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538B1 -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538B1
KR101553538B1 KR1020130142351A KR20130142351A KR101553538B1 KR 101553538 B1 KR101553538 B1 KR 101553538B1 KR 1020130142351 A KR1020130142351 A KR 1020130142351A KR 20130142351 A KR20130142351 A KR 20130142351A KR 101553538 B1 KR101553538 B1 KR 10155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vehicle
obd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215A (ko
Inventor
손인석
모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102013014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5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차량에 내장된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OBD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100) 및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OBD 시스템(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Mobile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side the vehicle using OBD}
본 발명은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OBD 시스템과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OBD 시스템을 통해서 무선 단말기의 직접 조작 없이도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를 손쉽게 조작, 제어할 수 있고, OBD 시스템에 의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그 성능과 외관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점차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차세대 차량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진화에 더불어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에 연동되어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OBC, On-Board Diagnostics) 역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시스템들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결합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더불어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원격 관리가 가능한 텔레틱스 시스템의 적용도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내 시스템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나, 아직 대다수의 차량은 경고 램프를 통해 차량의 이상 중 일부 내용을 파악하는 수준이고,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차량의 소리나 주행 상황 등을 통해 차량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심각한 이상이 발생한 이후에야 차량을 정비하게 되므로 차량의 문제점을 적시에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록 이상의 발생을 인지하였다하더라도 정확히 어떠한 부분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는지를 정비소에 방문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소의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여 다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OBD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어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할 경우, 표준화된 자동차 부품명과 결함코드번호체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함 부품과 결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OBD 시스템의 인터페이스(16핀 표준 데이터 연결 커넥터)를 통해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연료탱그 압력 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를 비롯하여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된 차량이라 할지라도 실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단순히 상기 센서들에 의해 파악된 측정치의 이상에 따른 경고램프 점등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비소에서 차량을 실제 운전하면서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도 실제 운전 중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차량 내부에 거치 또는 장착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등의 차량 단말기들은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에 따른 기능의 복합, 확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로, 위치 안내 및 경로 안내 기능 외에,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능, MP3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등이 부가되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기능성과 편의성을 넓히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이러한 기능들이 지원되도록 하고 있다.
허나, 운전자가 무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전 집중력이 저하되어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12487호("블루투스 기반 원격모니터링에 의한 차량 운행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차체 내에 내장된 OBD 시스템과 블루투스 동글을 연결하여 차량 운행정보를 블루투스 동글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광대역망에 연결된 중앙서버에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차량 운행 정보의 효율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을 통해서는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정보에 나타나 있는 차량 결함의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해야하는 과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차량과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의 제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0512487호(등록일자 2005.08.2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OBD 시스템과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OBD 시스템을 통해서 무선 단말기의 직접 조작 없이도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를 손쉽게 조작, 제어할 수 있고, OBD 시스템에 의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차량에 내장된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OBD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100) 및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OBD 시스템(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OBD 시스템(2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OBD 시스템(2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부(130) 및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기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인증된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OBD 시스템(200)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유선 연결이 감지될 경우, 기설정된 특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은. 차량에 내장된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과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 단계(S100), 상기 OBD 시스템에서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차량 운행 정보 또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 수행 단계(S300),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로부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기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인증된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단계(S4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 연결 단계(S100)를 수행한 후, 상기 OBD 시스템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OBD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 기설정된 특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를 강제 제어하는 강제 제어 단계(S20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OBD 시스템과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인터페이스(16핀 표준 데이터 연결 커넥터)를 통해서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OBD 시스템에 의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전달된 센싱값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 등)를 무선 단말기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손쉽게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OBD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직접 무선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OBD 시스템을 통해서 손쉽게 조작,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OBD 시스템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로, 운전자가 OBD 시스템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통한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직접 조작 없이도 용이하게 제어하여,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하락으로 인한 운전 부주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100)와, 차량에 내장된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상기 OBD 시스템(200)을 통해서 상기 차량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OBD 시스템(200)을 통해서 획득한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달하여 손쉽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외부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100) 및 OBD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차량에 내장된 상기 OBD 시스템(2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OBD 시스템(2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차량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기 OBD 시스템(200)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OBD 시스템(200)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OBD 시스템(200)에 의해, 상기 차량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차량 내부 센서를 통해서 차량 내 모든 운행 정보(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전달된 센싱값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 등)는 CAN 통신을 통해서 송, 수신되고 있으며, 상기 OBD 시스템(200)에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전용 차량 진단기 없이도 용이하게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나타나 있는 차량 결함의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전용 차량 진단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운전자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나타나 있는 차량 결함의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반드시 정비소에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이 때,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전용 차량 진단기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 자체의 기능을 통해서 전용 차량 진단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부(130)를 통해서,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통신부(140)를 통해서,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또는, 상기 저장부(130)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인증된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차량의 사고, 결함 등이 발생 시, 신속하게 원인 파악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 운행 정보의 조작이 어려우므로 신뢰성 또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OBD 시스템(200)을 통해서 전달되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의 관리 외에, 외부, 즉,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서 상기 차량에 내장된 상기 OBD 시스템(200)과 연결된다. 이 때, 외부, 즉,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할 경우, CAN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OBD 시스템(200)로 전달되며, 상기 OBD 시스템(20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특정 수단을 통해서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조작으로 인한 운전 집중력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상기 차량과 연결되어 MP3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핸들에 장착되어 있는 볼륨키를 조작할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음악 볼륨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강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OBD 시스템(200)은 상기 OBD 시스템(200)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 간의 통신 연결이 유선 연결된 것으로 판단, 감지될 경우,
미리 설정된 특정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20)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강제 제어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특정 제어 신호를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설정할 경우, 상기 차량의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상기 차량, 즉, 상기 OBD 시스템(200)과 연결될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통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해 별도의 조작 동작이 필요치 않아, 운전자(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제어 신호를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연결 단계(S100), 통신 수행 단계(S300), 차량 운행 정보 관리 단계(S400) 및 무선 단말기 제어 단계(S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통신 연결 단계(S100)는 상기 차량에 내장된 상기 OBD 시스템(200)과,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C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단계(S100)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OBD 시스템(200)이 표준화된 상기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는 상기 OBD 시스템(200)에서 상기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외부, 즉,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연결 단계(S100)를 수행한 후, 강제 제어 단계(S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제 제어 단계(S200)는 상기 OBD 시스템(200)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OBD 시스템(200)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OBD 시스템(200)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미리 설정된 상기 특정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특정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부(120)로 이를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관리 단계(S400)는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차량 운행 정보가 전달될 경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정보부(13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통신부(14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저장 장치는 미리 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인증된 상기 외부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 제어 단계(S500)는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제어 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입력하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통신부(110)를 이를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무선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외부 통신부
200 :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
S100 내지 S500 : 본 발명의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

Claims (6)

  1.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서 차량에 내장된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OBD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단말기(100); 및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OBD 시스템(200);
    로 구성되며,
    상기 OBD 시스템(200)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유선 연결이 감지될 경우,
    기설정된 특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OBD 시스템(200)의 표준화된 데이터 연결 인터페이스(DLC, Data Link Connector)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OBD 시스템(2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부(130); 및
    상기 OBD 시스템(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기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인증된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1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차량에 내장된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과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 단계(S100);
    상기 OBD 시스템에서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차량 운행 정보 또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 수행 단계(S300);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로부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기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인증된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단계(S400);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수행 단계(S30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S5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연결 단계(S100)를 수행한 후,
    상기 OBD 시스템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OBD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 기설정된 특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를 강제 제어하는 강제 제어 단계(S20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방법.
  6. 삭제
KR1020130142351A 2013-11-21 2013-11-21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51A KR101553538B1 (ko) 2013-11-21 2013-11-21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51A KR101553538B1 (ko) 2013-11-21 2013-11-21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15A KR20150059215A (ko) 2015-06-01
KR101553538B1 true KR101553538B1 (ko) 2015-09-17

Family

ID=5349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351A KR101553538B1 (ko) 2013-11-21 2013-11-21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17B1 (ko) * 2017-12-18 2019-08-28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Can에 대한 안전한 디바이스 인증 및 권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15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0281B2 (en)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gen fueling and electric charging
US8706318B2 (en) Docking termi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US11989546B2 (en) Vehicle electronic control system, vehicle master device, and rewrite instruction program product under specific mode
US98055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security service
US10078924B2 (en) Maintenance management for vehicle-share systems
US10027672B2 (en) Access restriction device, on-boar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restriction
ES2541216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procesar información relativa a un vehículo
US20220179641A1 (en) Vehicle master device, vehicle electronic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setting information rewrite instruction method, and configuration setting information rewrite instruction program product
US20180244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vehicle based on iot
BRPI1103445A2 (pt) Método para fornecer informação de manutenção de veículo e serviço
US10659538B2 (en) Wireless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with external device
US113285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vehicle
KR20130049006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27457A1 (en) Wireless terminal and instruc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4956407A (zh) 车辆的远距离诊断的辅助方法
KR20150121352A (ko)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EP2892032B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locking vehicle terminal with portable terminal
KR101553538B1 (ko) Obd를 이용한 차량 내부의 무선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6200440A (zh) 智能手表车辆控制系统
KR20130088719A (ko) 차량 관리용 스마트키 시스템
KR101520797B1 (ko)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US1027087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function command between a motor vehicle and a device outside the vehicle, and interface apparatus and system
US1128423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05653289B (zh) 车载软件控制管理装置及其应用方法
KR100799298B1 (ko) 휴대용 리모컨을 이용한 차량내부 시스템의 상태정보전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