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776B1 -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 Google Patents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776B1
KR101519776B1 KR1020140005894A KR20140005894A KR101519776B1 KR 101519776 B1 KR101519776 B1 KR 101519776B1 KR 1020140005894 A KR1020140005894 A KR 1020140005894A KR 20140005894 A KR20140005894 A KR 20140005894A KR 101519776 B1 KR101519776 B1 KR 10151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uide plate
piece
groove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근
Original Assignee
정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근 filed Critical 정도근
Priority to KR102014000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Tensioning by repetetiv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부위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타측 부위에는 결합단(16)이 마련되며, 탄성수단(17)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18)가 구비되는 작동부(10)와, 각 일측 부위는 상기 결합단(16)과 체결되는 결합편(24)과, 탄성수단(26)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결합편(24)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28)가 구비되는 지지부(20)와,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축 결합되는 기어(34)가 구비되는 회전부(30)로 이루어지는 래칫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편(24)의 전면 부위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각 결합편(24)에 고정결합되는 로프가이드봉(220)이 마련되며; 상기 각 결합편(24)의 후면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가 각 결합편(24)에 체결되는 측부편(242)과 상기 각 측판(242)의 타단 부위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부편(246)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240)과, 상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서 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에 구비되어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260)이 마련되는;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A reusable rachet for fixing rope}
본 발명은 래칫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화물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로프를 안내하는 로프가이드봉과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이 마련되어 중량의 화물을 구속하는 로프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정한 다음 이를 회수함으로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래칫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특히 그 화물이 어느 정도의 하중을 가질 때는 화물 운송 중에 흐트러지거나 또는 추락하여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화물을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래칫(rachet)이다.
통상적인 래칫은 도 5a 및 도 5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작동부와 지지부, 그리고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부의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마련되고, 그 타측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17)이 마련되며, 손잡이(13)의 내측으로는 탄성수단(21)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18)가 마련된다.
지지부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작동부의 결합단(17)과 체결되는 결합편(2)과, 탄성수단(12)에 의해 작동되며 결합편(2)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11)가 구비된다. 회전부는 양측 단부부위가 작동부의 결합단(17)과 지지부의 결합편(2)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26)이 형성되는 회전축(24)과, 작동부의 결합단(17)과 지지부의 결합편(2) 각 사이에 위치하되 회전축(24)과 축 결합되는 기어(23)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래칫의 작동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지지부의 하단에 마련되는 고리(4)를 중량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 또는 적재함에 형성된 걸고리에 걸고, 컨테이너 등의 반대쪽에서 넘겨진 로프를 회전축(24)의 삽입공(26)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3)를 회전부를 기점으로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측으로 들어 올린 다음, 다시 손잡이(13)를 회전부를 기점으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하측으로 내리는 작업을 반복하면, 스톱퍼레버(18)의 단부에 기어(23)가 밀려서 회전하게 되고, 기어(23)는 회전축(24)을 회전시켜 로프를 감으면서 당기게 된다.
즉, 손잡이(13)를 상측 및 하측으로 반복하여 움직여주게 되면 기어(23)는 계속적으로 로프를 당겨 화물을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기어(23)는 록킹편(10)에 걸려서 역회전이 억제되어 로프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로프의 조임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13)를 상측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스톱퍼레버(18)를 당겨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홈(5)에 스톱퍼레버(18)의 단부를 삽입시켜 고정시킴과 동시에, 락킹편(10)을 하강시켜 손잡이(13)의 상단에 형성된 만곡된 단턱(17)에 올려지게 하면, 기어(23)의 걸림 상태가 완전히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로프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기어(23)는 역회전하면서 로프가 풀려져 빠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래칫은 중량의 화물을 운송 수단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로프의 해제 작업 역시 간편하다는 점에서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담보해주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운송과정이나 운송목적지 여하에 따라 래칫의 회수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만일, 화물의 중량이 상당하거나 화물의 부피가 매우 크거나, 또는 대량의 화물을 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많은 수의 래칫이 필요한데, 이 경우 운송 목적지가 외국이라면 래칫을 소모품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경제적인 부담이 너무 크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33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2612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69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어떠한 작업 현장이라도 로프를 이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운송수단에 고정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회수하여 언제든지 반복 재사용할 수 있는 래칫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12)의 일측 부위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몸체(12)의 타측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16)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14) 내측으로는 탄성수단(17)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18)가 구비되는 작동부(1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상기 결합단(16)과 체결되는 결합편(24)과, 탄성수단(27)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결합편(24)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28)가 구비되는 지지부(20)와, 양측 단부부위가 상기 결합단(16)과 결합편(24)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결합단(16)과 결합편(24) 각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32)과 축 결합되는 기어(34)가 구비되는 회전부(30)로 이루어지는 래칫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편(24)의 전면 부위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각 결합편(24)에 고정결합되는 로프가이드봉(220)이 마련되며; 상기 각 결합편(24)의 후면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가 각 결합편(24)에 체결되는 측부편(242)과 상기 각 측부편(242)의 타단 부위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부편(246)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240)과, 상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서 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에 구비되어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260)이 마련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가이드판(260)은, 상면에 요철부위(26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가이드판(262)과, 하면에 형성되는 요철부위(265)가 탄성수단(268)에 의해 복원력을 받으며 상기 고정가이드판(262)의 요철부위(261)와 접하는 가동가이드판(26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240)의 측부편(242) 중 어느 하나에는 로프의 거치를 위한 절개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에는,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에 대하여 펼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홈(23)과, 상기 제1홈(23)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으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와 겹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홈(2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30)의 기어 잇날(35)은 회전축(3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프를 이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래칫의 전면 부위에는 로프가 안정적으로 감겨질 수 있도록 로프가이드봉을 마련하고, 래칫의 후면 하측에는 로프 고정작업 중에 로프가 반대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로프가이드판을 마련함으로서 별도의 부가 장치가 없더라도 로프 고정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에 대한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그 즉시 회수가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이 필요한 현장에 언제든지 투입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자체가 간단하고 경량이라는 점에서 작업이 필요한 현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공간이 아무리 협소하더라도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칫의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칫에 있어 지지판과 로프가이드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칫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종래 래칫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칫의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작동부(10)와, 지지부(20)와, 회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작동부(10)에는, 몸체(12)와, 몸체(12)의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손잡이(14)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12)의 타측 부위에 마련되는 결합단(16)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손잡이(14) 내측으로는 탄성수단(17)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18)가 구비된다. 스톱퍼레버(18)의 스톱퍼편(19)은 몸체(12)의 측면에 형성되는 스톱퍼가이드홈(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가하는 외력과 탄성수단(17)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퍼가이드홈(15)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한다.
상기 지지부(20)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의 결합편(24)과, 상기 결합편(24)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28)가 구비된다. 결합편(24) 각각의 일측 부위는 작동부(10)의 각 결합단(16)과 체결되며, 락킹레버(28)는 탄성수단(27)에 의해 작동된다. 락킹레버(28)의 락킹편(29)은 각 결합편(24) 측면에 형성되는 락킹가이드홈(2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후술할 회전부(30)의 기어(34)에 의한 작용력 및 탄성수단(27)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가이드홈(25)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한다.
한편,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에는, 제1홈(23) 및 제2홈(26)이 더 형성된다. 제1홈(23)은 도 2와 같이,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에 대하여 펼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2홈(26)은 도 1과 같이,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으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와 겹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1홈(23)과 제2홈(26)은 작동부(10)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의 전면 부위에는 로프가이드봉(220)이 마련된다. 상기 로프가이드봉(220)은 로프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때 로프가 회전부(30)의 회전축(32)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그 양측 단부가 각 결합편(24)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의 타측 부위에는, 지지판(240)과 로프가이드판(2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240)은 로프가이드판(26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측부편(242)과 하부편(246)으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Figure 112014004885509-pat00001
구조로 이루질 수 있다. 측부편(242)에 있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는 각 결합편(24)에 체결된다. 본 발명은 측부편(242)과 하부편(246)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판(240)의 측부편(24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절개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243)은 로프의 거치를 위한 부분으로서 측부편(242)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부편(242)이 하부편(246)과 만나는 지점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각 측부편(242)의 단부 부위가 고정봉을 매개로 각 결합편(24)에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을 매개하지 않고 단순히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로프가이드판(260)는 로프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일방향으로 공급)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가이드판(262)은 상면에 요철부위(261)가 형성되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가동가이드판(266)은 하면에 요철부위(265)가 형성되며, 탄성수단(268)에 의한 복원력으로 요철부위(265)가 고정가이드판(262)의 요철부위(261)와 접한다. 요철의 형상은 특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로프는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 사이 부분으로 강제 삽입된다. 로프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삽입되면 가동가이드판(266)의 내측 부위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데, 이때 탄성수단(268)이 가동가이드판(266)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로프는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 사이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고정가이드판 및 가동가이드판 각각에 형성되는 요철부위(261, 265)가 로프의 양면과 밀접하게 접함으로써 로프는 일방향으로만 이동이 제한된다(도 3에서 지지부(20) 방향).
도면에는 탄성수단(268)이 가동가이드판(266)에 내장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 사이 부분으로 로프가 강제 삽입될 때 가동가이드판(266)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만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미설명도면부호 264는 탄성수단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봉이다.
상기 회전부(30)에는, 회전축(32)과 기어(3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32)은 양측 단부부위가 결합단(16)과 결합편(24)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형성된다. 회전축은 종래 래칫에 사용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봉을 상호 대향시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삽입공은 회전봉 사이 공간에 형성된다. 미설명도면부호 38은 체결핀이다.
상기 기어(34)는 작동부(10)의 스톱퍼레버(18) 및 지지부(20)의 락킹레버(28) 각 단부와 접하며 부분이다. 본 발명은 기어의 잇날(35)이 종래 래칫과 달리 회전축(3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즉,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래칫은 기어 잇날을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어 잇날을 이와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를 제안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어 잇날이 종래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되면, 로프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로프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래칫이 도 5b와 같이 작동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는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기어(23)의 잇날과 직접 맞물리지 않고 고정홈(5)에 삽입되어야, 회전축(24)이 스톱퍼레버(18)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회전축(24)에 감긴 로프를 풀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트럭과 같은 적재함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 내부의 적재함과 같이 폐쇄된 공간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며, 화물의 중량이 큰 경우에는 작업 공간이 더욱 좁아진다. 도 5b에서 화물은 통상적으로 래칫 좌측에 위치하는데,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작동부를 지지부에 대하여 펼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회전부(30)의 기어 잇날(35)을 종래와 반대로 형성함으로써 도 1과 같이 작동부(10)가 지지부(20)와 겹친 상태에서 회전축(32)이 스톱퍼레버(18)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축에 감긴 로프를 용이하게 해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구성을 전술한 각 구성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 4a 및 도 4b 각각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아래의 작동구성은 중량의 화물을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적재공간에 고정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먼저, 화물적재공간의 중앙 또는 일측에 미도시된 중량의 화물을 위치시킨다. 화물이 위치하면, 로프(r)의 일측 단부를 화물적재공간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고리 홈 중의 어느 일측 고리 홈에 고정한 다음, 로프(r)를 화물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그 타측 단부를 화물잭재공간의 타측 고리 홈까지 연장하고, 별도의 고리(1)를 준비하여 로프(r)의 타측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고리 홈에 걸어 고정한다.
다음으로 로프(r)의 타측 단부 부위를 절개홈(243)을 통해 지지판(240) 내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가동가이드판(266)의 내측 부위를 들어올리고 그 사이로 로프(r)를 삽입하고 가동가이드판(266)에 작용하는 외력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가동가이드판(266)은 탄성수단(26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로프(r)의 양면 각각은 고정가이드판(262)의 요철부위(261)와 가동가이드판(266)의 요철부위(265)와 접하면서 물린다.
이 상태에서 로프(r)를 끌어 당겨 로프의 타측 부위가, 로프가이드봉(220) 하면을 지나 고리 홈에 걸려 고정된 고리(1)의 체결바(도면 미도시)에 중첩되도록 체결한 다음, 고리(1)에 중첩 체결되고 남은 로프(r)의 타측 단부를 다시 로프가이드봉(220) 하면을 지나 회전축(32)의 삽입공(31)에 삽입한다. 이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는 제1홈(23)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축(32)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로프(r)와 래칫 상호간의 체결 구성은 도 4a와 같이 이루어진다.
로프(r)의 타측 단부가 삽입공(31)에 삽입되면, 외력을 가하여 스톱퍼레버(18)의 단부를 제1홈(23)에서 해제시킨 다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기어 잇날(35)과 맞물리도록 한다.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기어 잇날(35)과 맞물리면, 손잡이(14)를 일방향(실선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다시 타방향(점선방향)으로 푸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 경우 손잡이가 실선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퍼레버(18)는 기어 잇날(35)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게 되나, 손잡이가 점선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퍼레버(18)가 기어 잇날(35) 중의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되면서 회전축(34)은 그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즉, 손잡이가 점선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로프(r)는 회전축(32)의 외면을 따라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어 로프(r)의 타측 단부가 회전축(32)을 따라 서서히 감기면, 고리(1)의 체결바에 중첩 체결되어 있던 로프의 여분이 래칫 방향으로 점차 당겨오게 되고, 이에 따라 화물과 접하고 있던 로프 부위는 화물과 점차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로프의 타측 단부 부위에 대한 감김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는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이 로프를 물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로프는 도 4a에서 우측방향으로만 당겨질 뿐 그 반대방향인 좌측방향으로는 당겨지지 않는다. 즉, 로프의 고정 작업 과정에서 로프가이드판(260)이 로프가 반대방향(도면 좌측방향)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시점이 지나 로프(r)가 어느 정도 당겨지면 외력을 가하더라도 손잡이(14)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때 고리(1)의 체결바에 중접되어 있는 로프 상호간은 최대의 면 마찰력으로 밀착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b와 같이 로프가 화물에 최대한 밀착되어 더 이상 당겨지지 않으면, 기어 잇날(35)과 접하고 있던 스톱퍼레버(18)의 단부를 기어 잇날(35)로부터 해제하여 제1홈(23)에 다시 삽입한다.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제1홈(23)에 삽입되면, 외력을 가하여 회전축(32)을 로프의 감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기어(34)는 스톱퍼레버(18)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축(32)은 쉽게 회전한다. 회전축(32)을 순차 회전시켜 로프의 단부를 삽입공(31)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에 의해 물려있던 로프의 일 지점을 절개홈(243)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면, 로프(r)와 래칫은 완전히 분리되고 래칫을 회수함을써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작동부 20 : 지지부
30 : 회전부 220 : 로프가이드봉
240 : 지지판 260 : 로프가이드판

Claims (4)

  1. 몸체(12)의 일측 부위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몸체(12)의 타측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16)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14) 내측으로는 탄성수단(17)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18)가 구비되는 작동부(1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상기 결합단(16)과 체결되는 결합편(24)과, 탄성수단(27)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결합편(24)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28)가 구비되는 지지부(20)와, 양측 단부부위가 상기 결합단(16)과 결합편(24)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결합단(16)과 결합편(24) 각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32)과 축 결합되는 기어(34)가 구비되는 회전부(30)로 이루어지는 래칫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편(24)의 전면 부위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각 결합편(24)에 고정결합되는 로프가이드봉(220)이 마련되며;
    상기 각 결합편(24)의 후면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가 각 결합편(24)에 체결되는 측부편(242)과 상기 각 측부편(242)의 타단 부위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부편(246)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240)과, 상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서 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에 구비되어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26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이드판(260)은, 상면에 요철부위(26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가이드판(262)과, 하면에 형성되는 요철부위(265)가 탄성수단(268)에 의해 복원력을 받으며 상기 고정가이드판(262)의 요철부위(261)와 접하는 가동가이드판(266)으로 이루어지는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40)의 측부편(242) 중 어느 하나에는 로프의 거치를 위한 절개홈(2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에는,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에 대하여 펼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홈(23)과, 상기 제1홈(23)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으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와 겹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홈(2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30)의 기어 잇날(35)은 회전축(3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KR1020140005894A 2014-01-17 2014-01-17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KR10151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894A KR101519776B1 (ko) 2014-01-17 2014-01-17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894A KR101519776B1 (ko) 2014-01-17 2014-01-17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776B1 true KR101519776B1 (ko) 2015-05-12

Family

ID=5339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894A KR101519776B1 (ko) 2014-01-17 2014-01-17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073A (ko)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다기능 래칫 텐셔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995Y1 (ko) * 2003-06-09 2003-09-19 이재희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KR100865368B1 (ko) * 2007-08-20 2008-10-24 웬-흐시앙 흐시에 스트랩 텐셔너
JP4901901B2 (ja) * 2009-04-02 2012-03-21 アンクラジャパン株式会社 ベルト用バックルおよび固縛具
KR101340097B1 (ko) * 2013-10-02 2013-12-10 정도근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995Y1 (ko) * 2003-06-09 2003-09-19 이재희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KR100865368B1 (ko) * 2007-08-20 2008-10-24 웬-흐시앙 흐시에 스트랩 텐셔너
JP4901901B2 (ja) * 2009-04-02 2012-03-21 アンクラジャパン株式会社 ベルト用バックルおよび固縛具
KR101340097B1 (ko) * 2013-10-02 2013-12-10 정도근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073A (ko)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다기능 래칫 텐셔너
KR101854134B1 (ko) * 2016-05-23 2018-06-08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다기능 래칫 텐셔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7495B2 (ko)
EP1468955A1 (fr) Dispositif d'assemblage démontable des éléments de flèche d'une grue à tour
KR101937617B1 (ko) 전력선 보수용 압축기 운반장치
JP6182497B2 (ja) エレベータ用救出支援装置
KR101519776B1 (ko)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KR200478647Y1 (ko) 클램핑기구
JP3383283B2 (ja) 自動フック
JP5269140B2 (ja) ケーブルドラムシステム
DE3147602A1 (de) "verriegelungssystem fuer den drehzapfen von containerhandhabern"
JP2008285247A (ja) コンテナ用中間連結装置
JP5954673B2 (ja) 把持装置
JP5702018B1 (ja) ロール状物リフト装置
KR101854134B1 (ko) 다기능 래칫 텐셔너
KR101340097B1 (ko)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CN106494479B (zh) 一种发动机缸盖线返修车
JP5583835B1 (ja) トラックの荷台
FR2811973A1 (fr) Agencement de grue pour le transport de rouleaux de bandes
KR200480090Y1 (ko) 잠금기구를 가지는 후크
DE102016222787A1 (de) Transporthaken mit Sicherung
JPH0891765A (ja) 吊り荷の自動玉掛け外し装置
JP3204871U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1058389B1 (ko) 스크랩 받이통 및 그를 사용한 스크랩 처리 시스템
JP2007112453A (ja) 箱型パレットの扉パネルロック装置
JP7176970B2 (ja) 鋼材搬送器
KR101313199B1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