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54B1 - 액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54B1
KR101518054B1 KR1020080095132A KR20080095132A KR101518054B1 KR 101518054 B1 KR101518054 B1 KR 101518054B1 KR 1020080095132 A KR1020080095132 A KR 1020080095132A KR 20080095132 A KR20080095132 A KR 20080095132A KR 101518054 B1 KR101518054 B1 KR 10151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iquid detergent
detergent composition
acid
alkyl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940A (ko
Inventor
이즈미 오누키
타카히로 오카모토
히로아키 신도
타다시 이이하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9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331412B2/ja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하여도 액성이 양호하고, 거품 일어남이 저감되고, 또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이 억제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식(I)[식중, R1은 탄소수 9 내지 13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고, R2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 n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5 내지 30이다.]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A) 50 내지 70질량%와, 비(非)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B) 1 내지 10질량%와, 포화지방산(C) 0.05 내지 3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
R1CO-(OR2)n-OR3 … (I)
액체 세정제 조성물, 아니온 계면활성제, 포화지방산

Description

액체 세정제 조성물{LIQUID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 조성물로서는, 주로, 입상(粒狀) 세정제 조성물과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예를 들면, 해당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용기에 수용된 액체 세정제 제품에 관해, 「손으로 들면 무겁다」, 「상점에서 가지고 가는 것이 큰일이다」, 「쓰고 있으면 금방 다 써 버린다」 등의 불만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세정제 분야에서는, 근래, 환경에의 부하를 경감하는 방법으로서,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량을 저감하는 것, 또는 세정제 조성물이 수용된 용기 사이즈를 소형화하여 쓰레기를 삭감하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액체 세정제 조성물로서는, 높은 계면활성제 농도를 갖는, 이른바 「농축 타입」이 개발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각각 특정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알킬렌아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전체의 계면활성제의 함유 비율이 높은 것으로 하고, 특정한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아니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력 및 기포력에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최근에는, 가정용의 세탁기에서도 절수형의, 드럼식 세탁기가 보급되어 오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17119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0-144179호 공보
종래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세정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의 범용의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점도가 현저하게 증가(겔화)하여 버린다. 또한, 상기 겔화가 생기는 계면활성제 농도의 범위는 넓기 때문에, 이러한 범용의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예를 들면,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농축 타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 문헌 1에는, 5 내지 80질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 세정제 조 성물에 관한 기재가 있지만, 특정한 2종의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필수이고,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에,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1, 2와 같은 계면활성제의 함유 비율이 높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경시(經時)에 수반하여,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액 표면에서, 그 액체 세정제 조성물 자체가 겔화함에 의해 사용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겔화하여 버리면,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캡에 달아 취할 때의 계량성, 또한, 캡으로부터 세탁기의 투입구에의 배출성이 나빠진다.
그 때문에, 농축 타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경시에 수반하여 겔화 등을 일으키지 않고, 액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된다.
또한, 근래 보급되어 오고 있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특허 문헌 2와 같은 기포력이 높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그 고(高)기포의 영향에 의해, 헹굼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탁 시간이 연장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세탁시에는, 피세물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최후의 탈수 전 등에 유연제 제품(유연제 조성물이 용기에 수용된 것 등)이 사용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연제 제품을 사용하여 세탁을 반복하고 있는 중에, 피세물(被洗物)의 종류에 의해, 피세물 자체가 서서히 누렇게 되어 오는 과제를 새롭게 발견하였다. 누렇게 됨은, 피세물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자 클레임에 이어지는 것도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하여도 액성이 양호하고, 거품 일어남이 저감되고, 또한, 유연제 제 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이 억제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A) 50 내지 70질량%와, 비(非)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B) 1 내지 10질량%와, 포화지방산(C) 0.05 내지 3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1CO-(OR2)n-OR3 … (I)
[식(I)중, R1은 탄소수 9 내지 13의 직쇄상(直鎖狀) 또는 분기쇄상(分岐鎖狀)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고, R2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 n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附加) 몰수를 나타내고, 5 내지 30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포화지방산(C)이 팔미틴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아미드아민 화합물(D) 0.1 내지 5질량%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농축 타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의 합계의 계면활성제 농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고, 해당 계면활성제 농도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50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5질량%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하여도 액성이 양호하고, 거품 일어남이 저감되고, 또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이 억제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액체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A)(이하, (A)성분이라고 한다.) 50 내지 70질량%와, 비(非)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B)(이하, (B)성분이라고 한다.) 1 내지 10질량%와, 포화지방산(C)(이하, (C)성분이라고 한다.) 0.05 내지 3질량%를 함유한다.
<(A)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은, 상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이다.
해당 (A)성분을 사용함에 의해,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고농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도 겔화 등을 일으키지 않고 양호한 액성을 확보하면서,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한다」라 함은,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에 50질량% 이상의 양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해당 (A)성분을 함유함에 의해, 물에의 용해성에 우수하고, 높은 세정력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고농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도 점도가 현저하게 증대(겔화)하지 않고 액성이 양호하고, 유동성도 양호한 농축형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I)중, R1은, 탄소수 9 내지 13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9 내지 13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이다.
R1에 있어서, 알킬기, 알켄일기의 탄소수는, 세정력 향상이나 겔화 방지의 점에서, 각각 탄소수 10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탄소수 11 내지 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2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탄소수 2 내지 3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성분중에 있어서, R2는, 일종 단독의 알킬렌기라도 좋고, 2종 이상의 알킬렌기가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R3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n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5 내지 30이다. 바람직하게는, 세정력이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액 안정성(특히, 저온에서의 경시 안정성 등)의 향상의 점에서 12 내지 18이다.
또한, (A)성분에 있어서,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다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분포의 비율을 나타내는 내로우율은,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치로서는 실질적으로는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내로우율은, 20 내지 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저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30 내지 45질량%가 또한 바람직하다.
해당 내로우율은 높을수록, 양호한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해당 내로우율이 20질량% 이상, 특히 30질량% 이상이면, 계면활성제의 원료 냄새가 적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이것은, (A)성분의 제조 후, (A)성분과 공존하는 (A)성분의 원료인 지방산 에스테르와 상기 일반식(I)중의 n=1 및 2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가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로우율(narrow rate)」이란,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다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분포의 비율을 나타내는 하기한 수식(S)으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1
[식중, nmax은 전체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체의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i는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Yi는 전체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중에 존재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i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비율(질량%)을 나타낸다.]
상기 내로우율은, 예를 들면 해당 (A)성분의 제조 방법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A)성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표면 개질된 복합 금속 산화물 촉매를 사용하여,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시키는 방법(특개2000-144179호 공보 참조)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개질된 복합 금속 산화물 촉매의 알맞는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금속 수산화물 등에 의해 표면 개질된, 금속 이온(Al3+, Ga3+, In3+, Tl3+, Co3+, Sc3+, La3+, Mn2+ 등)이 첨가된 산화 마그네슘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 촉매나, 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금속 알콕시드 등에 의해 표면 개질된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소성물 촉매 등이다.
또한, 상기 복합 금속 산화물 촉매의 표면 개질에 있어서는, 복합 금속 산화물과, 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금속 알콕시드와의 혼합 비율을, 복합 금속 산화물 100질량부에 대해, 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금속 알콕시드의 비율을 0.5 내지 1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성분은, 그 분자 구조에 있어서, 친수기가 분자의 말 단에는 존재하지 않고(말단 봉쇄형이고), 또한 극성이 높은 카르보닐기를 그 분자중에 갖는다.
이들에 의해, 이러한 (A)성분은, 수용액계 중에서 분자끼리의 배향성이 약하고, 미셀이 불안정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이기 때문에, 고농도로 겔화 등이 생기지 않고 액성이 양호하고, 1종 단독으로 다량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에 배합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이 향상한다고 추측된다. 또한, 고농도에서의 양호한 유동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A)성분이 세탁기 조 내의 수중에 투입된 후, 세탁액중의 (A)성분의 농도가 빨리 균일하게 되고, 세정 초기부터 소정의 농도로 피세물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A)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성분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50 내지 70질량%이고, 51 내지 6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1질량% 이상이면, 양호한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농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농축 타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농축 타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로서의 유효성(상품 가치)이 높아진다. (A)성분의 함유량이 7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하이면, 경시에 수반하는 액 표면에서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겔화 등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액 표면에서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B)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 (B)성분은 비(非)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이다.
해당 (B)성분을 사용함에 의해, 주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본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비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란, 비누 이외의 아니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B)성분으로서는, 비누 이외이라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LAS), 알킬황산염(AS),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AES), α-올레핀술폰산염(AOS), 알칸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 에스테르염(α-SF),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벤젠술폰산염,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황산염 ;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 내지 10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α-올레핀술폰산염,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칸술폰산염,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 내지 10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본산염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칸술폰산염이 바람직하고,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해당 탄소수 10 내지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으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20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해당 탄소수 10 내지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 내지 10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해당 평균 부가 몰수 1 내지 4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으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을 구성하는 전체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중에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많이 존재하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의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n1max」라고 한 때, 전체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에 대한,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n1max-1)과 n1max와 (n1max+1)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의 합계의 비율이 55질량% 이상인 것도 바람직하고, 55 내지 75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라면,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또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액 표면에서, 해당 액체 세정제 조성물 자체가 겔화하기 어려워져서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알칸술폰산염으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20의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탄소수 10 내지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급 알칸술폰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 탄올아민염 등의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B)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B)성분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1 내지 10질량%이고, 1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이면,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성분의 함유량이 10질량% 이하이면, 거품이 지나치게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액 표면에서, 해당 액체 세정제 조성물 자체가 겔화하기 어려워져서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A)성분을 보다 많이 배합할 수 있고, 세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C)성분과의 배합 밸런스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은, 주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에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로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이유의 하나는, 「누렇게 됨」은, 세탁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여, 피세물에 철분 등이 흡착하기 쉽게 되고, 이 철분 등이, 햇볕에 말림 등의 영향에 의해 변색하고, 피세물상에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또하나 생각되는 것은, 유연 기제(유연성을 부여하는 성분)가 세탁할때마다 의류에 축적하여, 누렇게 됨이 생기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작용에 의해, 상기 철분 등의 피세물에의 흡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B)성분이 유연 기제를 세탁할 때에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B)성분의 상기 철분 등에의 작용이 큰 것이라고 추측된다.
<(C)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 (C)성분은 포화지방산이다.
해당 (C)성분을 사용함에 의해, 주로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성분으로서는, 직쇄상이라도 분기쇄상이라도 좋고, 탄소수는 8 내지 22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18이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카프릴산,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가 보다 양호한 것이여서, 팔미틴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성분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5 내지 3질량%이고, 0.1 내지 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1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의 함유량이 0.05질량% 이상이면,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성분의 함유량이 3질량% 이하이면, 침전이나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액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다른 성분(특히 상기 (B)성분)과의 배합 밸런스 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B)성분과 (C)성분의 혼합 비율[(B)/(C)]로서는, 질량비로 (B)/(C)=1/10 내지 100/1인 것이 바람직하고, (B)/(C)=1/5 내지 5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B)/(C)=1/5 내지 25/1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B)/(C)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라면,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와,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의 양쪽의 효과가, 모두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B)/(C)의 질량비가 상한치 이하이면,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한편, (B)/(C)의 질량비가 하한치 이상이면,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는, 상기 (A) 내지 (C)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아미드아민 화합물(D))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아미드아민 화합물(D)(이하, (D)성분이라고 한다.) 0.1 내지 5질량%를 또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D)성분을 사용함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더욱 유연성 부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급 암모늄염형의 카티온 계면활성제 등의 유연성 부여 성분과는 달리,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저온시에 액 표면에서 겔화하지 않고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효과(이하, 「피막 형성의 억제의 효과」라고 하는 일 이 있다.)도 얻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드아민 화합물」이란, 암모니아(NH3)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아미드기(-NH-C(=O)-)를 포함하는 유기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해당 유기기로서는, 장쇄 탄화 수소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아미드아민 화합물은, 제 1급 아민, 제 2급 아민, 제 3급 아민 또는 그들의 염의 어느 하나라도 좋다.
이러한 (D)성분이 알맞은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3급 아민 또는 그 염(D1)(이하, (D1)성분이라고 한다.) 등을 들 수 있다. (D1)성분을 사용하면, 유연성 부여 효과 및 피막 형성의 억제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2
[식(d-1)중, R5는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 수소기이고, R6은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렌기이고 ;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CH2CH2O)n2-H(단, n2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내지 25이다.)이다.]
상기 식(d-1)중, R5는,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 수소기이고, 직쇄상이라도 분기쇄상이라도 좋고, 포화라도 불포화라도 좋다.
R5로서는, 탄소수 7 내지 23의 탄화 수소기이고, 탄소수 7 내지 21의 탄화 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탄소수 7 내지 23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3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켄일기를 들 수 있다.
R6은,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렌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기이다. R7 및 R8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CH2 CH2O)n2-H(단, n2은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1 내지 25이다.)이고, 그 중에서도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D1)성분이 알맞은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프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카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우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올레인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의 장쇄 지방족 아미드알킬 3급 아민 또는 이들의 염 ; 팔미틴산 디에탄올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탄올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프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카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우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올레인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이들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D1)성분의 제조예에 관해, 상기 예시한 화합물중의 「장쇄 지방족 아미드알킬 3급 아민」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지방산 또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동·식물성 유지 등의 지방산 유도체와, 디알킬(또는 알칸올)아미노알킬아민을 축합 반응시키고, 그 후, 미반응의 디알킬(또는 알칸올)아미노알킬아민을, 감압 또는 질소 블로우로 유거(留去)함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로서는, 카프릴산,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베헤닌산, 에루카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야자유 지방산, 면실유 지방산, 옥수수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아마니유 지방산, 피마자유 지방산, 올리브유 지방산 등의 식물유 또는 동물유 지방산 등, 또는 이들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등이 구체적으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카프릴산,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베헤닌산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디알킬(또는 알칸올)아미노알킬아민」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장쇄 지방족 아미드알킬 3급 아민을 제조할 때의 디알킬(또는 알칸올)아미노알킬아민의 사용량은,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해, 0.9 내지 2.0배 몰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배 몰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통상 100 내지 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이다. 반응 온도가 100℃ 이상이면, 반응이 너무 늦어지는 일이 없고, 220℃ 이하이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착색이 억제된다.
장쇄 지방족 아미드알킬 3급 아민의 상기 이외의 제조 조건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고, 반응시의 압력은 상압이라도 감압이라도 좋고, 반응시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불어넣음에 의해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방산을 사용하는 경우는, 황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산촉매 ; 지방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나트륨메틸라이트, 가성 칼리, 가성 소다 등의 알칼리 촉매를 사용함에 의해, 낮은 반응 온도이면서 단시간에 의해 효율적으로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D1)성분이, 융점이 높은 장쇄 아민인 경우에는, 핸들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응 후, 플레이크상 또는 펠릿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액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1)성분으로서는, 3급 아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해당 3급 아민을 산에 의해 중화한 산염 등을 구체적으로 들 수 있다. 중화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글리콜산, 유산(乳酸), 구연산, 폴리아크릴산, 파라톨루엔술폰산, 쿠멘술폰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시판되는 (D1)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동방화학(주)제의 카치날MPAS-R(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D)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성분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4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4질량%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이면,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유연성 부여 효과가 더욱 얻어지기 쉬워진다.
(D)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 이하이면,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저온시에도 액 표면에서 겔화하지 않고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다른 성분과의 배합 밸런스를 취하기 쉬워진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A) 내지 (D)성분을 제외한 계면활성제를 용도에 따라 배합하여도 좋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장쇄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한 알코올에 톡실레이트, 알킬페놀, 고급 지방산 또는 고급 아민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지방산 알칸올아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테르, 알킬아민옥사이드, 알켄일아민옥사이드, 경화 피마자유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 당 지방산 에스테르, N-알킬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알킬글리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베타인형, 알킬아미드베타인형, 이미다졸린형, 알킬 아미노술폰형, 알킬아미노카르본산형, 알킬아미드카르본산형, 아미드아미노산형 또는 인산형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2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글리콜류 ;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알킬에테르류 등의 수(水)혼화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도레·다우코닝(주)제의 CF1188HV, SH3748, SH3749, SH3772M, SH3775M, SF8410, SH8700, BY22-008, BY22-012, SILWET L-7001, SILWET L-7002, SILWET L-7602, SILWET L-7604, SILWET FZ-2104, SILWET FZ-2120, SILWET FZ-2161, SILWET FZ-2162, SILWET FZ-2164, SILWET FZ-2171, ABN SILWET FZ-F1-009-01, ABN SILWET FZ-F1-009-02, ABN SILWET FZ-F1-009-03, ABN SILWET FZ-F1-009-05, ABN SILWET FZ-F1-009-09, ABN SILWET FZ-F1-009-11, ABN SILWET FZ-F1-009-13, ABN SILWET FZ-F1-009-54, ABN SILWET FZ-22-22 ; 신에츠화학공업(주)제의 X-20-8010B, KF352A, KF6008, KF615A, KF6012, KF6016, KF6017 ; GE도시바실리콘(주)제의 TSF4450, TSF4452, TSF4445(이상, 상품명)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파라톨루엔술폰산, 안식향산염(방부제로서의 효과도 있다), 요소 등의 감점제(減粘劑) 또는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감점제 또는 가용화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말론산, 호박산, 사과산, 디글리콜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금속 이온 포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금속 이온 포착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1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디스티렌화 크레졸,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수소나트륨 등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1 내지 2질량%인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롬·앤드·하우스사제의 케이송CG(상품명) 등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방부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01 내지 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세정 성능 향상이나 안정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효소(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 등), 촉감 향상제, 알칸올아민 등의 알칼리 빌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하이드로트로프제, 형광제, 이염(移染) 방지제, 재오염 방지제, 진주제, 소일 릴리스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상품의 부가 가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착색제, 유탁화제, 방향을 위한 항료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애시드레드138, Polar Red RLS, 애시드옐로203, 애시드블루9, 청색 1호, 청색 205호, 녹색 3호, 터코이즈P-GR(모두 상품명) 등의 범용의 색소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착색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0005 내지 0.00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탁화제로서는, 폴리스티렌 에멀션, 폴리사세트산 비닐 에멀션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고형분 30 내지 50질량%의 에멀션이 알맞게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에멀션(사이덴화학사제, 상품명 : 사이비놀RPX-196 PE-3, 고형분 40질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유탁화제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1 내지 0.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료로서는, 일본 특개2002-146399호 공보에 기재된 항료 성분을 들 수 있다. 해당 항료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0.01 내지 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중,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질량%이다. 해당 범위라면, 「농축 타입」으로서 안정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pH 조정제로서는, 염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 ; 다가 카르본산류, 히드록시카르본산류 등의 유기산 ;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알칸올아민,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고,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의 면에서, 황산,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알칸올아민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25℃에서의 pH를,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9로 조정하는 양이 적절히 첨가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pH는, 25℃에서의 pH가 4 내지 9인 것이 바람직하고, pH4 내지 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가 4 내지 9인 것에 의해, 특히,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장기간 보존하여도, 경시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pH의 조정은, 예를 들면 일정량의 황산, 수산화 나트륨 등을 첨가함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pH의 미조정용으로서 무기산(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또는 수산화 칼륨 등을 더욱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체 세정제 조성물(25℃로 조온(調溫))의 pH는, pH 미터(제품명 : HM-30G, 동아디케이케이(주)제) 등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알맞게는 물을 용제로 하여, 일상법에 의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통상의 사용 방법, 즉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본 발명품)을, 세탁시에 세탁물과 함께 물에 투입하는 방법, 진흙 오염이나 피지 오염에 본 발명품을 직접 도포하는 방법, 본 발명품을 미리 물에 녹여서 의류를 침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품을 세탁물에 도포 후, 적절히 방치하고, 그 후, 통상의 세탁액을 이용하여 통상의 세탁을 행한 방법도 바람직하다. 그 때, 본 발명품의 사용량은, 종래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량보다도, 실질상 반량(半量) 이하로 적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하여도 액성이 양호하고, 거품 일어남이 저감되고, 또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이 억제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드럼식 세탁기에도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이른바 「농축 타입」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고, 특히 의료용(衣料用)으로서 알맞은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는 특히 별도로 설명이 없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표 1 내지 6에 표시하는 조성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일상법에 준하여, 이하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2㎝의 교반자(攪拌子)가 들어간 원통 유리병(직경 50㎜, 높이 100㎜)에, (A)성분을 넣었다. 다음에, 임의 성분의 혼합 용액을 넣고, 400rpm으로 교반자를 교반시켰다. 뒤이어, 표 1 내지 5에 표시하는 조성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B)성분을 넣어서 교반하고, 표 6에 표시하는 조성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D)성분을 넣어서 교반하고, 계속해서 (B)성분을 순차적으로 넣어서 교반하고, 각각 혼합하였다. 그 후, 전체량(전체량을 100질량부라고 한다.)이 93질량부가 되도록 정제수를 넣고, 교반 혼합한 후, 액체의 온도를 40 내지 50℃로 하고, (C)성분을 넣어서 교반하였다. 뒤이어, 25℃까지 냉각한 후, pH를 조정하고, 전체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하여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H의 조정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25℃에서의 pH가 표 1 내지 6에 표시하는 값이 되도록, pH 조정제(수산화 나트륨 또는 황산)를 적량 첨가함에 의해 행하였다.
또한, 표 1 내지 6중의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이고, 순분 환산량을 나타낸다.
이하에, (A)성분의 내로우율의 측정 방법, 및 표중에 표시한 성분에 관해 설명한다.
<(A)성분의 내로우율의 측정 방법>
이하에 나타내는 (A)성분에 관해, 하기 측정 조건에 의해,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다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A)성분의 내로우율(질량%)을 상기 수식(S)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HPLC에 의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분포의 측정 조건]
장치 : LC-6A((주)시마츠제작소제)
검출기 : SPD-10A
측정 파장 : 220㎚
칼럼 : Zorbax C8(Du Pont(주)제)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수=60/40(체적비)
유속 : 1㎖/min
온도 : 20℃
<표중에 표시한 성분의 설명>
·(A)성분
A-1 : C11H23CO(OC2H4)15OCH3, 내로우율 33질량% ; 합성품.
A-2 : C11H23CO(OC2H4)15OCH3와 , C13H27CO(OC2H4)15OCH3의 질량비로 8/2의 혼합물, 내로우율 33질량% ; 합성품.
A-3 : C11H23CO(OC2H4)15OCH3, 내로우율 45질량% ; 합성품.
A-4 : C11H23CO(OC2H4)15OCH3와, C13H27CO(OC2H4)15OCH3의 질량비로 8/2의 혼합물, 내로우율 45질량% ; 합성품.
A-5(비교품) : C13H27O(C2H4O)15H, 미쯔비시화학(주)제의 Diadol알코올(상품명, 분기률 50질량%)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몰 부가물 ; 합성품.
단, A-1은, 일본 특개2000-144179호 공보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조예 1에 준하여 제조한 합성품을 사용하였다.
즉, 화학 조성이 2.5MgO·Al2O3·nH2O인 수산화 알루미나·마그네슘(교와화학공업(주)제, 상품명 : 쿄와도300)을, 600℃에서 1시간, 질소 분위기하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소성 수산화 알루미나·마그네슘(미개질) 촉매 2.2g과, 0.5규정의 수산화 칼륨 에탄올 용액 2.9㎖과, 라우린산 메틸에스테르 350g을 4리터 오토클레이브에 사입하고,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촉매의 개질을 행하였다. 뒤이어,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로 치환한 후, 승온을 행하여, 온도를 180℃, 압력을 3atm으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사이드 1079g을 도입하고,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또한, 반응액을 80℃로 냉각하고, 물 159g과, 여과 조제로서 활성백토 및 규조토를 각각 5g 첨가한 후, 촉매를 여별(濾別)하여, A-1을 얻었다.
또한, 촉매에 대한 알칼리 첨가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내로우율 33질량%의 A-1을 얻었다.
A-2는, 상기한 A-1의 합성 방법에 있어서, 라우린산 메틸에스테르 단독 대신 에, 라우린산 메틸에스테르 280g 및 미리스틴산 메틸에스테르 70g을 각각 사용하고, 에틸렌옥사이드 1052g을 도입한 이외는, A-1의 합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촉매에 대한 알칼리 첨가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내로우율 33질량%의 A-2를 얻었다.
A-3은, 상기한 A-1의 합성 방법에 있어서, 라우린산 메틸에스테르 350g을 사용하고, 에틸렌옥사이드 1079g을 도입한 이외는, A-1의 합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촉매에 대한 알칼리 첨가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내로우율 45질량%의 A-3을 얻었다.
A-4는, 상기한 A-1의 합성 방법에 있어서, 라우린산 메틸에스테르 단독 대신에, 라우린산 메틸에스테르 280g 및 미리스틴산 메틸에스테르 70g을 각각 사용하고, 에틸렌옥사이드 1052g을 도입한 이외는, A-1의 합성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촉매에 대한 알칼리 첨가량을 컨트롤함에 의해, 내로우율 45질량%의 A-4를 얻었다.
A-5(비교품)의 합성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트리데실알코올 186g, 30질량% NaOH 수용액 2.0g을, 내압형 반응용기중에 각각 채취하고, 용기 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다음에, 온도 100℃, 압력 2.0kPa 이하에서 30분간 탈수하고 나서, 온도를 160℃ 까지 승온하였다. 알코올을 교반하면서 산화 에틸렌(가스 상태) 660g을, 취입관을 사용하여, 반응 온도가 180℃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 속도를 조정하면서 알코올의 액중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산화 에틸렌의 첨가 종료 후, 온도 180℃, 압력 0.3MPa 이하에서 30분간 숙성한 후, 온도 180℃, 압력 6.0kPa 이하에서 10분간, 미반응의 산화 에틸렌을 유거(留去)하였다. 다음에, 온도를 100℃ 이하까지 냉각한 후, 반응물의 1질량% 수용액의 pH가 약 7이 되도록, p-톨루엔술폰산(70질량%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하고, A-5(비교품)를 얻었다.
또한, A-1 내지 A-4에 있어서, 내로우율은, 상기한 내로우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합성품에 있어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다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분포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B)성분
B-1 : LAS, 직쇄 알킬(탄소수 10 내지 14)벤젠술폰산[라이온(주)제, 상품명 : 라이폰LH-200(LAS-H 순분 96질량%)]을, 모노에탄올아민(닛폰촉매(주)제)으로 중화한 것을 나타낸다. 직쇄 알킬(탄소수 10 내지 14)벤젠술폰산의 모노에탄올아민염으로서 평균분자량 381. 표중의 배합량은, 해당 모노에탄올아민염으로서의 값(질량%)을 나타낸다.
B-2 : AES, 탄소수 C12 내지 13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 나트륨(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 ; 합성품.
[B-2(AES)의 합성 방법]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Neodol23알코올[상품명, 셸케미칼주사제 ; C12, 13 알코올(탄소수 12의 알코올과, 탄소수 13의 알코올의 질량비1/1의 혼합물), 분기율 20질량%] 400g과, 수산화 칼륨 촉매 0.8g을 사입하고,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 치환하고,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그 후, 온도 180℃, 압력 0.3mPa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사이드 272g을 도입하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의 반응물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280g을, 교반 장치가 있는 500㎖ 프라스코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 황산(술판) 67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고(황산화 반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B-2(AES)를 얻었다.
B-3 : SAS, 세컨더리알칸술폰산 Na, 크러리앤드·재팬사제, 상품명 「SAS30」.
B-4 : NRES, 알킬(탄소수 12 내지 13)에톡시황산 에스테르나트륨(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2) ; 합성품.
[B-4(NRES)의 합성 방법]
원료 알코올로서, 사솔제의 사포올23(상품명, 탄소수 12의 알코올과 탄소수 13의 알코올의 질량비로 55 : 45의 혼합물, 직쇄율 50질량%)을 사용하였다.
또한, 「직쇄율」이란, 전체 고급 알코올에 대한, 직쇄상의 고급 알코올의 비율(질량%)을 나타낸다.
4ℓ의 오토클레이브중에, 상기 원료 알코올 400g과, Al/Mg/Mn로 구성되는 복합 금속 산화물 루이스산 소결 고체 촉매 0.4g을 사입하고,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 치환하고, 교반하면서 승온하였다. 그 후, 온도 180℃, 압력을 0.3mPa로 유지하면서 에틸렌옥사이드 54g을 도입하고, 반응물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알코올에톡실레이트 274g을, 교반 장치가 있는 500㎖ 프라스코에 취하고, 질소 치환 후, 액체 무수 황산(술판) 81g을 반응 온도 40℃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을 계속하고, 목적으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을 얻었다. 또한, 이것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에 의해, B-4(NRES)를 얻었다.
·(C)성분
C-1 : 팔미틴산, 일본유지(주)제, 상품명 「NAA-160」.
C-2 : 라우린산, 일본유지(주)제, 상품명 「NAA-122」.
C-3 : 미리스틴산, 일본유지(주)제, 상품명 「NAA-142」.
C-4 : 스테아린산, 일본유지(주)제, 상품명 「NAA-180」.
C-5(비교품) : 올레인산, 일본유지(주)제, 상품명 「엑스트라 올레인」.
·임의 성분
D-1 : 아미드아민 Cm'H2m'+1CONH(CH2)3N(CH3)2 (m'=15의 화합물과 m'=17의 화합물의 질량비로 3/7의 혼합물), 동방화학(주)제, 상품명 「카치날PAS-R」.
에탄올 : NEDO제, 상품명 「95vol% 합성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 (주)라이온 화학 제, 상품명 「PEG#1000-L60」.
POE 실리콘 :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도레·다우코닝(주)제, 상품명 「SH3775M」.
p-톨루엔술폰산 : 교와발효공업(주)제.
안식향산 Na : (주)후시미제약제, 상품명 「안식향산 나트륨」.
구연산 : 닙보샤유지공업(주)제, 상품명 「액체 구연산」.
리카나제2.5L : 노보자임즈제, 상품명 「리카나제ultra2.5L」.
리카나제2.5×L : 노보자임즈제, 상품명 「리카나제ultra2.5×L」.
에바라제 : 노보자임즈제, 상품명 「에바라제16L」.
항료 조성물 : 일본 특개2002-146399호 공보의 표 11 내지 18에 기재된 항료 조성물 A.
색소 : 계사화성(주)제, 상품명 「녹색 201호 」.
수산화 나트륨 : 츠루미소다(주)제.
황산 : 도호아연(주)제.
정제수 : 이온 교환수 사용.
≪평가 방법≫
얻어진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 및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 내지 6에 병기하였다.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의 평가>
1) 세정 처리 방법
시판의 면 타월(면 100질량%) 10장과, 피세물 전체로서의 질량(600g)을 확보하기 위해 이용한 시판의 면 속셔츠(남성용, 사이즈 LL) 3장을, 도시바제의 전자동 세탁기(제품명 : AW-80VC(WL))에 투입하고, 수량(水量)을 12ℓ로 설정하고, 각 예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4㎖의 비율로 세탁조에 투입하고, 라이온(주)제의 훙와리 소프란(상품명, 유연제 제품) 3.7㎖를 유연제 투입구에 넣고, 맡김 코스로 세정(6분간), 헹굼 2회, 탈수(6분간)를 순차로 행하는 세정 처리를 행하였다. 이 세정 처리를 30회 반복하였다. 또한, 세탁에 이용하는 물은, 수도물을 이용하였다.
2) 누렇게 되는 정도의 평가
상기한 세정 처리를 30회 반복한 면 타월을, 실내에서 건조시켰다.
상기한 세정 처리 전의 면 타월, 및 상기한 세정 처리를 30회 반복하여 건조시킨 후의 면 타월의 b값을, 측색 색차계(일본전색사제, 제품명 : SE2000)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누렇게 되는 정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 ○을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누렇게 되는 정도 = 세정 처리 후의 b값-세정 처리 전의 b값
평가 기준
◎ : 누렇게 되는 정도 0.5 미만.
○ : 누렇게 되는 정도 0.5 이상 1.5 미만.
△ : 누렇게 되는 정도1.5 이상 2.5 미만.
× : 누렇게 되는 정도 2.5 이상.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의 평가>
시판의 면 속셔츠(남성용, 사이즈 LL) 7장을, 내셔널제의 드럼식 세탁기(제품명 : NA-V81)에 투입하고, 각 예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35㎖의 비율로 세탁조에 투입하고, 건조를 포함하지 않는 세탁만의 코스(맡김 코스 : 수위·고(高), 세정 25분간, 헹굼 2회, 탈수 3분간)로 설정하여 스타트 버튼을 누르고, 세탁 시작부터 25분 후의 세탁조 내의 거품 일어남의 상태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였다.
거품 일어남의 상태는, 드럼식 세탁기의 프런트 문(원형 모양)의 면을 차지하는 거품의 비율을 지표로 하여,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 ○, △을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도 1에, 본 평가에 있어서의 세탁조 내의 거품 일어남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a)는, 거품의 비율이 평가 기준의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b)는, 거품의 비율이 평가 기준의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평가 기준
◎ : 프런트 문의 면을 차지하는 거품의 비율이 1/4 미만이였다.
○ : 프런트 문의 면을 차지하는 거품의 비율이 1/2 미만이였다.
△ : 프런트 문의 면을 차지하는 거품의 비율이 3/4 미만이였다.
× : 프런트 문의 면을 거의 가득 거품이 차지하였다.
<액성의 평가>
각 예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 150㎖를, 직경 50㎜, 높이 100㎜의 원통 유리병에 수용하고, 뚜껑을 닫고 밀봉하였다. 이 상태에서, 25℃의 항온실에 보존하고, 24시간 후의 액의 외관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액성을 평가하였다. ○을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 : 균일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 : 극히 소량의 침전물, 또는 약간의 분리가 인정되었다.
× : 다량의 침전물 또는 분리가 인정되었다, 또는 겔화하고 있다.
[표 1]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3
[표 2]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4
[표 3]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5
[표 4]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6
[표 5]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7
[표 6]
Figure 112008068063476-pat00008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 내지 25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다량 함유하여도 액성이 양호하고, 거품 일어남이 저감되고, 또한, 유연제 제품의 사용에 수반하는 누렇게 됨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대비로부터, (C)성분으로서 팔미틴산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가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A) 내지 (C)성분중, (C)성분을 결여한 비교예 1, (C)성분으로서 불포화지방산의 올레인산을 함유하는 비교예 4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모두,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B)성분을 결여한 비교예 2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가 낮고, (B)성분의 함유 비율이 10질량% 초과의 비교예 3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B)성분 및 (C)성분을 모두 결여한 비교예 5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누렇게 됨의 억제 효과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A)성분의 비교품을 함유하는 비교예 6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에 즈음하여, 점도가 현저하게 증가(겔화)하였기 때문에, 조제할 수 없었다.
<유연성 부여 효과의 평가>
실시예 24, 25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유연성 부여 효과의 평가를 행하였다.
시판 T셔츠(면 100%, B. V. D사제) 7장을 2조식 세탁기(상품명 : CW-C30A1, 미쓰비시전기제)에 넣고, 수도물 30ℓ에 각 예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 15㎖을 녹인 수용액을, 상기 2조식 세탁기에 넣고, 약수류(弱水流)로, 세정 시간 10분간, 탈수 1분간, 저장 행굼(2회 반복, 각 5분간) 및 탈수 1분간을 1공정으로 한 세탁 조작을 행하였다.
이용한 수도물의 온도는, 2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상기 세탁 조작 1공정에 의해 처리한 T셔츠를 그늘에서 말리고, 12시간 건조시켰다. 그 후, 해당 T셔츠를, 25℃, 습도 65%RH의 항온항습실에 2일간 방치하였다. 이상이 처리를 시행한 T셔츠를 시험포로 하여 유연성 부여 효과의 평가에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세탁 조작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라우릴 알코올 1몰당 평균 15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알코올에톡실레이트)의 20질량% 수용액 30㎖을 액체 세정제 조성물로서 사용하고,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처리한 T셔츠를 평가 대조포로 하였다. 유연성 부여 효과의 평가는, 전문 패럴러 10인에 의한 상기 평가 대조포와의 1대(對) 비교를 관능에 의해 행함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4, 25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처리한 시험포는 모두, 대조포보다 매우 부드럽다고 느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양호한 유연성 부여 효과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거품 일어남의 저감 효과의 평가에 있어서 「세탁조 내의 거품 일어남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포의 비율이 평가 기준의 「×」레벨, 도 1(b)는 포의 비율이 평가 기준의 「○」레벨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Claims (4)

  1.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A) 50 내지 70질량%와, 비(非)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B) 1 내지 10질량%와, 포화지방산(C) 0.05 내지 3질량%를 함유하고,
    상기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A)에서,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다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분포의 비율을 나타내는 하기한 수식(S)으로 표시되는 내로우율이 20 내지 4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
    R1CO-(OR2)n-OR3 … (I)
    [식(I)중, R1은 탄소수 9 내지 13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고, R2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 n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5 내지 30이다.]
    Figure 112014123719776-pat00010
    [식(S)중, nmax은 전체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i는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Yi는 전체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중에 존재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i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비율(질량%)을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비누계 아니온 계면활성제(B)와 상기 포화지방산(C)과의 혼합 비율[(B)/(C)]이, 질량비로 (B)/(C)=1/10 내지 1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C)이 팔미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아미드아민 화합물(D) 0.1 내지 5질량%를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20080095132A 2007-12-28 2008-09-29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1518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4010 2007-12-28
JP2007340102 2007-12-28
JP2008219640A JP5331412B2 (ja) 2007-12-28 2008-08-28 液体洗浄剤組成物
JPJP-P-2008-00219640 2008-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940A KR20090072940A (ko) 2009-07-02
KR101518054B1 true KR101518054B1 (ko) 2015-05-06

Family

ID=4133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132A KR101518054B1 (ko) 2007-12-28 2008-09-29 액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179A (ja) * 1998-11-10 2000-05-26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7224199A (ja) * 2006-02-24 2007-09-06 Lion Corp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179A (ja) * 1998-11-10 2000-05-26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7224199A (ja) * 2006-02-24 2007-09-06 Lion Corp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940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33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6086957B2 (ja) 液体洗浄剤
JP5914937B2 (ja) 消臭剤組成物
WO2015083800A1 (ja) 液体洗浄剤
JP533141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007451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586349B2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7224199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1137111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726898B1 (ko) 의류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2009155594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7177101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4896475B2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518054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11137112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677083B2 (ja) 液体洗浄剤
JP200917974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090025274A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08007707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24438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830779B2 (ja) 衣料用液体洗剤組成物
JP2010059275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800770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6199856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3611034B2 (ja) 繊維製品用色調変化抑制液体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