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316B1 -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316B1
KR101514316B1 KR1020130168276A KR20130168276A KR101514316B1 KR 101514316 B1 KR101514316 B1 KR 101514316B1 KR 1020130168276 A KR1020130168276 A KR 1020130168276A KR 20130168276 A KR20130168276 A KR 20130168276A KR 101514316 B1 KR101514316 B1 KR 10151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weight
refractive index
viscosity
average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이정환
김효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 C08J24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플라스틱의 표면 처리 후에 수축성이 우수하면서,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다른 특성도 우수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하게 되면 수축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타 다른 특성도 우수하게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은 초경량화 또는 박막화 되는 경향이 있는 현재의 전자제품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에 미량의 코팅만으로도 수축성이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이 고수축성이 요구되는 곳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특성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Resin composition of ultraviolet stiffening type for plastic surface treatment and plastic surface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의 주변에 너무나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표면 경도나 내약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하드 코팅 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하드 코팅 처리에 사용되는 하드 코팅제는 열경화와 자외선 경화 타입이 존재하는데, 열경화는 고온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경화 시간이 짧고, 고온 처리가 필요 없는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제가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전자 제품들은 점차 경량화, 박막화 되어 가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기 위한 플라스틱도 보다 박형화 되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에 적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제, 즉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도 미량의 코팅으로 보다 수축성이 우수한 효과를 달성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의 연구는 많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164호(특허문헌 1)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 1은 구체적으로는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면서, 상기 경화형 수지는 반응성 모노머로서 이소시아누르산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26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으로서 우수한 품질을 달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수축성이 월등히 향상된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은
1)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를 혼합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진공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3) 상기 조성물을 플라스틱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플라스틱의 표면 처리 후에 수축성이 우수하면서,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다른 특성도 우수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하게 되면 수축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타 다른 특성도 우수하게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은 초경량화 또는 박막화 되는 경향이 있는 현재의 전자제품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에 미량의 코팅만으로도 수축성이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이 고수축성이 요구되는 곳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특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초경량화 또는 박막화 되는 전자제품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에 적용이 가능하고, 수축성이 특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더 포함되어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수축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는 경우에 수축 특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수축성이 좋기 때문에 경화시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야만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우수한 수축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경화 때 크랙이나 틈새가 생기지 않으면서, 주변 환경에 따른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 중 상기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은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와 반응하여 우수한 수축 특성을 달성하는 것뿐 만 아니라 고열성을 갖게 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지며, 투명성이 높아지고, 저점도로서 수축성을 낮게 하는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Figure 112013121041489-pat00001
또한 상기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바람직하게는 디사이클로펜타닐 디아크릴레이트(Dicyclolpentanyl diacrylate, DCPA)일 수 있으며,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닐 디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와 같은 구조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와 반응하여 우수한 수축 특성을 달성하는 것뿐 만 아니라 높은 Tg 및 고내열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Figure 112013121041489-pat00002
또한 상기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바람직하게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와 반응하여 우수한 수축 특성을 달성하는 것뿐 만 아니라 경화 속도 향상, 고경도, 고광택, 내후성 내수, 내약품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Figure 112013121041489-pat0000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서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하기 실시예에서 ‘M262’)는 관능기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50-400일 수 있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20-150 cP에 해당할 수 있으며,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5-1.55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서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하기 실시예에서 ‘PU340’)는 관능기가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3,000일 수 있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65,000-75,000 cP에 해당할 수 있으며,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5-1.55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PS460, PS4610, PS610, PS6300 및 PS64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PS4040 및 PS610이거나, 또는 PS460 및 PS6300이거나, 또는 PS4610 및 PS64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S404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1200-1300이고, 점도는 4000-6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일 수 있다.
상기 PS46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500-4000이고, 점도는 30000-35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일 수 있다.
상기 PS461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500-4000이고, 점도는 5000-1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일 수 있다.
상기 PS610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5500이고, 점도는 20000-3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일 수 있다.
상기 PS6300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3500이고, 점도는 30000-4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일 수 있다.
상기 PS643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5000이고, 점도는 5000-1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은 15-25 중량%,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는 5-10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는 5-1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비율에 해당하는 경우만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수축성 효과, 경도 향상 및 크랙이나 틈새 미발생의 효과가 우수하게 발현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5-1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수축성 향상 효과를 가장 우수하게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우수한 수축성 향상 효과를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충분한 수축성 향상 효과를 달성하였음에도 필요 이상으로 포함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및 PS610이거나, 또는 PS460 및 PS6300이거나, 또는 PS4610 및 PS64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PS4040:PS61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0:PS630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10: PS643가 1:0.5-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굴절률이 1.25-1.30, 경도가 8.5-9.5 H, 투과율은 92.5-93.0 %에 해당하여 수축성이 우수하면서 기타 다른 특성도 우수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은
1)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를 혼합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진공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3) 상기 조성물을 플라스틱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디사이클로펜타닐 디아크릴레이트(Dicyclolpentanyl diacrylate, DCPA)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400이고, 점도는 120-15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가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3,000이고, 점도는 65,000-75,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PS460, PS4610, PS610, PS6300 및 PS64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및 PS610이거나, 또는 PS460 및 PS6300이거나, 또는 PS4610 및 PS643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은 15-25 중량%,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는 5-10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는 5-1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비율에 해당하는 경우만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수축성 효과, 경도 향상 및 크랙이나 틈새 미발생의 효과가 우수하게 발현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가 5-1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려는 수축성 향상 효과를 가장 우수하게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및 PS610이거나, 또는 PS460 및 PS6300이거나, 또는 PS4610 및 PS643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PS4040:PS61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0:PS630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10:PS643가 1:0.5-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굴절률이 1.25-1.30, 경도가 8.5-9.5 H, 투과율은 92.5-93.0 %에 해당하여 수축성이 우수하면서 기타 다른 특성도 우수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POSS 20 중량%, DPHA 30 중량%, DCPA 30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인 M262(MIWON , 42594-17-2) 5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PU340(MIWON) 5 중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PS4040(MIWON) 5 중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PS610(MIWON) 5 중량%를 밀폐 용기에 넣고 2 시간 동안 100 rpm의 속도로 이를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기포 제거 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POSS 20 중량%, DPHA 30 중량%, DCPA 30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인 M262 5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PU340 5 중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PS460(MIWON) 5 중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PS6300(MIWON) 5 중량%를 밀폐 용기에 넣고 2 시간 동안 100 rpm의 속도로 이를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기포 제거 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POSS 20 중량%, DPHA 30 중량%, DCPA 30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인 M262 5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PU340 5 중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PS4610(MIWON) 5 중량%,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PS643(MIWON) 5 중량%를 밀폐 용기에 넣고 2 시간 동안 100 rpm의 속도로 이를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기포 제거 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POSS 15 중량%, DPHA 45 중량%, DCPA 30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PU340 10 중량%를 밀폐 용기에 넣고 2 시간 동안 100 rpm의 속도로 이를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기포 제거 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POSS 70 중량%, DPHA 20 중량%, DCPA 10 중량%를 밀폐 용기에 넣고 2 시간 동안 100 rpm의 속도로 이를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기포 제거 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POSS 25 중량%, DPHA 40 중량%, DCPA 25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PU340 10 중량%를 밀폐 용기에 넣고 2 시간 동안 100 rpm의 속도로 이를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진공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기포 제거 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의 경도, 유연성, 접착력, 휩강도, 투과도, 외관 상태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의 실험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경도 측정
각각의 표면 연필 경도계(JIS K 5041)를 측정하였다.
2. 유연성 측정
유연성이 아주 양호하면 ‘◎’, 보통 양호하면‘○’, 그저 그런 경우는‘△’, 유연성이 좋지 않으면 ‘ⅹ’로 표시하였다.
3. 접착성 측정
크로스컷 테스트를 적용하여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4. 굴절률 측정
아베굴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투과율 측정
분광광도계(일본 무라카미 사, HM-150)를 이용하여 전광선투과율을 측정하였다.
6. 외관 상태 측정
매끈하고 상태가 아주 양호하면 ‘◎’, 크랙 및 틈새가 없으면 ‘○’, 약간의 크랙 및 틈새가 있으면 ‘△’, 크랙 및 틈새가 많아 상태가 좋지 않으면 ‘ⅹ’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3121041489-pat00004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비교예에 따른 경우보다 굴절률, 즉 수축성이 현저히 낮아 수축성이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수적으로 측정한 휨강도에서도 비교예는 양호하지 못한 상태를 보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매우 양호한 상태를 보여 수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실시예의 경우 경도, 유연성, 굴절률, 투과율, 외관상태에서도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32)

  1.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디사이클로펜타닐 디아크릴레이트(Dicyclolpentanyl diacrylate, DC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400이고, 점도는 120-15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가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3,000이고, 점도는 65,000-75,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PS460, PS4610, PS610, PS6300 및 PS64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S404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1200-1300이고, 점도는 4000-6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S46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500-4000이고, 점도는 30000-35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S461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500-4000이고, 점도는 5000-1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S610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5500이고, 점도는 20000-3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S6300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3500이고, 점도는 30000-4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S643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5000이고, 점도는 5000-1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및 PS610이거나, 또는 PS460 및 PS6300이거나, 또는 PS4610 및 PS6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은 15-25 중량%,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는 5-10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는 5-1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PS4040:PS61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0:PS630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10:PS643가 1:0.5-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굴절률이 1.25-1.30, 경도가 8.5-9.5 H, 투과율은 92.5-9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주시 조성물.
  16. 1)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를 혼합하여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진공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3) 상기 조성물을 플라스틱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디사이클로펜타닐 디아크릴레이트(Dicyclolpentanyl diacrylate, DC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400이고, 점도는 120-15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가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3,000이고, 점도는 65,000-75,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PS460, PS4610, PS610, PS6300 및 PS64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S404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1200-1300이고, 점도는 4000-6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S46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500-4000이고, 점도는 30000-35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S4610은 관능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500-4000이고, 점도는 5000-1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S610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5500이고, 점도는 20000-3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S6300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3500이고, 점도는 30000-4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S643은 관능기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5000이고, 점도는 5000-10000 cP이며, 굴절률은 1.45-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PS4040 및 PS610이거나, 또는 PS460 및 PS6300이거나, 또는 PS4610 및 PS6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폴리헤드랄올리고메릭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은 15-25 중량%, 비스페놀 A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변형(Modified) 타입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는 25-35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Difunctional acrylate)는 5-10 중량%,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는 5-1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는 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PS4040:PS61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0:PS6300가 1:0.5-1:1.5이거나, 또는 PS4610:PS643가 1:0.5-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굴절률이 1.25-1.30, 경도가 8.5-9.5 H, 투과율은 92.5-9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3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의 코팅 두께는 100-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3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이후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KR1020130168276A 2013-12-31 2013-12-31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KR10151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276A KR101514316B1 (ko) 2013-12-31 2013-12-31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276A KR101514316B1 (ko) 2013-12-31 2013-12-31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316B1 true KR101514316B1 (ko) 2015-04-22

Family

ID=5305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276A KR101514316B1 (ko) 2013-12-31 2013-12-31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6018B2 (en) 2017-05-12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window member having hard coating la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5480B2 (ja) * 1990-03-30 1999-07-05 昭和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組成物
KR20110078371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자외선 경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시트의 제조방법
JP2013035918A (ja) * 2011-08-05 2013-02-21 Nagase Chemtex Corp 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
KR20130076284A (ko) * 2011-12-28 2013-07-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5480B2 (ja) * 1990-03-30 1999-07-05 昭和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組成物
KR20110078371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자외선 경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시트의 제조방법
JP2013035918A (ja) * 2011-08-05 2013-02-21 Nagase Chemtex Corp 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
KR20130076284A (ko) * 2011-12-28 2013-07-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6018B2 (en) 2017-05-12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window member having hard coating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900B1 (ko) 내찰상성 수지 적층체, 디스플레이의 프론트 커버재 및 화상 표시 장치
TWI522413B (zh) Hardened resin composition
EP3144327A1 (en) Resin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KR102337053B1 (ko) 액체 접착제 조성물, 접착제 시트, 및 접착 결합 방법
WO2019045096A1 (ja) 延伸性耐擦傷性コーティング用硬化性組成物
WO2017056196A1 (ja) 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
KR101514316B1 (ko)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JP2016003319A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ハードコート材及びハードコート膜
CN108699343B (zh) 提供强韧的固化物的树脂片制造用固化型组合物
JP201302358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TWI758597B (zh) 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積層體
KR101491974B1 (ko)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KR101493233B1 (ko)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KR20170129944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47268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1493925B1 (ko) 플라스틱 표면 처리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표면 처리방법
US20170130103A1 (en) Curable composition
KR20170109711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필름
EP2634216B1 (en) Polyester/polycarbonate blend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JP201704373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の製造方法
JPWO2016002399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塗料、塗膜、及び積層フィルム
JP2019210377A (ja) 防曇組成物及び成形品
KR100373207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JP6217135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耐指紋フィルム
KR20190131177A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고경도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