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392B1 -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392B1
KR101522392B1 KR1020130134279A KR20130134279A KR101522392B1 KR 101522392 B1 KR101522392 B1 KR 101522392B1 KR 1020130134279 A KR1020130134279 A KR 1020130134279A KR 20130134279 A KR20130134279 A KR 20130134279A KR 101522392 B1 KR101522392 B1 KR 10152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late
bolt
ho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615A (ko
Inventor
양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고려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고려이엔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고려이엔시
Priority to KR102013013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3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04B1/944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covered with fire-proof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내력보강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지지부재 없이 철판 거푸집을 슬래브 하부에 설치하고, 슬래브 상면에서 주입홀을 통하여 철판 거푸집 내부로 비중과 열전도율이 낮은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내력보강된 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내화피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보(10)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보 의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볼트부(15a)와 환형머리부(15b)로 형성된 아이볼트(15)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볼트부(15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환형머리부(15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15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며,
아이볼트(15)는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소정 길이의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고, U형 철판 거푸집(19) 상단은 볼트부(15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Fireproof cover structure for strengthening material of structures}
본 발명dms 내력 보강된 건축 구조물이 화재 시 내력보강구조와 보강재가 손상되어 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피복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부의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내력보강구조를 이용하여 철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철판 거푸집의 내부에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건축물의 보강구조는 구조물의 성능저하로 인해 감소된 내력을 보완하는 것으로 접착공법과 비부착공법이 있으며, 건축물의 보강은 구조물 자체의 내력과 연성 향상을 위해 저층 건축물에서 주로 보강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내화성능을 확보하고 있지 않다.
도 1a와 1b는 종래기술인 비부착공법에서 보에 선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1c는 종래기술인 부착공법에서 보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의 단면도로, 도 1a에서 보(10)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정착홈(12)이 형성되며, 정착홈(12)에는 보의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홈(13) 하면에는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아이볼트(15)는 환형머리부(15b)와 볼트부(15a)로 형성되며, 아이볼트(15)가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되어 환형머리부(15b)는 슬래브(11)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15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볼트부(15a)는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와이어로프(14)는 양 단부가 아이볼트(15) 환형머리부(15b)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환형머리부에서 아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압접부재(17)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로프(14)가 긴장되어 보(10)의 하부와 측부를 지지함으로써, 선형 보강재인 와이어로프(14)를 사용하여 보 단부를 전단보강한다.
강연선 또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비부착공법은 보강재가 강재이므로 고온의 화재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강재의 역학적 성능을 저하시켜 부재의 내력을 저하시킬수 있다.
도 1c에서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에는 탄소섬유(23) 또는 유리섬유를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소정 면적에 부착하여 보 단부를 휨보강 및 전단보강할 수 있으나, 화재 발생 즉시 보강재 자체가 발화되어 부재의 내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고층 건축물은 구조물의 내력보강 이후 내화보드 부착공법, 내화도장공법 및 내화모르타르 뿜칠공법에 의하여 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며, 내화보드 부착공법은 보드와 보조철물을 이용하여 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건식공법으로 공기가 짧고 마감성이 우수하나, 고가이며 내화보드간의 연결부분에서 열교현상으로 내화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내화도장공법은 내화성능을 갖는 각종 유기물질을 도장하는 것으로 시공성과 작업성이 우수하나, 온도와 습도 등의 기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어려우며 고가인 단점이 있다.
내화모르타르 뿜칠공법은 샷건(shot gun)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내화성능이 우수하나, 작업 전 표면처리를 위한 분진과 석면 등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인체에 유해하며, 부재 표면의 마감성 및 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구조물 보강구조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화재에 의한 부재의 내력과 연성의 저하를 최대한 지연시키며,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내화피복기술이 필요하다([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0774).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력보강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지지부재 없이 철판 거푸집을 슬래브 하부에 설치하고, 슬래브 상면에서 주입홀을 통하여 철판 거푸집 내부로 비중과 열전도율이 낮은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내력보강된 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보(10)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보의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저면에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환형머리부(15b)와 볼트부(15a)로 형성된 아이볼트(15)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되어 환형머리부(15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며, 볼트부(15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고,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15a)가 삽입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며,
아이볼트(15)는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소정 길이의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고, U형 철판 거푸집(19) 상단은 볼트부(15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슬래브(10) 상면의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 내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력보강구조를 이용하여 부재를 둘러싸는 철판 거푸집 내부에 비중 및 열전도율이 낮은 기포콘크리트를 충전하여 내화피복재의 자중을 최소화하면서 내화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력보강구조를 이용하여 철판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철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지지부재로 기계식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공기가 단축되고 내화부재 표면의 마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인 비부착공법에서 보에 선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
도 1c는 종래기술인 부착공법에서 보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의 단면도
도 2a는 슬래브에 정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보 단부에 내력보강구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에 선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f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재에 사용되는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보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f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재에 사용되는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슬래브에 정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슬래브에 L형 볼트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슬래브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기포콘크리트를 주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철판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연결철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벽체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벽체용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
도 8c,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슬래브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
도 8e, 8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기둥 주위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기둥용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슬래브에 정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보 단부에 내력보강구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보(10)의 양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정착홈(12)이 형성되고, 정착홈(12)에는 보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정착홈(12) 상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아이볼트(15)의 볼트부(15a)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스틸플레이트(18)의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와이어로프(14)는 양 단부가 아이볼트(15) 환형머리부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환형머리부에서 아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압접부재(17)에 의해 고정되고, 아이볼트(15)의 볼트부(15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로프(14)가 긴장되어 보의 하부와 측부를 지지함으로써 보의 양 단부를 전단보강한다.
제1실시예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에 선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f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재에 사용되는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로, 보(10) 단부의 슬래브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정착홈(12)이 형성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보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정착용 관통홀(13)에는 아이볼트(15)가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며, 아이볼트의 환형머리부(15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15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정착홈 상부에 설치된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는 볼트부(15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아이볼트(15)는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소정 길이의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며, U형 철판 거푸집(19) 상단은 볼트부(15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정착용 관통홀과 아이볼트의 직경은 10 ~ 15mm이며, 철판 거푸집은 두께가 0.3 ~ 0.5mm의 강재를 사용한다.
U형 철판 거푸집(19)은 하부판(19a)과 하부판 양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수직판(19b)이 형성되며, 수직판의 내측에는 요철부(19e)가 형성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과 기포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수직판(19b)의 양 측면에는 U형 측판(19c)이 절곡되며, U형 측판의 단부에는 U형 테두리판(19d)이 절곡되어 립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U형 테두리판(19d)의 내측에는 탄성체(미도시)를 부착하여 평탄하지 않은 보의 표면에 잘 부착되도록 한다.
U자형 테두리판(19d)과 보(10)의 접합부에는 실링제(미도시)가 도포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 내부로 기포콘크리트 타설 시 기포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래브(11) 상면의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 내부를 충전한다.
기포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 중량의 30%로 경량이며 열전도율이 낮으므로 내화피복재의 자중을 경감하며, 화재 시 보에 전달되는 열전달율을 감소시켜 내화성능을 확보한다.
제2실시예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보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f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재에 사용되는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보(10) 단부의 측부와 하부는 휨성능 및 전단성능을 보강하는 탄소섬유(23) 또는 유리섬유가 부착되어 있으며, 보 단부의 슬래브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정착홈(12)이 형성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정착홈에는 보(10)의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11)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정착홈의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정착용 관통홀(13)에는 L형 볼트(24)가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며, L형 볼트(24)의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24a)는 정착홈 상부에 돌출되며, 볼트부(24a)는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L형 볼트(24)는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소정 길이의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며, L형 볼트의 절곡부(24b)와 U형 철판 거푸집(19)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슬래브(11) 상면의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 내부를 충전함으로써, 탄소섬유 등으로 부착된 보의 내력보강구조에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내화피복재를 보강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슬래브에 정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슬래브에 L형 볼트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보(10) 양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정착홈(12)을 형성하고,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정착홈에는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를 설치하며, 스틸플레이트에는 소정 간격으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스틸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홀 위치와 동일하게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용 관통홀은 보의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L형 볼트(24)는 스틸플레이트(18)에 형성된 관통홀과 정착용 관통홀에 삽입, 관통되어 볼트부는 정착홈 상부로 돌출되어 스틸플레이트(18)의 상면에서 너트(16)와 체결되고, L형 볼트의 절곡부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며, 슬래브 상면에는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 사이에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용 관통홀(22)이 보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1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슬래브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기포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6a에서 슬래브 상면에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 깔대기(25)를 삽입하여 기포콘크리트를 U형 철판 거푸집 내부에 충전하거나, 도 6b와 같이 주입용 관통홀(22)에 압축공기를 이용한 샷건(26) 등의 장비로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며, 도 6c와 같이 호스(27)를 이용하여 주입용 관통홀(22)에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여 U형 철판 거푸집 내부를 충전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철판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연결철물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U형 철판 거푸집(19) 또는 철판 거푸집(30) 상단 내측에 연결철물(21)을 설치하고, 연결철물은 도 7a의 클립형 연결철물(21a)과, 도 7b의 U형 연결철물(21b)이 있으며, 도 7c에서 U형 철판 거푸집의 수직판에 관통홀(28)을 형성하고 L형 볼트(24)의 절곡부를 U형으로 절곡하여 관통홀(28)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U형 철판 거푸집(19)에 L형 볼트(24)가 체결된다.
제3실시예
도 8a,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벽체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벽체용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로, 벽체 표면은 내력을 보강하는 탄소섬유(23) 또는 유리섬유가 부착되어 있으며,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각각 벽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L형 볼트(24)는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되어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되어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는 볼트부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L형 볼트(24)는 벽체(31)의 일측면을 둘러싸는 벽체용 철판 거푸집(30)의 수직판(30a)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며, 벽체용 철판 거푸집(30)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벽체용 철판 거푸집(30)의 바닥판(30c)에 형성된 슬로트 홀(30d)에는 바닥판에 매설되어 상부가 돌출된 앵커 볼트(32)가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벽체용 철판 거푸집(30)은 수직판(30a)과 수직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30b)이 형성되며, 수직판(30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양 측판(30b)의 하단과 용접접합되는 바닥판(30c)이 형성되고, 바닥판(30c)에는 소정 간격으로 슬로트 홀(30d)이 형성되며, 수직판(30a) 내측에는 요철부(19e)가 형성되어 벽체용 철판 거푸집(30)과 기포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슬래브(11) 상면에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벽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철판 거푸집(30) 내부를 충전함으로써, 탄소섬유 등으로 부착된 벽체의 내력보강구조에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내화피복재를 보강한다.
제4실시예
도 8c,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슬래브에 면형 보강재가 설치된 내력보강구조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로, 슬래브 저면은 내력을 보강하는 탄소섬유(23) 또는 유리섬유가 부착되어 있으며, 슬래브(11)의 양 단부 상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L형 볼트(24)는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되어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며, L형 볼트의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는 볼트부(24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L형 볼트(24)는 슬래브 하부를 둘러싸는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의 측판(33b) 내측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며,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 상단은 볼트부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은 바닥판(33a)과 바닥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33b)으로 형성된다.
슬래브 상면의 정착용 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며 보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 내부를 충전함으로써, 탄소섬유 등으로 부착된 슬래브 저면의 내력보강구조에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내화피복재를 보강한다.
제5실시예
도 8e, 8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기둥 주위에 내화피복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기둥용 철판 거푸집의 사시도로,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정착홈(12)에는 각각 기둥(29) 측면으로 슬래브(11)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L형 볼트(24)는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되며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소정 길이의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는 볼트부(24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L형 볼트(24)는 기둥(29) 주위를 둘러싸는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수직판(34a) 내측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고, 기둥용 철판 거푸집(34)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11)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은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수직판(34a)과 수직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34b)이 형성되고, 측판(34b)의 단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절곡되어 립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판(34c)이 형성되며, 수직판(34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양 측판(34b)과 테두리판(34c)의 하단과 용접접합되는 바닥판(34d)이 형성되고, 바닥판(34d)에는 소정 간격으로 슬로트 홀(34e)이 형성되며, 수직판(34a) 내측에는 요철부(19e)가 형성되어 기둥용 철판 거푸집(34)과 기포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바닥판(34d)에 형성된 슬로트 홀(34e)에는 바닥판에 매설되어 상부가 돌출된 앵커 볼트(32)가 관통되어 설치되고,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측판간 접합부는 소정 간격으로 태그 용접하여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을 일체로 결합한다.
슬래브(11) 상면에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기둥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내부를 충전함으로써, 기둥 주위에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내화피복재를 보강한다.
10 : 보 11 : 슬래브
12 : 정착홈 13 : 정착용 관통홀
14 : 와이어로프 15 : 아이볼트
15a : 볼트부 15b : 환형머리부
16 : 너트 17 : 압접부재
18 : 스틸플레이트 19 : U형 철판 거푸집
19a : 하부판 19b : 수직판
19c : U형 측판 19d : U형 테두리판
19e : 요철부 20 : 기포콘크리트
21 : 연결철물 21a : 클립형 연결철물
21b : U형 연결철물 22 : 주입용 관통홀
23 : 탄소섬유 24 : L형 볼트
24a : 볼트부 24b : 절곡부
25 : 깔대기 26 : 샷건(shot gun)
27 : 호스 28 : 관통홀
29 : 기둥 30 : 벽체용 철판 거푸집
31 : 벽체 32 : 볼트
33 :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 34 : 기둥용 철판 거푸집

Claims (13)

  1. 보(10)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보 의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볼트부(15a)와 환형머리부(15b)로 형성된 아이볼트(15)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볼트부(15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환형머리부(15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15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며,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와이어로프(14)는 양 단부가 아이볼트(15) 환형머리부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환형머리부에서 아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압접부재(17)에 의해 고정되고,
    아이볼트(15)는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소정 길이의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며, U형 철판 거푸집(19) 상단은 볼트부(15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슬래브(10) 상면의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보의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 내부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2. 보(10) 단부의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보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된 L형 볼트(24)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15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며,
    L형 볼트(24)는 보(10) 단부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는 소정 길이의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고, U형 철판 거푸집(19)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슬래브(11) 상면의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U형 철판 거푸집(19) 내부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3.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벽체 양 측면으로 각각 슬래브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된 L형 볼트(24)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며,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24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고,
    L형 볼트(24)는 벽체(31)의 일측면을 둘러싸는 벽체용 철판 거푸집(30)의 수직판(30a)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며, 벽체용 철판 거푸집(30)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벽체용 철판 거푸집(30)의 바닥판(30c)에 형성된 슬로트 홀(30d)에는 바닥판에 매설되어 상부가 돌출된 앵커 볼트(32)가 관통되어 설치되며,
    슬래브(11) 상면에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벽체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철판 거푸집(30) 내부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4. 슬래브(11)의 양 단부 상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정착홈(12)에는 각각 슬래브(11)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된 L형 볼트(24)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며,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고,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24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며,
    L형 볼트(24)는 슬래브 하부를 둘러싸는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의 측판(33b) 내측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고,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슬래브 상면의 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보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 내부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5. 슬래브(11)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정착홈(12)에는 각각 기둥(29) 측면으로 슬래브(11)를 관통하는 정착용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정착홈(12) 저면에는 스틸플레이트(18)가 설치되고,
    볼트부(24a)와 절곡부(24b)로 형성된 L형 볼트(24)는 정착용 관통홀(13)에 삽입, 관통되어 절곡부(24b)는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며, 볼트부(24a)는 정착홈(12) 상부에 돌출되고, 스틸플레이트(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에는 볼트부(24a)가 삽입, 관통되어 너트(16)에 의해 체결되며,
    L형 볼트(24)는 기둥(29) 주위를 둘러싸는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수직판(34a) 내측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접합된 연결철물(21)에 체결되고, 기둥용 철판 거푸집(34) 상단은 볼트부(24a)에 체결된 너트(16)의 회전에 의해 슬래브(11)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바닥판(34d)에 형성된 슬로트 홀(34e)에는 바닥판에 매설되어 상부가 돌출된 앵커 볼트(32)가 관통되어 설치되고,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측판간 접합부는 소정 간격으로 태그 용접하여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을 일체로 결합하며,
    슬래브(11) 상면에 형성된 정착용 관통홀(13) 사이에 위치하며 기둥 양 측면으로 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기포콘크리트(20)가 주입되어 한 쌍의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의 내부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형 철판 거푸집(19)은 하부판(19a)과 하부판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19b)이 형성되며, 수직판(19b)의 양 측면에는 U형 측판(19c)이 절곡되고, U형 측판의 단부에는 U형 테두리판(19d)이 절곡되어 립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21)은 클립형 연결철물(21a) 또는 U형 연결철물(21b)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상면에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깔대기(25)를 삽입하여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거나, 또는 상기 슬래브 상면에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샷건(26)으로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거나, 또는 상기 슬래브 상면에 형성된 주입용 관통홀(22)에는 호스(27)를 이용하여 기포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9.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형 볼트(24)가 U형 철판 거푸집(19)의 연결철물(21)에 체결되는 것은,
    상기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에 관통홀(28)을 형성하고 L형 볼트(24)의 절곡부를 U형으로 절곡하여 관통홀(28)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U형 철판 거푸집(19)에 L형 볼트(24)가 체결되는 것으로 대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형 철판 거푸집(19)의 수직판(19b) 내측 에는 요철부(19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용 철판 거푸집(30)은 수직판(30a)과 수직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30b)이 형성되며, 수직판(30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양 측판(30b)의 하단과 용접접합되는 바닥판(30c)이 형성되고, 바닥판(30c)에는 소정 간격으로 슬로트 홀(30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33)은 바닥판(33a)과 바닥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33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용 철판 거푸집(34)은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수직판(34a)과 수직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측판(34b)이 형성되고, 측판(34b)의 단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절곡되어 립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판(34c)이 형성되며, 수직판(34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양 측판(34b)과 테두리판(34c)의 하단과 용접접합되는 바닥판(34d)이 형성되고, 바닥판(34d)에는 소정 간격으로 슬로트 홀(34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KR1020130134279A 2013-11-06 2013-11-06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KR10152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79A KR101522392B1 (ko) 2013-11-06 2013-11-06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279A KR101522392B1 (ko) 2013-11-06 2013-11-06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615A KR20150052615A (ko) 2015-05-14
KR101522392B1 true KR101522392B1 (ko) 2015-05-21

Family

ID=5338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279A KR101522392B1 (ko) 2013-11-06 2013-11-06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23B1 (ko) * 2015-08-21 2016-11-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보 단면증설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730Y1 (ko) * 2003-11-11 2004-02-18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익스팬디드 메탈을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KR100589975B1 (ko) * 2006-02-13 2006-06-19 변항용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730Y1 (ko) * 2003-11-11 2004-02-18 인덱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익스팬디드 메탈을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KR100589975B1 (ko) * 2006-02-13 2006-06-19 변항용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23B1 (ko) * 2015-08-21 2016-11-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보 단면증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615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6136B2 (ja) 繊維補強圧縮セメント板とコンクリート補強構造用の穴を有する金属間柱を含む発泡プラスチック一体固定式枠型パネルシステム
JPS59233066A (ja) 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取付具
JP6204009B2 (ja) パネルユニット接合構造及びパネルユニット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522392B1 (ko) 구조물의 내화피복구조
CN107313516B (zh) 蒸压加气混凝土墙板与钢梁连接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JP3121654U (ja) 片持ち支持バルコニー構築用z筋パネル、及びバルコニーを備えた外壁構造
JP5319401B2 (ja) 柱脚保護構造
JP2007169953A (ja) プレキャストバルコニー構造体及びバルコニーを備えた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壁構造
JP3255225B2 (ja) 外断熱鉄骨造建築物とその施工方法及び建築材
CN114411987A (zh) 一种内嵌安装的轻质混凝土保温板及其安装方法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JP2019007258A (ja) トンネル内巻覆工におけるレジン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固定工法
JP4546979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JP2614954B2 (ja) 鉄骨の免振耐火被覆工法
JP357706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に於ける帳壁構造
JP3577061B2 (ja) 耐震耐火性を備えた断熱複合パネル
JP5926985B2 (ja) 鉄骨造建築物の補強方法及び鉄骨造建築物
RU2139980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оверхности конструкции и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защитным слоем
KR101523646B1 (ko) 플레이트 휨 방지용 지지부를 구비한 중단열 외벽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612179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보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된 바닥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6817B1 (ko) 섬유보강판넬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보강 구조
JP4546980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KR20240007365A (ko) 복합소재로 제작된 경량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