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355B1 - 조립 블록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 블록 및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355B1
KR101522355B1 KR1020097027068A KR20097027068A KR101522355B1 KR 101522355 B1 KR101522355 B1 KR 101522355B1 KR 1020097027068 A KR1020097027068 A KR 1020097027068A KR 20097027068 A KR20097027068 A KR 20097027068A KR 101522355 B1 KR101522355 B1 KR 10152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nection
unit
assembl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925A (ko
Inventor
후미타카 무라야마
후미요시 이토
타케시 마츠시마
히데유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텔라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텔라아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텔라아츠
Publication of KR2010001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LED 소자(51)와, LED 소자(51)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2)과, 이들을 유지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20)을 제공한다. 하우징(30)은, 외부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32, 33)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이다. 제어유닛(52)은, 제 1 기계적 인터페이스(32)에 관련된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79a)를 통해 LED 소자(5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세트(D1) 및 그 전송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 1 데이터 세트(D1)를 버퍼(121)에 저장하고, 버퍼(121)에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DS1)을 전송 커맨드와 함께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33)에 관련된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79b)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기능(111)을 가진다.

Description

조립 블록 및 표시 시스템{ASSEMBLED BLOCK AND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LED, 그 밖의 발광소자를 내장한 조립 블록 및 이들을 이용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32649호에는, 벽면 등에 복수 배치한 발광원을 소정의 발광 타이밍에서 점멸시킴으로써 장식 발광을 행하는 발광장치에 있어서, 발광소자를 램프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발광체와, 판형상 부재의 한 쪽의 면에 복수의 상기 발광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면을 벽면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부착 베이스와, 상기 발광체에 관한 점멸정보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고, 상기 점멸정보에 근거하여 점멸제어신호를 발광체에 송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 베이스에는, 상기 발광체를 고정 유지하는 걸림결합부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발광체를 상기 걸림결합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10(1998)-108985호에는, 조립식 완구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현하는 조립 블록으로서, 상기 조립 블록의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한 기능발현수단과, 상기 기능발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다른 조립 블록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표공보 2005-510007(국제공개 WO 2002/098182)호에는, 제 1 데이터·포트를 통해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스트림의 적어도 제 1 부분에 근거하여 적어도 1개의 조명조건을 발생시키며, 제 2 데이터·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스트림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전달하도록 적합된 LED 조명 시스템과, 상기 LED 조명 시스템을 유지하고, 제 1 및 제 2 데이터·포트를, 제 1 측과 제 1 측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제 2 측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불연속 섹션을 갖는 전기적 도체를 구비하는 데이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관련하도록 적합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데이터·포트가 불연속 섹션의 제 1 측과 전기적으로 관련되며, 또한 제 2 데이터·포트가 불연속 섹션의 제 2 측과 전기적으로 관련되도록 적합되어 있는,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전시 가능한 스페이스나 벽면형상 등에 맞추어, 자유로운 형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발광 단위를, 각각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표공보 2005-51000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LED 광원 및 적어도 1개의 다른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결합된 독립적으로 어드레스 지정이 가능한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것은 하나의 해결방법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10(1998)-108985호에 있어서는, 네트워크상에서 정의된 네트워크 변수를 이용하여 각 조립 블록이 통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32649호에는, 부착 베이스에, 복수의 발광체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유지시킴으로써 각각의 발광체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어드레스를 지정하거나, 네트워크 변수를 이용하여 각각을 식별하기 위해는, 사전에, 각각의 발광체에 어드레스를 설정하거나, 네트워크 변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소정의 어드레스 또는 네트워크 변수가 설정된 발광체를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지 않으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소정 배열의 부착 베이스에 복수의 발광체를 부착하는 방법은, 부착 베이스에서 준비된 범위에서만 발광체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페이스나 벽면형상 등에 맞추어, 더 자유로운 형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컨대, 어떤 스페이스에 일단 조립한 표시유닛을 분해하여 다른 스페이스에 재조립하기가 용이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재조립시에 전기적인 접속을 파악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재조립하여도 각각의 발광소자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 양태는,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유닛과, 이들 발광소자 및 제어유닛을 적어도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조립 블록이다. 하우징은, 외부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측 및 제 2 측에 설치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이다. 제어유닛은, 하우징의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세트 및 제 1 데이터 세트의 전송 지시를 포함하는 제 1 커맨드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데이터 세트를 버퍼에 저장하고,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를 제 1 커맨드와 함께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기능을 가진다. 제어유닛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래치의 지시를 포함하는 제 2 커맨드를 수신하면,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어유닛이 발광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다음의 데이터 세트로 설정하는 동시에, 제 2 커맨드를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기능을 더 가진다.
상기 조립 블록에 있어서는, 제 1 기능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제 1 데이터 세트를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그대로 전송하지 않는다. 그 대신 제 1 기능은, 데이터 버퍼에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를 보낸다. 즉, 상기 조립 블록의 제어유닛은, 전송중인 제 1 데이터 세트를 일단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 버퍼에 저장한다. 제어유닛은, 또한, 먼저, 수신한 제 1 커맨드를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후,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조립 블록에 있어서는,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제 1 커맨드를, 시리얼 전송중인 데이터 세트를 추월하도록 하거나, 혹은, 시리얼 전송중인 데이터 세트에 방해받지 않고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로부터 다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통의 시리얼 전달회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복수의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세트와 커맨드를 전송하였을 때, 단순한 FIFO가 아니며, 전송중인 제 1 데이터 세트를 추월하거나, 혹은 전송중인 제 1 데이터 세트에 의해 전송이 저지되지 않아,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로부터 커맨드를 다음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를 지시하는 제 2 커맨드를, 제 1 데이터 세트와 동일한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전달)하였을 때, 제 2 기능은, 제 2 커맨드를 제 1 데이터 세트를 앞질러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복수의 조립 블록 및/또는 복수의 제어유닛이 시리얼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래치를 지시하는 제 2 커맨드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제어유닛에 원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다음의 데이터 세트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조립 블록 혹은 제어유닛에,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같은 이들 각각을 특정하는 식별정보를 부여하지 않아도, 원하는 조립 블록의 제어유닛에, 원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보내어, 래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조립 블록에 의해 표시유닛을 조립하여, 각각의 조립 블록에 어드레스를 할당하지 않고, 각각의 조립 블록에 대해,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제어유닛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광소자의 점등 제어의 전환을 지시하는 제 3 커맨드를 수신하면, 다음의 데이터 세트에 근거하는 점등상태가 되도록 발광소자를 제어하는 제 3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기능은, 또한, 제 3 커맨드를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세트를 전송하는 것과 공통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점등용 제 3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어, 각각의 조립 블록을 원하는 조건(색, 휘도 등)으로 점등 혹은 발광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측 및/또는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서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전송 지시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 4 커맨드 및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1개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4 기능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기능은, 또한, 수신한 적어도 1개의 제 2 데이터 세트에 계속해서 상기 조립 블록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립 블록을 시리얼 전송회로에 의해 접속하였을 때에, 또한, 복수의 조립 블록에 의해 시리얼 전송회로를 형성하였을 때에, 기계적인 연결관계를 제 2 데이터 세트를 시리얼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 블록에 의해 표시유닛을 형성하였을 때에, 이들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관계를 제 2 데이터 세트에 의해 수집하여 해석할 수 있다. 연결관계가 해석된 정보(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1 데이터 세트 및 제 1 커맨드, 나아가서는 제 2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각각의 조립 블록에 미리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지 않아도, 표시유닛으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를 소정의 조립 블록에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 블록은, 스페이스나 벽면형상 등에 맞추어, 더 자유로운 형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표시유닛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조립 블록은, 어떤 스페이스에 일단 조립한 표시유닛을 분해하여 다른 스페이스에 재조립하기가 용이한 시스템에 더 적합하다. 또한, 상기 조립 블록은, 표시유닛을 재조립할 때에 전기적인 접속이 파악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조립 블록에 미리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유닛의 재조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조립 블록은,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되돌리는, 피드백하는) 신호선(리턴선)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조립 블록이 포함되는 시리얼 전송회로, 또는 복수의 조립 블록에 의한 시리얼 전송회로에 대하여, 전송회로의 일 단부로부터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를 제공할 수 있고, 리턴선을 이용함으로써, 전송회로의 그 일 단부로부터 데이터 세트를 회수할 수 있다.
제 1 측 및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 및 상기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연결방향이 가변의 기계적 연결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조립 블록만으로 표시유닛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유닛은, 적어도 2방향의 자유도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조립 블록에 의해 조립되는 표시유닛의 입체적인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조립 블록은, 전기적 접속유닛이며, 기계적 연결유닛이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연결유닛에 연결되면,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기계적 연결유닛이 연결되면,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상기 제어유닛의 전기적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 블록에 의해 표시유닛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이들 복수의 조립 유닛을 전기적으로도 접속할 수 있다.
전형적인 기계적 연결유닛 및 전기적 접속유닛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기계적 연결유닛은,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일부와, 상기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일부가 오버랩된 상태에서(하우징들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각각의 하우징에 설치된다. 전기적 접속유닛은, 상기 조립 블록에 오버랩되어 접속된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에 접속하도록, 각각의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오버랩된 조립 블록을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이들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을 전기적(신호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 이들 제어유닛이 통신 가능해진다.
하우징의 전형적인 형상은, 서로 정렬하거나 겹칠 수 있는 소정의 입체형상을 단위로 하며, 그 단위 입체형상을 1 또는 복수개 서로 연결시킨 외형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하우징이, 복수의 단위 입체형상을 서로 연결시킨 외형형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에 덧붙이거나, 또는 그 대신에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좌우방향, 전후방향)으로도 다른 조립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 블록은,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하우징이,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및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 및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와, 제 1 발광소자의 제 1 제어유닛 및 제 2 발광소자의 제 2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조립 블록에 의해 많은 도트, 전형적으로는 2개의 도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제어유닛은, 프린트 기판 등을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 내에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2 제어유닛의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제 1 제어유닛을 통해 제 1 측의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되고, 제 1 제어유닛의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제 2 제어유닛을 통해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있다.
발광 시스템은, 제 2 제어유닛의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를, 제 1 제어유닛의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되돌리는, 피드백하는) 신호선(리턴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턴선은, 제 2 제어유닛의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전기적 접속유닛과, 제 1 제어유닛의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직접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하우징은,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및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내부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벽부에 의해, 이들 단위 입체형상을 광학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혼색(크로스토크(cross-talk))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이 3개 이상의 단위 입체형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위 입체형상을 광학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위치에 내부벽부(격벽)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적 접속유닛은, 기계적 연결유닛에 의한 연결방향, 즉 하우징들의 연결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불변하도록 배치된 제 1 단자군과, 기계적 연결유닛에 의한 연결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바뀌도록 배치된 제 2 단자군을 포함하고, 제어유닛은, 제 2 단자군의 전기적인 접속관계에 의해, 연결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자군에 의해, 기계적인 연결방향이 바뀌더라도, 데이터 세트, 커맨드 및 점등용 전원공급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한, 제 2 단자군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기계적인 연결관계를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제 2 단자군의 전형적인 것은, 전기적 접속유닛의 한 쪽의 제 2 단자군이 다른 전위를 부여하는 복수의 기준단자를 포함하고, 전기적 접속유닛의 다른 쪽의 상기 제 2 단자군이 연결방향에 따라, 복수의 기준단자와의 접속이 바뀌는 복수의 식별단자를 포함하는 타입이다.
제 1 단자군은, 통신용 단자와,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단자를 포함한다. 제 1 단자군 및 제 2 단자군이 길이방향을 구비한 형상의 영역에서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자군이 복수의 전력공급단자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전력공급단자는 길이방향으로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기계적 연결유닛, 나아가서는, 전기적 접속유닛의 기계적인 변형 등의 요인에 의해 길이방향의 일부의 전기적 접속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복수의 전력공급단자를 길이방향으로 분산함으로써, 일부의 전기적인 접속이 불충분해지더라도, 전력공급이 차단되거나, 일부의 전력공급단자에 부하가 지나치게 집중되어 전력공급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중 하나는, 상술한 조립 블록을 복수 가지는 표시 시스템이다. 표시 시스템은, 인접하는 다른 조립 블록과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발광그룹을 적어도 1개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서는, 복수의 조립 블록이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다. 표시 시스템은,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의 일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의 각각으로 제 1 데이터 세트, 제 1 커맨드 및 제 2 커맨드를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장치(표시제어장치)를 더 가진다.
제어장치는,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으로부터 각각 취득하는 기능과,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에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하는 기능은,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한다. 전형적인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각각의 조립 블록의 종류의 정보와, 각각의 조립 블록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조립 블록과의 연결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취득하는 기능(취득기능유닛)은, 송신하는 기능(송신기능유닛)에, 각각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송신시킨 후,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순번에 따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하는 기능(생성기능유닛)은, 제 2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표시 시스템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를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리오더(reorder)하고,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 중 하나는, 상기 조립 블록을 복수 포함하는 표시유닛의 제어장치이다. 제어장치는,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의 일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제 1 데이터 세트, 제 1 커맨드 및 상기 제 2 커맨드를 송신하는 기능과,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으로부터 각각 취득하는 기능과,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에 각각 포함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송신하는 기능은,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그 밖의 양태 중 하나는, 상기 조립 블록을 복수 가지는 표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의 일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제 1 데이터 세트, 제 1 커맨드 및 제 2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으로부터 각각 취득하는 것.
2.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송신하는 단계는,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취득하는 단계는, 각각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과, 이후,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순번에 따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하는 것은, 제 2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시스템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리오더하고, 상기 각각의 발광그룹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그 밖의 양태 중 하나는, 상술한 조립 블록을 복수 가지는 표시 시스템의 제어장치(표시제어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이다.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장하였을 때에 실현되는 제어장치는, 발광그룹의 일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 제 1 커맨드 및 제 2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에 실장되는 제어장치는,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으로부터 각각 취득하는 기능과,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하는 기능은,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1 또는 복수의 발광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한다. 취득하는 기능은, 송신하는 기능에, 각각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송신시킨 후,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상기 각각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순번에 따라 수신하며, 생성하는 기능은, 제 2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표시 시스템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를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리오더하고, 각각의 발광그룹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은, 퍼스널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표시제어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CD-ROM 등의 적당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을 유통시킬 수 있다.
도 1은 조립 블록에 의해 조립된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의 투시 측면도, 도 2의 (B)는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의 투시 측면도, 도 2의 (C)는, 도 2의 (B)와 다른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싱글 사이즈의 스타트 커넥터 및 입력용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의 투시 측면도, 도 3의 (B)는, 싱글 사이즈의 종단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 4는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에서의 숫커넥터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에서의 암커넥터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2개의 표준 블록이 90도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2개의 표준 블록이 180도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2개의 표준 블록이 270도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조립 블록에 의해 조립된 다른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플랫 패널형상의 표시유닛에서의 복수의 조립 블록(도트 모 듈)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에서의 복수의 조립 블록(도트 모듈)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더블 조립 블록에 탑재되는 발광 시스템(메인 프린트 기판)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조립 블록의 연결방향과 2자리의 방향검출 비트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도 13은 조립 블록의 종류와 DIP 스위치의 설정값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도 14는 제어유닛(도트 제어 IC)에 실현되는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커맨드 코드 및 부수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표이다.
도 16은 프로파일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어유닛(도트 제어 IC)의 통신 방식(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18의 (A)는 조립 블록에 의해 조립된 표시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그 전기적 접속을 나타내며, 도 18의 (C)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 시리얼 통신 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표시제어장치에 의해, 초기화 처리, 소등처리 및 점등처리를 연속적으로 실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20은 표시제어장치에 의해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를 송신하였을 때의 통신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21은 표시제어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2는 표시제어장치의 취득기능 및 생성기능에 의한 표시유닛의 입체형상 재현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조립 블록에 의해 조립된 표시유닛의 도트 표시(조립 블록의 구성(configuration))의 가상 3차원 공간에 대한 매핑 결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표시유닛의 구성을 재현하여 표시한 예이다.
도 25는 표시제어장치의 송신기능에 의해 표시유닛의 표시를 제어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표시 데이터를 리오더하여 생성하는 송신 데이터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1회의 표시 데이터의 송신에서의 통신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28은 커넥터의 변형예(압착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숫커넥터의 다른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암커넥터의 다른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시스템(발광장치; 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표시 시스템(1)은, 복수의 도트 모듈을 조합시켜 네모난 타워 형상으로 형성된 표시유닛(발광체; 2)과, 상기 표시유닛(2)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유닛(2)의 표시 출력(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제어장치)로서의 컴퓨터 단말(3)을 가진다. 표시유닛(2)과 컴퓨터 단말(3)은, 플랫 케이블(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4)은, 컴퓨터 단말(3)로부터 표시유닛(2)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과, 컴퓨터 단말(3)과 표시유닛(2)간에서의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선을 가진다.
제어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 단말(퍼스널 컴퓨터; 3)은, 표시 디바이스(11), 입력 디바이스(12) 및 PC(퍼스널 컴퓨터) 본체(13)로 이루어지며, 인스톨된 프로그램(13p)을 실행함으로써 표시유닛(2)의 제어장치로서 기능한다. PC 본체(13)는 공지된 하드웨어 자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PC 본체(13)는, 외부전원으로서의 전원회로(14)를 가지며, 상기 전원회로(14)에 의해 생성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표시유닛(2)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또, 표시유닛(2)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표시유닛(2)의 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는, 컴퓨터 단말(3) 이외에도, 예컨대, 표시 시스템 전용 컨트롤러 등이어도 된다.
표시유닛(2)은, 적어도 1개의 도트 모듈로서 기능하는 각종 조립 블록(20)을 조합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참고로, 도트 모듈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소자(발광소자의 일종; 51)를 가지고, 수신한 휘도 데이터 등에 의해 상기 LED 소자(51)의 발광을 독자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즉, 도트 모듈은, 표시유닛(2)에서의 발광 제어 단위(화상표시 제어 단위)이다.
도 2 및 도 3은, 표시유닛(2)에 사용 가능한 각종 조립 블록(발광유닛; 20)에 대한 몇 가지의 예를 나타낸 투시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1개의 도트 모듈 로서 기능하는 싱글 블록(21)이다. 도 2의 (B)는, 2개의 도트 모듈로서 기능하는 표준 블록(22)이다. 도 2의 (C)는, 2개의 도트 모듈로서 기능하는 사상(斜上) 블록(23)이다. 도 3의 (A)는, 1개의 도트 모듈을 기본구조로 하여, 상술한 플랫 케이블(4)을 접속할 수 있는 싱글 입력 블록(24)이다. 도 3의 (B)는, 1개의 도트 모듈을 기본구조로 하여, 통신 데이터를 컴퓨터 단말(3)로 되돌리는 싱글 종단 블록(25)이다. 또,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조립 블록(20)에는 이 이외에도, 표준 블록(22)을 기본구조로 하여, 플랫 케이블(4)을 접속할 수 있는 표준입력 블록이나, 표준 블록(22)을 기본구조로 하여, 통신 데이터를 컴퓨터 단말(3)로 되돌리는 표준 종단 블록 등이 있다.
도 4는, 1개의 도트 모듈로서 기능하는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의 (A)의 싱글 블록(21), 도 3의 (A)의 싱글 입력 블록(24), 및 도 3의 (B)의 싱글 종단 블록(25)은,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이다. 또, 후술하는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에서도, 입력 블록이나 종단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은, 공통의 싱글 보디(31)를 갖는다. 상기 싱글 보디(31)는, 입방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싱글 보디(3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걸쳐 관통하는 단면이 사각형인 관통구멍을 가진다. 이에 따라, 싱글 보디(31)는, 4개의 측면부로 이루어진 프레임구조가 된다.
그리고, 도 2의 (A)의 싱글 블록(21)의 하우징(30)은, 볼록 스커트(32)와, 상기 싱글 보디(31)와, 오목 스커트(33)를 가진다. 볼록 스커트(32)는 싱글 보 디(31)의 상측에 설치되고, 오목 스커트(33)는 싱글 보디(31)의 하측에 설치된다. 또, 싱글 블록(21)에 있어서,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이들 네 모서리가 싱글 보디(31)와 함께 나사 고정됨으로써, 싱글 보디(31)와 일체화된다. 각 조립 블록(20)의 볼록 스커트(32)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오목 스커트(33)와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조립 블록(20)은, 어느 종류의 조립 블록(20)과도 연결이 가능하다. 즉, 볼록 스커트(32)와 오목 스커트(33)는, 상기 하우징(30)을 외부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측 및 제 2 측에 설치된 기계적 인터페이스이다.
이들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제 1 측 및 제 2 측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측(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출력측(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의 각각과 관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기계적 인터페이스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와의 관련성은, 제 1 기계적 인터페이스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가 함께(동시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다른 전기적 인터페이스와의 접속이 온/오프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기계적 인터페이스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와의 관련성은, 직접, 또는, 다른 제어유닛 혹은 회로를 통해, 제 1 기계적 인터페이스와 함께 접속 및 분리되는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인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의 관련성도 동일하다. 또한,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 및/또는 출력을 수반하지 않는 기계적인 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이 예에서 나타내는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측 및 출력측 중 어느 것과 관련되어 있어도 되고, 이하의 예에서 나타내는 신호의 입출력과의 관련성은 예시이다. 싱글 블록(21)에 있어서, 볼록 스커트(32)는 하우징(30)의 상방에 설치되고, 오목 스커트(33)는 하우징(3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에 다른 조립 블록(2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입방체형상에 근거하여 4방향의 자유도에 의해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각각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의 오목 스커트(33) 및 볼록 스커트(32)에 연결할 수 있고, 이들 연결방향, 즉,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 및 상기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의 연결방향이 각각 가변의 기계적 연결유닛의 일례이다. 그 결과, 복수 종류의 조립 블록(20)을 자유롭게 조합시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볼록 스커트(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글 보디(31)의 외형과 사이즈가 같은 사각형의 대략 판형상부(32a)와,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32b)를 가진다. 또한, 볼록부(32b)의 내측에 상기 설치상태에 있어서 싱글 보디(31)의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구멍(32c)을 가진다.
오목 스커트(33)는, 싱글 보디(31)의 외형과 사이즈가 같은 사각형의 대략 판형상부(33a)와, 그 하면에 형성되는 오목부(33b)를 가진다. 오목부(33b)는, 볼록 스커트(32)의 볼록부(32b)가 끼움결합된다. 또한, 오목부(33b)의 내측에 상기 설치상태에 있어서 싱글 보디(31)의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구멍(33c)을 가진다.
이상의 도 2의 (A)의 싱글 블록(21)에 대하여, 도 3의 (A)의 싱글 입력 블 록(24)의 하우징(30)은, 볼록 스커트(32)와, 싱글 보디(31)와, 오목 스커트(33)와, 입력커버(34)로 이루어진다. 입력커버(34)는, 오목 스커트(33)의 하측에 설치된다. 볼록 스커트(32), 오목 스커트(33) 및 입력커버(34)는, 이들 네 모서리가 싱글 보디(31)와 함께 나사 고정됨으로써, 싱글 보디(31)와 일체화된다.
입력커버(34)는, 도 4의 우측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 스커트(32)와 거의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입력커버(34) 내에는, 입력용 프린트 기판(35)이 설치된다. 입력용 프린트 기판(35)의 일단부는, 입력커버(34)의 측면에 개설된 구멍을 관통하여, 입력커버(34)의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입력용 프린트 기판(35)에는, 오목부(34a) 내에서 2개의 암커넥터(36)가 설치되고, 외부에 플랫 케이블(4)용 커넥터(37)가 설치된다. 또, 상기 2개의 암커넥터(36)는, 후술하는 서브 프린트 기판(42)의 2개의 암커넥터(54)와 같은 배치로 배열되며, 입력커버(34)가 싱글 보디(31)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메인 프린트 기판(41)의 숫커넥터(53)와 접속된다.
또한, 도 3의 (B)의 싱글 종단 블록(25)의 하우징(30)은, 종단 커버(38)와, 볼록 스커트(32)와, 싱글 보디(31)와, 오목 스커트(33)로 이루어진다. 종단 커버(38)는, 볼록 스커트(32)의 상측에 설치된다. 종단 커버(38),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이들 네 모서리가 싱글 보디(31)와 함께 나사 고정됨으로써, 싱글 보디(31)와 일체화된다.
종단 커버(38)는, 도 4의 우측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 스커트(33)와 거의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종단 커버(38) 내에는, 종단용 프린 트 기판(39)이 설치된다. 종단용 프린트 기판(39)에는, 4개의 숫커넥터(40)가 설치된다. 또, 상기 4개의 숫커넥터(40)는, 후술하는 메인 프린트 기판(41)의 4개의 숫커넥터(53)와 같은 배치로 배열되며, 종단 커버(38)가 싱글 보디(31)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서브 프린트 기판(42)의 암커넥터(54)와 접속된다.
또한, 이들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으로서 이용되는 싱글 보디(31), 볼록 스커트(32), 오목 스커트(33), 입력커버(34), 종단 커버(38), 후술하는 더블 보디(55) 등은,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전형적으로는, 하우징(30)은, 투광성의 유백색 플라스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1개 혹은 이 보다 많은 도트 모듈로서 기능하는 조립 블록(20)은, 그 내부에 설치된 LED 소자(51)의 발광 광을, 대략 전면적으로 또한 대략 균일하게 투과한다. 즉, 조립 블록(20)은, LED 소자(51)의 발광 광에 근거하여, 도트 모듈마다 입체적으로 발광하게 된다.
또한,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 내에는, 싱글 사이즈의 메인 프린트 기판(41)과, 싱글 사이즈의 서브 프린트 기판(42)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 프린트 기판(41)과 서브 프린트 기판(42)은, 4개의 리드선(4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리드선(43)은, 후술하는 VCC선(72)의 일부, 후술하는 그라운드선(71)의 일부, 후술하는 시리얼 통신선(73)의 일부, 후술하는 리턴선(74)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메인 프린트 기판(41)의 상면에는, LED 소자(51), 도트 제어 IC(Integrated Circuit; 52) 등이 실장되고, 하면에는, 4개의 숫커넥터(53)가 실장된다. 메인 프 린트 기판(41)은, 싱글 보디(31)의 하측에 설치된다. 또, 도트 제어 IC(52)는, LED 소자(51)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유닛, 도트 제어유닛)이다. 즉, 메인 프린트 기판(41)은, 발광소자(51), 및 발광소자(5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유닛(도트 제어 IC; 52)을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이며, 투광성의 하우징(30)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볼록 스커트(32)가 설치된 하우징(30)의 상방에는 서브 프린트 기판(42)을 통해 암커넥터(54)가 배치되고, 오목 스커트(33)가 설치된 하우징(30)의 하방에는 숫커넥터(53)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숫커넥터(53) 및 암커넥터(54)는 도트 제어 IC(52)의 전기적 인터페이스(79a 및 79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숫커넥터(53) 및 암커넥터(54)는 전기적 접속유닛이다.
상기 조립 블록(20)에 있어서는, 기계적 연결유닛인 볼록 스커트(32)가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으며, 그 속에 암커넥터(54)가 나타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유닛인 오목 스커트(33)도, 볼록 스커트(32)가 들어가도록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숫커넥터(53)가 나타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조립 블록(20)이 다른 조립 블록(20)과,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접속)되면, 숫커넥터(53) 및 암커넥터(54)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된다. 즉, 전기적 접속유닛인 숫커넥터(53) 및 암커넥터(54)는, 기계적 연결유닛인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가 연결되면, 자동적으로(자율적으로) 전기적으로도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타입의 조립 블록(20)에서도 동일하다.
도 5는,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에서의 4개의 숫커넥터(53)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제로는 싱글 블록(21)의 저면도이다. 4개의 숫커넥터(53)는, 네모난 프레임형상의 싱글 보디(31)의 각 측면을 따라, 싱글 보디(31)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대칭이 되는 위치관계로 설치된다.
서브 프린트 기판(42)의 상면에는 2개의 암커넥터(54)가 실장된다. 서브 프린트 기판(42)은 싱글 보디(31)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6은,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에서의, 2개의 암커넥터(54)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제로는 싱글 블록(21)의 상면도이다. 2개의 암커넥터(54)는, 네모난 프레임형상의 싱글 보디(31)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따라, 싱글 보디(31)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대칭이 되는 위치관계로 설치된다.
이러한 단위 입체형상의 하우징(30)을 구비한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에 대하여, 도 2의 (B) 및 (C)에 예시하는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은, 2개의 싱글 보디(31)를 일체화시킨 공통의 더블 보디(55)의 하우징(30)을 가진다. 즉,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의 더블 보디(55)는, 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프레임형상을 가지고,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및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을 가진다. 또한, 2개의 입방체의 사이에는 싱글 보디(31)의 측부에 비해, 그 두배의 두께를 가지는 내부벽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벽부(56)가 2개의 입방체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한 쪽의 입방체(도트 모듈)에서의 LED 소자(51)의 발광 광이, 다른 쪽의 입방체(도트 모듈) 내로 잘 투과되지 않는다. 즉, 입방체(도트 모듈)들은, 더블 보디(55)의 내부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분리된다. 이 때문에, 일체화된 2개의 입방체(도트 모듈)간에서의 혼색이 잘 생기지 않아, 각 입방체(도트 모듈)는, 각각의 제어색에 의해, 각각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어둡게 빛나게 하는 입방체(도트 모듈)가, 일체화된 다른 입방체(도트 모듈)의 광에 의해 밝아져 버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을 구비한 하우징(30)을 가지는 조립 블록(20)에서도 동일하다.
도 2의 (B)의 표준 블록(22)의 하우징(30)은, 상기 더블 보디(55)와, 볼록 스커트(32)와, 오목 스커트(33)와, 2개의 캡(57)을 포함한다. 캡(57)은, 더블 보디(55)의 관통구멍을 밀폐하며, 하우징(30) 내로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B)의 표준 블록(22)에 있어서,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더블 보디(55)의 하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2개의 캡(57)은, 더블 보디(55)의 상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즉, 하우징(30)이, 복수의 단위 입체형상을 서로 연결시킨 외형형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인 볼록 스커트(32) 및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인 오목 스커트(33)는, 상하에 다르게 배치하는 동시에, 및/또는 그 대신, 서로 다른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의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좌우방향, 전후방향)에도, 다른 조립 블록(20)을 연결할 수 있다. 또, 2개의 캡(57)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표준 블록(22)의 하우징(30) 내에는, 더블 사이즈의 메인 프린트 기판(58)이 설치된다. 표준 블록(22)용 메인 프린트 기판(58)은, 더블 보디(55)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표준 블록(22)용 메인 프린트 기판(58)의 표면에는, 도트 모듈(입방체)마다, LED 소자(51) 및 도트 제어 IC(52)가 실장되며, 메인 프린트 기 판(58)을 베이스로 하여 발광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준 블록(22)용 메인 프린트 기판(58)의 이면에는, 4개의 숫커넥터(53) 및 2개의 암커넥터(54)가 설치된다. 4개의 숫커넥터(53)는, 오목 스커트(33) 내에 설치되고, 2개의 암커넥터(54)는, 볼록 스커트(32) 내에 설치된다.
즉, 표준 조립 블록(22)의 하우징(30)은, 한 쪽의 도트 모듈(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및 다른 쪽의 도트 모듈(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조립 블록(22)의 발광 시스템인 메인 프린트 기판(58)은 더블 사이즈가 되고, 한 쪽의 도트 모듈에 배치된 한 쪽의 발광소자(제 1 발광소자; 51) 및 다른 쪽의 도트 모듈에 배치된 다른 쪽의 발광소자(제 2 발광소자; 51)와, 제 1 발광소자(51)의 제 1 제어유닛(도트 제어 IC; 52) 및 제 2 발광소자(51)의 제 2 제어유닛(도트 제어 IC; 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도트 제어 IC(52)는 메인 프린트 기판(58) 상에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도트의 조립 블록(22)에 있어서는, 제 2 제어유닛(52)의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메인 프린트 기판(58) 상에서의 제 1 제어유닛(52)과의 접속이며, 제 1 제어유닛(52)을 통해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기계적 연결유닛)인 볼록 스커트(32) 또는 오목 스커트(33)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어유닛(52)의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도 메인 프린트 기판(58) 상에서의 제 2 제어유닛(52)과의 접속이며, 제 2 제어유닛(52)을 통해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기계적 연결유닛)인 오목 스커트(33) 또는 볼록 스커트(32)에 관련되어 있다.
도 2의 (C)의 사상 블록(23)의 하우징(30)은, 더블 보디(55)와, 볼록 스커 트(32)와, 오목 스커트(33)와, 2개의 캡(57)을 포함한다. 볼록 스커트(32) 및 1개의 캡(57)은, 더블 보디(55)의 상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오목 스커트(33)와 나머지의 캡(57)은, 더블 보디(55)의 하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볼록 스커트(32)와 오목 스커트(33)는 각각의 관통구멍과 겹쳐서 설치된다. 따라서, 사상 블록(23)에 있어서, 볼록 스커트(32)는 오목 스커트(33)의 비스듬히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사상 블록(23)의 하우징(30) 내에는, 더블 사이즈의 메인 프린트 기판(58)과, 2개의 암커넥터(54)가 실장된 싱글 사이즈의 서브 프린트 기판(42)이 설치된다. 사상 블록(23)용 메인 프린트 기판(58)은, 더블 보디(55)의 하측에 설치된다. 서브 프린트 기판(42)은, 더블 보디(55)의 상측에 있어서, 볼록 스커트(32) 내에 설치된다.
사상 블록(23)용 메인 프린트 기판(58)의 표면에는, 도트 모듈마다, LED 소자(51) 및 도트 제어 IC(52)가 실장된다. 또한, 사상 블록(23)용 메인 프린트 기판(58)의 이면에는, 4개의 숫커넥터(53)가 설치된다. 4개의 숫커넥터(53)는, 오목 스커트(33) 내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복수 종류의 조립 블록(20)은, 이러한 구성을 가진다. 각 조립 블록(20)의 볼록 스커트(32)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오목 스커트(33)와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조립 블록(20)은, 어느 종류의 조립 블록(20)과도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볼록 스커트(32)와 오목 스커트(33)는, 입방체형상에 근거하여 4방향의 자유도에 의해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종류의 조립 블록(20)을 자유롭게 조합시켜,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2개의 표준 블록(22)의 연결방향의 자유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2개의 표준 블록(22)의 연결방향에는 3방향의 자유도가 있다. 도 7의 (A)는, 2개의 표준 블록(22)을, 서로의 길이방향이 90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연결상태에 있어서, 도면 하측에 나타낸 표준 블록(22)의 2개의 암커넥터(54)는, 도면 상측의 표준 블록(22)에 있어서, 그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정렬되는 2개의 숫커넥터(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 상측의 표준 블록(22)은, 도면 하측의 표준 블록(22)을 기준으로 하여 90도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7의 (B)는, 2개의 표준 블록(22)을, 서로의 길이방향이 일직선 형상이 되는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연결상태에 있어서, 도면 하측에 나타낸 표준 블록(22)의 2개의 암커넥터(54)는, 도면 상측의 표준 블록(22)에 있어서 길이가 긴 방향으로 정렬되는 2개의 숫커넥터(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 상측의 표준 블록(22)은, 도면 하측의 표준 블록(22)을 기준으로 하여 180도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7의 (C)는, 2개의 표준 블록(22)을, 서로의 길이방향이 도 7의 (A)와는 반대인 90도가 되는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연결상태에 있어서, 도면 하측에 나타낸 표준 블록(22)의 2개의 암커넥터(54)는, 도면 상측의 표준 블록(22)에 있어서 길이가 짧은 방향으로 정렬하는 2개의 숫커넥터(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 상측의 표준 블록(22)은, 도면 하측의 표준 블록(22)을 기 준으로 하여 270도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예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복수 종류의 조립 블록(20)은, 숫커넥터(53)와 암커넥터(54)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얻으면서, 기본적으로 4방향의 자유도에 의해 다른 조립 블록(20)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직선 및 90도 방향의 적어도 2방향의 자유도가 있으면, 조립 블록(20)에 의해 입체적인 표시유닛(2)을 조립할 수 있다. 이들 도 7의 (A)∼(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립 블록(20)에 있어서는, 기계적 연결유닛인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는, 인접(이 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의 일부와, 상기 조립 블록(20)의 하우징(30)의 일부가 오버랩된 상태로 하우징(30)들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각각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유닛인 숫커넥터(53) 및 암커넥터(54)도, 상기 조립 블록(20)에 오버랩되어 접속된 인접하는 다른 조립 블록(20)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각각의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조립 블록(20)을 조합시킴으로써,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모난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발광체; 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2)에 있어서, 모든 도트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2)을 분해하고, 그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2)으로 사용하고 있던 복수의 조립 블록(20)을 이용하여, 다른 입체형상의 표시유닛(2)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립 블록(20)을 서로 끼움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원하는 입체형상의 표시유닛(2)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립 블록(20)을 나사 고정할 필요가 없다. 표시유닛(2)의 조립 작업 및 분해 작업은 간단하다.
도 8은, 플랫 패널 형상의 표시유닛(2)을 가지는 표시 시스템(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유닛(2)에서의 복수의 조립 블록(20; 도트 모듈)의 전기적인 접속을, 하우징(30)을 생략하고, 발광 시스템인 메인 프린트 기판(58)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낸 내부 접속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랫 패널의 표시유닛(2)은, 1개의 싱글 입력 블록(24)과, 2개의 싱글 블록(21)과, 1개의 싱글 종단 블록(25)과, 8개의 표준 블록(22)을 조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8의 플랫 패널 형상의 표시유닛(2)은, 도 1의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2)에서 사용하고 있던 조립 블록(20)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싱글 입력 블록(24)은, 도면의 우측단의 최하단에서 이용되고, 2개의 싱글 블록(21)은, 도면의 좌측단으로부터 2단째 및 3단째에서 이용되며, 싱글 종단 블록(25)은, 도면의 우측단의 최상단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하단의 2개의 표준 블록(22)과 아래에서부터 3단째인 2개의 표준 블록(22)은, 오목 스커트(33) 및 볼록 스커트(32)가 상측이 되는 방향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상단의 조립 블록(20)과 연결된다. 이러한 2단의 적층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조립 구조에 의해, 복수의 조립 블록(20)은, 플랫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형상에 있어서 모든 도트 모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2)에서의 복수의 조립 블 록(20; 도트 모듈)의 전기적인 접속을, 하우징(30)을 생략하고, 메인 프린트 기판(58)을 중심으로 나타낸 내부 접속도이다. 도 1의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2)은, 13개의 표준 블록(22)과, 1개의 사상 블록(23; 아래에서부터 3단째)과, 1개의 표준입력 블록(최하단)과, 1개의 표준 종단 블록(최상단)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타워 형상을 구성하는 경우, 예컨대 4개의 표준 블록(22)을 사각프레임 형 상으로 정렬하여 각 단을 구성한다. 또한, 아래에서 카운트하여 기수단의 표준 블록(22)은, 오목 스커트(33) 및 볼록 스커트(32)가 상측이 되는 방향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상단의 조립 블록(20)과 연결된다. 이러한 적층을 기본으로 하는 조립 구조에 의해, 복수의 조립 블록(20)은, 타워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그 형상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1은, 도 2의 (B)의 표준 블록(22)에 탑재되는 메인 프린트 기판(발광 시스템; 58)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배선도이다. 2개의 도트 모듈로서 기능하는 표준 블록(22)의 프린트 기판(58)의 표면측에는, 2개의 LED 소자(51)와, 2개의 도트 제어 IC(52)와, 2개의 3단자 레귤레이터(59)와, 2개의 DIP 스위치(60)가 탑재되어 있다. 각 도트 제어 IC(52)는, 데이터 입력단자(79a)와, 데이터 출력단자(79b)와, LED 소자(51)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자(78)와, DIP 스위치(60)와의 접속단자(77)와, 방향검출단자(7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준 블록(22)의 메인 프린트 기판(58)의 이면측에는, 하나의 타입의 전기적 접속유닛인 복수의 숫커넥터(53)가 배치된 입력 커넥터(제 1 접속부; 61)와, 다른 타입의 전기적 접속유닛인 복수의 암커넥터(54)가 배치된 출력 커넥터(제 2 접속부; 62)가 설치되어 있 다.
복수의 숫커넥터(53)가 배치된 입력 커넥터(61)와, 복수의 암커넥터(54)가 배치된 출력 커넥터(62)는, 기계적 인터페이스(기계적 연결유닛)인 오목 스커트(33) 및 볼록 스커트(32)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나타나도록 조립된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 블록(22)에 있어서는, 프린트 기판(58)에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가 설치되고, 하우징(30)의 상하 어느 한 쪽의 오목 스커트(33) 및 볼록 스커트(32)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나타나도록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상 블록(23)에 있어서는,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의 한 쪽이 메인 프린트 기판(58)에 설치되고, 다른 쪽이 서브 프린트 기판(42)에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 프린트 기판(58) 및 서브 프린트 기판(42)은,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가 하우징(30)의 상하로 분리되어 오목 스커트(33) 및 볼록 스커트(32)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나타나도록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도 11의 우측에 나타낸 도트 제어 IC(제 1 제어유닛; 52)의 데이터 입력단자(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79a)는 프린트 기판(58)의 통신회로(시리얼 통신선; 73)에 의해 입력 커넥터(61)에 접속되어 있다. 도 11의 좌측에 나타낸 도트 제어 IC(제 2 제어유닛; 52)의 데이터 출력단자(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79b)는 프린트 기판(58)의 통신회로(시리얼 통신선; 73)에 의해 출력 커넥터(6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우측에 나타낸 도트 제어 IC(제 1 제어유닛; 52)의 데이터 출력단자(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79b)와 좌측에 나타낸 도트 제어 IC(제 2 제어유닛; 52)의 데이터 입력단자(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79a)는 프린트 기판(58)의 통신회로(시리얼 통신선; 7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1개의 LED 소자(51)에 대하여, 제어요소로서, 1개의 도트 제어 IC(52)와, 1개의 3단자 레귤레이터(59)와, 1개의 DIP 스위치(60)가 프린트 기판(58)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트 제어 IC(52)는,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인 오목 스커트(33)에 관련된 데이터 입력단자(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79a)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인 볼록 스커트(32)에 관련된 데이터 출력단자(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79b)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LED 소자(51)는, 서로 각각의 제어(예컨대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해 발광가능한 적색발광체, 녹색발광체 및 청색발광체를 가지고, 풀 컬러에서의 발광이 가능한 것이다. 또, LED 소자(51)는, 예컨대 적색이나 청색 등의 단일색으로 발광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입력 커넥터(61)는, 4개의 숫커넥터(53)로 이루어지고, 접속되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출력 커넥터(6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숫커넥터(53)는, 10개의 접속단자로서의 핀(63)을 갖는다. 출력 커넥터(62)는, 2개의 암커넥터(54)로 이루어지고, 접속되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입력 커넥터(61)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통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암커넥터(54)는, 10개의 접속단자로서의 핀 삽입 구멍(64)을 가진다. 각 암커넥터(54)는, 각 숫커넥터(53)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또, 이들의 숫커넥터(53) 및 암커넥터(54)에 있어서, 10개의 핀(63) 혹은 10 개의 핀 삽입 구멍(64)은, 5개씩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커넥터 내의 복수의 핀(63) 혹은 복수의 핀 삽입 구멍(64)을 서로 구별하는 경우에는, 도 11에서 각 커넥터의 주위에 기재하는 1∼10의 번호(실제로 도면에는 「1」, 「5」, 「6」및 「10」만을 도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입력 커넥터(61)의 4개의 숫커넥터(53)나, 출력 커넥터(62)의 2개의 암커넥터(54)를 서로 구별할 경우, 도 11에 나타낸 자세에서의 상하 좌우를 이용하여 구별한다. 즉, 입력 커넥터(61)는, 상측 숫커넥터(53), 하측 숫커넥터(53), 좌측 숫커넥터(53) 및 우측 숫커넥터(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출력 커넥터(62)는, 좌측 암커넥터(54) 및 우측 암커넥터(54)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준 블록(22) 내의 2개의 도트 제어 IC(52), 2개의 LED 소자(51), 2개의 3단자 레귤레이터(59), 2개의 DIP 스위치(60) 등을 서로 구별할 경우, 도 11에 있어서 입력 커넥터(61)측의 것에 대하여, 「입력측의」 또는 「제 1의」의 문자를 부여하고, 도 11에 있어서 출력 커넥터(62)측의 것에 대하여, 「출력측의」 또는 「제 2의」의 문자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입력 커넥터(61)에 배치된 4개의 숫커넥터(53)는 각각 10개의 핀(63; P1∼P10)을 구비하고 있다. 출력 커넥터(62)에 배치된 2개의 암커넥터(54)는 10개의 핀 삽입 구멍(64; R1∼R10)을 구비하고 있으며, 핀(P1∼P10)은, 구멍(R1∼R10)에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제로는, 1개의 조립 블록(20)의 입력 커넥터(61)의 4개의 숫커넥터(53) 중 2개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출력 커넥터(62)의 2개의 암커넥터(54)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그 1개의 조 립 블록(20)의 출력 커넥터(62)의 2개의 암커넥터(54)에는, 또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20)의 입력 커넥터(61)의 4개의 숫커넥터(53)가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간단히 하기 위해, 도 11에 나타낸 1개의 조립 블록(표준 블록; 22)의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가 접속된 것으로 하여, 각 핀(P1∼P10)과, 각 구멍(R1∼R10)의 접속을 설명한다.
전기적 접속유닛인 숫커넥터(53)의 핀(단자군; P1∼P10)과, 암커넥터(54)의 구멍(단자군; R1∼R10)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된다. 제 1 단자군(G1)은, 핀(P1, P3∼P8, P10), 여기에 대응한 구멍(R1, R3∼R8, R1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군(G1)은, 4방향의 접속의 자유도를 갖는 기계적 연결유닛(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에 의한 연결방향, 즉, 하우징(30)들의 연결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바뀌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 2 단자군(G2)은, 핀(P2 및 P9), 여기에 대응한 구멍(R2 및 R9)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군(G2)은, 4방향의 접속의 자유도를 갖는 기계적 연결유닛(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에 의한 연결방향, 즉, 하우징(30)들의 연결방향에 의해 접속관계가 바뀌고, 4방향의 연결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 1 단자군(G1)은, 전원선으로서의 VCC선(72)에 접속되는 단자군(G1v)과, 그라운드선(71)에 접속되는 단자군(G1e)과, 신호선에 접속되는 단자군(G1s)을 포함한다. 단자군(G1v)은, 숫커넥터(53)의 핀(P4, P5 및 P10)과, 이들이 삽입되는 암커넥터(54)의 구멍(R4, R5 및 R10)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핀 및 구멍은 VCC선(72)에 접속되어 있고, 2개의 3단자 레귤레이터(59)에 접속된다. 각 3단자 레귤 레이터(59)가 생성하는 직류 전압은, 좌우의 각 세트의 도트 제어 IC(52) 및 LED 소자(51)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표준 블록(22) 내의 각 소자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전력은,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를 통해, 1개의 조립 블록(20)으로부터 다른 조립 블록(20)으로 공급된다. 또, 각 도트 모듈에 있어서, 각각의 LED 소자(51)의 적색제어단자, 녹색제어단자 및 청색제어단자는 신호출력단자(78)를 통해 각각의 도트 제어 IC(52)에 접속된다.
단자군(G1e)은, 숫커넥터(53)의 핀(P1, P6 및 P7)과, 이들이 삽입되는 암커넥터(54)의 구멍(R1, R6 및 R7)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핀 및 구멍은 그라운드선(71)에 접속되어 있고, 단자군(G1v)이 고전위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반해, 저전위 또는 접지 전위의 조건을 공급한다.
단자군(G1s)은, 숫커넥터(53)의 핀(P3 및 P8)과, 이들이 삽입되는 암커넥터(54)의 구멍(R3 및 R8)에 의해 구성된다. 단자군(G1s)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군이며, 노이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4개의 숫커넥터(53) 중, 하측 숫커넥터와 좌측 숫커넥터에 한해 신호선과 접속되고, 암커넥터(54)의 한 쪽으로만 전기적 접속이 성립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군(G1s)의 핀 및 구멍 중, 핀(P8)및 구멍(R8)은, 조립 블록(20)간의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선(신호선의 일종; 7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숫커넥터(53)의 핀(P8)은 통신선(73)에 의해 제 1 도트 제어 IC(52)의 입력단자(79a)에 접속되어 있다. 암커넥터(54)의 구멍(R8)은 통신선(73)에 의해 제 2 도트 제어 IC(52)의 출력단자(79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도트 제어 IC(52)의 출력단자(79b)는 제 2 도트 제어 IC(52)의 입력단자(79a)와 통신선(7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에 의해, 표준 블록(22) 내의 각 도트 제어 IC(52)는, 입력 커넥터(61)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통신 데이터를 출력 커넥터(62)로부터 송신한다. 즉,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는, 입력 커넥터(61)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통신 데이터를 출력측의 도트 제어 IC(52)로 송신한다. 또한, 출력측의 도트 제어 IC(52)는, 수신한 통신 데이터를, 출력 커넥터(62)에 접속되는 다른 조립 블록(20)의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로 송신한다.
단자군(G1s)의 핀(P3) 및 구멍(R3)은, 리턴선(신호선의 일종; 74)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있다. 리턴선(74)은, 연결되는 복수의 도트 제어 IC(52) 중 최후의 것과, 컴퓨터 단말(3)을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제 2 단자군(G2)은, 전기적 접속유닛의 한 쪽의 제 2 단자군이 다른 전위를 부여하는 복수의 기준단자를 포함하고, 전기적 접속유닛의 다른 쪽의 제 2 단자군이 연결방향에 의해 복수의 기준단자와의 접속이 바뀌는 복수의 식별단자를 포함하는 타입이다. 이 때문에, 숫커넥터(53)의 제 2 단자군(G2)의 핀(P2 및 P9)은 도트 제어 IC(52)의 방향검출단자(7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숫커넥터(53)의 핀(P9)이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의 방향검출단자(76)의 비트 0의 단자에 접속된다. 상측 및 우측의 숫커넥터(53)의 핀(P2)이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의 방향검출단자(76)의 비트 1의 단자에 접속된다. 한편, 암커넥터(54)의 제 2 단자군(G2)의 구멍(R2 및 R9)에서는, 우측 암커넥터(54)의 구멍(R2 및 R9)이 풀업(pull-up)저항소자(69)를 통해 VCC선(7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좌측 암커넥터(54)의 구멍(R2 및 R9)은 그라운드선(71)에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되는 숫커넥터(53)와, 암커넥터(54)에 의해 방향검출단자(76)에 나타나는 데이터가 상이하여, 제어 IC(52)는 연결방향을 해석할 수 있다.
도 12는, 조립 블록(20)의 다른 조립 블록(20)에 대한 연결방향과, 2개의 방향검출단자(비트 0 및 비트 1)에 근거하여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에 의해 얻어지는 2자리(桁)의 방향검출 비트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2자리의 방향검출 비트는, 2개의 방향검출단자(비트 1 및 비트 0)의 레벨에 대응하여, 핀(P2 및/또는 P9)이 구멍(R2 및/또는 R9)에 의해 그라운드측에 접속되면 각 비트는 「0」이 되고, VCC측에 접속되면 각 비트는 「1」이 된다. 또, 상기 도 12의 표는, 컴퓨터 단말(3)의 도시하지 않은 내장 메모리에 기억되고, 후술하는 프로파일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조립 블록(20)의 상류측의 조립 블록(20)에 대한 접속방향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2의 표의 각 연결각도(연결방향)는, 도 7의 (A)∼(C)에 대응한다.
도 11에 나타낸 DIP 스위치(60)는, 4 비트분의 스위치를 가지고, 각 스위치에 설정된 값을 각 도트 제어 IC(52)로 출력한다. 도 13은, 도트 제어 IC(52)와 DIP 스위치(60)의 4비트의 설정값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근거하여, 예컨대, 표준 블록(22)의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에 대응하는 DIP 스위치(60)에는, 「0000」이 설정되고, 출력측의 도트 제어 IC(52)에 대응하는 DIP 스위치(60)에는, 「1111」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DIP 스위치(60)에는, 조립 블 록(20)의 종류나, 조립 블록(20) 내에서의 각 도트 제어 IC(52)의 순번(입력에서부터 출력으로 카운트 한 순번)에 따라 다른 값이 설정된다. 또, DIP 스위치(60) 대신에 리드선(43) 등을 이용하여, 도트 제어 IC(52)의 DIP 스위치(60)가 접속되는 단자를, VCC선(72)이나 그라운드선(71)에 고정적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11의 표준 블록(22) 이외의 조립 블록(20)도, 도트 모듈마다의 회로로서, LED 소자(51), 도트 제어 IC(52), 3단자 레귤레이터(59) 및 DIP 스위치(60)를 가진다. 또한, 각 조립 블록(20)은,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를 가진다. 또한,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의 구조 및 결선도, 도 11의 표준 블록(22)의 것과 동일하다. 즉, 각 조립 블록(20)은, 상술한 블록간의 전력공급기능과, 상술한 블록간의 통신 데이터의 전송기능과, 상술한 상류측의 블록에 대한 연결각도의 검출기능과, 상술한 DIP 스위치(60)에 의한 도트 제어 IC(52)로의 설정기능을 구비한다.
도 14는, 도 11의 각 도트 제어 IC(52)에 있어서 실현되는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트 제어 IC(52)는 LED 소자(5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유닛으로서 동작한다. 전형적인 제어 IC(52)의 하나의 타입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메모리를 가지고, CPU가 메모리에 기억되는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전형적인 제어 IC(52)의 다른 타입은, 각 기능을 실현하는 전용회로를 가지는 것이며, CPU와 전용회로와의 조합으로 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포함된다. 상기 도트 제어 IC(52)는, 수신부(81), 래치 처리부(82), 3개의 PWM 신호생성부(83), 3개의 논리합 연산부(84), 프로파일 생성부(85), 송신부(86)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트 제어 IC(52)의 메모리는,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 적색휘도 데이터 레지스터(88), 적색휘도 데이터 수신 버퍼(89), 녹색휘도 데이터 레지스터(90), 녹색휘도 데이터 수신 버퍼(91), 청색휘도 데이터 레지스터(92), 청색휘도 데이터 수신 버퍼(93), 커맨드 수신 버퍼(94), 프로파일 레지스터(95) 등의 저장영역을 포함한다.
수신수단으로서의 수신부(81)는, 도트 제어 IC(52)의 시리얼 입력단자(79a)에 입력되는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것을 각종 레지스터 및 버퍼(87, 89, 91, 93, 94)에 보존한다. 수신부(81)가 수신하는 통신 데이터는, 소정 비트수(예컨대 8비트)의 통신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 데이터에는, 도트 제어 IC(52)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코드나, 휘도 데이터나 프로파일 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있다.
도 15에, 연결된 복수의 도트 제어 IC(52) 및 컴퓨터 단말(3)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커맨드 코드 및 부수되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커맨드 코드와 부수되는 데이터는 각각의 송신 데이터로서 송수신된다. 커맨드 코드는, 위에서 순번대로, 각 도트 제어 IC(52)에 의해 각각의 LED 소자(51)를 소등시키는 커맨드 코드(80H: H는 16진수를 나타냄. 이하 동일), LED 소자(51)를 점등시키는 커맨드 코드(81H; 제 3 커맨드), LED 소자(51)의 표시색을 지정하는 데이터 전송용 커맨드 코드(83H; 제 1 커맨드), 새롭게 전송한 표시색 지정 데이터에 의한 점등색 제어를 개시시키는 래치 커맨드 코드(84H; 제 2 커맨드),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 제 4 커맨드), 도트 제어 IC(52)를 초기화하는 커맨드 코드(FFH) 등이다.
데이터 전송용 커맨드 코드(83H)는, LED 소자(5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세트(D1)의 전송을 지시하는 제 1 커맨드이다. 제 1 데이터 세트(D1)는, 적색휘도 데이터(R 데이터), 녹색휘도 데이터(G 데이터) 및 청색휘도 데이터(B 데이터)를 포함한다. 각 색의 휘도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는 0이며, 나머지 7비트에 의해 휘도값이 지정된다. 또한,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는 제 4 커맨드이며, 그 커맨드에는, 접속되어 있는 도트 제어 IC(52)의 개수를 카운트 하기 위한 개수 데이터나 프로파일 데이터가 부수된다.
수신부(81)는, 커맨드 코드를 수신하면,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보존한다. 수신부(81)는, 소정 색의 휘도 데이터 세트(제 1 데이터 세트; D1)를 수신하면, 이것에 대응하는 색의 휘도 데이터 수신 버퍼(89, 91, 93)로 이루어진 데이터 버퍼(121)에 보존하고, 저장이 완료된 데이터 세트(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 DS1)로 한다. 수신부(81)는, LED 소자(51)를 점등시키는 커맨드 코드(81H; 제 3 커맨드)를 수신하면,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에 「1」을 기입한다. 수신부(81)는, LED 소자(51)를 소등시키는 커맨드 코드(80H)를 수신하면,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에 「0」을 기입한다.
래치 처리부(82)는,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래치 커맨드 코드(84H; 제 2 커맨드)가 기입되면, 각 색의 휘도 데이터 수신 버퍼(89, 91, 9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되어 있는 휘도 데이터(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 DS1)를, 각 색의 휘도 데이터 레지스터(88, 90, 92)를 포함하는 데이터 레지스터(122)에 다음의 데이터 세트(DN1)로서 기입한다.
도트 제어 IC(52)의 발광을 제어하는 기능(수단; 115)은, PWM 신호생성부(83) 및 논리합 연산부(84)를 포함한다. 각 PWM 신호생성부(83)는, 각각이 대응하는 색의 휘도 데이터 레지스터(88, 90, 92; 데이터 레지스터(122))에 기입되어 있는 휘도 데이터(다음의 데이터 세트(DN1))를 판독하고, 그 값에 따른 PWM 신호를 생성한다. 각 논리합 연산부(84)는, 대응하는 각 PWM 신호생성부(83)가 생성한 PWM 신호와,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의 값과의 논리합을 연산한다. 각 논리합 연산부(84)는,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의 값이 「1」일 때, PWM 신호를 출력하고,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의 값이 「0」일 때, PWM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부(81)가 LED 소자(51)를 점등시키는 커맨드 코드(81H; 제 3 커맨드)를 수신하면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에 「1」이 세팅되고, 다음의 데이터 세트(DN1)에 근거하여 생성된 PWM 신호가 LED 소자(51)로 각 색의 발광 제어 신호로서 공급된다.
그 결과, LED 소자(51)의 적색발광체, 녹색발광체 및 청색발광체는, 각각에 공급되는 PWM 신호에 따른 광량을 출력한다. LED 소자(51)는, 적색휘도 데이터 레지스터(88), 녹색휘도 데이터 레지스터(90) 및 청색휘도 데이터 레지스터(92)에 기입된 휘도 데이터 값의 조합에 따른 색의 광을 발광한다. LED 소자(51)의 발광색에 의해, 도트 모듈(입방체)이 전면적으로 발광한다.
프로파일 생성부(85)는,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 제 4 커맨드)가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기입되면, 자신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로파일 생성부(85)는, 방향검출단자(76)의 입력과 DIP 스위치(60)에 의한 설정값을 판독하 고, 이들에 근거하는 값을 가지는 자신의 프로파일 데이터(제 2 데이터 세트; D2)를 생성한다. 또한, 프로파일 생성부(85)는, 생성한 자신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프로파일 레지스터(95)에 보존한다.
도 16은, 프로파일 생성부(85)가 생성하는 프로파일 데이터(D2)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파일 데이터(D2)는, 8비트의 통신 데이터이며, 최상위 비트는, 「0」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도 15의 각종 커맨드의 최상위 비트는, 모두 「1」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표시 시스템(1)에서는, 통신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선두 비트)가 「0」인지 「1」인지에 따라, 커맨드와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프로파일 데이터(D2)의 제 6 비트로부터 제 3 비트까지는, 도 13의 DIP 스위치(60)에 의해 설정된 값(상기 조립 블록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형상 설정 비트)이 적용된다. 또한, 데이터(D2)의 제 1 비트 및 제 0 비트에는, 각 도트 제어 IC(52)의 2개의 방향검출단자의 레벨에 따른 값(비트 1 및 비트 0: 다른 조립 블록과의 연결방향을 나타내는 방향검출 비트)이 적용된다.
송신수단으로서의 송신부(86)는, 도트 제어 IC(52)의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새로운 통신 데이터가 기입되면, 이것을 판독하고, 도트 제어 IC(52)의 시리얼 출력단자로부터 송신한다. 예컨대, 송신부(86)는,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커맨드 코드 등이 보존되면, 이것을 판독하여 시리얼 출력단자로부터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도트 제어 IC(52)는, 수신부(81), 커맨드 수신 버퍼(94) 및 송신부(86)를 포함하는 제 1 기능(제 1 기능 유닛; 111)을 가진다. 상기 제 1 기 능(111)은, 입력단자(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79a)를 통해, LED 소자(5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세트(D1) 및 제 1 데이터 세트(D1)의 전송을 지시하는 제 1 커맨드(83H)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데이터 세트(D1)를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한다. 제 1 기능(111)은, 또한, 버퍼(121)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DS1)를 제 1 커맨드(83H)와 함께 출력단자(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79b)로부터 출력한다.
도트 제어 IC(52)는, 수신부(81), 커맨드 수신 버퍼(94), 래치 처리부(82) 및 송신부(86)를 포함하는 제 2 기능(제 2 기능 유닛; 112)을 더 가진다. 상기 제 2 기능(112)은, 입력단자(79a)를 통해, 래치를 지시하는 제 2 커맨드(84H)를 수신하면, 버퍼(121)에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DS1)를 도트 제어 IC(52)가 LED 소자(51)를 제어하기 위한 다음의 데이터 세트(DN1)로서 데이터 레지스터(122)에 설정한다. 제 2 기능(112)은, 이와 함께, 제 2 커맨드(84H)를 출력단자(79b)를 통해 출력한다.
제 1 기능(111)은, 입력단자(79a)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세트(D1)를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출력단자(79b)에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이 완료된 데이터 세트(DS1)를 보내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도트 제어 IC(52)가 시리얼 통신선(73),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에 의해 전기적으로 시리얼하게 접속된 시스템에서는, 전송중인 데이터 세트(D1)는 반드시 일단 자신(도트 제어 IC(52))이 관리하는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된다. 또한, 먼저, 수신한 커맨드, 예컨대, 전송 커맨드(83H)를 출력단자(79b)로부터 송신한 후에, 저 장이 완료된 데이터 세트(DS1)를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단자(79a)를 통해 수신한 커맨드(83H)를, 저장이 완료된 데이터 세트(DS1)를 추월하여, 출력단자(79b)로부터 옆의 도트 제어 IC(52)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기능(111)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단순한 FIFO 혹은 시리얼 전송이 아니며, 전송중인 데이터 세트(D1)를 추월하거나, 혹은 전송중인 데이터 세트(D1)를 출력하지 않고, 전송중인 데이터 세트(D1)에 저지되지 않아, 출력단자(79b)로부터 원하는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기능(112)은, 래치를 지시하는 제 2 커맨드(84H)를, 데이터 세트(D1)와 같은 입력단자(79a) 및 출력단자(79b)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 즉, 같은(공통의) 신호선(73),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능(112)은, 제 2 커맨드(84H)를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데이터 세트(D1)를 추월하며, 선행하는 데이터 세트(D1)에 저지되지 않고(방해받지 않고), 또한, 데이터 버퍼(121)에 유지한 상태로 옆의 도트 제어 IC(5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도트 제어 IC(52)가 시리얼 접속된 시스템에 대하여, 래치를 지시하는 제 2 커맨드(84H)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도트 제어 IC(52)에 원하는 데이터 세트(D1)를 다음의 발광 제어용 데이터 세트(DN1)로서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도트 제어 IC(52)에, 네트워크 어드레스 등의 각각의 도트 제어 IC(52)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부여하지 않아도(기록시키지 않아도), 원하는 발광용 데이터 세트(D1)를 보내어 래치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시리얼 접속된 복수의 도트 제어 IC(52)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어드레스 설정을 하지 않아도, 원하는 제 1 데이터 세트(D1)를 설정할 수 있고, 각각에 도트 제어 IC(52)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드레스 설정을 하지 않고, 원하는 LED 소자(51)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어드레스 설정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데이터 세트(D1) 및 그 밖의 커맨드를 원하는 도트 제어 IC(52)에 세팅하기 위해 어드레스의 설정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그 밖의 목적으로 도트 제어 IC(52)에 어드레스 설정을 해도 된다.
도 17에, 제 1 기능(제 1 기능 유닛; 111)에 의해 전송 커맨드(83H) 및 제 1 데이터 세트(D1)를 전송하고, 제 2 기능(제 2 기능 유닛; 112)에 의해 데이터 세트(D1)를 래치하는 모양을 타이밍차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 예는, 이후에 설명하는 12개의 도트 제어 IC(52; 이후에서는, 제어유닛(M1∼M12))가 시리얼 접속된 시스템으로서, 제어유닛(M1)으로부터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가 순번대로 공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 도면은, 상기 시스템의 7번째의 제어유닛(M7)에서의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의 수신(입력)과 송신(출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시스템의 종합적인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의 송신 순서에 대해서는, 도 27에 나타내고 있으므로 참조하기 바란다.
제어유닛(M7)의 제 1 기능(111)의 수신부(81)가 시각(T47)에 입력단자(79a)를 통해 이전의 제어유닛(M6)으로부터 전송 커맨드(83H; 제 1 커맨드)를 수신하면, 송신부(86)는 시각(T48)에 출력단자(79b)를 통해, 그 전송 커맨드(83H)를 다음의 제어유닛(M8)을 향해 출력한다. 제어유닛(M7)의 제 1 기능(111)의 수신부(81)가 시각(T48∼T50)에 제어유닛(M8)용 데이터 세트(DM8)를, 입력단자(79a)를 통해 수신하면, 데이터 버퍼(121)에 데이터 세트(DM8)를 저장한다. 또한, 송신부(86)는, 시각(T49∼T51)에 출력단자(79b)를 통해,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세트(DM9)를 다음의 제어유닛(M8)을 향해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어유닛(M7)의 제 1 기능(111)의 수신부(81)가 시각(T51)에 입력단자(79a)를 통해 제어유닛(M6)으로부터 전송 커맨드(83H)를 수신하면, 송신부(86)는 시각(T52)에 출력단자(79b)를 통해, 그 전송 커맨드(83H)를 제어유닛(M8)을 향해 출력한다. 제어유닛(M7)의 제 1 기능(111)의 수신부(81)가 시각(T52∼T54)에 제어유닛(M7)용 데이터 세트(DM7), 즉, 자기용 데이터 세트(DM7)를, 제어유닛(M6)으로부터 입력단자(79a)를 통해 수신하면, 데이터 버퍼(121)에 데이터 세트(DM7)를 저장한다. 송신부(86)는, 시각(T53∼T55)에 출력단자(79b)를 통해,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세트(DM8)를 다음의 제어유닛(M8)을 향해 출력한다.
제어유닛(M7)의 제 2 기능(112)의 수신부(81)가 시각(T55)에 입력단자(79a)를 통해 제어유닛(M6)으로부터 래치 커맨드(84H; 제 2 커맨드)를 수신하면, 송신부(86)는 시각(T56)에 출력단자(79b)를 통해, 그 래치 커맨드(84H)를 제어유닛(M8)을 향해 출력한다. 제어유닛(M7)의 제 2 기능(112)의 래치 처리부(82)는, 시각(T56)에 데이터 버퍼(121)에 저장이 완료된 데이터 세트(DM7)에 의해, 데이터 레지스터(122)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유닛(M7)용 데이터 세트(DM7)가 LED 소자(51)의 점등 제어를 위해 유효해진다. 따라서, 이후, 제어유닛(M7)이 점등의 커맨드(81H; 제 3 커맨드)를 수신하면, 데이터 세트(DM7)에 근거하여 LED 소자(51)를 점등할 수 있다.
도트 제어 IC(52)는, 수신부(81), 커맨드 수신 버퍼(94), 송신부(86) 및 온/오프 제어 레지스터(87)을 포함하는 제 3 기능(제 3 기능 유닛; 113)을 더 가진다. 상기 제 3 기능(113)은,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LED 소자(51)의 점등 제어의 전환을 지시하는 점등(라이트 온) 커맨드(81H; 제 3 커맨드)를 수신하면, 데이터 레지스터(122)에 세팅되어 있는 다음의 데이터 세트(DN1)에 근거하는 점등상태가 되도록 LED 소자(51)를 제어한다. 제 3 기능(113)은, 이와 함께, 점등 커맨드(81H)를 출력단자(79b)를 통해 출력한다.
도트 제어 IC(52)는, 수신부(81), 커맨드 수신 버퍼(94), 송신부(86), 프로파일 생성부(85) 및 프로파일 레지스터(95)를 포함하는 제 4 기능(제 4 기능 유닛; 114)을 더 가진다. 상기 제 4 기능(114)은, 입력단자(79a)를 통해, 입력 커넥터(61)에서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데이터(제 2 데이터 세트; D2)의 전송을 지시하는 연결 문의 커맨드(FEH; 제 4 커맨드)를 수신하면, 연결 문의 커맨드(FEH)를 출력단자(79b)를 통해 출력한다. 제 4 기능(114)은, 연결 문의 커맨드(FEH)에 계속해서 데이터 세팅수(D3)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 세팅수(D3)에 포함되는 수치에 1을 더한 수치를 데이터 세팅수(D3)로 세팅하여 출력단자(79b)로부터 출력한다. 제 4 기능(114)은, 이후, 수신한 데이터 세팅수(D3)에 포함된 수의, 1 또는 복수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입력단자(79a)를 통해 수신하면, 이들 1 또는 복수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출력단자(79b)로부터 순번대로 출력한다. 또한, 제 4 기능(114)은, 프로파일 레지스터(95)에 저장되어 있는 자기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출력단자(79b)를 통해 출력한다.
도 18의 (A)∼(C)에 나타낸 표시 시스템(1)을 예로 들어, 컴퓨터 단말(표시제어장치; 3)에 의한 표시유닛(2)의 발광 제어(표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의 (A)는, 상기 표시유닛(2)에서의 조립 블록(20)의 연결도이다.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연결상태에서의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내부 접속도이다. 도 18의 (C)는, 각 LED 소자(51)와 1대 1로 대응하는 복수의 도트 제어 IC(52) 및 이들을 접속하는 신호선(리턴선(74)을 포함하는 시리얼 통신용 신호선)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상기 표시유닛(2)도, 도 1의 표시유닛(2)에서 사용한 조립 블록(20)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시스템(1)은,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블록(20)을 2단으로 적층한 표시유닛(2)을 가진다. 상기 표시유닛(2)은, 1개의 싱글 사이즈의 입력용 조립 블록(24)과, 5개의 표준 블록(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 22)과, 1개의 싱글 사이즈의 종단용 조립 블록(25)을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유닛(2)은, 2단 6열의 합계 12개의 도트(도트 모듈)를 구비한 표시 패널이다. 표시유닛(2)은, 조립 블록(20)이 상하 2단으로 정렬되어 있지만, 조립 블록(20)은 수평 또는 좌우방향에 인접하는 조립 블록(20)과 직접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각각의 조립 블록(20)의 상하에 배치된 기계적 연결유닛인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에 의해 상하에 인접하는 조립 블록(20)이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함께,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 의 중앙에 각각 노출한 출력 커넥터(62)의 암커넥터(54) 및 입력 커넥터(61)의 숫커넥터(53)에 의해 상하의 조립 블록(20)에 수납되어 있는 메인 프린트 기판(58)이 전기적으로도 접속되고, 각각의 프린트 기판(58)에 탑재되어 있는 도트 제어 IC(52)가 시리얼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된다. 또한, LED 소자(51)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력공급회로도 이들 커넥터(53, 54)의 접속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상하에 배치된 더블 사이즈의 표준 블록(22)은, 하우징(30)의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이들이 상하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하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넓어지는 표시유닛(2)을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인 연결에 의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2개의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4, 25) 및 5개의 표준 블록(22)이 기계적으로 일체가 되어, 1개의 표시유닛(2)을 형성한다. 이와 함께, 이들 합계 7개의 조립 블록(20)에 내장되어 있는 12개의 도트 제어 IC(52; M1∼M12)가 상하로 지그재그이기는 하지만 1회 입력으로 시리얼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된다.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의 구체예는, 도 18의 (B) 및 (C)에 나타나 있다.
도 1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시리얼 통신선(73) 및 리턴선(74)에 의해, 시리얼 통신 루프가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단말(3) 및 복수의 도트 제어 IC(52)는, 상기 시리얼 통신 루프를 이용하여, 통신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장치인 컴퓨터 단말(3)은, 도 18의 (C)의 우측 하부의 싱글 입력 블록(24)의 도트 제어 IC(52; M1)로 통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싱글 입력 블록(24)의 도트 제어 IC(52; M1)는, 수신한 통신 데이터 등 을, 그 위의 표준 블록(22)의 입력측의 도트 제어 IC(52; M2)로 송신한다. 그리고, 도 18의 (C)의 좌측 하부의 싱글 종단 블록(25)의 도트 제어 IC(52; M12)는, 모든 조립 블록(20)의 리턴선(74)을 통해, 수신한 통신 데이터 등을 컴퓨터 단말(3)로 송신한다. 통신 데이터는, 시리얼 통신에 의해 통신로의 상류측의 도트 제어 IC(52)로부터 하류측의 도트 제어 IC(52)로 순차적으로 송신되고, 복수의 도트 제어 IC(52)의 연결순서에 따라, 도 18의 (C)의 모든 도트 제어 IC(52)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도 19는, 초기화 처리, 소등처리 및 점등처리를 연속적으로 실행시키는 경우의 통신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19에 있어서, T1∼T15는, 통신 타이밍 혹은 클록 사이클이며 소정의 시각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예컨대, 도 19의 최상행은, 컴퓨터 단말(3)이 플랫 케이블(4)을 통해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로 송신하는 통신 데이터이며, 도 19의 최하행은, 최후에 연결된 도트 제어 IC(52; M12)가 리턴선(74) 및 플랫 케이블(4)을 통해 컴퓨터 단말(3)로 송신하는 통신 데이터이다.
컴퓨터 단말(3)이, 상기 3가지의 처리를 각 도트 제어 IC(52)에 실행시키기 위해, 초기화 커맨드 코드(FFH), 소등 커맨드 코드(80H) 및 점등 커맨드 코드(81H)를 순번대로 시리얼 송신한다(타이밍 T1∼T3). 이들 커맨드는, 도 17에 나타낸 전송 커맨드(83H), 래치 커맨드(84H)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도트 제어 IC(52)에 있어서, 제 3 기능 유닛(113)에 의해, 입력단자(79a)를 통해 수신한 다음의 타이밍에서 출력단자(79b)로부터 다음의 도트 제어 IC(52)를 향해 출력된다. 각각의 도트 제 어 IC(52)에 있어서는,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순번대로 기입되고, 도트 제어 IC(52)는,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기입되어 있는 각 커맨드 코드를 해석하여, 초기화 처리, 소등처리 및 점등처리를 순번대로 실행한다.
이 예에서는, 초기화 처리를 한 후, 소등처리 및 점등처리를 행하므로, 초기화에 의해 세팅되는 디폴트 색의 광이 각 LED 소자(51)로부터 출력된다. 디폴트 색은 예컨대 백색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단말(3)이 데이터 세트(DM1~DM12)를 보낸 후, 래치 커맨드(84H)에 계속해서, 점등 커맨드(81H)를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점등 커맨드(81H)는, 1사이클의 지연으로 도트 제어 IC(52; M1∼M12)에 순번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각각의 도트 제어 IC(52)에 대응한 LED 소자(51)가, 데이터 세트(DM1~DM12)에 의해 지정된 색 및 강도로 1사이클의 지연에 의해 순번대로 점등하거나, 또는, 색 및/또는 강도가 바뀐다.
시리얼 접속되어 있는 12개의 도트 제어 IC(52; M1∼M12)는, 도 19의 위에서부터 3행째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통신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도트 제어 IC(52)를 1개 통과할 때마다 1개씩 늦는다. 따라서, 최후의 도트 제어 IC(52; M12)는, 도 19의 최하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단말(3)이 송신한 각 커맨드를, 11사이클 늦은 타이밍에서 수신하고, 그 커맨드를 실행한다. 최후의 도트 제어 IC(52)로부터는 12사이클 늦은 타이밍에서 리턴선(74)에 의해 컴퓨터 단말(3)로 커맨드가 되돌려지는데, 컴퓨터 단말(3)은, 이에 따라 최후의 도트 제어 IC(52)까지 커맨드가 정상에 도달한 것을 확인해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N(N은 자연수)개의 도트 제어 IC(52)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N개째의 도트 제 어 IC(52)는, 커맨드를 (N-1)사이클의 지연으로 수신하고, 리턴선(74)으로 N사이클의 지연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컴퓨터 단말(3)은 N사이클의 지연으로 자신이 송신한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도 20은, 컴퓨터 단말(3)이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를 송신한 경우의 통신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단말(3)은,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로,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 「FEH」 및 개수 데이터(D3; 초기 세트는「00」)의, 2개의 통신 데이터를 시리얼 송신한다(타이밍 T1, T2).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의 제 4 기능(114)은, 수신부(81)에 의해 이들의 통신 데이터를 1개씩 순번대로 수신하여,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순번대로 기입한다. 프로파일 생성부(85)는,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가 보존되면, 자신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로파일 레지스터(95)에 보존한다.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는, 싱글 입력 블록(24)이다. 이 때문에, 프로파일 생성부(85)는, 「10H」를 생성하여, 프로파일 레지스터(95)에 보존한다.
도트 제어 IC(52; M1)의 제 4 기능(114)은, 송신부(86)에 의해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보존된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를 송신하고, 커맨드 수신 버퍼(94)에 보존된 개수 데이터(D3)을 1 인크리먼트시킨 개수 데이터 「01」을 송신하며, 또한, 프로파일 레지스터(95)에 보존된 자신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는, 이 3개의 통신 데이터를 시리 얼 송신한다(타이밍 T2∼T4).
도 18에 나타낸 12개의 도트 제어 IC(52; M1∼M12)의 제 4 기능(114)은,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를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통신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도트 제어 IC(52)를 1개 통과할 때마다 1 사이클씩 늦어진다. 또한, 도트 제어 IC(52)를 통과할 때마다, 통신 데이터의 최후에, 새로운 프로파일 데이터가 추가된다.
최후의 도트 제어 IC(52; M12)는, 컴퓨터 단말(3)이 송신한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를 11 사이클 늦게 수신하고, 12 사이클 지연으로, 리턴선(74)을 통해 컴퓨터 단말(3)로 직접, 다른 도트 제어 IC(52)를 통하지 않고 송신할 수 있다. 도트 제어 IC(52; M12)가 출력하는 개수 데이터(D3)는 「12」이며, 12개의 프로파일 데이터(PM1~PM12)가 계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타이밍 T13∼T26).
도 21에, 표시장치(표시 시스템; 1)를 제어시스템을 중심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낸 표시유닛(2)은, 도 18에 나타낸 표시유닛과 같이 복수의 조립 블록(20)이 2단으로 쌓인 상태로 연결된 3개의 발광그룹(200)이 적층 혹은 다단(이 경우는 3단)으로 쌓인 것이다. 1개의 발광그룹(200)은, 9개의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22)과, 싱글 입력 블록(24)과, 싱글 종단 블록(25)을 포함하며, 2×10개의 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유닛(2)은 8×10개의 화소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그룹(200)은, 개별 케이블(4)에 의해 분배유닛(105)에 접속되고, 분배유닛(105)을 통해 표시제어장치(3)에 의해 일괄 관리된다.
표시제어장치(3)는, 컴퓨터 단말에 의해 실현되고 있으며, 컴퓨터 본체(13),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는,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13P)을 실행함으로써 표시제어장치로서의 기능을 다한다.
제어장치(3)는, 발광그룹(200)의 일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입력 블록; 24)으로 제 1 데이터 세트(D1), 제 1 커맨드인 전송 커맨드(83H) 및 제 2 커맨드인 래치 커맨드(84H)를 각각 송신하는 기능(발신유닛, 송신기능유닛, 송신수단; 131)을 가진다. 제어장치(3)는,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프로파일 데이터; D2)를 복수의 발광그룹(200)으로부터 각각 취득하는 기능(수신유닛, 취득기능유닛, 취득수단; 132)과, 프로파일 데이터(D2)를 라이브러리(137)에 근거하여 해석하여,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하는 기능(제너레이터, 생성기능유닛, 생성수단; 133)을 포함한다. 송신기능(131)은,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근거하여 표시 데이터(135)를 재편하고, 복수의 발광그룹(200)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발광그룹(200)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20)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D1)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기능(131)은 점등 커맨드 등의 다른 커맨드를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취득기능(132)은, 송신기능(131)을 통해 각각의 발광그룹(200)에 대하여,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요구하는 제 4 커맨드인 연결 문의 커맨드(FEH)를 송신한다. 이후, 각각의 발광그룹(200)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20)의 각각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커맨드(FEH) 및 수 데이터(D3)에 계속해서, 각각의 발광그룹(200)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20)의 순번에 따라 수신한다. 생성기능(133)은, 프 로파일 데이터(D2)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여기의 조립 블록(20)의 타입 및 연결방향 등을 해석하여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한다. 송신기능(131)은, 표시유닛(2)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D1)를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근거하여 리오더하고, 각각의 발광그룹(200)에 송신한다.
도 22는, 컴퓨터 단말을 이용한 표시제어장치(3)에 의해 표시유닛(2)의 입체형상을 재현하는 처리의 흐름을 플로우차트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제어장치(3)의 취득기능(132)은, 먼저, 각 조립 블록(20)의 연결관계를 요구하는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 및 개수 데이터(D3)를 송신하고, 취득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T1). 소정의 지연후, 송신한 연결상황 문의 커맨드 코드(FEH)나, 연결되어 있는 모든 조립 블록(20)의 도트 제어 IC(52)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수신한다(단계 ST2). 표시제어장치(3)의 생성기능(133)은,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D2)의 수신순으로 복수의 조립 블록(20)이 접속되어 있는 조건하에서, 해석 처리를 개시한다. 생성기능(133)은, 먼저, 수신한 프로파일 데이터 중 미처리된 최초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T3). 그리고, 컴퓨터 단말(3)은, 가상 3차원 공간에, 그 프로파일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위치에 도트 제어 IC(52; 조립 블록(20))를 매핑한다(단계 ST4).
수신 직후의 최초의 처리에서는, 생성기능(133)은, 수신한 프로파일 데이터 중 선두의 것을 취득하고,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트 제어 IC(52)를, 가상 3차원 공간의 원점에 매핑한다. 프로파일 데이터(D2)가 끝날때까지(단계 ST5), 생성기능(133)은, 다음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T3), 이것을 해 석하여 특정한 위치에 도트 제어 IC(52)를 매핑하는(단계 ST4) 처리를 반복한다.
도 20에 의해 취득된 12개의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예를 들면, 생성기능(133)은, 조립 블록(20)의 타입, 연결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는 라이브러리(137)를 참조하여, 첫번째의 프로파일 데이터 「10」에 의해, 첫번째의 도트 제어 IC(52)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20)이 싱글 블록(21)이라고 판단한다. 생성기능(133)은, 이 첫번째의 도트 제어 IC(52)를 가상 3차원 공간의 원점에 매핑한다. 생성기능(133)은, 두번째 프로파일 데이터 「00」에 의해, 두번째 도트 제어 IC(52)가 표준 블록(22)의 입력측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컴퓨터 단말(3)은, 가상 3차원 공간의 1개의 축방향(예컨대 X축이 수평, Y축이 수직인 경우에, Y축의 정방향)으로 1 옮겨 놓은 위치에, 두번째 도트 제어 IC(52)를 매핑한다.
생성기능(133)은, 세번째 프로파일 데이터 「78」에 의해, 세번째 도트 제어 IC(52)가 표준 블록(22)의 출력측인 것으로 판단한다. 생성기능(133)은, 두번째 프로파일 데이터 「00」과 세번째 프로파일 데이터 「78」에 의해 이들의 도트 제어 IC(52)가 1개의 표준 블록(22)의 입력측 및 출력측인 것으로 판단하고, 첫번째와 두번째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 예컨대 X축의 정방향으로 1 옮겨 놓은 위치에, 세번째 도트 제어 IC(52)를 매핑한다.
생성기능(133)은, 4번째의 프로파일 데이터 「00」에 의해, 4번째의 도트 제어 IC(52)가 표준 블록(22)의 입력측인 것으로 판단한다. 세번째까지의 프로파일 데이터의 해석처리에 의해, 상기 표준 블록(22)은, 이전의 표준 블록(22)에 연결되어 있는 다음의 표준 블록(22)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생성기능(133)은, 가상 3 차원 공간의 Y축의 음방향으로 1 옮겨 놓은 위치에, 4번째의 도트 제어 IC(52)를 매핑한다.
한편, 예컨대 3번째까지의 프로파일 데이터의 해석처리에 의해, 이전의 블록이 사상 블록(23)이며, 여기에 다음의 표준 블록(22)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생성기능(133)은, 가상 3차원 공간에서 이전과는 반대의 방향, 즉, Y축의 정방향으로 1 옮겨 놓은 위치에, 4번째의 도트 제어 IC(52)를 매핑한다. 또한, 4번째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01」이면, 이전의 표준 블록(22)에 대한 다음의 표준 블록(22)의 연결방향은 90도가 되므로, 생성기능(133)은, 가상 3차원 공간에 있어서 Y축의 음방향으로 1 옮겨 놓은 위치에 4번째의 도트 제어 IC(52)를 매핑하는 동시에, 다음의 도트 제어 IC(52)의 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 1 옮겨 놓은 위치에 세팅한다. 프로파일 데이터에 다른 연결방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생성기능(133)은, 모든 프로파일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트 제어 IC(52)를 가상 3차원 공간에 매핑한다. 수신한 모든 프로파일 데이터(D2)의 해석처리를 마치면, 생성기능(133)은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컴퓨터 자원에 포함되어 있는 적당한 기록매체,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HDD 등에 기록한다. 또한, 생성기능(133)은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근거하는 표시유닛(2)의 구성을 발광체 그룹(200)의 단위로 표시 디바이스(11),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에 입체적으로 표시한다(단계 ST6). 사용자는,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의해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입체에 의해, 자동적으로 취득된 데이터에 근거하는 조립 블록(20)의 기계적 연결 상태 및 전기적 접속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성기능(133)은 복수의 발광그룹(200)의 연결관계를 메뉴얼 입력하는 기능(단계 ST7)을 구비하고 있다.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구성은,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취득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1에 나타낸 표시유닛(2)과 같이 복수의 발광그룹(200)을 포함하는 표시유닛(2)은, 기계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만,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접속관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발광그룹(200)의 사이는 기계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만,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연결관계를 메뉴얼로 입력함으로써, 연결 재현 데이터(136)의 정밀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12개의 프로파일 데이터(D2)에 근거하는 12개의 도트 제어 IC(52)의 가상 3차원 공간에 대한 매핑 결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프로파일 데이터(D2)의 해석·생성 처리에 의해, 컴퓨터 단말을 이용한 제어장치(3)는, 도 18의 (C)에 나타낸 실제 12개의 도트 제어 IC(52)의 접속관계와 일치하는 매핑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송신기능(131)은, 매핑 결과를 나타낸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의해 특정되는 복수의 도트 제어 IC(52)의 배치를 이용하여, 도 2 또는 도 3의 조립 블록(20)의 외형에 상당하는 폴리곤 데이터(표시 데이터; 135)를 편집하고, 각 발광그룹(200)으로 표시용 데이터 세트(D1)로서 송신한다.
도 24는, 표시유닛(2)의 재현 화상의 표시화면 예이다. 도 24의 표시유닛(2)의 재현 화상은, 도 20의 프로파일 데이터(D2)에 근거하여 재현된 구성이며, 표시 디바이스(1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4의 재현 화상 내의 표시유닛(2)은, 조립 블록(20)을 2단 6열로 쌓은 형상을 가지며, 1단째의 좌우 양단에 싱글 블록(21)이 설치되고, 나머지의 부분에 표준 블록(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도면의 「←입력」의 문자는, 통신 데이터의 입력을 나타내고, 우측단 하부의 싱글 블록(21)으로부터 통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도 18의 (A)∼(C)에 나타낸 표시유닛(2)의 조립 블록(20)의 연결 구조에 대응한다.
도 25는, 컴퓨터 단말을 이용한 표시제어장치(3)에 의해 표시유닛(2)의 표시(발광)를 제어하는 처리를 플로우차트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이 처리(제어)는, 도 22에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취득하는 처리와,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하는 처리에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도 22에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D2)를 취득하는 처리와,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하는 처리는, 표시유닛(2)과 표시제어장치(3)를 접속하였을 때의 초기처리로서 실행되고, 이후, 도 25에 나타낸 표시하는 처리(표시용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를 송신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제어장치(3)의 송신기능(131)은, 예컨대 입력 디바이스(12)로부터 발광 지시가 있으면(단계 ST11), 표시유닛(2)의 1회의 표시에 이용하는 표시 데이터(135)를 메모리 등으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T12). 표시유닛(2)의 1회의 표시에 이용하는 표시 데이터(135)는, 예컨대 도 24의 재현 화상에 있어서, 비트 모듈마다 이루어진 착색 처리 등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비트 모듈마다 색 데이터를 가진다. 또, 색 데이터는, 적색의 휘도 데이터와, 녹색의 휘도 데이터와, 청색의 휘도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지시는, 표시유닛(2)에 의한 발광을 개시할 때, 표시유 닛(2)의 발광색을 변경할 때 등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12) 등에 의해 생성된다.
표시유닛(2)의 1회(1프레임)의 표시에 이용하는 표시 데이터(135)를 판독한 송신기능(131)은, 그 표시 데이터(135)를 송신순, 즉, 도트 제어 IC(52)의 접속순으로 리오더하고, 발광 지시를 위한 송신 데이터열을 생성한다(단계 ST13). 복수의 도트 제어 IC(52)는, 도 18의 (A) 혹은 도 23에서의 표시유닛(2)의 배열 방향에 따른 순번대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18의 (A) 및 도 23에서는 조립 블록(20)이 가로 일렬의 순번으로 정렬(배열)되어 있지만, 전기적으로는, 이러한 배열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송신기능(131)은, 1회의 표시에 이용하는 표시 데이터(135)를, 가장 말단에 접속되어 있는 도트 제어 IC(52; 여기에서는 M12)용인 것으로부터, 가장 앞에 접속되어 있는 도트 제어 IC(52; 여기에서는 M1)용인 것까지의 순번과 일치하도록, 비트 모듈마다 색 데이터(휘도 데이터; D1)를 리오더한다.
도 26은, 리오더 처리후의 송신 데이터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 각 셀은, 비트 모듈(도트 제어 IC(52))마다의 색 데이터(휘도 데이터)에 대응한다. 또한, 각 셀내의 번호는 도 23의 매핑 결과에서의 (X, Y) 좌표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능(131)은, 말단의 도트 제어 IC(52; 여기에서는 M12)용의 색 데이터(휘도 데이터)를 선두(시간축의 선두, 최초)로 하고, 또한, 가장 앞의 도트 제어 IC(52; 여기서는 M1)용의 색 데이터(휘도 데이터)를 최후(시간축의 최후)로 하는 송신 데이터열을 생성한다.
표시 데이터 내의 도트별 색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 루프에서의 복수의 도트 제어 IC(52)의 순번대로 리오더하고, 송신 데이터열을 생성한 후, 송신기능(131)은, 전송 커맨드(83H)와, 송신 데이터열중의 도트 단위의 색 데이터 세트(D1)를 교대로 송신하고, 최후에, 래치 처리 커맨드 코드(84H)를 송신한다(단계 ST14). 시리얼 접속된 각 도트 제어 IC(52)에 있어서는,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능(111)이, 수신한 색 데이터 세트(D1)를 버퍼링하고, 전송 커맨드(83H)에 계속해서 버퍼링이 완료된 이전의 색 데이터 세트(DS1)를 송신한다. 그리고, 송신 데이터열에 계속해서 래치 커맨드(84H)를 수신하면, 도트 제어 IC(52)의 제 2 기능(112)은, 버퍼링이 완료된 이전의 색 데이터 세트(DS1)는 송신하지 않고, LED 소자(51)의 다음의 색 데이터 세트(DN1)로서 세팅하고, 래치 커맨드(84H) 만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래치 커맨드(84H)는, 색 데이터 세트(D1)를 추월하여(색 데이터 세트(D1)의 전송을 수반하지 않고) 시리얼 통신회로를 전파한다. 따라서, 시리얼 통신회로에 의해 순번대로 접속된 각 도트 제어 IC(52)는, 송신 데이터열에, 그 순번에 대응하도록 정렬된 색 데이터 세트(D1)를 각각 래치한다. 또한, 송신기능(131)이 점등 커맨드(81H)를 송신하면(단계 ST15), 도트 제어 IC(52)의 제 3 기능(113)이 래치된 색 데이터 세트(D1)에 근거하여 LED 소자(51)를 점등한다. 또, 래치 커맨드(84H)가 점등 커맨드를 겸하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래치 커맨드(84H)를 수신한 다음의 사이클에서 LED 소자(51)의 점등(발광)상태를 바꿀 수 있다. 래치 커맨드와 점등 커맨드를 분리함으로써, 데이터 세트(D1)의 전송 시기와, 이들 데이터 세트(D1)에 근거하여 LED 소자(51)를 점등시키는 시기를 바꿀 수 있다.
단계 ST16에 있어서, 일련으로 표시유닛(2)에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135)가 종료할때까지 상기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결과, 복수의 조립 블록(20)에 의해 조립된 표시유닛(2)에 동화상, 정지화상을 포함시킨 다양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7은, 1회의 표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컴퓨터 단말(표시제어장치; 3) 및 복수의 도트 제어 IC(52)가 실행하는 통신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상기 표시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있어서, 표시제어장치(3)의 송신기능(131)은, 먼저, 데이터 전송용 커맨드 코드(83H)를 송신하고(타이밍 T1), 이어서, 송신 데이터열의 선두의 1세트의 색 데이터 세트(D1; 도트 제어 IC(52)(M12))용 휘도 데이터)를 송신한다(타이밍 T2∼T4). 송신기능(131)은, 송신 데이터열중의 도트 단위의 색 데이터 세트(휘도 데이터를 포함)마다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여, 송신 데이터열중의 모든 도트 단위의 세트(즉, 도트 제어 IC(52)마다)의 색 데이터 세트(D1)에, 데이터 전송용 커맨드 코드(83H)를 부가하여 송신한다(타이밍 T1∼T48). 이후, 송신기능(131)은, 래치 커맨드 코드(84H)를 송신한다(타이밍 T49).
또, 도 27의 타이밍차트에 있어서, 도트 모듈마다 색 데이터 세트(D1)의 송신에 3사이클(참고로, 시리얼 통신에 의한 1개의 통신 데이터의 송신처리를 1사이클이라 함) 사용하고 있는 것은, 각 도트 제어 IC(52)용 색 데이터로서, 적색휘도 데이터와, 녹색휘도 데이터와, 청색휘도 데이터의 3개의 휘도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으며, 이 예에서는, 각각의 휘도 데이터의 전송에 1사이클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표시제어장치(3)의 송신기능(131)이 타이밍 T1∼타이밍 T49까지 송신한 복수 의 통신 데이터는,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에 의해 순번대로 수신된다.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의 송신부(86)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 커맨드「83H」가 수신되면, 데이터 전송 커맨드「83H」를 송신한 후, 수신 버퍼(89, 91, 93)에 기억되어 있던 1세트의 휘도 데이터 세트(데이터 세트(DS1))를, 다음의 도트 제어 IC(52; M2)로 시리얼 송신한다(제 1 기능(111)). 즉,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는, 이보다 연결방향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도트 제어 IC(52; M2∼12)에서 사용하는 색 데이터 세트를, 다음의 도트 제어 IC(52; M2)로 송신한다(타이밍 T6∼T49). 이후, 전송 커맨드(83H) 대신에 래치 커맨드(84H)를 수신하므로, 최후에 수신한 자신의 색 데이터 세트(M1용 데이터)는 송신하지 않고,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의 송신부(86)는, 표시제어장치(3)로부터 수신한 래치 커맨드 코드(84H)를 송신한다(타이밍 T50; 제 2 기능(112)). 따라서, M1용 데이터 세트에 저지되지 않고, 래치 커맨드(84H)를 동일한 시리얼 통신 루프를 이용하여, 다음의 도트 제어 IC(52; M2)에 전송할 수 있으며, 그 도트 제어 IC(52)에 자신의 M2용 데이터 세트를 래치시킬 수 있다.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의 뒤에 순번대로 접속되어 있는 11개의 도트 제어 IC(52; M2∼12)는, 최초의 도트 제어 IC(52; M1)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데이터 전송 커맨드「83H」를 수신하면, 수신 버퍼(121)에 기억되어 있던 휘도 데이터 세트(DS1)을 다음의 도트 제어 IC(52; M2)로 송신한다(타이밍 T11∼T59; 제 1 기능(111)). 또한, 래치 커맨드 코드(84H)를 수신하면, 다음의 도트 제어 IC(52; M3∼12)로 래치 커맨드 코드(84H)를 송신한다(타이밍 T51∼T60; 제 2 기능(112)).
래치 커맨드 코드(84H)를 수신하면, 각 도트 제어 IC(52)는, 각각의 휘도 데이터 수신 버퍼(89, 91, 93)에 기억되어 있는 휘도 데이터를, 각각의 휘도 데이터 레지스터(88, 90, 92)에 기입한다(래치한다). 각 PWM 신호생성부(83)는, 휘도 데이터 레지스터(88, 90, 92)의 값이 변경되면, 그 변경후의 값에 따른 PWM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점등 커맨드(81H)를 수신하면, 각 도트 제어 IC(52)의 제 3 기능(113)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각 LED 소자(51)의 발광색은, 개별적으로 변경된다. 각 도트 모듈(입방체)의 발광색은, 각각의 LED 소자(51)의 발광색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이상과 같이, 표시 시스템(1)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표시유닛(2)을 물리적으로 형성하고, 또한, 시리얼한 전기적 접속 형태를 자동적으로 실현하는 복수의 조립 블록(20)과, 상기 표시유닛(2)과 접속되어, 각 조립 블록(20)에 있어서 발광의 제어에 이용되는 커맨드 코드를 송신하는 컴퓨터 단말(표시제어장치; 3)을 가진다. 표시유닛(2)은,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조합에 의해 자유로운 형상에 있어서 발광 및 화상표시가 가능하다. 게다가, 복수의 조립 블록(20)을 연결하는 것만의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발광체를 작성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유닛(2)에 의한 패널이나 오브젝트의 형상변경이나 재설치 등은 용이하다.
표시제어장치(3)는, 복수의 조립 블록(20)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D2)에 근거하여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하고, 상 기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근거하는 통신 제어에 의해, 복수의 조립 블록(20)에 대하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코드를 송신한다. 따라서, 표시제어장치(3)는, 복수의 조립 블록(20)을 이용하여 큰 표시유닛(2)이나 복잡한 표시유닛(2)을 형성한 경우라도, 각 조립 블록(20)의 발광을, 다른 조립 블록(20)의 발광과는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발광하는 복수의 조립 블록(20)을 이용하여 전시 스페이스 등의 발광장치(표시유닛; 2)를 구성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조립 블록(20)간에서의 전기적인 접속을 파악할 수 없게 되는 경우는 없어, 적합하게 각각의 조립 블록(2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전형적인 연결관계를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D2)는, 각 조립 블록(20)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형상설정 비트와, 다른 조립 블록(20)과의 연결방향을 나타내는 방향검출 비트를 포함하며, 이들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장치(3)의 생성기능(133)은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조립 블록(20)은, 각각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도트 제어 IC; 52)을 가지고, 복수의 제어유닛(52)은, 복수의 조립 블록(20)이 연결됨으로써, 데이터 세트 및 커맨드 코드를 순번대로 송수신하는 1개의 시리얼 통신 루프를 구성한다. 또한 1개의 시리얼 통신 루프에 의해, 데이터 세트와 커맨드 코드를 통신할 수 있다. 표시제어장치(3)는, 입력단의 1개의 도트 제어 IC(52)로 커맨드 코드 및 데이터 세트를 송신함으로써, 시리얼 통신 루프에 의해 연결된 모든 조립 블록(20)의 제어유닛(52)으로 커맨드 코드 및 데이터 세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리턴선(74)을 이용함으로써, 표시제어장치(3)는, 커맨드 코드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 고, 이에 따라 커맨드 코드가 모든 조립 블록(20)의 제어유닛(52)으로 송신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조립 블록(20)의 제어유닛(52)은, 표시제어장치(3)에 대하여, 커맨드 코드 수신의 리플라이를 하지 않아도 통신이 이루어진 것을 표시제어장치(3)는 알 수 있다. 연결가능한 조립 블록(20)의 개수의 제한은 기본적으로는 없다. 그러나, 커맨드 코드의 전송에 1사이클을 소비하므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조립 블록의 수는, 그 지연에 의한 화상표시 질의 특성저하가 눈에 띄지 않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제어장치(3)는, 각 조립 블록(20)의 연결관계를 요구하는 커맨드 코드를 송신한다. 각 제어유닛(도트 제어 IC; 52)은, 수신한 커맨드 코드 및 수신한 다른 제어유닛(52)에 의해 생성된 조립 블록(2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1 또는 복수의 프로파일 데이터 세트(D2)의 뒤에 계속하여, 자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 세트(D2)를 송신한다. 표시제어장치(3)는, 복수의 프로파일 데이터 세트(D2)를 리턴선(74)을 통해 취득하고, 복수의 조립 블록(20)이 복수의 프로파일 데이터 세트(D2)의 수신순으로 접속되어 있는 조건하에서,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한다. 복수의 제어유닛(52)이 시리얼 접속되어 있는 것을 적합하게 이용하여, 각 조립 블록(2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프로파일 데이터 세트(D2)를 이용하고, 표시유닛(2)에서의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136)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제어장치(3)는, 연결 재현 데이터(136)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각각의 표시색을 지정하는 색 데이터 세트(D1)를, 시리얼 통신 루프에서 의 복수의 제어유닛 IC(52)의 순번대로 리오더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표시유닛(2)을 구성하는 복수의 조립 블록(20)은, 각각의 지정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표시제어장치(3)는, 모든 조립 블록(20)으로 색 데이터를 송신한 후, 래치 커맨드 코드를 송신한다. 또한, 각 제어유닛(52)은, 래치 커맨드 코드의 수신에 근거하여 각각의 표시색을 색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색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래치 커맨드 코드가 커맨드 통신 루프내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제어유닛(52)은, 대략 동시에 표시색을 바꿀 수 있다. 1개의 표시유닛(2)에 있어서,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표시색은, 래치 커맨드 코드의 전송 타이밍에 의해 대략 동시에 바뀐다. 이에 따라, 연결된 복수의 조립 블록(20)에 있어서, 시리얼 통신 루프에서의 접속에 따라 한 방향으로 색이 흐르는 것 이외의 발광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표시제어장치(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범용의 컴퓨터 장치로 프로그램(13P)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 13P)은, CD-ROM, 메모리 등의 적당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조립 블록(20)의 입력 커넥터(61)가 4개의 숫커넥터(53)이며, 출력 커넥터(62)가 2개의 암커넥터(54)이다. 이들 대응관계는, 반대여도 된다. 이 이외에도 예컨대,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에, 예컨대 복수의 핀 혹은 복수의 핀 삽입 구멍이 정사각형으로 배열되는 공통의 커넥터를 이용해도 된다. 이 변형예의 경우, 공통의 커넥터는, 그 중심이 하우징(3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도 28은, 신축가능한 10개의 핀을 가지는 압착식의 숫커넥터(101)이다. 10개의 핀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압착 커넥터(101)를 1개만 이용하여, 입력 커넥터(61) 혹은 출력 커넥터(6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1)의 각 핀은 도 28의 화살표방향으로 신축한다(줄어든다).
도 29 및 도 30은, 다른 배치의 전기적 접속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는, 숫커넥터(101)이며, 10개의 핀(P1∼P10)이 길이방향으로 2열로 늘어선 배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30은 암커넥터(102)이며, 21개의 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숫커넥터(101)는, 핀(P1∼P5)을 포함하는 한 쪽의 열이, 기계적 연결유닛인 볼록 스커트(32)의 중앙 라인(32S)과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 스커트(32)의 방향을 바꾸면, 핀(P6∼P10)을 포함하는 다른 쪽의 열은 중앙 라인(32s)에 대한 위치관계가 바뀌도록 되어 있다.
숫커넥터(101)는, 암커넥터(102)와의 접속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바뀌지 않도록 배열된 제 1 단자군(G1)과, 접속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바뀌는 제 2 단자군(G2)을 포함한다. 제 1 단자군(G1)은, 핀(P1∼P6, P8 및 P10)을 포함한다. 제 2 단자군(G2)은 핀(P7 및 P9)을 포함한다. 제 1 단자군(G1)은, 전원선으로서의 VCC선(72)에 접속되는 단자군(G1v)과, 그라운드선(71)에 접속되는 단자군(G1e)과, 신호선에 접속되는 단자군(G1s)을 포함한다. 단자군(G1e)은, 중앙 라인(32s)에 따라, 숫커넥터(101)의 길이방향에 배치된 핀(P1, P3 및 P5)을 포함한다. 단자군(G1v)은, 중앙 라인(32s)을 따라, 숫커넥터(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핀(P2 및 P4)과, 수직방향의 중앙 라인(32s)을 따라 배치된 핀(P8)을 포함한다. 이들 단자(핀)는, 숫커넥터(101)의 길이방향으로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이유에 의해, 예컨대, 기계적인 접속의 변형의 축적, 조립 블록의 사이즈 공차의 적층 등에 의해, 숫커넥터(101)와 암커넥터(102)와의 접촉이 부분적으로 불충분해진 경우라도, 거의 확실하게 적어도 2개의 핀이 접촉한다. 따라서, 전류가 1개의 핀에 집중해서 흘러 손상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단자군(G1s)은, 숫커넥터(101)의 핀(P6 및 P10)을 포함한다. 핀(P10)이 데이터 입력용 단자이며, 시리얼 통신선(73)을 형성한다. 핀(P6)이 데이터 출력용 단자이며, 리턴선(74)을 형성한다.
제 2 단자군(G2)은, 숫커넥터(101)의 핀(P7 및 P9)을 포함한다. 이들 핀(P7 및 P9)에 인가되는 전압신호의 상이(고전압 또는 저전압(접지 전압))에 의해, 암커넥터(102)에 대한 숫커넥터(101)의 방향을 파악하고, 조립 블록들의 기계적인 연결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0은 암커넥터(102)의 패드 배치를 나타낸다. 이들 21개의 패드 중, 오목 스커트(33)의 직교하는 2개의 중앙 라인(33S)을 따라 십자로 배치된 패드(R1∼R3)는, 전원공급용 패드이다. 중앙의 패드(R3)는 접지선이며, 그 외측의 패드(R2)는 전력선(VCC선)이고, 그 외측의 패드(R1)는 접지선이다. 패드(R1 및 R3)는, 숫커넥터(101)의 단자군(G1e; 핀(P1, P3 및 P5))에 대응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패드(R2)는, 숫커넥터(101)의 단자(G1v; 핀(P2, P4 및 P8))에 대응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패드(R1)의 양측에 배치된 패드(R6 및 R10)는, 숫커넥터(101)의 단자군(G1s; 핀(P6 및 P10))에 대응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리턴선(74) 및 시리얼 루프(73)를 각각 구성한다.
패드(R2)의 양측에 배치된 패드(R7·9)는, 숫커넥터(101)와, 암커넥터(102)와의 접속방법(볼록 스커트(32)와 오목 스커트(33)와의 연결방향)에 의해, 숫커넥터(101)의 제 2 단자군(G2)의 핀(P7 또는 P9)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들 패드(R7·9)를 고전압 또는 저전압(접지전압)으로 설정함으로써, 연결방향에 의해 제 2 단자군(G2)의 핀(P7 및 P9)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방향검출용 2비트의 정보)가 변경되어, 연결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3)는,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각각의 연결방향을 판단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가상 3차원 공간에 표시유닛(2)의 형상을 재현하고, 그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조립 블록(20)의 1개의 전형적인 타입은, 하우징(30)이 입방체이며 1개의 도트를 표시하는 모듈(21)이다. 상기 입방체 모듈에는 1개의 LED 소자(51)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소자는, 1개의 LED 소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협조하여 제어되어, 1개의 발광색을 만드는 복수의 발광소자여도 된다. 입방체 모듈이 복수의 도트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발광소자로서는, LED 이외에도,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무기 EL(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플라즈마 발광 디바이스 등 여러가지를 채용할 수 있다.
조립 블록(20)의 다른 전형적인 타입은, 하우징(30)이 직육면체 형상이며, 거의 2개의 상기 입방체에 상당하는 사이즈의, 더블 사이즈의 조립 블록(표준 블록; 22)이다. 상기 표준 블록(22)은, 2개의 도트를 표시하는 모듈로서 기능하며, 2개의 LED 소자(51)와, 이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제어유닛(52)을 포함한 다. 1개의 IC에 2개의 제어유닛으로서의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조립 블록(20)은, 단위 입체형상을, 3개 이상의 복수개를 서로 연결시킨 외형형상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조립 블록(20)의 형상의 단위는, 입방체(정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면체이여도 되며, 구형, 통형, 기둥형 등이어도 된다. 입방체를 단위로 하는 조립 블록(20)은 틈새가 없는 표시유닛(2)을 형성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중 하나이다.
특히, 2개의 도트 모듈에 상당하는 표준 블록(22)이나 사상 블록(23)은, 입방체를 2개 서로 연결시킨 멀티 사이즈의 외형형상의 최소단위이며, 서로 정렬하거나 겹치기 위해 유용하다. 멀티 사이즈의 조립 블록(20)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조립 블록(20)에 의해 조립가능한 형상 변화량(variation)을 늘릴 수 있다. 예컨대, 싱글 사이즈의 조립 블록(21)에 덧붙여, 표준 블록(22)이나 사상 블록(23) 등의, 2개의 도트 모듈에 상당하는 조립 블록(20)을 포함시킴으로써, 중공의 타워 형상의 표시유닛 등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립 블록(20)을 조합시킴으로써, 전시회장, 점포 등에 설치하는 패널이나 오브젝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원하는 도트패턴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립 블록(20)의 조립에는 나사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작업으로 간단히 분해할 수 있고, 패널이나 오브젝트의 형상변경이나 재설치 등이 용이하다. 표시유닛(2)은, 복수의 조립 블록(20)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유닛(2)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조립 블록(20)과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 조립 블록(20)은, 입방체의 외형형상 혹은 입방체를 복수개 연결한 외형형상을 가지는 하우징(30)과, 입방체(도트 모듈)마다 하우징(30) 내에 설치된, 입방체(도트 모듈)와 동일한 수의 복수의 LED 소자(51)를 가진다. 또한,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는, 하우징(30)의 상면 혹은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립 블록(20)은, 2단에 의한 적층을 기본으로 하는 연결에 의해 조합시킬 수 있고, 게다가, 그 적층한 상태에 있어서 각 조립 블록(20)의 측면은, 입방체 단위로 면적으로 발광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조립 블록(20)을 이용함으로써, 표시유닛(2)의 노출하는 측면을 주체로 하며, 상면, 저면 등을 포함하여, 대략 연속적인 1개의 면으로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표준 블록(22)이나 사상 블록(23)은, 도트 단위로 하우징(30)의 내부를 분리하는 내부벽부(56)를 가진다. 따라서, 멀티 사이즈, 멀티 도트의 조립 블록(20)에 있어서, 도트마다 발광색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어, 혼색(크로스토크)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어둡게 빛나게 하는 도트가, 이것과 동일한 조립 블록의 다른 도트의 광에 의해 밝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립 블록(20)에는,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와의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 표시제어장치(3)에 포함되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각 조립 블록(20)에 배터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배터리는 차광부재이며, 각 조립 블록(20)에 배터리를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각 조립 블록(20)의 보다 많은 면을 투광성으로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각 조립 블록(20)의 전체면을 발광시켜, 표시유닛(2)의 측면 등을 대략 연속적인 화상표시용의 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조립 블록(20)은, 1개의 입력 커넥터(61)와, 1개의 출력 커넥터(62)를 가진다. 조립 블록(20)은, 복수의 입력 커넥터(61) 혹은 복수의 출력 커넥터(62)를 갖는 타입의 조립 블록(20)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조립 블록(20)은, 입력 커넥터(61) 및 출력 커넥터(62) 중 적어도 한 쪽이 2개 이상 설치된 타입의 조립 블록(20)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에서는, 조립 블록(20)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로서 끼워넣음으로써 기계적 연결이 가능한 볼록 스커트(32) 및 오목 스커트(33)의 조합을 이용하고 있다.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자력으로 결합 혹은 연결하는 것이어도 되고, 하우징들을 오버랩시키지 않고 면과 면으로 접촉하는 형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조립 블록(20)에 포함되는 제어유닛(52)은, 시리얼 통신선(73)에 의해 접속되고, 시리얼 통신선(73)은 종단 블록(25)에 의해 리턴선(74)에 접속되어, 전체적으로 루프형상의 접속이 성립한다. 시리얼 통신선(73) 및 리턴선(74)은, 단선의 통신선이며, 단상의 신호(하이·로우(1,0))에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시리얼 통신선(73) 및 리턴선(74)을 복수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2상의 신호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조립 블록(20)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조립 블록(20)과의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을 광학적인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이들 인터페이스에 다른 조립 블록(20)에 대한 연결방향을 판별하는 기능을 포함시켜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몇 가지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4)

  1.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제어유닛을 적어도 유지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을 외부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측 및 제 2 측에 설치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인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측의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세트 및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의 전송 지시를 포함하는 제 1 커맨드를 수신하면, 수신한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 1 커맨드와 함께 상기 제 2 측의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래치의 지시를 포함하는 제 2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이 완료된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발광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다음의 데이터 세트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커맨드를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 제어의 전환 지시를 포함하는 제 3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의 데이터 세트에 근거하는 점등상태가 되도록 상기 발광소자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커맨드를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3 기능을 더 포함하는, 조립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측 및 상기 제 2 측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서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전송 지시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 4 커맨드 및 상기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1개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수신한 적어도 1개의 제 2 데이터 세트에 계속해서 상기 조립 블록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4 기능을 더 포함하는, 조립 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신호선을 더 가지는, 조립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 및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 및 상기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연결방향이 가변의 기계적 연결유닛인, 조립 블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은, 적어도 2방향의 자유도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인, 조립 블록.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이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연결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들이 연결되면,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립 블록.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은,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일부와, 상기 조 립 블록의 하우징의 일부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각각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은, 상기 조립 블록에 오버랩되어 접속된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에 접속하도록, 각각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조립 블록.
  9.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발광소자 및 제 2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발광소자의 제 1 제어유닛 및 상기 제 2 발광소자의 제 2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유닛을 가지는 발광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제어유닛의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어유닛의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있는, 조립 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정렬하거나 겹칠 수 있는 소정의 입체형상을 단위로 하고, 그 단위 입체형상을 1 또는 복수개 서로 연결시킨 외형형상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단위 입체형상을 서로 연결시킨 외형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조립 블록.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및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 및 상기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발광소자의 제 1 제어유닛 및 상기 제 2 발광소자의 제 2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유닛을 가지는 발광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제어유닛의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어유닛의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있는, 조립 블록.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및 상기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내부벽부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단위 입체형상 부분 및 상기 제 2 단위 입체형상의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조립 블록.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측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단위 입체형상 부분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조립 블록.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이한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조립 블록의 하우징 및 상기 조립 블록의 하우징의 연결방향이 가변의 기계적 연결유닛이며,
    또한,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연결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은,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에 의한 연결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불변하도록 배치된 제 1 단자군과,
    상기 기계적 연결유닛에 의한 연결방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바뀌도록 배치된 제 2 단자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 2 단자군의 전기적인 접속관계에 의해, 상기 연결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블록.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의 한 쪽의 상기 제 2 단자군은, 다른 전위를 부여하는 복수의 기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의 다른 쪽의 상기 제 2 단자군은, 상기 연결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준단자와의 접속이 바뀌는 복수의 식별단자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은, 통신용 단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단자를 포함하는, 조립 블록.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군 및 상기 제 2 단자군은, 길이방향을 구비한 형상의 영역에서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자군은 복수의 상기 전력공급단자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들 복수의 전력공급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는, 조립 블록.
  20. 제 1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을 복수 포함하는 표시유닛을 가지는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표시유닛은, 다른 조립 블록과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발광그룹이며, 이들 복수의 조립 블록이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된 발광그룹을 적어도 1개 포함하고,
    상기 표시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의 일방의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 상기 제 1 커맨드 및 상기 제 2 커맨드를 각각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더 가지는 표시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립 블록은,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의 접속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대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으로부터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 표시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각각의 조립 블록의 종류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조립 블록과 이것에 접하는 다른 조립 블록과의 연결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하는 기능은, 상기 송신하는 기능에,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송신시킨 후,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 립 블록의 각각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순번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생성하는 기능은, 상기 제 2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시스템.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표시유닛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정렬(reorder)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송신하는, 표시 시스템.
  26. 제 1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을 복수 포함하는 표시유닛의 제어장치로서,
    다른 조립 블록과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이 구성되어, 이들 복수의 조립 블록이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조립 블록은,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 블록의 제어유닛은,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의 접속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대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의 일방의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 상기 제 1 커맨드 및 상기 제 2 커맨드를 송신하는 기능과,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으로부터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 제어장치.
  27. 제 1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을 복수 가지는 표시유닛.
  28. 제 1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을 복수 가지는 표시유닛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조립 블록과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이 구성되어, 이들 복수의 조립 블록이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의 일방의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 상기 제 1 커맨드 및 상기 제 2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립 블록은,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 블록의 제어유닛은,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의 접속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대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으로부터 취득하는 것과,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는 것은,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과,
    이후,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순번에 따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 2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것은, 상기 표시유닛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정렬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2. 제 1항에 기재된 조립 블록을 복수 가지는 표시유닛의 제어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인접하는 다른 조립 블록과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이 구성되어, 이들 복수의 조립 블록이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의 일방의 단부를 구성하는 조립 블록으로 상기 제 1 데이터 세트, 상기 제 1 커맨드 및 상기 제 2 커맨드를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33. 제 32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립 블록은, 상기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의 전기적 접속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유닛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기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전기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을 통해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포함되는 제어유닛의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 블록의 제어유닛은, 상기 전기적 접속유닛의 접속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조립 블록에 대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으로부터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여, 복수의 조립 블록의 연결상황을 나타내는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세트를 송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하는 기능은, 상기 송신하는 기능에,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대하여,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세트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 4 커맨드를 송신시킨 후,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각각의 제 2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 4 커맨드에 계속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포함되는 조립 블록의 순번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생성하는 기능은, 상기 제 2 데이터 세트를 수신한 순번에 따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표시유닛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데이터 세트를 상기 연결 재현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정렬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발광그룹에 송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7027068A 2007-05-28 2008-05-28 조립 블록 및 표시 시스템 KR101522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40089 2007-05-28
JP2007140092 2007-05-28
JPJP-P-2007-140092 2007-05-28
JP2007140089 2007-05-28
PCT/JP2008/059843 WO2008146860A1 (ja) 2007-05-28 2008-05-28 組立ブロックおよび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925A KR20100017925A (ko) 2010-02-16
KR101522355B1 true KR101522355B1 (ko) 2015-05-21

Family

ID=4007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068A KR101522355B1 (ko) 2007-05-28 2008-05-28 조립 블록 및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2123B2 (ko)
EP (1) EP2163811B1 (ko)
JP (1) JP5081907B2 (ko)
KR (1) KR101522355B1 (ko)
CN (1) CN101802490B (ko)
HK (1) HK1146106A1 (ko)
WO (1) WO2008146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3482B2 (ja) 2008-06-03 2016-12-14 トウィードルテック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インテリジェントボード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駒、インテリジェントボードゲームシステムを操作する方法、インテリジェントボードゲームをプレイする方法
US9649551B2 (en) 2008-06-03 2017-05-16 Tweedletech, Llc Furniture and building structures comprising sensor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one or more objects
WO2012033863A1 (en) 2010-09-09 2012-03-15 Tweedletech, Llc A board game with dynamic characteristic tracking
WO2012033862A2 (en) 2010-09-09 2012-03-15 Tweedletech, Llc A multi-dimensional game comprising interactive physical and virtual components
US8602857B2 (en) 2008-06-03 2013-12-10 Tweedletech, Llc Intelligent board game system with visual marker based game object tracking and identification
US8974295B2 (en) * 2008-06-03 2015-03-10 Tweedletech, Llc Intelligent game system including intelligent foldable three-dimensional terrain
US8602833B2 (en) 2009-08-06 2013-12-10 May Patents Ltd. Puzzle with conductive path
US20110207503A1 (en) * 2010-02-19 2011-08-25 Ruperto Netzer A Facilitating assisted gps and other network services in mobile phones across disparate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EP2714223B1 (en) * 2011-05-23 2015-07-01 Lego A/S Generation of building instructions for construction element models
US9597607B2 (en) 2011-08-26 2017-03-21 Littlebits Electronics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019718B2 (en) 2011-08-26 2015-04-28 Littlebits Electronics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330714B2 (en) 2011-08-26 2022-05-10 Sphero,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847378A1 (en) * 2012-02-17 2013-08-22 Technology One, Inc. Baseplate assembly for use with toy pieces
WO2013124770A1 (en) * 2012-02-23 2013-08-29 Koninklijke Philips N.V. Luminaire module and lighting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luminaire modules
US8974077B2 (en) 2012-07-30 2015-03-10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Heat sink for LED light source
US9047791B2 (en) 2013-03-16 2015-06-02 Adti Media, Llc. Sign construction with sectional sign assemblies and installation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210778B2 (en) 2013-03-16 2019-02-19 Adti Media Llc Sign construction with sectional sign assemblies and installation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8929083B2 (en) 2013-03-16 2015-01-06 ADIT Media, LLC Compound structural frame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efficient retrofitting
US9852666B2 (en) 2013-03-16 2017-12-26 Adti Media Llc Full height sectional sign assembly and installation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8824125B1 (en) 2013-03-16 2014-09-02 ADTI Media, LLC Modular installation and conversion kit for electronic sign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761157B2 (en) 2013-03-16 2017-09-12 Adti Media Llc Customized sectional sign assembly kit and method of using kit for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same
JP6324716B2 (ja) 2013-12-26 2018-05-1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ブロック、ブロック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195281B2 (en) 2013-12-31 2015-11-24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US9582237B2 (en) 2013-12-31 2017-02-28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Modular display panels with different pitches
US20150187237A1 (en) 2013-12-31 2015-07-02 Ultravision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JP6196915B2 (ja) * 2014-02-18 2017-09-1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ブロック、ブ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ブロック間電力供給方法
US9592443B2 (en) 2014-03-11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store for a modular assembly system
US10188939B2 (en) * 2014-03-11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construction for interacting with software
US9703896B2 (en) 2014-03-11 2017-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on of custom modular objects
US10150043B2 (en) 2014-03-11 2018-12-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smart beads
US9555326B2 (en) 2014-03-11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ing system for modular toys
US9311847B2 (en) 2014-07-16 2016-04-12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Display system having monitoring circuit and methods thereof
US10047940B2 (en) * 2015-04-25 2018-08-14 Dawson I. Grunzweig Removably connectable units for power, light, data, or other functions
US11007450B2 (en) * 2015-12-22 2021-05-18 Leigh M. Rothschil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building blocks and then displaying on a smart device the correct and/or alternative ways to assemble the blocks
US10773179B2 (en) * 2016-09-08 2020-09-15 Blocks Rock Llc Method of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tructured block play
JP6984158B2 (ja) * 2017-04-24 2021-12-17 凸版印刷株式会社 Arマーカー付き立体物、arマーカーシステム及びarマーカーサーバ
RU177479U1 (ru) * 2017-07-07 2018-02-26 Анастасия Сергеевна Чепрасова Многослойный объемный реклам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модуль
TWI650633B (zh) * 2017-10-06 2019-02-11 財團法人國家實驗研究院 模組化電子組合裝置
JP6584576B2 (ja) * 2018-04-11 2019-10-0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ブロック、ブ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CN108510860B (zh) * 2018-04-16 2019-08-09 蒋灵茜 一种教学用模型搭建结构
CN109011639B (zh) * 2018-08-03 2021-06-22 合肥爱哆梦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训练儿童线条图像识别能力的积木及系统和方法
WO2020121189A1 (en) * 2018-12-14 2020-06-18 Building Blocks Learning Solutions Pvt. Ltd Modular robotic system and methods for configuring robotic module
JP6539000B1 (ja) * 2019-02-13 2019-07-03 株式会社白紙とロック 複数個体の数値演算システム、数値演算方法、プログラム
US11616844B2 (en) 2019-03-14 2023-03-28 Sphero, Inc. Modular electronic and digital build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D977027S1 (en) 2020-05-27 2023-01-31 Mattel-Mega Holdings (Us), Llc Construction set 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548A (en) * 1971-01-18 1972-10-10 Kinetic Technologies Inc Educational building toy modules with interior lights and mechanical connections acting as circuit clos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075U (ko) * 1985-05-27 1986-12-04
JPH083024Y2 (ja) 1985-05-27 1996-01-29 タキロン株式会社 発光体素子保持ブロック
JPH0740444B2 (ja) 1990-09-13 1995-05-01 株式会社佐々木電機製作所 信号表示灯
JPH05189349A (ja) * 1992-01-09 1993-07-30 Nec Ibaraki Ltd チャネル優先判定回路
JP3827253B2 (ja) 1996-10-09 2006-09-27 株式会社システムワット 組立ブロック及び組立式玩具システム
DE19853424A1 (de) * 1998-10-27 2000-06-08 Friedrich Hans Josef Leuchtdiode mit besonderen Fähigkeiten / Baustein - Leuchtdiode
WO2000045925A1 (en) * 1999-02-04 2000-08-10 Lego A/S A programmable toy with communication means
US6741245B1 (en) * 1999-04-23 2004-05-2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decorating a virtual model
JP3851174B2 (ja) * 2001-01-25 2006-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発光ユニット、発光ユニット組合せ体、および照明装置
US6891200B2 (en) * 2001-01-25 2005-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ght-emitting unit, light-emitting unit assembly, and lighting apparatus produced us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units
JP2002311881A (ja) * 2001-04-19 2002-10-25 Nichia Chem Ind Ltd 画像表示装置
CN1191641C (zh) * 2001-04-27 2005-03-02 株式会社利达特 Led发光装置
EP1393599B1 (en) 2001-05-30 2010-05-05 Philips Solid-State Lighting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a networked lighting system
JP2003150119A (ja) * 2001-08-27 2003-05-23 Horon Kk Led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
GB0219435D0 (en) 2002-08-21 2002-09-25 Cambridge Display Tech Ltd Interconnectable building blocks
JP4286083B2 (ja) 2003-07-09 2009-06-24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発光装置
US7316567B2 (en) * 2003-08-01 2008-01-08 Jennifer Chia-Jen Hsieh Physical programming to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548A (en) * 1971-01-18 1972-10-10 Kinetic Technologies Inc Educational building toy modules with interior lights and mechanical connections acting as circuit clo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4833A1 (en) 2011-03-31
KR20100017925A (ko) 2010-02-16
JPWO2008146860A1 (ja) 2010-08-19
US8932123B2 (en) 2015-01-13
CN101802490B (zh) 2012-09-19
EP2163811A1 (en) 2010-03-17
WO2008146860A1 (ja) 2008-12-04
EP2163811A4 (en) 2012-02-01
CN101802490A (zh) 2010-08-11
HK1146106A1 (en) 2011-05-13
JP5081907B2 (ja) 2012-11-28
EP2163811B1 (en)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55B1 (ko) 조립 블록 및 표시 시스템
US7102601B2 (en) Pixel module for use in a large-area display
TWI278794B (en) A display pixel module for use in a configurable large-screen display application and display with such pixel modules
CN101129094B (zh) 具有用于控制发光元件的光导总线的电子装置
TWI679919B (zh) 燈具控制系統及燈具控制方法
US10436401B2 (en) Electronic candle lamp and light-emitting diode (LED) lamp
US8410702B2 (en)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an adapter with a function block shot
US20110074300A1 (en) Structure of an led decoration lamp
US8564223B2 (en) Light programmable apparatus with light programmable lamp, setting device, and main structure
CN101603661B (zh) 可切换式火焰灯
JP2009010363A (ja) 発光システム
WO2009109131A1 (zh) 一种三维显示系统及其显示控制方法
CN210443245U (zh) 一种基于多条单线传输的显示驱动系统及照明设备
JP2009009937A (ja) 発光装置
US20020190921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KR101846789B1 (ko) 발광 블록 및 이를 갖는 발광 시스템
KR101000799B1 (ko) 빛연출장치
JP2007305304A (ja) 発光装置
JP2008052238A (ja) 発光モジュール配列表示装置
KR100798022B1 (ko) 서로 다른 발광색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2차원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CN220356515U (zh) 一种可实时自校准的光源色卡
CN210170822U (zh) 一种可拼接、可编程的发光线立体组件
CN218886771U (zh) 一种除湿机炫彩数码显示屏
CN219832077U (zh) 发光组件及电子相框
US11143831B2 (en) Light-emitting row-type connection lin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