 상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카본, 금속, 또는 반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항체(52)의 일단에는 연결홀(23)을 통해 공간부(21)로 인입된 전선(24)에 의해 (+)전압(예를 들어, 24V)이 인가되고, 저항체(52)의 타단은 접지된다.
접촉자(53)는 일단이 기판(51)의 일측으로 이격하여 몸체(54)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저항체(52)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회전레버(40)의 회전시 후술하는 링크수단(60)에 의해 접촉자(53)의 타단이 저항체(52)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처럼 접촉자(53)와 저항체(52)의 접촉 지점이 변화함에 따라 접촉자(53)를 통해 측정되는 저항체(52)의 저항값도 변화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체의 회로도이다.
이때, 변화된 저항값에 따른 전압을 예컨대 12bit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미도시)를 통해 샘플링하고 그 신호를 TCU에 전송함으로써 조향핸들의 회전 각도를 1° 단위 이내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조향핸들의 전체 회전 각도가 40°이고, 분해능이 4096 레벨인 12bit ADC를 사용하는 경우, 이론상으로 측정 가능한 최소 각도는 0.0097°이다(측정 최소 각도 = 전체 회전 각도 / 분해능).
아울러, 가변저항체(50)에는 저항체(52)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체(52)의 일측에 원호 형태의 가이드 홈(55)이 형성되고, 접촉자(53)의 선단부 저면에 가이드 돌기(5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항체(52) 회전시 저항체(52)의 가이드 돌기(56)가 기판(51) 상의 가이드 홈(5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회전레버(40)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변저항체(50)의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레버(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접촉자(53)가 회전하면서 저항체(52)와의 접촉 지점이 변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회전레버(40)와 가변저항체(50) 사이에 링크수단(60)이 설치된다.
이 링크수단(60)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4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레버(61)와, 연결레버(61)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회전브라켓(62)과, 회전브라켓(62)과 접촉자(53)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는 연결핀(63)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브라켓(62)은 일측이 연결레버(61)와 힌지 결합하고, 타측이 회전레버(40)와 이격하여 커버(30)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레버(40)의 회전시 연결레버(61)가 회전브라켓(62)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게 되어 회전브라켓(6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브라켓(62)은 연결핀(63)에 의해 커버(30)에 힌지 결합하며, 이 연결핀(63)의 일단은 하우징(20) 내 공간부(21)로 연장되어 접촉자(53)의 일단에 결합한다. 이때, 연결핀(63)은 회전브라켓(62) 회전시 회전브라켓(62)과 일체로 회전하며, 동시에 접촉자(53)를 회전시킨다.
즉, 회전레버(40) 회전시 연결레버(61)가 회전브라켓(62)을 회전시키고, 회전브라켓(62)과 함께 연결핀(63)이 축회전하면서 접촉자(5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접촉자(53)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64)이 연결핀(63)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토션스프링(64)의 일단은 접촉자(53)에 고정되고, 타단은 기판(51)의 일측에 고정된다.
한편, 회전레버(40) 회전시 회전레버(40)와 함께 축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플랜지(70)가 가변저항체(50)와 이격하는 공간부(21)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때, 별도의 회전축(41)이 회전레버(40)의 일단을 관통하여 플랜지(70)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고, 회전레버(40)의 일단에서 회전축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플랜지(70)에 삽입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함몰부(25)가 함몰 형성되며, 함몰부(25)에 장착되는 베어링(80)에 의해 플랜지(7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랜지(70)의 외주면 일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의 결합부(71)가 돌출 형성되며, 이 결합부(71)에 대략 원판 형태의 캠 디스크(72)가 결합된다. 이 캠 디스크(7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단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레버(40) 회전시 플랜지(70)와 함께 캠 디스크(72)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 캠 디스크(72)는 후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9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플랜지(70)의 좌우 양측에 이격하여 각각 하나씩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90)가 설치된다. 이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90)는 조향핸들의 조향상태(좌/우 회전방향)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레버(40)의 회전방향(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90)가 조향신호를 TCU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일측에는 캠 디스크(72)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위치부재(91)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캠 디스크(72)의 외주면에는 스위치부재(91)를 수용하는 한 쌍의 캠 홈(73)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초기상태(조향핸들 정위치)에는 스위치부재(91)가 각각 캠 홈(73)에 수용되어 있다.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레버(40)와 함께 캠 디스크(72)가 회전하면, 각각의 스위치부재(91)는 캠 홈(73)의 일측에 걸려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마이크로 스위치(90)에서 조향신호가 TCU로 전송된다.
이때, 스위치부재(91)의 이동방향에 따라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90)에서 각각 다른 조향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캠 디스크(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우측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스위치부재(91)는 캠 홈(73)의 상측에 걸려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ON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이때, 좌측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스위치부재(91)는 캠 홈(73)의 하측에 걸려서 위 방향으로 이동하며, OFF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반대로, 도 4에서 캠 디스크(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우측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스위치부재(91)는 캠 홈(73)의 하측에 걸려서 위 방향으로 이동하며 OFF 신호를 TCU에 전송하고, 좌측 마이크로 스위치(90)의 스위치부재(91)는 캠 홈(73)의 상측에 걸려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ON 신호를 TCU로 전송한다.
즉, TCU는 각각의 마이크로 스위치(90)에서 전송되는 ON/OFF 신호를 통해 조향핸들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조립체(10)는, 조향핸들의 회전 각도를 TCU에 전달함으로써, 궤도차량 변속기에 의해 조향핸들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는 무한 가변 조향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조립체(10)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수의 조작에 의한 조향핸들 회전시, 조향용 전달매체를 통해 센서 조립체(10)의 회전레버(40)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레버(40)와 함께 플랜지(70)가 회전하고, 플랜지(70)의 외주면에 결합된 캠 디스크(72)가 회전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90)를 작동시켜 조향핸들의 회전방향에 대한 조향신호를 TCU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회전레버(40)는 연결레버(61)를 밀거나 당겨서 회전브라켓(62)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회전브라켓(62)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 연결핀(63)이 축회전하면서 가변저항체(50)의 접촉자(5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접촉자(53)는 일단이 기판(51) 일측의 몸체(54)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저항체(52)와 접촉하고 있는데, 연결핀(63)의 축회전에 의해 기판(51)과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접촉자(53)의 타단이 저항체(5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접촉자(53)와 저항체(52)의 접촉 지점이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접촉자(53)와 저항체(52)의 접촉 지점이 변화함에 따라, 접촉자(53)를 통해 측정되는 가변저항체(50)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는데, 변화된 저항값에 따른 전압이 ADC를 통해 회전각도 신호로 샘플링되어 TCU로 전송되며, TCU는 이를 무단 조향 장치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10 : 센서 조립체 20 : 하우징
30 : 커버 40 : 회전레버
50 : 가변저항체 51 : 기판
52 : 저항체 53 : 접촉자
60 : 링크수단 61 : 연결레버
62 : 회전브라켓 63 : 연결핀
64 : 토션스프링 70 : 플랜지
72 : 캠 디스크 80 : 베어링
90 : 마이크로 스위치 91 : 스위치부재

Claims (6)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폐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향핸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레버;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 각도에 따른 전압값을 TCU에 전달하는 가변저항체; 및
    상기 회전레버와 상기 가변저항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변저항체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링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상기 회전레버와 일체로 회전하는 플랜지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저항체와, 일단이 상기 기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저항체를 따라 이동하는 접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레버와, 일측이 상기 연결레버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회전브라켓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접촉자의 일단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의 일측에 상기 접촉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 일측에 캠 디스크가 결합되고, 상기 캠 디스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스위치부재와 대응되는 한 쌍의 캠 홈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KR1020130084074A 2013-07-17 2013-07-17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KR10152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074A KR101522772B1 (ko) 2013-07-17 2013-07-17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074A KR101522772B1 (ko) 2013-07-17 2013-07-17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752A KR20150009752A (ko) 2015-01-27
KR101522772B1 true KR101522772B1 (ko) 2015-05-26

Family

ID=5248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074A KR101522772B1 (ko) 2013-07-17 2013-07-17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405A (ko) * 2005-11-15 2007-05-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궤도차량의 조향인식을 위한 비선형 센서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90124416A (ko) * 2008-05-30 2009-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405A (ko) * 2005-11-15 2007-05-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궤도차량의 조향인식을 위한 비선형 센서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90124416A (ko) * 2008-05-30 2009-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752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67827A1 (en) Rotary shifting device with motorized knob
US20060060019A1 (en)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and automatic selector thereof
CN203272768U (zh) 驻车装置
EP1488836A1 (en) Wireless control transmitter
KR20070079930A (ko) 차량용 공기 분배 조립체
JP4641432B2 (ja) ハンドル装置
JP2006131221A (ja) 改良された運転者制御装置
CN110159746B (zh) 换挡装置
KR101522772B1 (ko) 궤도차량의 조향 위치 센서 조립체
JP5880397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WO2015161389A1 (de) Schalter
JP6292945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EP1383147B1 (en) A rotary light switch
JP2003528773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シフト装置
JP6126748B2 (ja) 台車装置
WO2016208060A1 (ja) 台車装置
JP4733591B2 (ja) シフト装置
JP2005536387A (ja) シフトレバー機構
US10124671B2 (en) Drive switching apparatus
JP6208703B2 (ja) 車両用操作システム
KR102442019B1 (ko) 근력보조 휠체어
JP2006306362A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JP6489591B1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走行車両
JP5091713B2 (ja) 操舵装置
KR101662540B1 (ko) 위치 가변형 전자식 변속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