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409B1 -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균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균 검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1409B1 KR101521409B1 KR1020150007249A KR20150007249A KR101521409B1 KR 101521409 B1 KR101521409 B1 KR 101521409B1 KR 1020150007249 A KR1020150007249 A KR 1020150007249A KR 20150007249 A KR20150007249 A KR 20150007249A KR 101521409 B1 KR101521409 B1 KR 1015214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anthamoeba
- candida
- keratitis
- aspergillus
- det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6—Ophthalmolo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아메바성 각막염에 감염된 안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제작에 기반이 된 아스퍼질러스 속 (Aspergillus sp.)에 속하는 진균들의 18S rDNA 상의 유전자 배열 및 종 상호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제작에 기반이 된 푸사리움 속(Fusarium sp.)에 속하는 진균들의 28S rDNA 상의 유전자 배열 및 종 상호간의 유사성을 나타내고 있는 DNA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서열번호 5과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제작에 기반이 된 칸디다 속 (Candida sp.) 에 속하는 진균들의 18S rDNA 상의 유전자 배열 및 종 상호간의 유사성을 나타내고 있는 DNA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서열번호 7과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제작에 기반이 된 가사아메바 속 (Acanthamoeba sp.)에 속하는 가시아메바들의 18S rDNA 상의 유전자 배열 및 종 상호간의 유사성을 나타내고 있는 DNA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아스퍼질러스 진균을 감별 할 수 있는 서열번호 1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2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총 12 종의 진균 및 아메바 DNA에 대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고 PCR 증폭산물을 전기영동 방법으로 한천겔 상에서 확인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M;DNA marker(100bp ladder), Af;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Ani;아스퍼질러스 니두란스(Aspergillus nidulans), An;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Fs;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Fo;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Ca; (Candida albicans), Cp;칸디다 파라시로시스(Candida parapsilosis), Ck;칸디다 크루시(Candida krusei), Cg;칸디다 그라브라타(Candida glabrata), Ct;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C;PCR control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 (Trichomonas vaginalis), Ac;가시아메바 카스텔라니 (Acanthamoeba castellnii), N;negative control(증류수)).
도 8은 푸사리움 진균을 감별 할 수 있는 서열번호 3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4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총 12 종의 진균 및 아메바 DNA에 대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고 PCR 증폭산물을 전기영동 방법으로 한천겔 상에서 확인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M;DNA marker(100bp ladder), Fs;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Fo;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Ca; (Candida albicans), Af;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Ani;아스퍼질러스 니두란스(Aspergillus nidulans), An;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Cp;칸디다 파라시로시스(Candida parapsilosis), Ck;칸디다 크루시(Candida krusei), Cg;칸디다 그라브라타(Candida glabrata), Ct;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C;PCR control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 (Trichomonas vaginalis), Ac;가시아메바 카스텔라니 (Acanthamoeba castellnii), N;negative control(증류수)).
도 9는 칸디다 진균을 감별 할 수 있는 서열번호 5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6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총 12 종의 진균 및 아메바 DNA에 대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고 PCR 증폭산물을 전기영동 방법으로 한천겔 상에서 확인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M;DNA marker(100bp ladder), Ca; (Candida albicans), Cp;칸디다 파라시로시스(Candida parapsilosis), Ck;칸디다 크루시(Candida krusei), Cg;칸디다 그라브라타(Candida glabrata), Ct;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Fs;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Fo;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Af;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Ani;아스퍼질러스 니두란스(Aspergillus nidulans), An;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C;PCR control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 (Trichomonas vaginalis), Ac;가시아메바 카스텔라니 (Acanthamoeba castellnii), N;negative control(증류수)).
도 10은 가시아메바를 감별 할 수 있는 서열번호 7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총 5 종의 진균 및 아메바 DNA에 대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고 PCR 증폭산물을 전기영동 방법으로 한천겔 상에서 확인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M;DNA marker(100bp ladder)).
도 11은 본 발명의 특이도 검사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과 관계없는 사람의 각막 절편에서 추출한 인체 DNA (Cornea), 헤르페스 바이러스 유형 I(Herpes simplex virus type I), Chlamydia의 DNA에 대해 본 발명의 특이도를 확인한 도면이다(M;DNA marker(100bp ladder)).
도 13은 본 발명의 민감도를 연속적으로 희석한 각 진균과 아메바의 DN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제 환자의 검체를 가지고 본 발명의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속 (genus) | 종 (species) | NCCP 번호 | 구입처 |
푸사리움 Fusarium sp. |
F. solani | 20695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F. oxysporum | 20414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sp. | A. fumigatus | 22455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A. niger | 20529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A. nidulans | 20430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칸디다 Candida sp. |
C. albicans | 30673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C. parapsilosis | 30732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C. tropicalis | 30262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C. krusei | 30755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C. glabrata | 30939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
속 (genus) | 종 (species) | ATCC 번호 | 구입처 |
가시아메바 Acanthamoeba |
A. castellnii | 30011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A. lugdunensis | 50240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
A. polypaga | 30871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
A. quina | 50241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
A. rhysodes | 30973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
A. triangularis | 50254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
A. culbertsoni | 30171 |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 |
진균 속 (genus) | 서열번호 | 염기서열 | 결합위치 |
아스퍼질러스 Aspergillus sp. |
1 | 5'-GACTATCGGCTCAAGCCGATGIIIIIGCGCGGCA-3' | 1347-1380 |
2 | 5'-TCCGGCTCTGGGGAGTCGIIIIIAACTCTCCTGAG-3' | 1647-1681 |
진균 속(genus) | 서열번호 | 염기서열 | 결합위치 |
푸사리움 Fusarium sp. |
3 | 5AGAGCCCCGTCTGGTTGGACACIIIIICTCTGTAAA-3 | 147-182 |
4 | 5GGGGAGAACCCCGGATIIIIIACCAAGCCCAAG-3 | 366-398 |
진균 속 (genus) | 서열번호 | 염기서열 | 결합위치 |
칸디다 Candida sp. |
5 | 5-GGACGTTTTCATTAATCAAGAAIIIIIGTTAGGGG-3 | 833-867 |
6 | 5-AGCAAATGCTAGCAGCAIIIIITAGTAGGTTAAGG-3 | 1212-1246 |
아메바 속 (genus) | 서열번호 | 염기서열 | 결합위치 |
가시아메바 Acanthamoeba |
7 | 5'-TGCGGGGTGGTGTCGCTTIIIIICGACGTCAT-3' | 1704-1735 |
8 | 5'-CAATCGACTTCGCCGCCAAAIIIIIAGACCTCAC-3' | 2187-2220 |
원충 속(genus) | 서열번호 | 염기서열 | 결합위치 |
트리코모나스 Trichomonas |
9 | 5'-CGTCAAATTGTATTGGAGAGIIIIIGAGTTAGGTCAG-3' | 1152 - 1188 |
10 | 5'-GCCGTCTTCAAGTATGCCCCIIIIITTACGCTTGG-3' | 1883 - 1917 |
반응 조성 (최종 부피가 20 인 경우) |
반응 조건 | |
10 X buffer 2.0 2mM dNTP 1.6 Primer mixture 2.0 Taq polymerase 1.0 정제 DNA 2.0 (0.5 ng) 멸균 증류수 11.4 |
온도, 시간 | Cycle |
94, 5 분 | 1 | |
94, 30 초 | 35 | |
60, 45 초 | ||
72, 45 초 | ||
72, 5 분 | ||
4, 무한대 | 1 |
Claims (16)
-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sp.) 진균 검출용 제 1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푸사리움 속(Fusarium sp.) 진균 검출용 제 2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칸디다 속(Candida sp.) 진균 검출용 제 3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가시아메바 속(Acanthamoeba sp.) 균 검출용 제 4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sp.) 진균은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및 아스퍼질러스 니두란스(Aspergillus nidulan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사리움 속(Fusarium sp.) 진균은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및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디다 속(Candida sp.)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파라시로시스(Candida parapsilosi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칸디다 크루시(Candida krusei) 및 칸디다 그라브라타(Candida glabrat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아메바 속(Acanthamoeba sp.) 균은 아칸타아메바 카스텔라니 (Acanthamoeba castellnii), 아칸타아메바 룩두넨시스(Acanthamoeba lugdunensis), 아칸타아메바 폴리파가(Acanthamoeba polypaga), 아칸타아메바 퀴나(Acanthamoeba quina), 아칸타아메바 리소데스(Acanthamoeba rhysodes), 아칸타아메바 트리앵귤라리스(Acanthamoeba triangularis) 및 아칸타아메바 컬버트소니(Acanthamoeba culbertson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PCR)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sp.) 진균 검출용 제 1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푸사리움 속(Fusarium sp.) 진균 검출용 제 2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칸디다 속(Candida sp.) 진균 검출용 제 3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가시아메바 속(Acanthamoeba sp.) 균 검출용 제 4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키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염 원인체는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니두란스(Aspergillus nidulans),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파라시로시스(Candida parapsilosi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칸디다 크루시(Candida krusei), 칸디다 그라브라타(Candida glabrata), 아칸타아메바 카스텔라니 (Acanthamoeba castellnii), 아칸타아메바 룩두넨시스(Acanthamoeba lugdunensis), 아칸타아메바 폴리파가(Acanthamoeba polypaga), 아칸타아메바 퀴나(Acanthamoeba quina), 아칸타아메바 리소데스(Acanthamoeba rhysodes), 아칸타아메바 트리앵귤라리스(Acanthamoeba triangularis) 및 아칸타아메바 컬버트소니(Acanthamoeba culbertson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키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각막염 원인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키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여러 각막염 원인체에 의해 중복 감염된 환자의 검체로부터 여러 각막염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용 키트.
- a) 인체에서 분리된, 각막염 원인체에 감염된 환자의 검체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
b) a)단계에서 추출한 DNA를 서열번호 1 내지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실시하는 단계;
c) b)단계에서 수득된 PCR 산물로 전기영동을 실시하는 단계; 및
d) c)단계의 전기영동에서 나타난 PCR 산물의 크기에 따라 각막염 원인체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효소연쇄반응은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multiplex P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각막염 원인체는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니두란스(Aspergillus nidulans),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파라시로시스(Candida parapsilosi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칸디다 크루시(Candida krusei), 칸디다 그라브라타(Candida glabrata), 아칸타아메바 카스텔라니 (Acanthamoeba castellnii), 아칸타아메바 룩두넨시스(Acanthamoeba lugdunensis), 아칸타아메바 폴리파가(Acanthamoeba polypaga), 아칸타아메바 퀴나(Acanthamoeba quina), 아칸타아메바 리소데스(Acanthamoeba rhysodes), 아칸타아메바 트리앵귤라리스(Acanthamoeba triangularis) 및 아칸타아메바 컬버트소니(Acanthamoeba culbertson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염의 원인체는 하기 방법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
a) PCR 산물이 335 bp(base pair) 크기이면,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sp.) 진균으로 판별하고,
b) PCR 산물이 252 bp 크기이면, 푸사리움 속(Fusarium sp.) 진균으로 판별하고,
c) PCR 산물이 414 bp 크기이면, 칸디다 속(Candida sp.) 진균으로 판별하고,
d) PCR 산물이 517 bp 크기이면, 가시아메바 속(Acanthamoeba sp.) 균으로 판별한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은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인체에서 분리된, 상기 각막염 원인체에 감염된 환자의 검체는 환자의 안구 세척액 또는 각막찰과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염 원인체 검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249A KR101521409B1 (ko) | 2015-01-15 | 2015-01-15 |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균 검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249A KR101521409B1 (ko) | 2015-01-15 | 2015-01-15 |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균 검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1409B1 true KR101521409B1 (ko) | 2015-05-18 |
Family
ID=5339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7249A Active KR101521409B1 (ko) | 2015-01-15 | 2015-01-15 |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균 검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140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3383B1 (ko) * | 2018-12-13 | 2020-03-25 | 대한민국 | 곡물 종자의 아스퍼질러스 속 균의 오염 확인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
KR20210097507A (ko) * | 2020-01-30 | 2021-08-0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Ipnh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WO2021157907A1 (ko) * | 2020-02-06 | 2021-08-1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리스메이트 뮤테이즈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KR102546048B1 (ko) | 2022-12-29 | 2023-06-23 | 드림디엑스 주식회사 | 진균 감염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
KR20240176845A (ko) | 2023-06-15 | 2024-12-26 | 메디사피엔스 주식회사 | 병원성 진균 및 세균의 검출을 위한 다중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4736A (ko) * | 2007-06-01 | 2010-04-30 | 카운실 오브 사이언티픽 엔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 눈과 중앙 신경조직의 세균성, 균성, 기생성 및 바이러스성 감염을 동시에 검출 및 판별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
KR20120117154A (ko) * | 2011-04-14 | 2012-10-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각막염 유발 가시아메바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 가시아메바 검출 방법 |
-
2015
- 2015-01-15 KR KR1020150007249A patent/KR10152140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4736A (ko) * | 2007-06-01 | 2010-04-30 | 카운실 오브 사이언티픽 엔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 눈과 중앙 신경조직의 세균성, 균성, 기생성 및 바이러스성 감염을 동시에 검출 및 판별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
KR20120117154A (ko) * | 2011-04-14 | 2012-10-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각막염 유발 가시아메바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 가시아메바 검출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Usa Lek-Uthai et al., Experimental Parasitology. Vol.121(4), pp.342-345 (2009. 공개) *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3383B1 (ko) * | 2018-12-13 | 2020-03-25 | 대한민국 | 곡물 종자의 아스퍼질러스 속 균의 오염 확인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
KR20210097507A (ko) * | 2020-01-30 | 2021-08-0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Ipnh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KR102297546B1 (ko) | 2020-01-30 | 2021-09-0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Ipnh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WO2021157907A1 (ko) * | 2020-02-06 | 2021-08-1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리스메이트 뮤테이즈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KR20210100497A (ko) * | 2020-02-06 | 2021-08-1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리스메이트 뮤테이즈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KR102297545B1 (ko) | 2020-02-06 | 2021-09-0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리스메이트 뮤테이즈 단백질 항체를 포함하는 가시아메바성 각막염의 감별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진단 키트 |
KR102546048B1 (ko) | 2022-12-29 | 2023-06-23 | 드림디엑스 주식회사 | 진균 감염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
WO2024143780A1 (ko) * | 2022-12-29 | 2024-07-04 | 드림디엑스 주식회사 | 인공슬관절치환물주위감염 우점종 진균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KR20240176845A (ko) | 2023-06-15 | 2024-12-26 | 메디사피엔스 주식회사 | 병원성 진균 및 세균의 검출을 위한 다중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1409B1 (ko) | 진균성 및 아메바성 각막염의 원인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균 검출 방법 | |
Jones et al. | Comparison of PCR detection methods for B1, P30, and 18S rDNA genes of T. gondii in aqueous humor | |
Sugita et al. | Detection of Candida and Aspergillus species DNA using broad-range real-time PCR for fungal endophthalmitis | |
JP2004201641A (ja) | 真菌検出方法 | |
Gajjar et al. | Microscopic evaluation, molecular identification, antifungal susceptibility, and clinical outcomes in fusarium, Aspergillus and, dematiaceous keratitis | |
Tananuvat et al. | Prospective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microbial work-up vs PCR in the diagnosis of fungal keratitis | |
Alshehri et al. | Evaluation of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spergillus species causing fungal keratitis | |
CN112980997B (zh) | 侵袭性毛霉病病原菌的引物和探针及其实现方法、检测系统 | |
Ge et al. | Rapid and sensitive diagnosis of Acanthamoeba keratitis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
Dhib et al. | Evaluation of Chitine synthase (CHS1)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in diagnosis of dermatophyte onychomycosis | |
CN102251055A (zh) | 基于环介导等温扩增技术检测镰刀菌的引物及试剂盒 | |
CN101928771A (zh) | 一种鸡球虫种类快速鉴定的多重pcr方法及试剂盒 | |
CN113897422A (zh) | 一种用于检测致病毛霉菌的多重pcr引物探针组和试剂盒 | |
Kumar et al. | Sensitive and rapid polymerase chain reaction based diagnosis of mycotic keratitis through single 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 |
CN102260746A (zh) | 基于环介导等温扩增检测甘薯腐烂茎线虫的试剂盒及其应用 | |
Gomes et al. | Mycosphaerella musicola identified as the only pathogen of the sigatoka disease complex present in Minas Gerais State, Brazil | |
CN110093432B (zh) | 一种用于区分结核杆菌和BCG疫苗的sRNA标志物及其用途 | |
KR101308516B1 (ko) | 각막염 유발 가시아메바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각막염 유발 가시아메바 검출 방법 | |
JP2020516271A (ja) | Ilv3を使用した微生物の検出及び設計 | |
Velásquez et al.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ystoisospora belli and unizoite tissue cyst in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 |
Riley et al. | Detection of variable DNA repeats in diverse eukaryotic microorganisms by a single set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 |
Ghosh et al. | Evalu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ribosomal DNA sequencing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mycotic keratitis | |
JP5799007B2 (ja) | 高精度な白癬菌の検出法 | |
Jha et al. | Molecular identification of dermatophytosi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detection of source of infection by restrict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 |
CN105861727A (zh) | 用于检测3种眼科感染螺旋体的lamp引物组合及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