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243B1 -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243B1
KR101516243B1 KR1020140005617A KR20140005617A KR101516243B1 KR 101516243 B1 KR101516243 B1 KR 101516243B1 KR 1020140005617 A KR1020140005617 A KR 1020140005617A KR 20140005617 A KR20140005617 A KR 20140005617A KR 101516243 B1 KR101516243 B1 KR 10151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tourist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석
양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4000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하여 관광지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주제별로 정리한 스탬프북 형태로 제공하여 관광객의 다양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관광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관광지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태그정보 리더부;와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관광지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광지의 대표 관광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제별 스탬프북들을 생성하는 스탬프북 생성부; 및 사용자에 의해 관광정보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정보 리더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스탬프북을 포함하는 관광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Tour information notice device using TA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고유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가 관광지와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관광지 및 관련 관광지를 스탬프북으로 생성하여 알려주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해마다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늘어가로 있는 추세에 따라 외국 관광객에게 인상적인 서비스와 편의를 제공하고 불편을 해소하는 한편, 한국이 갖고 있는 역사와 문화 그리고 자연경관등의 관광자원을 효과적으로 홍보한다면 비약적인 관광 수익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관광시 교통혼잡과 안내 표지판의 부족이 불편 사항의 2위와 3위에 해당하여 외국인들이 한국내 여행중에 관광지까지의 길안내와 관광지에서의 관광안내 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IT(Information Technology)를 이용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109020(2012.10.08)에는 이러한 IT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언급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검색한 음식점 정보 및 관광지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관광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는 못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태그를 이용하여 관광지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주제별로 정리한 스탬프북 형태로 제공하여 관광객의 다양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관광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관광지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태그정보 리더부;와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관광지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광지의 대표 관광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제별 스탬프북들을 생성하는 스탬프북 생성부; 및 사용자에 의해 관광정보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정보 리더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스탬프북을 포함하는 관광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및 상기 태그와의 거리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알려주는 장치를 포함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무선신호의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태그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탬프북에 포함되는 관광지들간의 위치 및 길안내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관광지에 대한 길안내 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관광지의 위치 및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 또는 알람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는 RFID, NFC,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탬프북 생성부 및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관광정보 알림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태그정보 리더부가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태그정보 리더부가 관광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저장부를 검색하여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를 서치하는 단계;와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서치된 관광정보와 관련된 관광지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광지의 대표 관광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제별 스탬프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 및 상기 스탬프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주변의 관광지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 단계;와 무선신호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태그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은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탬프북은 사전에 정해진 관광테마별, 지역적 연관성, 관광편의성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여기서, 상기 산출된 태그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는, 상기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관광지의 거리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탬프북에 포함되어 있는 관광지의 길안내 정보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관광지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탬프북에 표시되는 특정 관광지가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관광지와 연관된 관광지를 포함하는 서브 스탬프북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관광지의 정보뿐만 아니라, 주제별 스탬프북을 통해 관광지와 관련된 주제별 정보를 제공하여 관광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길안내와 주변 관광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지에 설치된 태그를 통해서 관광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주변 관광지까지의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이용한 태그정보를 통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관광정보 알림장치에 스탬프북으로 표시되는 관광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브 스탬프북의 관광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관광정보 알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관광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태그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이를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이용한 태그정보를 통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관광객과 같은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의 사용자는 특정 시설물(10)에 설치 또는 부착되어 있는 태그(11)로부터 관광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설물(10)은 관광지가 건축물인 경우에는 건축물 자체가 될 수 있으며, 자연경관인 경우에는 관광지를 안내하는 안내문이나 이정표일 수도 있다.
따라서, 태그(11)는 관광지에 직접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관광지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이정표나 안내문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관광지와 같은 특정 시설물(10)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11)를 인식하여 태그(11)로부터 관광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현재 위치하고 있는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 및 이에 관련된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그(11)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의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 및 현재 위치의 관광지와 관련된 관광지에 대한 연관 주제를 가지고 스탬프북으로 구성된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탬프북으로 구성된 관광정보는 주제별로 유사 관광지가 정리되어 있고 해당 관광지에 대한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어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와 길안내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태그(11)는 무선통신장비를 포함하는 특정 시설물(10)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정 시설물(10)은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발신하고,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무선통신장비를 통해 전파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관광지까지의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관광정보를 알아낼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관광정보 알림장치에 스탬프북으로 표시되는 관광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광정보 알림장치(100)가 태그(11)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태그정보에 광화문에 대한 관광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태그를 분석하여 광화문에 대한 관광정보를 검색하고 생성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한다(화면A).
그리고,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화문과 연관된 주제별 관광정보를 더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화문과 관련된 경희궁, 창경원, 경복궁, 창덕궁 등과 같은 연관 주제별 관광지 정보를 검색하고 생성하여 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서울의 고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스탬프북을 생성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도 있다(화면B).
즉, 광화문과 관련된 서울의 고궁에 대한 관광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서울의 고궁 스탬프북'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광화문이 위치하고 있는 서울의 유명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서울 씨티 투어 스탬프북'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광화문이 포함되어 있는 경복궁에 대한 관광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스탬프북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브 스탬프북의 관광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탬프북에 표시되어 있는 관광지 중에서 특정 관광지가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관광지와 관련된 추천 관광지가 서브 스탬프북으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의 표시부(110)에 '서울의 고궁 스탬프북'이 표시되어 있는 화면(화면C)에서 창덕궁이 선택된 경우에 창덕궁내에 포함되어 있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서브 스탬프북으로 생성되어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화면D).
여기서, 선택된 창덕궁과 관련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 추천 관광지에 대한 스탬프북이 더 생성되어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화면D).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관광정보 알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표시부(110), 태그정보 리더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스탬프북 생성부(150), 무선신호 수신부(160) 및 알람부(17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관광정보와 스탬프북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알람부에서 생성된 알람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표시부(110)는 LCD와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그정보 리더부(120)는 태그(11)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태그정보 리더부(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관광정보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활성화 되어 태그(11)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서 태그정보 리더부(120)는 태그의 종류에 따라 해당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태그가 RFID 태그인 경우에 해당 RFID 태그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태그 정보를 읽어 들어 수신할 수 있도록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태그가 NFC 태그인 경우에는 NFC 리더기로 동작할 수 있도록 NFC 관련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태그가 QR 코드 또는 바코드로 구성된 이미지 코드인 경우에는 이러한 이미지 코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스캐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태그 아이디와 태그 아이디에 관련된 관광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태그 아이디를 알면 해당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를 테이블을 검색하여 알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관광정보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에 태그정보 리더부(120)를 활성화하여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부(130)을 검색하여 태그 아이디에 매칭되어 있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알아낸다.
또한, 스탬프북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스탬프북을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스탬프북 생성부(150)는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광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광지의 대표 관광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제별 스탬프북들을 생성한다. 또한, 태그정보에 포함된 관광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관광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무선신호 수신부(160)는 태그(11)가 부착되어 있는 특정 시설물(10)이 무선통신 장치인 경우에 해당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서 무선신호 수신부(16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3G/4G의 이동통신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알람부(170)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와 태그(11)와의 거리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알려주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태그(11)까지의 거리를 표시부에 숫자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태그와의 거리를 알 수 있도록 항 수도 있고, 태그(11)까지의 거리를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태그와의 거리를 알 수 있도록 항 수도 있고, 태그(11)까지의 거리를 진동장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태그와의 거리를 짐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태그(11)와의 거리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해서는 제어부(140)는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태그(11)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태그(11)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알람부(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 및 스탬프북 생성부(15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관광정보 표시장치(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관광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정보가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무선 신호로 전파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무선신호 수신부(160)를 통해 태그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에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태그 무선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태그(11)가 설치되어 있는 관광지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관광지 순서대로 관광루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도5를 보면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관광지는 1번 관광지(10)이다. 따라서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제일 먼저 관광할 관광루트로는 1번 관광지(10)를 선택한다. 그리고 1번 관광지(10)까지의 거리에 따른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태그 무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1번 관광지(10)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알아내고 1번 관광지(10)까지의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1번 관광지(10)까지의 거리에 따른 알람 및 길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1번 관광지(10)까지의 손쉽게 갈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1번 관광지(10)를 추천받아 이동하면, 이후에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동일한 방법으로 1번 관광지(10)에서 가장 가까운 관광지 순서대로 추천 관광지에 대한 길안내 정보 및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광루트는 1번 관광지(10)에서 2번 관광지(20)로, 2번 관광지(20)에서 3번 관광지(30)로, 3번 관광지(10)에서 4번 관광지(40)로 추천 관광 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각각의 관광지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11,21,31,41)를 보물찾기의 보물로 가정하여 보물찾기 놀이에도 응용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S100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 사용자가 관광정보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관광정보 알림장치(100) 사용자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관광지 정보를 요청하는 관광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S110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가 관광정보 표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관광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태그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해당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태그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태그 탐색 과정없이 바로 태그정보 리더부(120)를 활성화하여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태그 탐색 과정은 도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120 단계는 태그정보 리더부(120)를 활성화하는 단계이다.
태그정보 리더부(120)는 평소에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의 전원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비할성화 상태로 있다가 관광정보 표시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30 단계는 활성화된 태그정보 리더부(120)가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140 단계는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만일 저장부(170)에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넷이나 그외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로부터 해당 관광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S150 단계는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지에 대한 관광정보 및 해당 관광지와 관련된 관광지의 관광정보를 주제별 스탬프북으로 생성하는 단계이다.
S160 단계는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 및 해당 관광정보와 관련된 스탬프북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주제별 스탬프북에 속하는 관광지들 사이의 길안내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관광지들의 길안내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태그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이를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는 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태그의 위치를 탐색할 수도 있다.
이하 태그(11)가 무선 통신 장치에 부착되어 있고 무선통신장치가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관광정보 알림장치(100)가 태그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S111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에 태그 탐색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이다.
S112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의 무선신호 수신부(160)가 활성화되어 태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무선신호 수신부(160)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의 전원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비활성상태로 있다가 태그 탐색 요청이 입력되면 활성화되어 태그 무선신호를 탐색하여 수신한다.
S113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가 수신한 태그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무선신호의 세기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S114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가 수신한 태그 무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태그(11)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태그 아이디, 관광지도 및 태그 무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태그 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해당 태그(11)가 설치되어 있는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태그 아이디 및 GPS를 이용하여 관광정보 알림장치(100)로부터 태그(11)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으며, 태그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태그까지의 거리를 유추할 수 있다.
S115 단계는 관광정보 알림장치(100)가 산출한 태그(11)까지의 거리를 알람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알람 신호는 신호세기에 따라 거리를 분류하여 해당 신호세기에 해당하는 거리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으며,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고, 모터와 같은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관광정보 알림장치 110 : 표시부
120 : 태그정보 리더부 130 : 저장부
140 : 제어부 150 : 스탬프북 생성부
160 : 무선신호 수신부 170 : 알람부

Claims (12)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관광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관광지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태그정보 리더부;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관광지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광지의 대표 관광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제별 스탬프북들을 생성하는 스탬프북 생성부; 및
    사용자에 의해 관광정보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정보 리더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스탬프북을 포함하는 관광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및
    상기 태그와의 거리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알려주는 장치를 포함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무선신호의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태그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탬프북에 포함되는 관광지들간의 위치 및 길안내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관광지에 대한 길안내 정보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관광지의 위치 및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 또는 알람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RFID, NFC, QR 코드, 바코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북 생성부 및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관광정보 알림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6. 사용자가 관광정보 표시모드를 선택하여 태그를 탐색하는 단계;
    태그정보 리더부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태그정보 리더부가 관광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의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저장부를 검색하여 수신한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를 서치하는 단계;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서치된 관광정보와 관련된 관광지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관광지의 대표 관광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제별 스탬프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 및 상기 스탬프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관광정보 표시모드를 선택하여 태그를 탐색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주변의 관광지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 단계,
    무선신호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태그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북은 사전에 정해진 관광테마별, 지역적 연관성, 관광편의성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태그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는,
    상기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관광지의 거리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에 상응하는 관광정보 및 상기 스탬프북을 표시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탬프북에 포함되어 있는 관광지의 길안내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관광지에 대한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북에 표시되는 특정 관광지가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관광지와 연관된 관광지를 포함하는 서브 스탬프북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방법.
KR1020140005617A 2014-01-16 2014-01-16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10151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617A KR101516243B1 (ko) 2014-01-16 2014-01-16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617A KR101516243B1 (ko) 2014-01-16 2014-01-16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243B1 true KR10151624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617A KR101516243B1 (ko) 2014-01-16 2014-01-16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678B1 (ko) * 2016-06-01 2016-11-03 서삼천 둘레길 관광 안내 시스템
KR102027565B1 (ko) 2018-08-16 2019-11-04 주식회사 인터포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도보 길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180A (ko) * 2007-09-14 2009-03-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기반 키오스크를 이용한 관광안내장치 및관광안내방법
KR20100096409A (ko) * 2009-02-24 2010-09-02 신훈희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KR20120087222A (ko) * 2010-11-26 2012-08-07 최주용 방문 기념 스탬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180A (ko) * 2007-09-14 2009-03-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기반 키오스크를 이용한 관광안내장치 및관광안내방법
KR20100096409A (ko) * 2009-02-24 2010-09-02 신훈희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KR20120087222A (ko) * 2010-11-26 2012-08-07 최주용 방문 기념 스탬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678B1 (ko) * 2016-06-01 2016-11-03 서삼천 둘레길 관광 안내 시스템
KR102027565B1 (ko) 2018-08-16 2019-11-04 주식회사 인터포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도보 길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135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US10234299B2 (en) Geo-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019088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code,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11048582A (ja) 情報収集装置
JP529243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WO201400269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66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파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243B1 (ko) 태그를 이용한 관광정보 알림장치 및 그 방법
JP20063171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KR101557836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KR100866756B1 (ko) 경로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경로안내서버
JP7332471B2 (ja) 地点情報提供システム、地点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14471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가상현실 기반 정보안내 단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4013153A (ja) グループ走行支援装置、グループ走行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84336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目的地設定システム
KR2008000348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예약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JP200907593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タグリーダライタ装置、及びタグラベル作成装置
JP6795731B2 (ja) 案内情報表示装置、案内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74245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情報提供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2005084831A (ja) バス運行情報通知システム
KR20100071793A (ko) 경로 서비스 제공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JP2006050414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装置
KR101883074B1 (ko) 경기장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
JP4576959B2 (ja) 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6886086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