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536B1 -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36B1
KR101521536B1 KR1020120134874A KR20120134874A KR101521536B1 KR 101521536 B1 KR101521536 B1 KR 101521536B1 KR 1020120134874 A KR1020120134874 A KR 1020120134874A KR 20120134874 A KR20120134874 A KR 20120134874A KR 101521536 B1 KR101521536 B1 KR 10152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case
medium housing
suppor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531A (ko
Inventor
김필집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하우징과,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와,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 후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은, 상기 저장매체가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저장매체지지부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힘에 의하여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레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Digital video recorder}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소스원에서 촬영되거나 감지된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근래에는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촬상장치가 개발됨으로써 촬상된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에 설치되는 촬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유닛,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이때, 저장유닛은 일반적으로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저장유닛은 케이스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유닛이 파손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결합부재를 제거하여 저장유닛을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의 경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84964호(발명의 명칭 : DVR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출원인 : ㈜비전마루)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84964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스로부터 저장매체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하우징과,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와,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 후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은, 상기 저장매체가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저장매체지지부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힘에 의하여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레버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바디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연장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제 1 탄성부와,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제 2 탄성부와, 상기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탄성부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저장매체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포터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저장매체하우징 및 저장매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매체를 저장매체하우징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저장매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고 분해할 수 있으며, 추가 작업 후 손십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매체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장매체하우징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매체, 저장매체하우징 및 케이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메인프레임(111)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내부의 공간을 폐쇄시키는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1)은 내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벤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딩부는 후술할 저장매체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저장매체하우징(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1)은 후술할 걸림돌기(미도시)가 걸리도록 걸림턱(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11b)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메인프레임(1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메인프레임(111) 및 커버(112)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케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11) 및 커버(112)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하우징(120)은 케이스(110)에 슬라이딩하도록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저장매체하우징(12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매체(130)는 내부에 데이터 등을 기록하는 저장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저장매체바디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매체바디부에는 후술할 저장매체결합부(150)가 삽입되도록 저장매체결합부삽입홈 또는 저장매체결합부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130)는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 Hard disk driver) 또는 에스에스디(SSD, Solid state dis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저장매체(130)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저장매체하우징(120)이 케이스(110)에 결합한 후 저장매체하우징(1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140)는 저장매체(130)가 삽입된 저장매체하우징(120)이 완전히 케이스(110) 내부로 진입한 후 케이스(110)에 설치됨으로써 저장매체하우징(12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서포터(140)는 저장매체하우징(120)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저장매체하우징(120)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지지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40)가 케이스(110)에 결합하는 경우 케이스(11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터(140)는 메인프레임(111)의 저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서포터(140)는 메인프레임(111)에 삽입되는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는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의 끝단에는 메인프레임(111)에 걸리도록 제 1 결합돌기(141a) 및 제 2 결합돌기(143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40)는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를 연결하는 연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42)는 메인프레임(1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결정돌기(111a)가 삽입되도록 위치결정돌기삽입홀(142a)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서포터(140)가 메인프레임(111)의 상측 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진입하여 결합할 때, 위치결정돌기(111a)는 위치결정돌기삽입홀(142a)에 삽입되어 서포터(14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돌기(111a)는 서포터(140)가 메인프레임(111)에 결합한 후 서포터(140)가 저장매체하우징(120)에 의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매체하우징(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매체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장매체하우징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저장매체하우징(120)은 저장매체(130)가 삽입되며, 케이스(110)에 결합하는 바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저장매체(13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21)는 저장매체(130)를 지지하도록 저장매체(13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저장매체지지부(12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지지부(121a)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저장매체지지부(121a)는 바디부(12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바디부(121)의 저면으로부터 절곡됨으로써 저장매체지지부(121a)의 상면이 바디부(121)의 저면과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21)의 저면에는 메인프레임(111)의 상기 벤딩부가 삽입되도록 벤딩부삽입홀(121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딩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11)의 저면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벤딩부삽입홀(121e)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부(121)에는 저장매체(130)가 삽입되어 안착할 때 저장매체(130)의 위치를 결정하는 저장매체위치결정부(121f)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매체위치결정부(121f)는 바디부(121)의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저장매체위치결정부(121f)는 저장매체(130)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게 형성됨으로써 저장매체(130)의 안착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저장매체하우징(120)은 케이스(11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2)는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걸림돌기(122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2)는 걸림돌기(122b)와 연결되어 바디부(121)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부바디(122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매체하우징(120)은 지지부(1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디부(121)에 삽입되어 지지부(122)를 고정시키는 연장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고정부(123)는 지지부바디(122a)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고정부(123)는 걸림돌기(122b)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고정부(12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연장고정부(123) 사이에는 걸림돌기(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고정부(123)의 일단에는 고정홈(12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123a)은 바디부(121)에서 돌출된 제 1 돌기(121b)가 삽입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장고정부(123)는 바디부(121)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21)에는 고정돌기(123b)가 삽입되는 고정돌기삽입홀(121c)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장고정부(123)는 고정홈(123a)과 제 1 돌기(121b)가 서로 결합하고, 고정돌기(123b)가 고정돌기삽입홀(121c)에 결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지지부(122)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매체하우징(120)은 지지부(122)와 연결되며, 외부의 힘에 의하여 걸림돌기(122b)를 케이스(110)로부터 분리시키는 레버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버부(125)는 지지부(122)와 열융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125)는 저장매체(130)를 저장매체결합부(1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저장매체(130)가 저장매체하우징(120)에 결합된 후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매체(130), 저장매체하우징(120) 및 케이스(11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저장매체(130)를 저장매체하우징(120)에 결합하기 위하여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준비한 후 저장매체(130)를 도 2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30)가 저장매체하우징(120)에 삽입되는 경우 저장매체(130)는 바디부(1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130)는 바디부(12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저장매체(130)의 모서리는 저장매체위치결정부(121f)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30)가 저장매체위치결정부(121f)에 정확하게 안착하면, 저장매체(130)는 저장매체지지부(121a)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저장매체(130)는 저장매체지지부(121a)에 의하여 탄성 지지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저장매체(1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30)가 저장매체하우징(120)에 삽입된 후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케이스(1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케이스(110)에 도 2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케이스(110)에 삽입하면, 케이스(110)의 벤딩부(111c)는 벤딩부삽입홀(121e)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케이스(1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걸림돌기(122b)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걸림턱(111b)의 걸릴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22b)는 걸림턱(111b)에 일부가 걸림으로써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케이스(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하우징(120)이 케이스(110)와 결합하면, 케이스(110)에 서포터(1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서포터(14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매체하우징(120)의 일단을 구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에 힘을 가한 후 위치결정돌기(111a)와 위치결정돌기삽입홀(142a)을 정렬시켜 케이스(1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는 형태가 가변하여 케이스(110)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하여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가 케이스(110)로 삽입된 후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는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돌기(141a) 및 제 2 결합돌기(143a)는 각각 케이스(110)에 걸림으로써 서포터(140)가 케이스(1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140)는 저장매체하우징(120)이 케이스(110)에 고정된 후 외력에 의하여 저장매체하우징(120)이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된 저장매체(130) 및 저장매체하우징(120)의 경우 저장매체(130)를 교체하거나 수리 등을 위하여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11)으로부터 후면케이스(110)를 분리한 후, 서포터(140)를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여 저장매체하우징(120)을 분리하기 쉽도록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서포터(140)를 분리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에 힘을 가하면 제 1 결합돌기(141a) 및 제 2 결합돌기(143a)는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탄성부(141) 및 제 2 탄성부(143)를 케이스(110)에 형성된 삽입홀로부터 인출하여 서포터(14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포터(140)가 분리된 후 저장매체하우징(120)을 메인프레임(111)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하우징(120)은 메인프레임(111)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메인프레임(111)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인출할 때 레버부(125)를 후면(도 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버부(125)를 후면으로 가력하는 경우 걸림돌기(122b)는 케이스(110)의 걸림턱(111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레버부(125)에 힘을 가하는 경우 레버부(125)는 지지부(122)에 융착된 상태로 운동함으로써 지지부(122)와 융착된 레버부(125) 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버부(125)를 통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레버부(125)는 지지부(122)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2)는 레버부(125)와 함께 회동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돌기(121b)가 삽입된 고정홈(123a)과 연장고정부(123)는 지지부(122)가 레버부(12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돌기(121b)는 고정홈(123a)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연장고정부(123)는 바디부(1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버부(125)를 통하여 걸림돌기(122b)를 걸림턱(111b)으로부터 분리된 후 저장매체하우징(120)을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의 벤딩부(111c)는 벤딩부삽입홀(121e)로부터 인출되어 저장매체하우징(120)은 케이스(110)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커버(112)를 개방하지 않고도 저장매체(13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서포터(14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저장매체하우징(120) 및 저장매체(1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100)는 저장매체(130)를 저장매체하우징(120)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저장매체(130)를 간편하고 신속하고 분해할 수 있으며, 추가 작업 후 손십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110 : 케이스
111 : 메인 프레임
112 : 커버
113 : 전면 케이스
120 : 저장매체하우징
121 : 바디부
122 : 지지부
123 : 연장고정부
125 : 레버부
130 : 저장매체
140 : 서포터
141 : 제 1 탄성부
142 : 연결부
143 : 제 2 탄성부

Claims (3)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하우징;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저장매체; 및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 후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은,
    상기 저장매체가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매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저장매체지지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지지부;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인출 시 상기 지지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힘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레버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하우징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바디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연장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제 1 탄성부;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제 2 탄성부; 및
    상기 제 1 탄성부 및 상기 제 2 탄성부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KR1020120134874A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KR10152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74A KR101521536B1 (ko)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74A KR101521536B1 (ko)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31A KR20140067531A (ko) 2014-06-05
KR101521536B1 true KR101521536B1 (ko) 2015-05-19

Family

ID=5112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874A KR101521536B1 (ko)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445A (ja) * 1993-08-16 1995-03-03 Toshiba Corp ディスク記憶装置の保護ケース及び外付け用ディスク記憶ユニット
KR20070000785U (ko) * 2007-05-23 2007-07-10 세풍정밀공업 주식회사 진동방지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445A (ja) * 1993-08-16 1995-03-03 Toshiba Corp ディスク記憶装置の保護ケース及び外付け用ディスク記憶ユニット
KR20070000785U (ko) * 2007-05-23 2007-07-10 세풍정밀공업 주식회사 진동방지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31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576B2 (en) Chassis module for fixing electronic devices
US8730386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metal main frame as assembly basis
JP2008016167A (ja) 着脱式ハードディスクを有する携帯用電子機器
CN104717411A (zh) 摄像设备及其把持部
JP2008258750A (ja) 薄型表示装置の組付け構造、および薄型テレビジョン
KR101521536B1 (ko)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JP4129801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外筐構造
JP4662165B2 (ja) 電子機器
US741216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barrel
JP2009273111A (ja) 撮像装置
JP2020154056A (ja) 接続装置、筐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273111A5 (ko)
JP2007174585A (ja) クレードル装置
JP4797955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60238725A1 (en) Proje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modular device
JP2009069380A (ja) 撮像装置
JP2010206594A (ja) カメラボディ、撮像ユニット、撮像システム、その撮像ユニットのカメラボディに対する着脱方法、その撮像ユニットのカメラボディに対する装着方法、その撮像ユニットのカメラボディに対する抜き取り方法
JP2005276331A (ja) ガイドシャフトの保持機構及びそのガイドシャフトの保持機構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2010039430A (ja) アクセサリー用取付具及び撮像装置
JP3356410B2 (ja) 本体に連結され本体と配線コードで電気的に接続されるモニター体の連結構造
JP2007328866A (ja) 電子機器
JP20121597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撮影用光学装置
US20140036424A1 (en) Mounting structure of removable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at mounting structure
JP2010060600A (ja) プロジェクタ設置装置
KR200334204Y1 (ko) Dv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