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216B1 -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216B1
KR101517216B1 KR1020130108647A KR20130108647A KR101517216B1 KR 101517216 B1 KR101517216 B1 KR 101517216B1 KR 1020130108647 A KR1020130108647 A KR 1020130108647A KR 20130108647 A KR20130108647 A KR 20130108647A KR 101517216 B1 KR101517216 B1 KR 10151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hannels
injector
peripheral device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439A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김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민 filed Critical 김철민
Priority to KR102013010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4Display units or mountings therefor; Switch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5/760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y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06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4Humidity, moi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67Presence, absence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로서, 사출기 내의 각 감시존에 설치되어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중량의 6인자 값을 검출하는 복수개의 감지부에 의해 6인자 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기 설정된 6인자 값의 상/하한 값과 현재값을 비교하여 사출기 내의 각 감시존별 6인자 값을 통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복수개의 채널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중앙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TOTAL INTEGRATION INDICATOR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기 통합 관리 인디케이터로서,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각 감시존에 설치되어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중량값을 검출하는 복수개의 감지부에 의해 6인자 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기 설정된 6인자 값의 상/하한 값과 제공된 현재값을 비교하여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각 감시존별의 6인자 값을 통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사출기는 고정측 금형과 이동측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 내에 사출원료를 주입시켜 경화시켜 제품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사출기를 이용한 제품 제조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금형내의 용융된 사출 원료를 주입시키는 사출공정과, 주입이 완료된 경우 사출 원료를 경화시키는 냉각 공정과, 냉각이 완료된 경우 금형을 형개시키는 형개 공정과, 금형 내의 사출물을 취출하는 취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여러 단계의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맞추어 금형 내의 상태, 즉 온도, 압력 또는 습도 등이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01249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온도 조절 장치가 적용된 사출기의 대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온도 조절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출기은 고정측 금형과 이동측 금형(또는 가동측 금형)에는 금형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냉각장치와 사출장치 사이에는 온도조절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온도조절 장치(100)에 대해 살펴보면, 복수의 가열 탱크(103, 112) 및 냉각조(50)와 금형(12, 14)내에 열전도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104, 113)를 포함하는 사출기에 있어서, 냉각조(50)의 열전도 유체를 히터(H1, H2)가 내장된 가열탱크(103, 112)로 유입하는 제1 접속배관(B1)과, 가열탱크(103, 112)의 열전도 유체를 온도 제어기(130, 131)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 및 개방되는 전자식 개폐 벨브(Sol1, Sol4))가 접속되고 일부가 금형(12, 14)의 내부로 접속된 제2 접속배관(B2)과, 온도 제어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쇠 및 개방되는 전자식 개폐 벨브(SoL2, Sol3)가 접속되어 열전도 유체를 냉각조(50)로 드레인 시키는 제3 접속배관(B3)과, 금형(12, 14)과 접속되어 온도를 검지, 온도 제어부로 인가하는 온도 감지부(S1, S2)와, 설정된 온도치와 온도 감지부(S1, S2)로부터 출력된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 온도치 범위로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온도 감지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금형온도와 설정된 금형의 온도치를 비교하여 냉, 온도 배관라인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서 금형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출기의 온도만을 제어하고 금형 내의 압력이나 습도에 대한 조절 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바, 사출기 내의 습도나 압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 조절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온도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된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한계값을 벗어난 경우 이를 감시하는 장치가 없어 제품 불량률이 증가 될 수 있다.
KR 20-1997-0001249 Y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기 내의 각 감시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감지부를 통하여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중량의 6인자 값을 현장에 구비된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감시할 수 있으며, 한편 현장뿐만 아니라 관리실에서도 모니터링부를 통하여 사출기기내의 6인자 값을 통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중량의 현재값과 상/하한 설정값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서 작업 수행이 가능한 사출기기 통합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개별 전원 스위치와 중앙 파워 스위치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일률적으로 전원을 차단 내지 공급할 수 있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하우징 양 측면 후미에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복수개의 채널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중앙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채널은, 상기 인자의 현재값을 나타내는 PV 표시창과 상/하한 설정값을 나타내는 HIGH/LOW 표시창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와, 정상 여부를 알리는 경보부와, 상기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전원을 ON/OFF 하는 개별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자는 온도, 습도, 압력, 호퍼잔량, 길이 또는 중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채널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랙 형태로 수직 적층되고,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전면 일측에 인출 손잡이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에는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을 일괄적으로 ON/OFF 하는 중앙 파워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뒷면 하단에는 센서 및 전원을 연결하는 단자대가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단자대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대의 외부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카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사출기 내의 각 감시존별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무게 6인자 값을 감시할 수 있으며, 감시존 중 어느 한 감시존의 온도, 압력 또는 습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즉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중앙 경보부를 통하여 경보를 발함으로써 사출기 내의 상태를 통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채널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채널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 또는 일률적으로 차단 내지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에의 설치가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온도 조절 장치가 적용된 사출기의 대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온도 조절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사출기의 대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채널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이하 "통합 인디케이터"라 함)의 동작, 구성 및 작용효과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사출기의 대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채널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의 측면도이다.
종래 사출기는 일반적으로 사출 원료를 경화시켜 취출물을 형성하는 고정측/이동측 금형부와, 금형부에 사출 원료를 주입시키는 사출장치와,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장치와, 금형부내에 냉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각장치 및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형부는 제품 성형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성형과정에서 금형부 내의 온도, 압력 또는 습도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제품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출기와 주변기기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온도, 압력 및 습도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에는 다수의 온도 감지센서, 압력 감지센서, 습도 감지센서 등의 각종 감지센서가 마련된다. 이때 감지센서들은 금형부 일측에 형성된 온도 감지기, 압력 감지기 또는 습도 감지기 등의 감지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출기에는 고정측/이동측 금형부에 설치된 감지센서들에 의해 금형부 내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감지기(21)와, 금형부 하측에 위치한 유압 유 온도 감지기(23)와, 사출장치의 호퍼 건조기(Hopper Dryer)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기(22)와, 사출기에 제공되는 냉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감지기(24)와, 금형부 내의 압력이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감지기(26) 및 습도 감지기(25)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200)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채널(220)과, 하우징(210) 일측에 위치하는 중앙 경보부(230), 하우징(210) 후미에 위치하는 고정용 브라켓(240)과, 중앙 파워 스위치(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10)은 내부 장치를 감싸고 있는 외곽 프레임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질 수 있다.
채널(220)은 제1 내지 제7 채널(C1~ C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 각각(C1~ C7)은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온도 감지부, 압력 감지부, 습도 감지부, 호퍼잔량 감지부, 길이 감지부 또는 중량 감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채널(220)의 개수는 1~N까지 임의적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감지 형태 또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감시존은 사출기의 부위별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중량의 6인자 값을 측정하기 위해 구획된 감시 대상이 되는 지역을 의미하며, 감지부는 감지 센서 또는 감지 센서와 연결되는 감지기를 의미한다. 한편 호퍼잔량 감지부는 호퍼 내의 사출 원료의 잔량을 감지하며, 길이 감지부는 사출 금형내의 사출물의 길이를 감지하며, 중량 감지부는 사출 금형내의 사출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채널(C1~ C7)의 연결상태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채널(C1, C2)은 고정측/이동측 금형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구획된 제1 및 제2 감시존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 또는 온도 감지기(21)와, 제3 채널(C3)은 사출장치의 호퍼 드라이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구획된 제3 감시존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 또는 온도 감지기(22)와, 제4 채널(C4)은 유압 유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획된 제4 감시존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 또는 온도 감지기(23)와, 제5 채널(C5)은 사출기 내에 제공되는 냉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구획된 제5 감시존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 또는 온도 감지기(24)와, 제6 채널(C6)은 금형부의 온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구획된 제6 감시존에 설치된 압력 감지센서 또는 압력 감지기(26)와, 제7 채널은 금형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획된 제7 감시존에 설치된 습도 감지센서 또는 습도 감지기(27)와 연결될 수 있다.
각 채널(C1~ C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C-10)와, 경보부(C-20)와, 입력부(C-30)와, 전원 스위치(C-40)와, 인출 손잡이(C-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C-10)는 사출기 내의 온도, 압력, 습도, 호퍼잔량, 길이, 중량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PV 표시창(C-12)과, 이들 6인자의 상/하한 설정값을 나타내는 HIGH/LOW 표시창(C-14, C-16)으로 이루어진다.
경보부(C-20)는 PV 표시창(C-12)에 나타나는 현재값과, HIGH/LOW 표시창(C-14, C-16)에 나타나는 상/하한 설정값을 비교하여 사출기 내의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표시하며, 상한 알람 경보 LED(C-21), 정상 알림 LED(C-22) 및 하한 알람 LED(C-23)로 이루어진다.
가령, 현재값이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라면 상한 알람 LED(C-21)가, 하한값 이하로 내려간 경우라면 하한 알람 LED(C-23)가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고, 현재값이 상하한 값 사이라면 정상 알림 LED(C-22)가 초록색으로 점등됨으로써 정상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C-30)는 알람 설정시 숫자를 증감시키는 증감키(C-33)와, 감소시키는 감소키(C-34)와, 숫자를 이동시키는 이동키(C-35)와, 설정값을 저장시키거나 설정 메뉴 진입을 위해 사용되는 SET 키(C-36)와, 알람을 해제시키는 해제키(C-32)와, 초기 전원 투입시 시간 지연 옵션을 설정하는 A-time키(C-31)로 이루어진다.
채널(220)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채널 각각(C1~ C7)은 하우징(210) 내부에 랙 형태로 수직 적층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개의 채널(220) 중 어느 한 채널의 부품 등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채널만 인출 손잡이를 통해 인출하여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앙 경보부(230)는 복수개의 채널(220)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된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장치로서, 버저(Buzzer)와 함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 경보부(23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경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상면에 돔 형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하우징의 양 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에는 고정용 브라켓(240)이 구비될 수 있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 후미에 구비될 수 있고, 후면이나 바닥에 선택 취부될 수 있다.
고정용 브랏켓(240)은 그 단면이 대략 'ㄴ'형태로 이루어져 현장에 설치된 사출기의 일측이나 벽 등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우징(210)의 뒷면 하단에는 감지부 및 전원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 단자대(260)가 설치되며, 단자대(260)의 일측에는 단자대(260)의 외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카바(27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채널(220)을 일괄적으로 ON/OFF 하는 중앙 파워 스위치(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파워 스위치(250)는 하우징의 측면이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200)은 각 채널(C1~C7)별로 전원 스위치(C-40)를 구비함과 동시에 중앙 파워 스위치(250)를 구비함으로써, 각 채널(C1~ C7)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 또는 일률적으로 차단 내지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인디케이터 210: 하우징
220: 채널 230: 중앙 경보부
240: 브라켓 250: 파워 스위치
260: 케이블 연결 단자 270: 보호 카바
C1~ C7: 각 채널 C-10: 표시부
C-20: 경보부 C-30: 입력부
C-40: 전원 스위치 C-50: 인출 손잡이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복수개의 채널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중앙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채널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랙 형태로 수직 적층되고,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전면 일측에 인출 손잡이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은, 상기 인자의 현재값을 나타내는 PV 표시창과 상/하한 설정값을 나타내는 HIGH/LOW 표시창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와, 정상 여부를 알리는 경보부와, 상기 설정값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전원을 ON/OFF 하는 개별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는 온도, 습도, 압력을 포함하며, 호퍼잔량, 길이 또는 중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복수개의 채널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중앙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에는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6.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복수개의 채널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중앙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을 일괄적으로 ON/OFF 하는 중앙 파워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7.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이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다수의 감시존에 설치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출기내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의 현재값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복수개의 채널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중앙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뒷면 하단에는 센서 및 전원을 연결하는 단자대가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단자대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대의 외부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카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KR1020130108647A 2013-09-10 2013-09-10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KR10151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47A KR101517216B1 (ko) 2013-09-10 2013-09-10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647A KR101517216B1 (ko) 2013-09-10 2013-09-10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39A KR20150029439A (ko) 2015-03-18
KR101517216B1 true KR101517216B1 (ko) 2015-05-15

Family

ID=5302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647A KR101517216B1 (ko) 2013-09-10 2013-09-10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583A (zh) * 2019-08-12 2019-11-26 广东科龙模具有限公司 一种模具3d打印件及模具、模具温度监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54B1 (ko) 2010-03-10 2011-05-27 브렌트유화산업(주) 전기 열융착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54B1 (ko) 2010-03-10 2011-05-27 브렌트유화산업(주) 전기 열융착 합성수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439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36799U (zh) 一种注塑模具监控系统
Huang et al. A novel clamping force searching method based on sensing tie-bar elongation for injection molding
US20220016696A1 (en) Testing machine for simulating die-casting die cooling process
CN112872325B (zh) 一种自适应压铸模具温控制装置
KR20120096883A (ko) 냉각 및 싸이클 시간을 단축하는 다채널 금형 온도조절 방법 및 장치
CN102974407A (zh) 一种非饱和高压加速老化试验箱
KR101517216B1 (ko) 사출기 통합 인디케이터
CN104889371A (zh) 一种具有真空感应定向凝固的单晶铸造炉
KR101517217B1 (ko) 사출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N207669672U (zh) 一种汽车零部件生产用温度报警模具
CN116727637B (zh) 一种数字模温控制压铸机
CN206344427U (zh) 一种立式注塑机安全报警装置
JP2011020336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樹脂漏れセンサ装置
CN209304918U (zh) 热流道自动循环测试系统
KR20130096433A (ko) 금형 온도 조절장치
CN110411680B (zh) 一种用于密闭式液冷系统的注排液及压力检测装置
CN106563784B (zh) 一种高压模冷机
CN206314151U (zh) 一种高温设备内监控元件的降温装置
CN207682807U (zh) 一种带有预警模块的精密模具
CN111024315A (zh) 一种防火门防烟性能自动试验装置
JP5426043B1 (ja) 樹脂射出成形不具合判定方法及び樹脂射出成形不具合判定装置
CN205818280U (zh) 一种橡胶带硫化实验用液压式自动加压装置
KR101845951B1 (ko) 핫런너 시스템의 수지 유출 알람 시스템
CN213675318U (zh) 一种智能化微应力注塑生产控制系统
CN211825326U (zh) 一种沥青混合料车辙试件成型试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