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073A - 다기능 래칫 텐셔너 - Google Patents

다기능 래칫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073A
KR20170132073A KR1020160173806A KR20160173806A KR20170132073A KR 20170132073 A KR20170132073 A KR 20170132073A KR 1020160173806 A KR1020160173806 A KR 1020160173806A KR 20160173806 A KR20160173806 A KR 20160173806A KR 20170132073 A KR20170132073 A KR 2017013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tension
pieces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134B1 (ko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정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정철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Publication of KR2017013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level-measurement devices, e.g. for level gauge measur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화물 결박 기능에 더하여 결박 시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일측 부위에는 손잡이가 마련되고, 몸체의 타측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내측으로는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가 구비되는 작동부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상기 결합단과 체결되는 결합편과,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결합편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양측 단부부위가 상기 결합단과 결합편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결합단과 결합편 각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기어가 구비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결합편의 전면 부위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각 결합편에 고정결합되는 로프가이드봉과, 상기 로프가이드봉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결합편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로프의 일면을 가압하는 측정편을 통해 상기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푸쉬풀게이지가 포함된 장력측정기가 마련되고, 상기 각 결합편의 후면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가 각 결합편에 체결되는 측부편과 상기 각 측부편의 타단 부위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부편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편 내면에서 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에 구비되어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이 마련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래칫 텐셔너{Multifunctional Rachet tensionor}
본 발명은 장력 측정이 가능한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화물 결박 기능에 더하여 결박 시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특히 그 화물이 어느 정도의 하중을 가질 때는 화물 운송 중에 흐트러지거나 또는 추락하여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화물을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래칫 텐셔너(Rachet tensionor)이다.
통상적인 래칫 텐셔너는 작동부와 지지부, 그리고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되고, 그 타측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이 마련되며, 손잡이의 내측으로는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가 마련된다.
이때, 지지부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작동부의 결합단과 체결되는 결합편과,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결합편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가 구비된다.
또한 회전부는 양측 단부부위가 작동부의 결합단과 지지부의 결합편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작동부의 결합단과 지지부의 결합편 각 사이에 위치하되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기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기술은 상기의 구성요소를 통하여 중량의 화물을 운송 수단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로프의 해제 작업 역시 간편하다는 점에서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담보해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운송과정이나 운송목적지 여하에 따라 래칫 텐셔너의 회수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만일, 화물의 중량이 상당하거나 화물의 부피가 매우 크거나, 또는 대량의 화물을 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많은 수의 래칫 텐셔너가 필요한데, 이 경우 운송 목적지가 외국이라면 래칫 텐셔너를 소모품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경제적인 부담이 너무 크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기술 제10-1519776호를 발명하여 등록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에서도 여전히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는데 기존 기술의 경우 단순한 작업자에 감에 의해 과도한 장력으로 화물을 결박할 경우, 화물에 따라 오히려 결박 과정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화물적재로 인한 선박 사고가 나날이 증가하면서 2015년 1월 2일 화물적재고박 등의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안정적인 화물 고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화물을 고정 및 운송하려면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적정 장력 게이지(Gage)를 측정한 후, 상기의 측정 게이지에 맞게 화물을 결박해야 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대부분 작업자의 감에 의지하여 대략적으로 측정을 마친 후 화물 고정 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측정 게이지의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고 작업효율성마저 그에 따라 저하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776호 (2015년 5월 6일)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을 결박하는 도중에도 중량의 화물에 가해지는 장력의 게이지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과도한 조임에 따른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몸체의 일측 부위에는 손잡이가 마련되고, 몸체의 타측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내측으로는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가 구비되는 작동부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상기 결합단과 체결되는 결합편과,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결합편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양측 단부부위가 상기 결합단과 결합편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결합단과 결합편 각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기어가 구비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편의 전면 부위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각 결합편에 고정결합되는 로프가이드봉과, 상기 로프가이드봉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결합편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로프의 일면을 가압하는 측정편을 통해 상기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푸쉬풀게이지가 포함된 장력측정기가 마련되고, 상기 각 결합편의 후면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가 각 결합편에 체결되는 측부편과 상기 각 측부편의 타단 부위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부편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편 내면에서 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에 구비되어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측정기는, 상기 푸쉬풀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장력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상기 푸쉬풀게이지와 상기 츨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 장력 수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설정된 장력 수치에 도달하면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측정기는, 일정 길이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관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푸쉬풀게이지에 고정결합되는 안테나로드부와, 상기 출력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안테나로드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힌지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로드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물리적 조작에 의해 상기 출력부의 위치가 전방위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알림신호는 일정 레벨의 전원전압이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전도체 재질의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스토퍼레버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된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로프 가이드봉과 회전축 사이에 마련되는 장력측정기를 통하여 화물을 결박하는 도중에도 중량의 화물에 가해지는 장력의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로드안테나부 및 힌지결합부의 조작을 통하여 출력부에 표시된 장력 게이지의 확인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알림부를 통하여 화물을 고정 중인 로프의 장력수치가 제어부에서 설정한 장력 수치에 도달했음을 즉시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전술한 장점들을 통하여 과도한 조임으로 인하여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물 고정 작업에 따르는 육체적 피로와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도 1과 다르게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서 장력측정기가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서 로드안테나부와 출력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래칫 텐셔너의 알림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래칫 텐셔너의 알림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도 1과 다르게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서 장력측정기가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서 로드안테나부와 출력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래칫 텐셔너의 알림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래칫 텐셔너의 알림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작동부(10)와, 지지부(20)와, 회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작동부(10)에는, 몸체(12)와, 몸체(12)의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손잡이(14)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12)의 타측 부위에 마련되는 결합단(16)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손잡이(14) 내측으로는 탄성수단(17)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18)가 구비된다. 스톱퍼레버(18)의 스톱퍼편(19)은 몸체(12)의 측면에 형성되는 스톱퍼가이드홈(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작업자가 가하는 외력과 탄성수단(17)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퍼가이드홈(15)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한다.
상기 지지부(20)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의 결합편(24)과, 상기 결합편(24)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28)가 구비된다. 결합편(24) 각각의 일측 부위는 작동부(10)의 각 결합단(16)과 체결되며, 락킹레버(28)는 탄성수단(27)에 의해 작동된다. 락킹레버(28)의 락킹편(29)은 각 결합편(24) 측면에 형성되는 락킹가이드홈(2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후술할 회전부(30)의 기어(34)에 의한 작용력 및 탄성수단(27)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가이드홈(25)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한다.
한편,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에는, 제1홈(23) 및 제2홈(26)이 더 형성된다. 제1홈(23)은 도 2와 같이,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에 대하여 펼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2홈(26)은 도 1과 같이, 작동부(10)가 회전부(30)를 기점으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지지부(20)와 겹쳐질 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1홈(23)과 제2홈(26)은 작동부(10)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의 전면 부위에는 로프가이드봉(220)이 마련된다. 상기 로프가이드봉(220)은 로프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때 로프가 회전부(30)의 회전축(32)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그 양측 단부가 각 결합편(24)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의 전면 부위에는 로프가이드봉(220)과 회전축 사이로 장력측정기(40)가 배치되며, 상기의 장력측정기(40)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의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푸쉬풀게이지(41) 및 푸쉬풀게이지(41)의 하단에 구비되는 측정편(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측정기(40)와 마찬가지로 로프가이드봉과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는 로프의 일측 부위을 측정편(42)으로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면, 푸쉬풀게이지(41)에는 로프의 변형에 의해 측정편(42)으로 가해지는 힘만큼 반작용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푸쉬풀게이지(41)는 상기의 반작용력을 분석하여 측정치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장력측정기(40)는, 도출된 장력의 측정치를 화물 고정작업 도중에도 즉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출력부(43), 제어부(44) 및 알림부(45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출력부(43)는 푸쉬풀게이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장력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측정된 장력의 수치는 출력부(43)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좁은 공간에서 화물 고정작업을 진행하게 되거나, 다기능 래칫 텐셔너가 출력부(43)를 확인하게 어려운 각도로 고정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경우를 대비하여, 장력측정기(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43)의 위치를 전방위로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로드부와 힌지결합부를 더 포함하게 된다.
우선 안테나로드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관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측의 관 하단이 푸쉬풀게이지(41)에 고정결합됨에 따라 안테나로드부는 푸쉬풀게이지(41)와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관을 전부 합친 길이 내에서 자유롭게 신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힌지연결부(47)는 출력부(43)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안테나로드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회동시킴으로써, 출력부(43)를 360도 가변이 가능하게 회동시킨다.
따라서, 출력부(43)는 안테나로드부 및 힌지연결부(47)를 물리적 조작로 조작하여 출력부(43)의 위치가 전방위로 가변하여 어떤 경우에도 구애받지 않고 출력부(43)를 통하여 장력 측정치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어부(44)는 푸쉬풀게이지(41) 및 츨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멈춤 장력 수치'라는 일정 장력의 수치를 설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알림부(450) 또한 제어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멈춤 장력 수치'에 도달하면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알림신호는 본래 제어부(44)로부터 발생하는 일정 레벨의 전원전압으로 형성되나 알림부(450)의 구성요소에 의해 외부에서 확인을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450)는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전도체 재질의 자극부재(451) 및 상기 제어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극부재(451)로 알림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453)로 이루어져, 제어부(44)에서 알림신호가 발생하게 될 경우, 화물 고정작업을 위해 손잡이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에 자극을 가하여 로프의 장력이 '멈춤 장력 수치'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알림부(45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과는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재(452)는 스토퍼레버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며, 케이블(453)은 일 실시예의 케이블(453)과 동일하게 제어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가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재(452)로 상기 알림신호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어부(44)에서 알림신호가 발생하게 될 경우, 스토퍼레버에 마련된 LED가 발광하게 되며, 작업자는 발광하는 LED를 통하여 로프의 장력이 '멈춤 장력 수치'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20)의 각 결합편(24)의 타측 부위에는, 지지판(240)과 로프가이드판(2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240)은 로프가이드판(26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측부편(242)과 하부편(246)으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구조로 이루질 수 있다. 측부편(242)에 있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는 각 결합편(24)에 체결된다. 본 발명은 측부편(242)과 하부편(246)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판(240)의 측부편(24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절개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243)은 로프의 거치를 위한 부분으로서 측부편(242)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부편(242)이 하부편(246)과 만나는 지점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각 측부편(242)의 단부 부위가 고정봉을 매개로 각 결합편(24)에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을 매개하지 않고 단순히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로프가이드판(260)는 로프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일방향으로 공급)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가이드판(262)은 상면에 요철부위(261)가 형성되며 지지판(240)의 하부편(246) 내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가동가이드판(266)은 하면에 요철부위(265)가 형성되며, 탄성수단(268)에 의한 복원력으로 요철부위(265)가 고정가이드판(262)의 요철부위(261)와 접한다. 요철의 형상은 특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로프는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 사이 부분으로 강제 삽입된다. 로프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삽입되면 가동가이드판(266)의 내측 부위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데, 이때 탄성수단(268)이 가동가이드판(266)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로프는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 사이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고정가이드판 및 가동가이드판 각각에 형성되는 요철부위(261, 265)가 로프의 양면과 밀접하게 접함으로써 로프는 일방향으로만 이동이 제한된다.
도면에는 탄성수단(268)이 가동가이드판(266)에 내장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 사이 부분으로 로프가 강제 삽입될 때 가동가이드판(266)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만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미설명도면부호 264는 탄성수단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봉이다.
상기 회전부(30)에는, 회전축(32)과 기어(3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32)은 양측 단부부위가 결합단(16)과 결합편(24)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형성된다. 회전축은 종래 래칫 텐셔너에 사용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봉을 상호 대향시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삽입공은 회전봉 사이 공간에 형성된다. 미설명도면부호 38은 체결핀이다.
상기 기어(34)는 작동부(10)의 스톱퍼레버(18) 및 지지부(20)의 락킹레버(28) 각 단부와 접하며 부분이다. 본발명은 기어의 잇날(35)이 종래 래칫과 달리 회전축(3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즉, 종래 래칫 텐셔너는 기어 잇날을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어 잇날을 이와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를 제안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어 잇날이 종래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되면, 로프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로프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래칫이 도 5b와 같이 작동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는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기어(23)의 잇날과 직접 맞물리지 않고 고정홈(5)에 삽입되어야, 회전축(24)이 스톱퍼레버(18)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회전축(24)에 감긴 로프를 풀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트럭과 같은 적재함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 내부의 적재함과 같이 폐쇄된 공간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며, 화물의 중량이 큰 경우에는 작업 공간이 더욱 좁아진다. 도 5b에서 화물은 통상적으로 래칫 텐셔너 좌측에 위치하는데,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작동부를 지지부에 대하여 펼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회전부(30)의 기어잇날(35)을 종래와 반대로 형성함으로써 도 1과 같이 작동부(10)가 지지부(20)와 겹친 상태에서 회전축(32)이 스톱퍼레버(18)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축에 감긴 로프를 용이하게 해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구성을 전술한 각 구성의 설명 내용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아래의 작동구성은 하나 이상의 로프를 사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적재공간에 고정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먼저, 화물적재공간의 중앙 또는 일측에 미도시된 중량의 화물을 위치시킨다. 화물이 위치하면, 로프(r)의 일측 단부를 화물적재공간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고리 홈 중의 어느 일측 고리 홈에 고정한 다음, 로프(r)를 화물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그 타측 단부를 화물잭재공간의 타측 고리 홈까지 연장하고, 별도의 고리(1)를 준비하여 로프(r)의 타측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고리 홈에 걸어 고정한다.
다음으로 로프(r)의 타측 단부 부위를 절개홈(243)을 통해 지지판(240) 내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가동가이드판(266)의 내측 부위를 들어올리고 그 사이로 로프(r)를 삽입하고 가동가이드판(266)에 작용하는 외력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가동가이드판(266)은 탄성수단(26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로프(r)의 양면 각각은 고정가이드판(262)의 요철부위(261)와 가동가이드판(266)의 요철부위(265)와 접하면서 물린다.
이 상태에서 로프(r)를 끌어 당겨 로프의 타측 부위가, 로프가이드봉(220) 하면을 지나 고리 홈에 걸려 고정된 고리(1)의 체결바에 중첩되도록 체결한 다음, 고리(1)에 중첩 체결되고 남은 로프(r)의 타측 단부를 다시 로프가이드봉(220) 하면을 지나 회전축(32)의 삽입공(31)에 삽입한다. 이때, 스톱퍼레버(18)의 단부는 제1홈(23)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축(32)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로프(r)의 타측 단부가 삽입공(31)에 삽입되면, 외력을 가하여 스톱퍼레버(18)의 단부를 제1홈(23)에서 해제시킨 다음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기어 잇날(35)과 맞물리도록 한다.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기어 잇날(35)과 맞물리면, 손잡이(14)를 일방향(실선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다시 타방향(점선방향)으로 푸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 경우 손잡이가 실선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퍼레버(18)는 기어 잇날(35)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게 되나, 손잡이가 점선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퍼레버(18)가 기어 잇날(35) 중의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되면서 회전축(34)은 그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즉, 손잡이가 점선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로프(r)는 회전축(32)의 외면을 따라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어 로프(r)의 타측 단부가 회전축(32)을 따라 서서히 감기면, 고리(1)의 체결바에 중첩 체결되어 있던 로프의 여분이 래칫 방향으로 점차 당겨오게 되고, 이에 따라 화물과 접하고 있던 로프 부위는 화물과 점차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로프의 타측 단부 부위에 대한 감김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는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이 로프를 물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로프는 로프가이드봉(220) 방향으로만 당겨질 뿐 그 반대방향으로는 당겨지지 않는다. 즉, 로프의 고정 작업 과정에서 로프가이드판(260)이 로프가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시점이 지나 로프(r)가 어느 정도 당겨지면 외력을 가하더라도 손잡이(14)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때 고리(1)의 체결바에 중접되어 있는 로프 상호간은 최대의 면 마찰력으로 밀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화물이 파손되어 있는지의 상태를 확인한 후, 화물에 이상이 없다면 장력측정기(40)의 로드안테나부(46)와 힌지결합부를 조작하여 수치화된 장력 측정치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출력부(43)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출력부(43)를 통하여 장력 측정치를 확인하고 나면, 장력측정기(40)에 마련된 제어부(44)를 조작하여 상기 장력 측정치에 근사한 장력 수치에 도달하면 알림신호가 발생하도록 '멈춤 장력 수치'를 설정해둔다. '멈춤 장력 수치'의 설정이 종료되면, 기어 잇날(35)과 접하고 있던 스톱퍼레버(18)의 단부를 기어 잇날(35)로부터 해제하여 제1홈(23)에 다시 삽입한다.
스톱퍼레버(18)의 단부가 제1홈(23)에 삽입되면, 외력을 가하여 회전축(32)을 로프의 감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기어(34)는 스톱퍼레버(18)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축(32)은 쉽게 회전한다. 회전축(32)을 순차 회전시켜 로프의 단부를 삽입공(31)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고정가이드판(262)과 가동가이드판(266)에 의해 물려있던 로프의 일 지점을 절개홈(243)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면, 로프(r)와 다기능 래칫 텐셔너는 완전히 분리되고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회수함으로써 다수개의 로프 중 하나의 고정작업이 우선적으로 완료된다.
이제부터는 전술한 과정과 같이 남은 로프로 화물의 고정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동일한 과정의 설명은 생략하고 로프가 일정시점이 지나 '멈춤 장력 수치'에 도달할 정도로 당겨진 시점까지 동일한 과정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의 시점에 돌아와서 장력측정기(40)에서 푸쉬풀게이지(41)를 통하여 측정된 장력이 '멈춤 장력 수치'에 도달된 것을 도출하게 되면, 제어부(44)로부터 케이블(453)을 통하여 일정 레벨의 전원전압이 자극부재(451)로 공급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에 부착된 자극부재(451)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의 자극에 의해 알림부(450)에서 발생한 알림신호를 포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다기능 래칫 텐셔너를 로프로부터 분리 및 회수하는 것으로 나머지 로프의 화물 고정작업 과정을 모두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작동부
20 : 지지부
220 : 로프가이드봉
240 : 지지판
260 : 로프가이드판
30 : 회전부
40 : 장력측정기
41 : 푸쉬풀게이지
42 : 측정편
43 : 출력부
44 : 제어부
450 : 알림부
451 : 자극부재
452 : 발광부재
453 : 케이블
46 : 로드안테나부
47 : 힌지연결부

Claims (5)

  1. 몸체의 일측 부위에는 손잡이가 마련되고, 몸체의 타측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결합단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내측으로는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스톱퍼레버가 구비되는 작동부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측 부위는 상기 결합단과 체결되는 결합편과,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결합편 사이에 마련되는 락킹레버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양측 단부부위가 상기 결합단과 결합편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중앙부위에는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결합단과 결합편 각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기어가 구비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편의 전면 부위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각 결합편에 고정결합되는 로프가이드봉과, 상기 로프가이드봉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 결합편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로프의 일면을 가압하는 측정편을 통해 상기 로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푸쉬풀게이지가 포함된 장력측정기가 마련되고,
    상기 각 결합편의 후면 부위에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방으로 돌출되는 각 일단 부위가 각 결합편에 체결되는 측부편과 상기 각 측부편의 타단 부위 상호간을 연결하는 하부편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편 내면에서 상방으로 일정수직높이에 구비되어 로프를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기는,
    상기 푸쉬풀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장력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상기 푸쉬풀게이지와 상기 츨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 장력 수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설정된 장력 수치에 도달하면 소정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기는,
    일정 길이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관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푸쉬풀게이지에 고정결합되는 안테나로드부와,
    상기 출력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안테나로드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힌지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로드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물리적 조작에 의해 상기 출력부의 위치가 전방위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알림신호는 일정 레벨의 전원전압이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전도체 재질의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스토퍼레버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된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래칫 텐셔너.
KR1020160173806A 2016-05-23 2016-12-19 다기능 래칫 텐셔너 KR101854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3036 2016-05-23
KR1020160063036 2016-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73A true KR20170132073A (ko) 2017-12-01
KR101854134B1 KR101854134B1 (ko) 2018-06-08

Family

ID=6092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06A KR101854134B1 (ko) 2016-05-23 2016-12-19 다기능 래칫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75B1 (ko) * 2020-01-31 2021-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고정장치에 탈부착되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902A1 (en) * 2004-06-22 2005-12-22 Michael Wilcox Strap-tensioning device with tension indicator
KR101519776B1 (ko) 2014-01-17 2015-05-12 정도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902A1 (en) * 2004-06-22 2005-12-22 Michael Wilcox Strap-tensioning device with tension indicator
KR101519776B1 (ko) 2014-01-17 2015-05-12 정도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75B1 (ko) * 2020-01-31 2021-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고정장치에 탈부착되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134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662B2 (en)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 from gap of heat tube bundle in upper part of tube sheet of second side of steam generator
JP5327753B2 (ja) 張力評価装置及びその張力評価方法
KR101854134B1 (ko) 다기능 래칫 텐셔너
US20160339830A1 (en) Strap-Winding Apparatus
JP6220734B2 (ja) ロープホイスト
KR20160063961A (ko) 멀티 로드 테스트 장치
WO2016067979A1 (ja) 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疲労度計測方法及び装置
KR20160000858U (ko) 러그 시험장치
GB2296001A (en) Winch apparatus
EP2727767A1 (en) A tightening device
KR101866085B1 (ko) 견인 후크 어셈블리
KR20170074704A (ko) 해양플랜트용 예인라인 제어 시스템
KR101950669B1 (ko) 원통형 부재 운반용 케이블 로봇
KR101519776B1 (ko)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로프 고정용 래칫
US10981528B2 (en) Occupancy sensor for wheeled mobility device restraint
US20200331383A1 (en) Strapping device
JP7294968B2 (ja) 変位測定装置、変位測定方法、緊張管理図作成方法
KR101340097B1 (ko)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EP2641861A1 (en) Mechanical member for moving loads, particularly for boats
KR20160131774A (ko) 모형선 성능 시험 장치
KR20170000199U (ko)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윈치용 밴드브레이크
KR20140000470U (ko) 안전후크가 구비된 레버블록
KR200483695Y1 (ko) 와이어 점검장치
FI129073B (fi) Kelateline
KR20180019363A (ko) 장력 측정이 용이한 라쳇 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