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797B1 -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797B1
KR101520797B1 KR1020130142356A KR20130142356A KR101520797B1 KR 101520797 B1 KR101520797 B1 KR 101520797B1 KR 1020130142356 A KR1020130142356 A KR 1020130142356A KR 20130142356 A KR20130142356 A KR 20130142356A KR 101520797 B1 KR101520797 B1 KR 10152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obd
wireless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석
모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102013014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차량에 장착된 운행정보 확인장치(OBD) 또는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저장 인터페이스에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이 장착됨으로써, 운행정보 확인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옮겨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에서 내비게이션 또는 에코드라이브와 같은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가 수행될 때 데이터 저장수단을 메모리로 이용할 수도 있어 무선 단말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정보 관리시스템{Vehicle dat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차량에 장착된 운행정보 확인장치(OBD) 또는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저장 인터페이스에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이 장착됨으로써, 운행정보 확인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옮겨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에서 내비게이션 또는 에코드라이브와 같은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가 수행될 때 데이터 저장수단을 메모리로 이용할 수도 있어 무선 단말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그 성능과 외관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점차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차세대 차량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진화에 더불어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에 연동되어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OBD, On-Board Diagnostics) 역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시스템들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결합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더불어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원격 관리가 가능한 텔레틱스 시스템의 적용도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내 시스템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나, 아직 대다수의 차량은 경고 램프를 통해 차량의 이상 중 일부 내용을 파악하는 수준이고,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차량의 소리나 주행 상황 등을 통해 차량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심각한 이상이 발생한 이후에야 차량을 정비하게 되므로 차량의 문제점을 적시에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록 이상의 발생을 인지하였다하더라도 정확히 어떠한 부분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는지를 정비소에 방문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소의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여 다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OBD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어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할 경우, 표준화된 자동차 부품명과 결함코드번호체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함 부품과 결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OBD 시스템의 인터페이스(16핀 표준 데이터 연결 커넥터)를 통해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연료탱그 압력 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를 비롯하여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된 차량이라 할지라도 실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단순히 상기 센서들에 의해 파악된 측정치의 이상에 따른 경고램프 점등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비소에서 차량을 실제 운전하면서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도 실제 운전 중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12487호(등록일 : 등록일자 2005.08.29, 명칭 :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동글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서버에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차량 운행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를 통해서는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정보에 나타나 있는 차량 결함의 구체적인 원인 파악을 위해 직접 차량을 이끌고 정비소에 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어, 차량 운전자의 적극적 차량 점검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12487호(등록일 : 등록일자 2005.08.29, 명칭 : 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된 운행정보 확인장치(OBD) 또는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저장 인터페이스에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이 장착됨으로써, 운행정보 확인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옮겨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에서 내비게이션 또는 에코드라이브와 같은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가 수행될 때 데이터 저장수단을 메모리로 이용할 수도 있어 무선 단말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은 차량 내에 탑재되어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한 OBD 정보를 획득하는 운행정보 확인장치(100)(On-Board Diagnostics: OBD);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OBD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송신하는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 및 무선 단말기(310)가 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가 장착되는 차량용 크래들(300); 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은 외장 메모리이며,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되어 상기 OBD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310)는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OBD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부; 및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 필요한 메모리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이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3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크래들(300)은 상기 무선 단말기(3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된 전원공급 커넥터(3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320)가 차량의 시거잭, 차량의 USB 단자 또는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운행정보 확인장치(OBD)와 연결된 외부저장 인터페이스에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이 장착됨으로써, 운행정보 확인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옮겨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저장 인터페이스에 장착된 데이터 저장수단이 운행정보 확인장치의 DLC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경우, DLC를 통해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에 의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전달된 센싱 값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 등)를 데이터 저장수단으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차량의 사고, 결함 등이 발생 시, 반드시 차량을 정비소까지 가져가지 않더라도, 데이터 저장수단만 정비소로 가져가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수단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저장 인터페이스가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연결됨으로써, 무선 단말기에서 내비게이션 또는 에코드라이브와 같은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가 수행될 때 데이터 저장수단을 메모리로 이용할 수도 있어 용량 과부하로 인한 데이터 손실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수단을 통해 대용량 파일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단말기가 최적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OBD 시스템의 DLC 연결 또는, USB 연결을 통해서 휴대용 단말기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할 경우, 시거잭을 다른 용도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용 크래들과 무선 단말기의 연결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정보 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들(300)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 관리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또는, 이러한 기능뿐만 아니라 DMB, MP3 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310)를 이동하는 차량의 내부의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시인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차량용 크래들(300)에 장착되는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서,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와 차량에 내장된 운행정보 확인장치(100)(On-Board Diagnostics: OBD)가 연결될 경우, 전달받은 OBD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210)에 저장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정보 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시스템(1)은 크게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 및 차량용 크래들(3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On-Board Diagnostics: OBD)는,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 통제하여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파악하는 차량 관리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에 연동되어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OBD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어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할 경우, 표준화된 자동차 부품명과 결함코드번호체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함 부품과 결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OBD 시스템의 인터페이스(16핀 표준 데이터 연결 커넥터)를 이용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차량 내부 센서를 통해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전달된 센싱 값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OBD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는 외장 하드 또는 USB 메모리와 같은 외장 메모리가 장착되어 전송된 OBD 정보가 외장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결함 등이 발생 시, 반드시 차량을 정비소까지 가져가지 않더라도, 데이터 저장수단(210)만 정비소로 가져가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수단(210)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
상기 차량용 크래들(300)은 무선 단말기(310)가 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3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면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접속 단자를 통해 무선 단말기(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크래들(300)은 상기 무선 단말기(3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된 전원공급 커넥터(3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320)가 차량의 시거잭, 차량의 USB 단자 또는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단말기(310)는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크래들(300)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다양한 기능(내비게이션, 블랙박스, DMB, MP3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320)는 차량에 구비된 시거잭과 연결되어, 상기 시거잭을 통해서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무선 단말기(310)로 전달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USB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USB 단자를 통해서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무선 단말기(3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시거잭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310)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 반드시 상기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만 전원 공급이 가능한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320)와, 상기 차량에 내장된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무선 단말기(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상태와 관계없이, 무선 단말기(310)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시거잭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무선 단말기(310)는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 필요한 메모리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이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310)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MP3, DMB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될 때, 생성되는 대용량 데이터나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전부 상기 무선 단말기(310)의 외장 메모리 또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동작 속도가 현저히 느려질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에는,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용량 이상의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무선 단말기(310)의 데이터가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데이터 저장수단(21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단말기(310)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크래들(300)의 전원공급 커넥터(320)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크래들(300)과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가 연결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310)로 전원이 공급될 경우, 차량 운전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OBD 정보를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전달하여 백업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간략히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차량정보 관리시스템(1)은 차량에 장착된 운행정보 확인장치(100)(OBD)와 연결된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210)이 장착됨으로써, 운행정보 확인장치(100)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옮겨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데이터 저장수단(210)이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의 DLC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경우, DLC를 통해 차량의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에 의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를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차량의 사고, 결함 등이 발생 시, 반드시 차량을 정비소까지 가져가지 않더라도, 데이터 저장수단(210)만 정비소로 가져가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수단(210)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가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310)와 연결됨으로써, 무선 단말기(310)에서 내비게이션 또는 에코드라이브와 같은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가 수행될 때 데이터 저장수단(210)을 메모리로 이용할 수도 있어 용량 과부하로 인한 데이터 손실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수단(210)을 통해 대용량 파일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단말기(310)가 최적화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100 : 운행정보 확인장치(OBD)
200 : 외부저장 인터페이스
210 : 데이터 저장수단
300 : 차량용 크래들
310 : 무선 단말기 320 : 전원공급부

Claims (5)

  1. 차량 내에 탑재되어 차량의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한 OBD 정보를 획득하는 운행정보 확인장치(100)(On-Board Diagnostics: OBD);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된 상기 OBD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송신하는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 및
    무선 단말기(310)가 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3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된 전원공급 커넥터(3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 커넥터(320)가 상기 운행정보 확인장치(1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가 장착되는 차량용 크래들(300);
    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3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OBD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부;
    차량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 필요한 메모리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이 사용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기설정된 용량 이상의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311);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10)은
    외장 메모리이며, 상기 외부저장 인터페이스(200)에 장착되어 상기 OBD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42356A 2013-11-21 2013-11-21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KR10152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56A KR101520797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56A KR101520797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797B1 true KR101520797B1 (ko) 2015-05-18

Family

ID=5339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356A KR101520797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220A (ko) * 2016-10-27 2018-05-08 지플레인 주식회사 전주기적 자동차 진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982A (ko) * 2006-09-25 2008-03-31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휴대폰 연동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KR20130025288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팍스 Obd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KR20140085745A (ko) * 2012-12-27 2014-07-08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obd장치 및 부가장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982A (ko) * 2006-09-25 2008-03-31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휴대폰 연동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KR20130025288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팍스 Obd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KR20140085745A (ko) * 2012-12-27 2014-07-08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obd장치 및 부가장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220A (ko) * 2016-10-27 2018-05-08 지플레인 주식회사 전주기적 자동차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6237B2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gen fueling and electric charging
US10828943B2 (en) Ty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N102830690B (zh) 一种汽车故障数据的数据处理系统
KR101433307B1 (ko) 차량 관리 및 진단 장치
US20120046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Scanner Module to Buffer and Bulk Send Vehicle Data Responsive to Network Conditions
TWI575465B (zh) Intelligent cloud car instant repair system
BRPI1103445A2 (pt) Método para fornecer informação de manutenção de veículo e serviço
TW20083695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utomotive emission data
KR20130030583A (ko) 차량용 운행정보 확인장치 및 영상 저장장치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US20180244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vehicle based on iot
US113285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vehicle
KR20130049006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427973U (zh) 基于obd-ii的车载智能终端及车载信息公共服务系统
KR20150121352A (ko)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KR20130025288A (ko) Obd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KR100866617B1 (ko)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6139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7074044A (zh) 轮胎监控系统和用于其的方法
CN205044677U (zh) 一种智能车载终端
KR101520797B1 (ko)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KR102088059B1 (ko)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553538B1 (ko)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8719A (ko) 차량 관리용 스마트키 시스템
KR20120076611A (ko) 원격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US20130211664A1 (en) Tire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