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141B1 - 급전선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급전선용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141B1
KR101518141B1 KR1020137000894A KR20137000894A KR101518141B1 KR 101518141 B1 KR101518141 B1 KR 101518141B1 KR 1020137000894 A KR1020137000894 A KR 1020137000894A KR 20137000894 A KR20137000894 A KR 20137000894A KR 101518141 B1 KR101518141 B1 KR 10151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tal
feeder
connecting sheet
cas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274A (ko
Inventor
야스시 후타바다케
히로시 마에다
고이치 데라우라
요지 엔도
유키히로 마츠노부
마사토 도키
신지 하라
히로노부 호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5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5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7/00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급전선을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급전선용 접속 장치는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U자형 형상의 2개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갖는 도선과, 이들 접속용 판금에 장착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접속용 판금은 양측면에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케이스는 관통 구멍에 관통시켜서 접속용 판금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핀을 갖고 있다. 접속용 판금의 관통 구멍에 케이스의 핀을 관통시킨 후에, 급전선을 접속용 판금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고, 급전선을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장착한다. 접속용 판금이 케이스에 위치 결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급전선을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전선용 접속 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Y LINE}
본 발명은 반송차 등의 이동체에 비접촉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 장치에 있어서 급전선의 단부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클린룸에 있어서의 반송차에의 급전은 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접촉의 급전 장치가 채용된다. 이러한 급전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접촉 급전 장치(100)는 반송차(101)의 주행 경로를 따라 루프 형상으로 설치된 급전선(102)과, 이 급전선(102)에 인입선(103)을 거쳐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104)를 구비한다. 급전선(102)은 주행 경로 길이나 형상에 맞추어, 접속 장치(106)에 의해 복수 개가 접속되어 이용된다.
반송차(101)는 급전선(102)을 상하로부터 사이에 두고 급전선(102)으로부터 수전하는 한 쌍의 픽업 코일(105)을 가지며, 급전선(102)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해당 픽업 코일(105)에 유도 전류가 발생되고, 해당 유도 전류를 구동 전원으로 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주행한다.
그런데, 각 급전선(102)은 반송차(101)의 주행 경로를 구성하는 데에 적합한 길이로 미리 맞추어 만들지만, 수송 중에 발생하는 꼬임 현상 등에 의해, 설치 현장에 있어서의 접속 작업 중에 급전선(102)의 단부가 접속 장치(106)가 있는 소정 위치까지 닿지 않거나, 반대로 급전선(102)의 길이가 남아 버리는 일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급전선(102)의 단부에 단자대에의 접속용의 전용 접속 단자를 장착하여 급전선을 모듈화한 접속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접속 장치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102)의 단부에 캡 형상의 접속 단자(107)가 장착되고, 해당 접속 단자(107)에 긴 구멍(107a)이 뚫려 있다. 한편, 고정 단자대(108)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109)이 마련되고, 급전선(102)은 그 길이에 대응하여 고정 단자대(108)에 대하여 위치 정렬된 후에, 볼트(110)가 긴 구멍(107a)을 통하여 소정의 나사 구멍(109)에 나사 결함됨으로써 고정된다. 고정 단자대(108)의 나사 구멍(109)이 마련된 부분(112)은 도체로 구성되어, 2개의 급전선(10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한 접속 장치는 급전선(102)에 접속 단자(107)를 장착하거나, 볼트(110)에 의해 나사 고정을 해야만 하므로, 작업에 손이 많이 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용이하게 급전선의 단부끼리를 접속할 수 있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전선용 접속 장치(201)는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202)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대략 U자형 형상의 2개의 접속용 판금(203)과, 이들 접속용 판금(203)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갖는 도선(204)을 구비한다. 급전선(202)은 동선(221)과 피복(2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출된 동선(221)이 접속용 판금(203)에 협지된다. 도선(204)은 접속용 판금(203)에 납땜이나 용접이나 코킹 등에 의해 장착된다. 접속용 판금(203)은 개구부(203a) 근방이 급전선(202)을 협지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급전선(202)은 접속용 판금(203)의 개구부(203a)로부터 삽입되어, 접속용 판금(203)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급전선용 접속 장치(201)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급전선(202)을 접속용 판금(203)의 개구부(203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급전선(202)을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전선용 접속 장치(201)에 있어서는 접속용 판금(203)이 가요성을 갖는 도선(204)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접속시에 접속용 판금(203)이 움직여서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작업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급전선용 접속 장치(201)에 있어서는 급전선(202)을 접속용 판금(203)에 삽입할 때에, 급전선(202)이 접속용 판금(203)의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 방향이나 급전선 삽입 방향(접속용 판금(203)의 길이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어 적정한 접속 위치에서 멀어져서, 급전선(202)과 접속용 판금(203) 사이의 통전이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과도하게 삽입된 경우, 접속용 판금(203)이 급전선(202)을 협지하는 힘이 작아지므로, 급전선(202)이 접속 장치(201)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2-17880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급전선을 접속용 판금의 적절한 접속 위치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비접촉 급전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선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로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대략 U자형 형상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갖는 도선과, 이들 접속용 판금에 장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이들 접속용 판금의 케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핀을 가지며,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이 관통 구멍에 상기 핀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용 판금이 케이스에 위치 결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급전선을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이 케이스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속용 판금과 도선을 덮도록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용 판금과 도선이 주위로부터 절연되므로, 누전이나 감전 등의 사고 발생이 방지되어 안전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상기 급전선이 상기 접속용 판금의 대략 U자형 형상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이 접속용 판금의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급전선의 설치 위치가 적절해져서, 급전선과 접속용 판금 사이의 통전이 안정된다. 또한 급전선이 급전선용 접속 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에 상기 급전선이 상기 접속용 판금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의 과도한 삽입이 방지되므로, 급전선의 설치 위치가 적절해져서, 급전선과 접속용 판금 사이의 통전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상기 접속용 판금의 관통 구멍의 주위에, 그 바닥부측 방향을 제외하고 슬릿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이 삽입될 때에 핀에 접속용 판금으로부터 응력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접속용 판금이 용이하게 벌어지고, 급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핀이 꺾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비접촉 급전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선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로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해당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대략 U자 형상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선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급전선을 협지하기 위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보다도 해당 접속용 판금의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측에 마련되고, 상기 급전선이 해당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를 가진 급전선용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이 접속용 판금의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급전선을 접속용 판금의 적절한 접속 위치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급전선과 접속용 판금 사이의 통전이 안정된다. 또한, 급전선이 급전선용 접속 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에 따르면, 비접촉 급전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선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로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해당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대략 U자 형상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선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급전선이 해당 접속용 판금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를 가진 급전선용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의 과도한 삽입이 방지되므로, 급전선을 접속용 판금의 적절한 접속 위치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급전선과 접속용 판금 사이의 통전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상기 급전성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판금에 장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이들 접속용 판금의 케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핀을 가지며,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이 관통 구멍에 상기 핀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이 케이스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속용 판금과 도선을 덮도록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마련하여도 좋다.
도 1의 (a)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 (c)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평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ID-ID선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장착되는 커버의 사시도, (b)는 커버를 장착한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마련되는 리브를 갖지 않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급전선이 접속용 판금의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 (b)는 해당 변형예에 있어서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마련되는 리브를 갖지 않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급전선이 접속용 판금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 (b)는 해당 변형예에 있어서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 (c)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커버의 사시도, (b)는 해당 커버의 평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VC-VC선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 3 변형예에 있어서 마련되는 슬릿을 갖지 않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덮개를 분리했을 때의 정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VIB-VIB선 단면도, (c)는 핀이 관통하고 있는 부분의 접속용 판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해당 변형예에 있어서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덮개를 분리했을 때의 정면도, (b)는 핀이 관통하고 있는 부분의 접속용 판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선용 접속 장치와 급전선의 사시도, (b)는 급전선을 접속한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 (c)는 급전선을 접속한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평면도, (d)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급전선을 협지한 접속용 판금의 측면도, (e)는 종래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접속용 판금에 있어서 급전선을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 (b)는 급전선을 접속한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 (c)는 급전선을 접속한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종래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를 구비한 비접촉 급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의 종래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자들이 먼저 제안한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사시도, (b)는 해당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평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XIIC-XIIC선 단면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선용 접속 장치(이하, 접속 장치로 기재한다)에 대하여 도 1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속 장치(1)는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2)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대략 U자형 형상의 2개의 접속용 판금(3)과, 이들 접속용 판금(3)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갖는 도선(4)과, 이들 접속용 판금(3)에 장착되는 케이스(5)를 구비한다. 급전선(2)은 동선(21)과 피복(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출된 동선(21)이 접속용 판금(3)에 협지된다. 접속용 판금(3)은, 개구부(3a) 근방이 급전선(2)을 협지하도록 만곡하고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 구멍(31)을 갖고 있다.
케이스(5)는 이들 접속용 판금(3)의 케이스(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핀(51)을 갖는 케이스 본체(52)와, 접속용 판금(3)을 케이스 본체(52)내에 유지하는 덮개(53)와, 덮개(53)를 케이스 본체(52)에 장착하는 나사(54)를 갖고 있다. 케이스 본체(52)와 덮개(53)는 절연재로써, 예를 들면 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핀(51)은 도면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원기둥 형상에 한하지 않고, 삼각 기둥 형상이나 사각 기둥 형상 등의 다각 기둥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의 접속 장치(1)에 급전선(2)을 장착하는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접속용 판금(3)의 관통 구멍(31)에 케이스 본체(52)의 핀(51)을 관통시켜서, 접속용 판금(3)을 케이스 본체(52)내에 수납한다. 계속해서, 덮개(53)를 나사(54)에 의해 케이스 본체(52)에 장착하고, 접속용 판금(3)이 케이스 본체(5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속용 판금(3)의 케이스(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계속해서, 급전선(2)을 접속용 판금(3)의 개구부(3a)로부터 삽입하고, 접속용 판금(3)에 의해 협지하고, 급전선(2)을 접속 장치(1)에 장착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1)에 의하면, 접속용 판금(3)이 케이스(5)에 위치 결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급전선(2)을 접속 장치(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접속 장치(1)에,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버(6)를 장착해도 좋다. 커버(6)는 예를 들면 수지재 등의 절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6)는 케이스(5)의 상방으로부터 접속용 판금(3)과 도선(4)을 덮도록 하여, 케이스(5)에 예를 들면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장착된다. 이렇게 커버(6)가 장착된 접속 장치(1)로 함으로써, 동선(21), 접속용 판금(3), 도선(4)이 주위로부터 절연되므로, 누전이나 감전 등의 사고 발생이 방지되어 안전해진다.
(제 1 변형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각종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이후 설명하는 제 1 변형예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접속 장치(1)를 나타내고, 도 3(b)는 제 1 변형예가 적용된 접속 장치(1)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대략 U자형 형상의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부재)(71)가 마련된 것이지만, 여기에서, 본 변형예를 설명하기 전에, 도 3(a)를 이용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리브(71)를 갖지 않는 접속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접속 장치(1)에 있어서는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에 의해 협지되는 위치보다도 더 바닥부 방향으로 눌러지면, 접속용 판금(3)이 D방향으로 벌어지고, 급전선(2)이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된다. 그러면,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과의 접촉이 불충분해져서,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과의 사이의 통전이 안정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접속용 판금(3)이 급전선(2)을 협지하는 힘이 작아지므로, 급전선(2)이 접속 장치(1)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이에 비하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장치(1)에는 케이스 본체(52)의 단부 상측에 리브(71)가 마련되고, 리브(71)의 상면의 높이는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에 협지되었을 때의 급전선(2)의 하측 면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바닥부 방향으로 강하게 눌러져도 리브(71)에 접촉하여,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급전선(2)의 설치 위치가 적절해지고,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 사이의 통전이 안정되고, 또한 급전선(2)이 접속 장치(1)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제 2 변형예)
도 4(a)는 이후 설명하는 제 2 변형예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접속 장치(1)를 나타내고, 도 4의 (b) 및 (c)는 제 2 변형예가 적용된 접속 장치(1)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는 도 4의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급전선 삽입 방향(케이스 5의 길이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부재)(72)가 마련된 것이지만, 여기에서, 본 변형예를 설명하기 전에 도 4(a)를 이용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리브(7)를 갖지 않는 접속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접속 장치(1)에 있어서는 급전선(2)이 과도하게 삽입되면, 급전선(2)이 상대측의 접속용 판금(3)에 접촉하여 전류가 단락된다. 그러면, 급전선(2)사이의 통전 상태가 변동하고, 접속 장치(1)의 주위에 형성되는 자장의 상태가 변동되므로, 반송차 등의 전류 공급처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가 안정되지 않는다.
이에 비하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4(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장치(1)에는 급전선(2)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케이스 본체(52) 및 덮개(53)에 리브(7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려고 해도, 급전선(2)의 선단이 리브(72)에 접촉하므로, 과도한 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접속 장치(1)의 설치 후에 진동 등에 의해 급전선(2)이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급전선(2)의 장착 위치가 적절해지고,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 사이의 통전 상태가 안정된다.
과도한 삽입 방지를 위한 리브(72)는 도 5(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에 마련해도 좋다. 리브(72)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케이스(5)에 있어서도, 커버(6)에 리브(7)를 마련함으로써, 급전선(2)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6의 (a) 내지 (c)는 이후 설명하는 제 3 변형예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접속 장치(1)를 나타내고, 도 7의 (a) 및 (b)는 제 3 변형예가 적용된 접속 장치(1)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용 판금(3)의 관통 구멍(31)의 주위에, 접속용 판금(3)으로부터 핀(51)으로의 응력을 방지하는 슬릿(32)이 마련된 것이지만, 여기에서 본 변형예를 설명하기 전에, 도 6(a) 내지 (c)를 이용하여 본 변형예에 의한 슬릿(32)을 갖지 않는 접속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접속 장치(1)에 있어서는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에 삽입되면, 접속용 판금(3)이 벌어지려고 하지만, 핀(51)이 관통 구멍(31)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접속용 판금(3)은 벌어지기 어려우며, 또한 접속용 판금(3)을 벌리는 응력에 의해 핀(51)이 꺾일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1) 주위에 접속용 판금(3)의 바닥부 방향을 제외하고 슬릿(3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급전선(2)이 삽입되어도 슬릿(32)보다 외측의 접속용 판금(3)은 벌어지지만, 관통 구멍(31) 주위의 접속용 판금(3)은 벌어지지 않으므로, 접속용 판금(3)으로부터 핀(51)에 응력이 걸리지 않는다. 이로써, 접속용 판금(3)이 용이하게 벌어지므로, 급전선(2)을 용이하게 접속용 판금(3)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핀(51)이 꺾이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종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접속용 판금(3)은 1개의 핀(51)에 의해 위치 결정되었지만, 복수 개의 핀(51)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핀(51)을 케이스 본체(52)에 마련하지 않고 덮개(53)에 마련해도 좋고, 케이스 본체(52)와 덮개(53)의 양쪽에 마련해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대하여 도 8의 (a) 내지 (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속 장치(10)는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2)의 각 단부를 협지하고, 급전선(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대략 U자 형상의 접속용 판금(3)과, 이들 접속용 판금(3)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선(4)을 구비한다. 급전선(2)은 동선(21)과 피복(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출된 동선(21)이 접속용 판금(3)에 협지된다. 접속용 판금(3)은 급전선(2)을 협지하기 위한 만곡부(3b)와, 상기 급전선이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33)를 가지고 있다.
만곡부(3b)는 접속용 판금(3)의 대략 U자 형상의 개구부(3a)의 근방에 마련되며, 급전선(2)의 형상에 맞춰서 만곡되어 있다. 리브(33)는 만곡부(3b)보다도 접속용 판금(3)의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측에 마련되고, 접속용 판금(3)의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U자 형상의 내측에 돌출한 형상이며, 접속용 판금(3)에 있어서의 급전선(2)의 신장 방향의 양단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다. 리브(33)는 접속용 판금(3)을 구부려서 형성해도 좋고, 다른 부재를 접착 등에 의해 장착하여 형성해도 좋다. 도선(4)은 접속용 판금(3)에 납땜이나 용접이나 코킹 등에 의해 장착된다.
접속 장치(10)에 급전선(2)을 장착하는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급전선(2)을 접속용 판금(3)의 개구부(3a)로부터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 방향으로 삽입하고, 접속용 판금(3)의 만곡부(3b)에 의해 협지하고, 접속 장치(10)에 장착한다. 이 때에, 급전선(2)을 접속용 판금(3)의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 방향으로 강하게 삽입해도, 도 8(d)에서와 같이, 급전선(2)이 리브(33)에 접촉하므로, 급전선(2)은 리브(33)의 위치보다도 바닥부측에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의 리브(33)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에 의해 협지되는 위치보다도 더 바닥부 방향으로 눌러지면, 접속용 판금(3)이 B방향으로 벌어지고, 급전선(2)이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된다. 그러면,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의 접촉이 불충분해져서,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 사이의 통전이 안정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접속용 판금(3)이 급전선(2)을 협지하는 힘이 작아지므로, 급전선(2)이 접속 장치(10)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바닥부 방향으로 강하게 눌러져도 리브(33)에 접촉하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급전선(2)의 접속 위치가 적절해지고,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 사이의 통전이 안정되고, 또한 급전선(2)이 접속 장치(10)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제 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장치(10)에 대하여 도 9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1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10)는 제 2 실시 형태와 달리,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34)를 접속용 판금(3)에 가지고 있다. 리브(34)는 급전선(2)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접속용 판금(3)을 구부려서 형성해도 좋고, 다른 부재를 접착 등에 의해 장착하여 형성해도 좋다.
이 접속 장치(10)에 있어서,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에 삽입될 때에,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2)이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강하게 삽입되어도, 급전선(2)의 선단이 리브(34)에 접촉하므로, 그 이상 전선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이 리브(34)를 갖지 않은 경우에는 급전선(2)이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면, 급전선(2)이 상대측의 접속용 판금(3)에 접촉하여 전류가 단락된다. 그러면, 급전선(2)사이의 통전 상태가 변동하고, 접속 장치(10) 주위에 형성되는 자장의 상태가 변동하므로, 반송차 등의 전류 공급처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가 안정되지 않는다.
접속 장치(10)를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급전선(2)이 접속용 판금(3)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려고 해도, 급전선(2)의 선단이 리브(34)에 접촉하므로, 과도한 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접속 장치(10) 설치후에 진동 등에 의해 급전선(2)이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급전선(2)을 접속용 판금(3)의 적절한 접속 위치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급전선(2)과 접속용 판금(3) 사이의 통전 상태가 안정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종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리브(33)는 접속용 판금(3)의 단부 이외의 판금 내측에 마련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나 변형예는 적절히 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접속용 판금에 리브가 마련된 제 2 실시 형태나 제 3 실시 형태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의 급전선용 접속 장치의 케이스나 커버 등을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가능하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비접촉 급전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선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U자형 형상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갖는 도선과,
    이들 접속용 판금에 장착되는 케이스
    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이들 접속용 판금의 케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핀을 가지며,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이 관통 구멍에 상기 핀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이 케이스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속용 판금과 도선을 덮도록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급전선이 상기 접속용 판금의 U자형 형상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에, 상기 급전선이 상기 접속용 판금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판금의 관통 구멍의 주위에, 그 바닥부측 방향을 제외하고 슬릿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6. 비접촉 급전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선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해당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U자 형상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선
    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급전선을 협지하기 위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보다도 해당 접속용 판금의 U자 형상의 바닥부측에 마련되고, 상기 급전선이 해당 바닥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를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7. 비접촉 급전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선의 대향하는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급전선의 각 단부를 협지하여 해당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U자 형상의 접속용 판금과,
    이들 접속용 판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선
    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급전선이 해당 접속용 판금의 급전선 삽입 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를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판금에 장착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이들 접속용 판금의 케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핀을 가지며,
    상기 접속용 판금은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이 관통 구멍에 상기 핀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속용 판금과 도선을 덮도록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용 접속 장치.
KR1020137000894A 2010-07-28 2010-07-28 급전선용 접속 장치 KR10151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0/001862 WO2012013997A1 (ja) 2010-07-28 2010-07-28 給電線用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74A KR20130056274A (ko) 2013-05-29
KR101518141B1 true KR101518141B1 (ko) 2015-05-06

Family

ID=4552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894A KR101518141B1 (ko) 2010-07-28 2010-07-28 급전선용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18141B1 (ko)
CN (1) CN103025566B (ko)
WO (1) WO2012013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279A (zh) * 2016-12-15 2017-05-31 耒阳市诚松新材料有限公司 一种接触线接续装置
CN106953216B (zh) * 2017-04-25 2023-02-28 苏州安瑞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嵌入式铜排连接器
WO2024014247A1 (ja) * 2022-07-15 2024-01-18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給電装置、接続部材及び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04Y1 (ko) * 2005-08-30 2005-11-15 주식회사 평일 전차선로용 직선클램프
JP2009176577A (ja)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給電線用接続端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04Y2 (ko) * 1978-07-04 1986-04-02
JPS6428329U (ko) * 1987-08-12 1989-02-20
JPH0357734A (ja) * 1989-07-26 1991-03-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用継手
JP2006080030A (ja) * 2004-09-13 2006-03-23 Yazaki Corp ジョイント用スリーブ金具、ジョイント電線
JP4811309B2 (ja) * 2007-03-15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給電装置
JP5237691B2 (ja) * 2008-05-19 2013-07-17 木谷電器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の電極線接続構造
JP5358207B2 (ja) * 2009-02-02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電線用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04Y1 (ko) * 2005-08-30 2005-11-15 주식회사 평일 전차선로용 직선클램프
JP2009176577A (ja)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給電線用接続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74A (ko) 2013-05-29
WO2012013997A1 (ja) 2012-02-02
CN103025566B (zh) 2015-09-02
CN103025566A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176B1 (ko) 코일 장치, 기판을 갖는 코일 장치 및 전기 접속 상자
US9379465B2 (en)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press-fitting part inserted into a hollow part of a holding member
JP4523632B2 (ja) 半導体装置
JP2008288077A (ja) 端子の取付構造
KR102345063B1 (ko) 전류 측정 어셈블리
US10263405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WO2019203011A1 (ja) 配線モジュール
KR101518141B1 (ko) 급전선용 접속 장치
MX2014013857A (es) Dispositivo electrico que tiene una barra de alimentación con doblez de sujeción flexible.
US8614399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180358600A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batter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cover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10251268B2 (en) Circuit structure
CN103858530B (zh) 电连接装置、包括这样的装置和电子板的组件,和用于电连接电子板的方法
TW201212435A (en) Connector and body used by the connector
CN112352473B (zh) 电路基板
US11006540B2 (en) Circuit board for mechanically fastening a housing
CN114556685B (zh) 布线模块
JP5358207B2 (ja) 給電線用接続装置
CN110739562B (zh) 汇流条与电线的连接结构和汇流条模块
CN111244847B (zh) 插入结合结构、电气连接箱及线束
US10277093B2 (en) Power tool and circuit board
JP5358208B2 (ja) 給電線用接続装置
CN109643884B (zh) 电接线箱
JP2015167097A (ja) 導電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